KR101069127B1 -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127B1
KR101069127B1 KR1020090097205A KR20090097205A KR101069127B1 KR 101069127 B1 KR101069127 B1 KR 101069127B1 KR 1020090097205 A KR1020090097205 A KR 1020090097205A KR 20090097205 A KR20090097205 A KR 20090097205A KR 101069127 B1 KR101069127 B1 KR 101069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er line
diaphragm
jig
line
l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075A (ko
Inventor
정승규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090097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1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변환 장치의 제작공정 중 선처리 작업을 표준화하고, 일련의 선처리 작업을 통하여 선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키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일부가 장착되어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에, 코일부의 인출선이 일정 형태를 지니도록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진동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그 베이스; 지그 베이스에 조립되고, 각각의 인출선의 1차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제1지그 플레이트; 그리고, 각각의 인출선의 2차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제2지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COIL TREATING APPARATUS FOR SOUND CONVERTER}
본 발명은 음향 변환 장치의 제작공정 중 선처리 작업을 표준화하고, 일련의 선처리 작업을 통하여 선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키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변환 장치는, 자기장이 발생하는 마그네트 주위에 코일을 설치하고, 코일에 전기신호가 가해지면서 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 발생하는 자기장이 서로 밀거나 당기는 작용에 의해 코일이 움직이게 되는데, 코일에 부착된 진동판이 진동을 하면서 음압을 발생시키는 원리로 음향을 만들어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향 변환 장치의 자기회로는 각각 철금속 성분으로 된 요크 내에 마그네트(영구자석)와 탑 플레이트(또는 어퍼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공극 내에 존재하는 보이스코일에 직각으로 자속이 쇄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보이스코일은 진동판에 접착되어 있어 입력신호에 의해 상하로 가진력을 발생시켜 프레임에 접착 구속되어 있는 진동판을 진동시켜서 음압을 발생시킨다. 진동판은 상하 진동 시에 우수한 응답성과 좌굴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웨이브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진동판의 형상은 주파수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설계변수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은 음향 변환 장치는 진동판의 저면에 인출선을 본드로 고정하는 선처리 작업을 포함하는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마다 형태가 달라짐에 따라 불량이 자주 발생할 뿐 아니라 정확성이 떨어지고, 공정 시간도 길어짐에 따라 생산 비용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공정을 표준화할 수 있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는 특허출원 2007-009999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일부가 장착된 진동판을 고정하는 지그 베이스와, 진동판 위로 인출선의 형태를 가이드하는 지그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를 이용한 선처리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일부가 장착된 진동판이 지그 베이스에 장착되고, 지그 플레이트가 지그 베이스와 맞물리면, 코일부의 인출선이 지그 플레이트에 의해 소정의 형태를 지니도록 정형하고, 본드를 도포하여 코일부의 인출선을 진동판에 부착한 다음, 일정 시간 동안 본드를 건조시키고, 지그 플레이트 및 진동판을 지그 베이스로부터 분리한다. 즉, 작업자가 지그 조립, 인출선 정형, 본드 도포, 본드 건조, 지그 해체로 이루어진 일련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판과 인출선의 상태도인데, 도 1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상기와 같은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에 의해 코일부(1)의 인출선(2)이 타원 형상의 진동판(3) 저면에 본드 고정된다. 이때, 인출선(2)의 시작점은 진동판(3)의 단축 상에 위치되고, 인출선(2)의 끝점은 진동판(3)의 장축 상에 위치되도록 정형된다.
