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949A - 초소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초소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949A
KR20240006949A KR1020220083871A KR20220083871A KR20240006949A KR 20240006949 A KR20240006949 A KR 20240006949A KR 1020220083871 A KR1020220083871 A KR 1020220083871A KR 20220083871 A KR20220083871 A KR 20220083871A KR 20240006949 A KR20240006949 A KR 2024000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voice coil
damper
viewed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주음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주음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주음향
Priority to KR102022008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949A/ko
Publication of KR2024000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압이 향상된 초소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실시에에서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에 연결되는 댐퍼; 상기 댐퍼와 연결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이스코일을 둘러싸며, 상기 댐퍼와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보이스코일을 중심으로 플레이트와 마그넷; 상기 보이스코일을 중심으로 상기 다이아프램 반대쪽에 배치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 상기 보이스코일 및 상기 요크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보이스코일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마그넷과 상기 보이스코일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복수개가 상기 제 1 마그넷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구성되는 초소형 스피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초소형 스피커{Micro Speaker}
본 발명은 초소형 스피커에 대한 것으로, 분할형 마그넷을 가지는 초소형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내장된 마그넷을 활용한 자기장 내에서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보이스 코일의 움직임을 진동판의 진동으로 변환시켜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소리를 방출하는 음향 장치를 말한다. 즉, 스피커는 전기신호로 진동판을 진동시켜 음파를 만들어 내는 장치이다.
스피커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소형 전자 제품, 예를 들면 핸드폰에 적용되는 스피커의 경우에 크기가 제한되어, 스피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음압이 제한된다.
스피커에서 음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내장된 마그넷의 자기장의 세기가 커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는 마그넷의 사이즈가 커져야 하는데, 스피커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서 마그넷의 크기 역시 제한이 생긴다.
(특허문헌 1) KR 10-2014-0039813 A
본 발명은 음압이 향상된 초소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에 연결되는 댐퍼; 상기 댐퍼와 연결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이스코일을 둘러싸며, 상기 댐퍼와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보이스코일을 중심으로 플레이트와 마그넷; 상기 보이스코일을 중심으로 상기 다이아프램 반대쪽에 배치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 상기 보이스코일 및 상기 요크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보이스코일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마그넷과 상기 보이스코일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복수개가 상기 제 1 마그넷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구성되는 초소형 스피커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원형이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끊어진 링형을 가지되 상기 장변에 평행한 제 3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원형이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곡면으로 형성되는 내측면 및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되 상기 장변에 평행한 제 3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중 상기 외측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1 측면과, 타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측면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이 상기 제 3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측면에서 상기 외측면과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단변과 평행한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내측면과 연결되는 제 3 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측면에서 상기 외측면과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내측면과 연결되는 제 4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요크는 스피커 외부와 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보이스코일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요크는 절곡되어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보이스코일에 대응되는 위치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요크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원형이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곡면으로 형성되는 내측면 및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l), 상기 제 1 마그넷의 외경(d)과 상기 제 2 마그넷의 상기 외측면의 곡률반경(R)은 다음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d < l < 2R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보이스코일과 상기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댐퍼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프레임에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며, 상기 댐퍼를 통하여 상기 보이스코일에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형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음압이 향상된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스피커의 마그넷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스피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스피커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스피커의 마그넷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스피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초소형 스피커(1)라는 것은 다이아프램(10), 보이스코일(40) 및 요크(70)가 적층되는 방향인 제 1 방향(Z)에서 다이아프램(10)을 봤을 때 프레임(10)이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스피커로, 전자기기에 들어갈 수 있도록 작은 크기를 가지는 스피커를 말한다. 초소형이라는 것이 특정 사이즈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수㎝ ~ 수㎜의 사이즈의 스피커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초소형 스피커(1)는 스피커라고 부를 수도 있다.
초소형 스피커(1)의 경우에 차지하는 공간을 작게하기 위하여 프레임(30)의 한변의 길이가 다른 변의 길이보다 짧은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통상 보이스코일(40)은 원형으로 코일이 감겨 있다. 원형의 보이스코일(40)을 중심으로 자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마그넷(60)을 배치하는 경우에 프레임(30) 단변의 크기에 따라서 마그넷(60)의 크기가 제한된다. 특히, 보이스코일(4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마그넷(61)과 외부에 배치되는 제 2 마그넷(63)을 가지게 하는 경우에는 제 2 마그넷(63)의 사이즈가 프레임(30)의 단변 크기로 제한되어 보이스코일(40) 및 제 1 마그넷(61) 크기 역시 제한되며, 그에 따라서 자기력이 작을 수 밖에 없으며, 초소형 스피커(1)의 음압에 한계가 있다.