하지만, 종래의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는 한 명의 작업자가 표준화된 인출선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지만, 한 명의 작업자가 일련의 공정을 수행하기에 잦은 작업 기구를 바꾸면서 작업이 이뤄질 뿐 아니라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하나의 제품만 생산할 수 있고, 본드가 건조되는데 걸리는 대기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생산 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생산성 및 생산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출선 정형, 본드 도포, 본드 건조에 걸친 일련의 공정에서 인출선에 적절한 고정력으로 고정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코일부의 인출선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질 뿐 아니라 코일부의 인출선이 끊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처리 공정을 분업화 및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처리 공정 중에 코일부의 인출선에 적절한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일부가 장착되어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에, 코일부의 인출선이 일정 형태를 지니도록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진동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그 베이스; 지그 베이스에 조립되고, 각각의 인출선의 1차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제1지그 플레이트; 그리고, 각각의 인출선의 2차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제2지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그 베이스는 진동판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진동판 안착홈과, 진동판을 진동판 안착홈으로 안내하도록 진동판 안착홈 둘레 일부에 돌출된 복수개의 진동판 안착단과, 진동판 안착홈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이 제1지그 플레이트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판 안착홈 일측에 돌출된 복수개의 인출선 간섭 방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그 베이스는 인출선이 진동판에 본드 고정되는 부분과 근접하도록 진동판 안착홈과 연통된 복수개의 본드 오염 방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지그 플레이트는 진동판 일부를 눌러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진동판 누름부와, 인출선의 제1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출선이 걸림되는 복수개의 제1인출선 고정홈과, 인출선의 제2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출선이 걸림되는 복수개의 제2인출선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지그 플레이트는 제1,2인출선 고정홈에 각각 장착되 어 인출선을 제1,2인출선 고정홈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인출선 고정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지그 플레이트는 인출선의 제2경로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지닌 복수개의 인출선 정형돌기부와, 인출선 정형 돌기부 일측에 구비되어 인출선을 진동판과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인출선 높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그 베이스 및 제1,2지그 플레이트는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된 결합홀들 및 결합돌기들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진동판은 코일부가 중심에 구비된 장축과 단축을 가진 타원 형상의 곡면이고, 제1,2지그 플레이트는 코일부의 인출선 시작점 또는 인출선 끝점을 진동판의 장축 상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는 복수개의 진동판을 지그 베이스, 제1,2지그 플레이트에서 일련의 선처리 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자 별로 일련의 선처리 공정을 개별 단순 공정으로 나누어서 진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드 건조를 위한 대기 시간을 없앨 수 있으므로, 생산성 및 생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지그 플레이트에 인출선 고정홈이 구비되고, 인출선 고정홈에 소정 탄성을 가진 인출선 고정튜브가 장착되면, 인출선이 인출선 고정홈과 인출선 고정튜브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선처리 공정 중에 코일 부의 인출선에 적절한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인출선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코일부의 인출선이 끊어지는 작업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의 인출선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일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1)과, 프레임(101)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요크(102)와, 요크(102)로 자속을 전달하거나 요크(102)로부터 자속을 전달받는 내륜 마그네트(103) 및 외륜 마그네트(104)와, 내륜 마그네트(103) 또는 외륜 마그네트(104)로부터 자속을 전달받아 코일부(107)에 직각으로 자속을 전달되도록 하는 내륜 탑플레이트(105) 및 외륜 탑플레이트(106)와, 내륜 마그네트(103) 및 내륜 탑플레이트(105)와 외륜 마그네트(104) 및 외륜 탑플레이트(106) 간의 공극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코일부(107)와, 코일부(107) 상측에 부착되어 코일부(107)의 상하 운동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108)과, 음방출공(111)이 형성되되 진동판(108)을 보호하는 프로텍터(110)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107)의 인출선(112)은 진동판(108)의 저면에 선처리 본드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시키고, 프레임(101)의 측면을 관통하여 또는 프레임(101)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프레임(101)의 외부 측면을 따라 터미널(114)에 각각 납땜 된다. 이때, 코일부(107)의 인출선(112)은 장축과 단축을 가진 곡면 형상의 진동판(108) 저면에 본드에 의해 접착되는데, 코일부(107)의 인출선(112) 시작점은 코일부(107) 외주면과 만나는 진동판(108)의 장축(y) 상에 위치되고, 코일부(107)의 인출선(112) 끝점은 진동판(108)의 외주단과 만나는 진동판(108)의 장축(y) 상에 위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일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그 베이스가 도시된 상면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제1,2지그 플레이트가 각각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선처리 공정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선처리 장치에 의해 진행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선처리 장치의 일예는 코일부(107)가 구비된 진동판(108)이 복수개가 안착되는 지그 베이스(120)와, 지그 베이스(120)에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코일부(107)의 인출선(112)을 제1경로로 안내하는 제1지그 플레이트(130)와, 제1지그 플레이트(130)에 조립된 상태에서 제1경로를 지난 각각의 코일부(107)의 인출선(112)을 제2경로로 안내하는 제2지그 플레이트(140)로 구성된다.
지그 베이스(120)는 진동판 안착홈(121)과, 진동판 안착단(122)과, 인출선 간섭 방지단(123)과, 본드 오염 방지홀(124)로 이루어진 일종의 안착 유닛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된다. 진동판 안착홈(121)은 진동판(107)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진동판(107)과 동일한 형상의 타원형 홈 형태로 형성된다. 진동판 안착단(122)은 진동판 안착홈(121) 둘레에 진동판(108)을 진동판 안착홈(121)에 안착되 도록 안내하되, 진동판 안착홈(121) 둘레의 적어도 반 이상 해당하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선 간섭 방지단(123)은 진동판 안착홈(121) 둘레에 진동판 안착단(122)과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데, 인출선(112)이 진동판 안착홈(121)으로부터 인출되더라도 제1지그 플레이트(13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그 베이스(120)와 하기에서 설명될 제1지그 플레이트(130)가 조립되어 서로 맞닿으면, 지그 베이스(120)의 인출선 간섭 방지단(123)이 제1지그 플레이트(130)와 맞닿기 때문에 지그 베이스(120)의 인출선 간섭 방지단(123) 일측에 지그 베이스(120)와 제2지그 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인출선(112)이 인출될 수 있다. 본드 오염 방지홀(124)은 인출선(112)의 본드 고정 시 본드로 인한 진동판(108) 또는 진동판 안착홈(121)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드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진동판 안착홈(121) 일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본드 오염 방지홀(124)은 인출선(112)이 진동판(108)에 본드 고정되는 부분과 근접하게 형성되는데, 진동판 안착홈(121)의 장축 외주단에 형성된다.
제1지그 플레이트(130)는 진동판 누름부(131)와, 제1인출선 고정홈(132)과, 제2인출선 고정홈(133)과, 인출선 고정튜브(134)로 이루어진 일종의 고정 유닛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된다. 진동판 누름부(131)는 선처리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진동판(108) 일부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데, 지그 베이스(120)의 진동판 안착홈(121)에 안착된 진동판(108)과 맞닿도록 제1지그 플레이트(130)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인출선 고정홈(132)은 인출선(112)의 제1경로를 형 성하기 위하여 인출선(112)이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하는데, 지그 베이스(120)의 인출선 간섭 방지단(123)에 의해 지그 베이스(120)와 제1지그 플레이트(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제2인출선 고정홈(133)은 인출선(112)의 제2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출선(112)이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하는데, 마찬가지로 지그 베이스(120)의 인출선 간섭 방지단(123)에 의해 지그 베이스(120)와 제1지그 플레이트(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인출선 고정튜브(134)는 제1,2인출선 고정홈(132,133)에 각각 장착되는 일종의 탄성을 지닌 튜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예로 실리콘 재질의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인출선 고정튜브(134)는 소정의 탄성을 지니기 때문에 인출선 고정튜브(134)가 제1,2인출선 고정홈(132,133)에 손쉽게 끼워질 수 있고, 인출선(112)이 제1,2인출선 고정홈(132,133)과 인출선 고정튜브(134) 사이에 끼워지더라도 인출선 고정튜브(134)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한다.