다르게 초소형 스피커(1)에서 프레임(30)의 형상에 대응되게 보이스코일(40) 및 마그넷(60)의 형상을 가지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사각형상의 보이스코일(40)의 경우에 원형으로 권취된 보이스코일(40)을 사각형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불량이 증가하며, 마그넷(60)의 체적이 증가하며, 이는 제품 가격 상승요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보이스코일(40)의 형상을 원형을 가지면서도 마그넷(60)의 크기를 크게 가져가서 스피커(1) 사이즈의 증가 없이 스피커(1)의 음압을 크게 형성하면서도 스피커(1) 제작 비용도 증가시키지 않는 스피커(1)를 제공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마그넷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도 1 의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도 1 의 스피커의 저면 사시도가, 도 5 에는 도 1 의 스피커의 평면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스피커(1)는 다이아프램(10); 상기 다이아프램(10)과 연결되는 댐퍼(20); 상기 댐퍼(20)와 연결되는 보이스코일(40); 상기 보이스코일(40)을 둘러싸며, 상기 댐퍼(20)와 연결되는 프레임(30); 상기 보이스코일(40)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60)와 마그넷(70) 및 상기 보이스코일(40)을 중심으로 상기 다이아프램(10)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요크(70)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10), 상기 보이스코일(40) 및 상기 요크(70)는 제 1 방향(Z)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60)은 상기 제 1 방향(Z)에서 봤을 때, 상기 보이스코일(40)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마그넷(61)과 상기 보이스코일(40)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마그넷(63)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마그넷(63)은 복수개가 상기 제 1 마그넷(6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50)는 상기 마그넷(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구성된다.
다이아프램(10)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프레임(30) 형상에 대응되게 대략 직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방향(Z)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12)과 상기 보이스코일(40)의 형상에 대응되게 프레임(30)의 단변에 평행한 방향인 제 2 방향(Y)으로 볼록한 돌출부(11)를 포함한다. 다이아프램(10)은 다이아프램(10)을 둘러싸며 탄성을 가지는 에지(15)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30)과 연결된다.
댐퍼(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30)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댐퍼(20)는 보이스코일(40)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내측 단자(21)와 프레임(30)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단자(22)를 포함하며, 대칭되는 구조로 한쌍의 댐퍼(20)가 구비된다. 댐퍼(20)는 이 실시예에서 다이아프램(10)에 연결되고, 보이스코일(40)이 댐퍼(20)에 연결되며, 외측 단자(22), 댐퍼(20), 내측 단차(21) 및 보이스코일(40)로 전달되는 전지적신호에 따라서 보이스코일(40)이 마그넷(60)이 형성한 자계에서 진동할 때, 다이아프램(10)이 상기 보이스코일(40)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프레임(30)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보이스코일(40) 및 마그넷(60) 및 플레이트(50)가 수용되며, 댐퍼(2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프레임(30)은 측면에 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31)에 상기 제 2 마그넷(63)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30)은 모서리부(32)를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부(32)에 상기 댐퍼(20)의 외측 단자(22)가 배치된다.
플레이트(50)는 금속으로, 마그넷(60)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속을 모아주도록 상기 마그넷(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마그넷(60)의 다이아프램(10)쪽 면에 적층 배치된다. 플레이트(50)는 제 1 마그넷(61)에 대응되는 제 1 플레이트(51)와 제 2 마그넷(63)에 대응되는 제 2 플레이트(53)를 포함하며, 마그넷(60)과 제 1 방향에서 본 형상을 동일하므로, 마그넷(60)의 형상 설명으로 플레이트(50)의 형상 설명은 대체하도록 한다.
마그넷(60)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보이스코일(4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마그넷(61)과 보이스코일(4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마그넷(63)을 포함한다. 도 2 에서 보이듯이, 제 1 마그넷(61)은 보이스코일(4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d)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 1 마그넷(61)의 직경(d)은 상기 프레임(30)의 단변의 길이(l) 보다 작다(d<l). 제 2 마그넷(63)은 상기 제 1 마그넷(61)으로부터 이격되며 끊어진 링 형상을 가지고 프레임(30)의 장변에 평행한 방향인 제 3 방향(X)에서 양쪽에 한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 2 마그넷(63)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곡면으로 형성되는 내측면(63b) 및 외측면(63a)과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63c, 63d)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63c, 63d) 중 상기 외측면(63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1 측면(63c1)과, 타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측면(63c2)은 상기 제 3 방향(X)으로 평행하다. 즉, 제 1 측면(63c1)과 제 2 측면(63c2)는 서로 평행하다.