제2지그 플레이트(140)는 인출선 정형돌기부(141)와, 인출선 높이가이드부(142)로 이루어진 일정의 정형 유닛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된다. 인출선 정형돌기부(141)는 인출선(112)의 제2경로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지닌 일종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지그 베이스(120)의 진동판 안착홈(121)에 안착된 진동판(108)과 맞닿도록 제2지그 플레이트(130)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인출선(112)은 인출선 정형돌기부(141)의 일측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인출선(112)의 제2경로 형상으로 정형된다. 인출선 높이가이드부(142)는 인출선(112)의 제2경로를 따라 정형할 때에 인출선(112)이 인출선 정형돌기부(141) 일측면을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인출선(112)이 진동판(108)에 맞닿도록 눌러주게 되는데, 인출선 높이가이드부(142)는 인출선(112)의 제2경로를 형성하는 인출선 정형돌기부(141) 일측면에 인출선(112)의 두께를 고려한 높이 정도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지그 베이스(120), 제1지그 플레이트(130), 제2지그 플레이트(140)는 적층되도록 조립되는데, 서로 형합될 수 있는 결합홀들 및 결합돌기들이 구비된다. 일예로, 지그 베이스(120)의 양측에는 한 쌍의 결합홀(125a,125b)이 구비되고, 제1지그 플레이트(130)의 양측 저면에는 지그 베이스(120)의 결합홀들(125a,125b)에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결합돌기(135a,135b)가 구비되는 동시에 결합돌기들(135a,135b)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결합홀(136a,136b)이 구비되며, 제2지그 플레이트(140)의 양측 저면에는 제1지그 플레이트(130)의 결합홀들(136a,136b)에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결합돌기(143a,143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g는 도 4의 선처리 장치에 의한 선처리 공정이 도시된 도면인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처리 장치에 의한 선처리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107)가 고정된 진동판(108)을 각각 지그 베이스(120)의 진동판 안착홈(121)에 안착시키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107)의 인출선(112)이 진동판(108)의 단축 방향으로 인출된다.
다음,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그 플레이트(130)를 지그 베이스(120)에 조립하는데, 제1지그 플레이트(130)의 결합돌기들(135a,135b)이 지그 베이 스(120)의 결합홀들(125a,125b)에 결합된다. 이때, 제1지그 플레이트(130)의 진동판 누름부(131)가 코일부(107) 주변 일부를 감싸도록 동시에 진동판(108)을 눌러주도록 조립된다.
다음,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선(112)을 제1지그 플레이트(130)의 인출선 간섭방지단(132) 일측에 구비된 지그 베이스(120)와 제1지그 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으로 인출한 다음, 제1지그 플레이트(130) 측의 제1인출선 고정홈(132) 및 인출선 고정튜브(134)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때, 인출선(112)은 진동판(108)의 단축 방향으로부터 90ㅀ 이상으로 회전된 방향으로 인출되는데, 코일부(107) 외주면을 감싸면서 제1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인출선(112)은 제1지그 플레이트(130) 측의 제1인출선 고정홈(132)과 인출선 고정튜브(134) 사이에 끼워지되, 인출선 고정튜브(134)의 탄성력에 의한 소정의 고정력으로 고정된다.
다음,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그 플레이트(140)를 제1지그 플레이트(130)에 조립하는데, 제2지그 플레이트(140)의 결합돌기들(143a,143b)이 제1지그 플레이트(130)의 결합홀들(136a,136b)에 결합된다. 이때, 제2지그 플레이트(140)의 인출선 정형돌기부(141)가 코일부(107) 주변 일측에 위치하도록 진동판(108)을 눌러주도록 조립된다.
다음,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선(112)을 제1지그 플레이트(130) 측의 제1인출선 고정홈(132) 및 인출선 고정튜브(134)로부터 빼낸 다음, 제1지그 플레이트(130) 측의 제2인출선 고정홈(133) 및 인출선 고정튜브(134)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때, 인출선(112)의 시작점 및 끝점이 진동판(108)의 장축 상에 위치하도록 인출되는데, 제2지그 플레이트(140)의 인출선 정형돌기부(141)의 일측면을 감싸는 동시에 제2지그 플레이트(140)의 인출선 높이 가이드부(142)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진동판(108)과 맞닿은 상태로 제2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인출선(112)은 제2인출선 고정홈(133)과 인출선 고정튜브(134)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소정의 고정력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인출선(112)이 제1,2경로를 따라 정형되면, 인출선(112)을 코일부(107) 외주면 및 진동판(108)의 장축 방향 외주단에 각각 본드로 고정시킨다. 이때, 인출선(112)이 진동판(108)의 장축 방향 외주단에서 본드 고정되는 부분에서 본드가 지그 베이스(120)의 본드 오염 방지홀(124)을 통하여 빠져나가기 때문에 진동판(108) 또는 지그 베이스(120)의 진동판 안착홈(121)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인출선(112)의 제2경로 중간 부분을 진동판(108)에 본드로 추가로 접착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 인출선(112)을 제1지그 플레이트(130)의 제2인출선 고정홈(133) 및 인출선 고정튜브(134) 사이로부터 빼내고, 제1,2지그 플레이트(130.140)를 지그 베이스(120)로부터 분리하면,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107)의 인출선(112)이 본드 고정된 진동판(108)이 지그 베이스(120)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판(108)을 지그 베이스(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9a는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인출선의 위치별 진동 변위가 도시된 그래프이고, 도 9b는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인출선의 위치별 응력이 도시된 그래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 및 본 발명에서 각각 인출선의 응력 해석도이다.
종래의 음향 변환 장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의 인출선이 타원형상의 진동판에 본드 접착되는데, 인출선(3)은 코일부(1) 외주면과 진동판(3)의 단축(x)이 만나는 지점(목 부분)에서 진동판(3) 외주단과 진동판(3)의 장축(y)이 만나는 지점(에지 부분)까지 곡선 형태로 인출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음향 변환 장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107)의 인출선(112)이 타원형상의 진동판(108)에 본드 접착되는데, 인출선(112)은 코일부(107) 외주면과 진동판(108)의 장축(y)이 만나는 지점(목 부분)에서 진동판(108) 외주단과 진동판(108)의 장축(y)이 만나는 지점(에지 부분)까지 곡선 형태로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인출선의 진동 변위를 살펴보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비해 본 발명에서 코일부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의 위치(Distance : mm)에 상관없이 전 영역에 걸쳐 인출선의 진동 변위(Displacement : mm)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종래의 인출선이 코일부로부터 인출되는 시점에서보다 본 발명의 인출선이 코일부로부터 인출되는 시점에서 인출선의 진동 변위가 약 20% 정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인출선의 응력을 살펴보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비해 본 발명에서 코일부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의 위치(Distance : mm)가 0 - 2.5mm 구간을 비롯하여 6.5mm 이상에서 인출선의 응력(Stress : MPa)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종래의 인출선이 코일부로부터 인출되는 시점에서보다 본 발명의 인출선이 코일부로부터 인출되는 시점에서 인출선의 응력이 약 10 - 20% 정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진동판의 단축 상에 위치하는 인출선 목 부분의 응력은 0.706E+08이고, 진동판의 장축 상에 위치하는 인출선 에지 부분의 응력은 0.165E+08로 나타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진동판의 장축 상에 위치하는 인출선 목 부분의 응력은 0.620E+08이고, 진동판의 장축 상에 위치하는 인출선 에지 부분의 응력은 0.158E+08로 나타난다. 즉, 본 발명의 인출선 목 부분에서 응력이 종래의 인출선 목 부분에서 응력보다 약 10-20% 감소하였고, 본 발명의 인출선 에지 부분에서 응력이 종래의 인출선 에지 부분에서 응력보다 약 5-10%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판과 인출선의 상태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의 인출선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일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지그 베이스가 도시된 상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제1지그 플레이트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제2지그 플레이트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g는 도 4의 선처리 장치에 의한 선처리 공정이 도시된 도면.
도 9a는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인출선의 위치별 진동 변위가 도시된 그래프.
도 9b는 종래 및 본 발명에서 인출선의 위치별 응력이 도시된 그래프.
도 10a는 종래에서 인출선 응력 해석도.
도 10b는 본 발명에서 인출선 응력 해석도.