또한, 제 1 측면(63c1)에서 외측면(63a)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은 제 3 측면(63d1)과 연결되며, 제 2 측면(63c2)에서 외측면(63a)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은 제 4 측면(63d2)과 연결된다. 제 3 측면(63d1)과 제 4 측면(63d2)은 상기 제 1 측면(63c1) 및 제 2 측면(63c2)에 수직한 면으로 형성되며, 제 2 방향(Y)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 2 마그넷(63)의 형상은 제 1 마그넷(61)의 중심을 지나는 제 2 방향(Y)의 가상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어, 제 1 내지 제 4 측면(63c1, 63c2, 63d1, 63d2), 외측면(63a) 및 내측면(63b)이 대칭된다.
한 쌍의 제 2 마그넷(63)의 제 1 및 제 2 측면(63c1, 63c2)은 프레임(30)의 홈(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 3 방향(X)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마그넷(63)은 스피커(1)의 프레임(30) 외부로 돌출되지는 않을 수 있다.
제 3 및 제 4 측면(63d1, 63d2)는 제 2 마그넷(63)을 제작하기에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 3 및 제 4 측면(63d1, 63d2)이 형성됨으로써, 제 2 마그넷(63)에 예각을 가지는 모서리가 없게 되어, 제 2 마그넷(63) 형상으로 제작하면서 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
요크(70)는 프레임(30)과 함께 스피커(1)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요크(70)는 보이스코일(40)에 대응되며, 상기 다이아프램(10)으로부터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중앙부(72)와 상기 중앙부(72)의 제 3 방향(X) 양쪽에 위치하며 상기 다이아프램(10)으로부터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도록 절곡형성되는 절곡부(75)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75)에는 상기 요크(7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홀(73)이 형성되어, 스피커(1)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게 한다.
또한, 요크(70)는 중앙부에서 보이스코일(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71)이 형성되며, 상기 홈(71)은 상기 보이스코일(40)이 제 1 방향(Z)으로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홈(71)은 상기 마그넷(60)의 제 1 마그넷(61)과 제 2 마그넷(63) 사이의 공간(6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요크(70)가 위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다이아프램(10)의 진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스피커(1)를 박형/소형화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보이듯이, 마그넷(60)의 제 2 마그넷(63)이 끊어진 링형으로 한쌍이 구비되며, 제 2 마그넷(63)의 단부가 장변에 평행한 방향인 제 3 방향(X)으로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동일한 프레임(30)에서 제 2 마그넷(63)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제 2 마그넷(63)이 커짐에 따라서, 보이스코일(40) 및 제 1 마그넷(61)의 크기 역시 커질 수 있다. 특히, 제 2 마그넷(63)의 외측면(63a)의 곡률 반경(R)이 프레임(30)의 단변 길이(l)의 절반보다 길어질 수 있어(R>l/2), 원형의 마그넷(61) 및 보이스코일(40)을 활용하면서도 자기력이 큰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이스코일(40)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형 보이스코일(40)을 사용하여 제작시 발생하는 불량율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일 자기력에서 마그넷(60)의 체적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에는 도 6 의 스피커의 마그넷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도 6 의 스피커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 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예와 구체적 형상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으나, 기본 적층 순서는 유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스피커(1)는 다이아프램(10); 상기 다이아프램(10)과 연결되는 댐퍼(20); 상기 댐퍼(20)와 연결되는 보이스코일(40); 상기 보이스코일(40)을 둘러싸며, 상기 댐퍼(20)와 연결되는 프레임(30); 상기 보이스코일(40)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60)와 마그넷(70) 및 상기 보이스코일(40)을 중심으로 상기 다이아프램(10)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요크(70)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10), 상기 보이스코일(40) 및 상기 요크(70)는 제 1 방향(Z)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60)은 상기 제 1 방향(Z)에서 봤을 때, 상기 보이스코일(40)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마그넷(61)과 상기 보이스코일(40)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마그넷(63)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마그넷(63)은 복수개가 상기 제 1 마그넷(6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50)는 상기 마그넷(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구성된다.
다이아프램(10)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프레임(30) 형상에 대응되게 대략 직사각형상을 가지며, 보이스코일(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방향(Z)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12)을 포함한다. 다이아프램(10)은 다이아프램(10)을 둘러싸며 탄성을 가지는 에지(15)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30)과 연결된다.
댐퍼(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30)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댐퍼(20)는 보이스코일(40)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내측 단자(21)와 프레임(30)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단자(22)를 포함하며, 프레임(30)의 장변에 평행한 제 3 방향(X)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구조로 한쌍의 댐퍼(20)가 구비된다. 댐퍼(20)는 이 실시예에서 다이아프램(10)에 연결되고, 보이스코일(40)이 댐퍼(20)에 연결되며, 외측 단자(22), 댐퍼(20), 내측 단차(21) 및 보이스코일(40)로 전달되는 전지적신호에 따라서 보이스코일(40)이 마그넷(60)이 형성한 자계에서 진동할 때, 다이아프램(10)이 상기 보이스코일(40)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프레임(30)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보이스코일(40) 및 마그넷(60) 및 플레이트(50)가 수용되며, 댐퍼(2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프레임(30)은 측면에 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31)에 상기 제 2 마그넷(63)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30)은 모서리부(32)를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부(32)에 상기 댐퍼(20)의 외측 단자(22)가 배치되며, 상기 모서리부(32)로 스피커(1) 내부와 외부가 연통한다.
플레이트(50)는 금속으로, 마그넷(60)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속을 모아주도록 상기 마그넷(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마그넷(60)의 다이아프램(10) 측면에 적층 배치된다.
마그넷(60)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보이스코일(4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마그넷(61)과 보이스코일(4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마그넷(63)을 포함한다. 도 7 에서 보이듯이, 제 1 마그넷(61)은 보이스코일(4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d)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 1 마그넷(61)의 직경(d)은 상기 프레임(30)의 단변의 길이(l) 보다 작다(d<l). 제 2 마그넷(63)은 상기 제 1 마그넷(40)으로부터 이격되며 끊어진 링 형상을 가지고 프레임(30)의 장변에 평행한 방향인 제 3 방향(X)에서 양쪽에 한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 2 마그넷(63)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곡면으로 형성되는 내측면(63b) 및 외측면(63a)과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63c, 63d)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63c, 63d) 중 상기 외측면(63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1 측면(63c1)과, 타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측면(63c2)은 상기 제 3 방향(X)으로 평행하다. 즉, 제 1 측면(63c1)과 제 2 측면(63c2)는 서로 평행하다.
또한, 제 1 측면(63c1)에서 외측면(63a)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은 제 3 측면(63d1)과 연결되며, 제 2 측면(63c2)에서 외측면(63a)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은 제 4 측면(63d2)과 연결된다. 제 3 측면(63d1)과 제 4 측면(63d2)은 상기 제 1 측면(63c1) 및 제 2 측면(63c2)에 수직한 면으로 형성되며, 제 2 방향(Y)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 2 마그넷(63)의 형상은 제 1 마그넷(61)의 중심을 지나는 제 2 방향(Y)의 가상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어, 제 1 내지 제 4 측면(63c1, 63c2, 63d1, 63d2), 외측면(63a) 및 내측면(63b)이 대칭된다.