Claims (8)

  1. 코일부가 장착되어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에, 코일부의 인출선이 일정 형태를 지니도록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에 있어서,
    진동판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진동판 안착홈과, 진동판을 진동판 안착홈으로 안내하도록 진동판 안착홈 둘레 일부에 돌출된 복수개의 진동판 안착단을 구비하여 복수개의 진동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그 베이스;
    지그 베이스에 조립되고, 각각의 인출선의 1차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제1지그 플레이트; 그리고,
    각각의 인출선의 2차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제2지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그 베이스는 진동판 안착홈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이 제1지그 플레이트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판 안착홈 일측에 돌출된 복수개의 인출선 간섭 방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지그 베이스는 인출선이 진동판에 본드 고정되는 부분과 근접하도록 진동판 안착홈과 연통된 복수개의 본드 오염 방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지그 플레이트는 진동판 일부를 눌러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진동판 누름부와, 인출선의 제1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출선이 걸림되는 복수개의 제1인출선 고정홈과, 인출선의 제2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출선이 걸림되는 복수개의 제2인출선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지그 플레이트는 제1,2인출선 고정홈에 각각 장착되어 인출선을 제1,2인출선 고정홈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인출선 고정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지그 플레이트는 인출선의 제2경로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지닌 복수개의 인출선 정형돌기부와, 인출선 정형 돌기부 일측에 구비되어 인출선을 진동판과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인출선 높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그 베이스 및 제1,2지그 플레이트는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된 결합홀들 및 결합돌기들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동판은 코일부가 중심에 구비된 장축과 단축을 가진 타원 형상의 곡면이고, 제1,2지그 플레이트는 코일부의 인출선 시작점 또는 인출선 끝점이 진동판의 장축 상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KR1020090097205A 2009-10-13 2009-10-13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KR101069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05A KR101069127B1 (ko) 2009-10-13 2009-10-13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05A KR101069127B1 (ko) 2009-10-13 2009-10-13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75A KR20110040075A (ko) 2011-04-20
KR101069127B1 true KR101069127B1 (ko) 2011-09-30

Family

ID=4404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05A KR101069127B1 (ko) 2009-10-13 2009-10-13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1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6224A (ja) 2003-05-02 2004-11-25 Foster Electric Co Ltd 小型スピーカのボイスコイルリード線の引出し処理方法および小型スピーカ
KR100570857B1 (ko) 2003-12-01 2006-04-12 삼성전기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100828070B1 (ko) 2006-12-11 2008-05-08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4641A (ko) * 2007-10-04 2009-04-08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6224A (ja) 2003-05-02 2004-11-25 Foster Electric Co Ltd 小型スピーカのボイスコイルリード線の引出し処理方法および小型スピーカ
KR100570857B1 (ko) 2003-12-01 2006-04-12 삼성전기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100828070B1 (ko) 2006-12-11 2008-05-08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4641A (ko) * 2007-10-04 2009-04-08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75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7776A2 (en) Speaker damper and speaker including the same
US20180184209A1 (en) Vibration sound-producing apparatus
WO2016086756A1 (zh) 微型扬声器
US10471892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ound by using car body
US7266213B2 (en) Compact speaker with a protective cover
EP2725820B1 (en) Vibration module for sound transducer
US9510102B2 (en) Moving iron sounding device
CN104125529A (zh) 用于声换能器的悬置件
CN105120409A (zh) 扬声器
US8094867B2 (en) Speaker, yok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yoke
EP1448019A1 (en) Yoke of speaker
KR101728541B1 (ko) 선형음향 변환장치
WO2017166400A1 (zh) 振动马达以及便携式设备
KR101069127B1 (ko)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CN109862490B (zh) 扬声器
KR100937835B1 (ko) 음향 변환 장치의 선처리 장치
JP4723400B2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120017219A (ko) 음향 변환 장치
EP1715716A1 (en) Bone-condu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52646B1 (ko) 음향 변환 장치
JP4387845B2 (ja) スピーカ装置
KR101913154B1 (ko) 데드코일을 이용한 스피커
JP4952209B2 (ja) スピーカ、スピーカ製造用治具およびスピーカの製造方法
KR20240006949A (ko) 초소형 스피커
CN217825346U (zh) 扬声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