위와 같이 도 6 의 실시예의 마그넷(60)의 형상은 도 1 의 실시예의 마그넷(60)의 형상과 대략 유사하다. 다만, 제 1 마그넷(61)의 직경(d)에 대한 제 1 마그넷(61)과 제 2 마그넷(63) 사이의 간격, 즉 제 1 마그넷(61)의 직경(d)에 대한 제 2 마그넷(63)의 내측면(63b)의 곡률 반경(r)과 제 1 마그넷(61)의 반경(d/2)의 차이의 비율이 이 실시예에서 더 작으며,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스피커(1)라면 자기회로의 세기가 더 커질 수 있다. 제 2 마그넷(63)의 내측면(63b)의 곡률 반경(r)과 제 1 마그넷(61)의 반경(d/2)의 차이는 상기 보이스코일(40)이 부딪히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요크(70)는 평판형으로 구성된다. 즉, 절곡부 없이 평편한 플레이트로 요크(70)가 형성된다. 요크(70)와 프레임(30)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스피커(1)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도 9 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기회로 형상은 보이스코일(40)이 프레임(30) 내부에 하나 배치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도 9 와 같이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 의 실시예의 경우에 보이스코일(40), 플레이트(50) 및 마그넷(60)가 각각 한쌍씩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의 실시에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마그넷(60)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은 스피커(1)에서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음압이 향상된 스피커(1)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위의 실시예에서는 다이아프램(10)과 보이스코일(40) 사이에 댐퍼(2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이아프램(10)이 보이스코일(40)에 직접 연결되고, 댐퍼(20)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다이아프램(10)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위의 실시예에서, 댐퍼(20)가 금속 댐퍼여서 단자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댐퍼(20)와는 별도로 단자 혹은 케이블이 구비되어 보이스코일(4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스피커 10: 다이아프램
15: 에지 20: 댐퍼
30: 프레임 31: 홈
40: 보이스코일 50: 플레이트
60: 마그넷 61: 제 1 마그넷
63: 제 2 마그넷 63a: 외측면
63b: 내측면 63c, 63d: 측면
63c1, 63c2: 제 1 측면 63d1, 63d2: 제 2 측면
70: 요크 71: 홈
72: 중앙부 73: 관통홀
75: 절곡부

Claims (10)

  1.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에 연결되는 댐퍼;
    상기 댐퍼와 연결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이스코일을 둘러싸며, 상기 댐퍼와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보이스코일을 중심으로 플레이트와 마그넷;
    상기 보이스코일을 중심으로 상기 다이아프램 반대쪽에 배치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 상기 보이스코일 및 상기 요크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보이스코일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마그넷과 상기 보이스코일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복수개가 상기 제 1 마그넷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구성되는 초소형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원형이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끊어진 링형을 가지되 상기 장변에 평행한 제 3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초소형 스피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원형이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곡면으로 형성되는 내측면 및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되 상기 장변에 평행한 제 3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중 상기 외측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1 측면과, 타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측면은 서로 평행한 초소형 스피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2 측면이 상기 제 3 방향에 평행하며,
    상기 제 1 측면에서 상기 외측면과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단변과 평행한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내측면과 연결되는 제 3 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측면에서 상기 외측면과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내측면과 연결되는 제 4 측면과 연결되는 초소형 스피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스피커 외부와 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보이스코일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초소형 스피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절곡되어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보이스코일에 대응되는 위치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초소형 스피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초소형 스피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원형이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2 마그넷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봤을 때 곡면으로 형성되는 내측면 및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l), 상기 제 1 마그넷의 외경(d)과 상기 제 2 마그넷의 상기 외측면의 곡률반경(R)은 다음의 관계를 만족하는 초소형 스피커.
    d < l < 2R
  9.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보이스코일과 상기 마그넷을 포함하는 초소형 스피커.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프레임에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며,
    상기 댐퍼를 통하여 상기 보이스코일에 신호가 전달되는 초소형 스피커.

KR1020220083871A 2022-07-07 2022-07-07 초소형 스피커 KR20240006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871A KR20240006949A (ko) 2022-07-07 2022-07-07 초소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871A KR20240006949A (ko) 2022-07-07 2022-07-07 초소형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949A true KR20240006949A (ko) 2024-01-16

Family

ID=8971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871A KR20240006949A (ko) 2022-07-07 2022-07-07 초소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9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8480A1 (en) Speaker device
CN109587610B (zh) 声音转换器
KR102269152B1 (ko) 스피커
EP1282337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9510087B2 (en) Acoustic device
US11979729B2 (en) Sound-producing device
KR20090040952A (ko) 전자음향변환기
KR100663119B1 (ko) 스피커
US20110116662A1 (en) Speaker device
US11765512B2 (en) Acoustic device
KR20110001968U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20110243367A1 (en)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CN106507252B (zh) 多谐振系统骨传导扬声器单体
US9706309B2 (en) Acoustic device
KR20240006949A (ko) 초소형 스피커
KR101111895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2518442B1 (ko) 광대역 고해상 전자기 스피커
KR20240006950A (ko) 박형 스피커
KR200453990Y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11943596B2 (en) Acoustic device
US11671761B2 (en) Sounding device
KR102562106B1 (ko) 슬림 스피커
KR102658276B1 (ko) 자성체 진동판을 이용한 평판형 트위터 스피커
JP2023063810A (ja) 電気音響変換装置
KR20110080588A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