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968U -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 Google Patents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968U
KR20110001968U KR2020090010878U KR20090010878U KR20110001968U KR 20110001968 U KR20110001968 U KR 20110001968U KR 2020090010878 U KR2020090010878 U KR 2020090010878U KR 20090010878 U KR20090010878 U KR 20090010878U KR 20110001968 U KR20110001968 U KR 201100019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yoke
permanent magnet
fixed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철영
이상호
장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to KR2020090010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968U/ko
Priority to PCT/KR2009/006438 priority patent/WO2011021745A1/ko
Priority to TW098139558A priority patent/TW201108758A/zh
Priority to TW098222298U priority patent/TWM385175U/zh
Priority to CN2010201072061U priority patent/CN201608883U/zh
Priority to CN2010101057973A priority patent/CN101998211B/zh
Publication of KR20110001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9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6Loudspeakers using the principle of inert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7Suspension between moving magnetic core and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 상기 프F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되고, 판형상이며, 탄성을 지닌 제1 서스펜션; 상기 제1서스펜션에 고정되는 요크(yoke); 상기 요크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제1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의 상면에 고정된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서스펜션의 중앙부분에는 위로 돌출형성된 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에는 상기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가 결합되는 요크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Multi-function micro-speaker}
본 고안은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성 중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요크, 자석 및 플레이트 간의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성신호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마이크로 스피커는, 주로 크기가 작은 음향기기, 이를 테면, 휴대폰, 노트북, MP3플레이어, 이어폰 등, 근래에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위한 소형의 스피커이다.
그런데 마이크로 스피커가 채용된 최근의 전자제품 특히,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대부분 진동신호의 발생을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진동신호는, 착신신호음을 대신하는 신호로 사용되거나, 화면에 직접 정보를 입력을 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에 있어서 입력상태를 확인시켜 주는 신호로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의 대상인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기본기능 뿐 아니라, 진동신호 발생을 위한 구성도 함께 구비하고 있는 스피커를 말한다.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다기능 액츄에이터 혹은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종래 구성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판형 스프링에 지지되어 있는 진동체를 공진시켜 진동을 얻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떨림판이라고도 불리는 진동판이 있는 쪽의 자기 회로에 보이스 코일이 있어 여기에 음성신호용 전류가 인가되면 음향이 출력되고, 보이스 코일에 진동신호용 전류가 인가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종래 구성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를 도 1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종래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00)는, 케이스(110), 음향 발생용 진동판(101), 보이스 코일(102), 상하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영구자석(104), 플레이트(103), 요크(105), 상측 서스펜션(107) 및 하측 서스펜션(10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이드선 a(114)와 리이드선 b(115)를 통하여 보이스 코일(102)에 전류가 인가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102)은, 진동판(101)의 하면에 그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102)은 상하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 플레이트(103)는 영구자석(10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영구자석(104)은, 플레이트(103) 및 요크(105)와 함께 스피커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진동체를 구성한다. 진동체에는 필요에 따라 웨이트가 추가되기도 한다. 진동체는 상측 서스펜션(107)과 하측 서스펜션(108)에 의해 상기 케이스(110)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음향에 적합한 전류가 리이드선a(114)와 리이드선 b(115)를 통하여 보이스 코일(102)에 인가 되면, 보이스 코일(102)에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진동판(101)이 진동하며 음향출력이 이루어진다.
즉 영구자석(104)의 N극으로부터 나온 자력선은 플레이트(103), 보이스 코일(102) 및 요크(105)를 차례로 지나 다시 영구자석(104)의 S극으로 향하는 자계를 형성한다. 이때 보이스 코일(102)에 전자기력이 발생하면, 자기회로에 의한 자속과 상호 작용을 하며, 보이스 코일(104)에 고정된 진동판(101)이 진동되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진동에 적합한 전류(보통 저주파의 전류)가, 보이스 코일(102)에 인가되면, 영구자석(104), 플레이트(103) 및 요크(105)를 포함하는 진동체는 상하 운동을 하며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의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이 진동체도서의 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조립이 정확히 원하는 위치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가 있게 된다.
즉, 보이스 코일이, 플레이트와 요크 사이의 공간인 자기갭에 위치하면서 진동을 하고, 또한 진동체가 보이스 코일과 물리적 접촉없이 진동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요크, 자석 및 플레이트들의 의도된 상호 위치로 정확히 결합고정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만족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 구성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경우, 지그를 이용한 본드 공정을 이용하여, 요크 안에 영구자석과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정밀 한 기구적인 결합을 달성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스펜션의 형성을 개선하여, 진동체를 이루는 부품들 간의 정밀한 기구적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되고, 판형상이며, 탄성을 지닌 제1 서스펜션; 상기 제1서스펜션에 고정되는 요크(yoke); 상기 요크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제1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의 상면에 고정된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서스펜션의 중앙부분에는 위로 돌출형성된 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에는 상기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가 결합되는 요크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요크 수용홈은 상기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를 관통시키고, 상기 영구자석에는 상기 요크 수용홈을 관통한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가 결합되는 영구자석 수용홈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 수용홈은 상기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를 관통시키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영구자석 수용홈을 관통한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수용홈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서스펜션은 금속이고, 상기 보스부는 속이 빈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서스펜션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 제2 서스펜션 및 상기 제2 서스펜션에 고정되되, 상기 제1 서스펜션 및 요크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2 자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서스펜션의 중심부에는 아래로 돌출형성된 제2 서스펜션 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서스펜션의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석에는, 상기 제2 서스펜션 보스부가 결합되는 제2 자석 수용홈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서스펜션의 중심부에는 위로 돌출형성된 제2 서스펜션 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서스펜션의 위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석에는, 상기 제2 서스펜션 보스부가 결합되는 제2 자석 수용홈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의하면, 서스펜션과 자기회로부를 구성하는 부품들간의 정밀한 기구적 결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과 자기회로부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결합이, 간편한 공정 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를 첨부된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서스펜션, 요크, 제1 영구자석 및 플레이트만을 따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나, PMP와 같은 소형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음향발생 기능 및 신호로서의 진동발생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는, 프레임(10), 진동판(diaphragm; 20), 보이스 코일(30), 제1 서스펜션(40), 요크(yoke, 50), 제1 영구자석(60). 플레이트(70), 제2 서스펜션(80) 및 제2 자석(9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통상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스피커의 외형을 이루며 그 내부에 각종 구성부품이 고정된다. 프레임(10)은, 상부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14)을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2)의 상부에는 덮개부재(14)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의 횡단면의 외형은 사각형태, 타원 형태 혹은 트랙 형상일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 내부 부품도 그 외부 형태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2)의 상부에는 진동판(20)의 외주부가 고정된다. 진동판(20)은, 원형상이고, 통상 고분자화합물로 만들어진다. 진동판(20)은, 상하 진동하며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압을 만들어 낸다.
본 실시예의 진동판(20)은, 보이스코일(30)의 상단부가 결합된 경계부분을 기준으로 안쪽에 위치한 내측부분과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부분으로 구분된다. 내측부분과 외측부분은 각각 돔(dome) 형태로 되어 있으며, 경계부분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외측부분은 에지(edge)라고도 불리운다. 진동판은 구체적인 형상, 재질 및 두께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상기 보이스 코일(30)은, 진동판(20)의 하면에 고정된다. 보이스 코일(30)의 상단부는 진동판(20)의 경계부분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30)은 도선이 상향방향으로 권선되어 형성된 것이다. 보이스 코일(30)은, 프레임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30)은,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다.
보이스 코일(30)의 하부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영구자석(60)과 플레이트(70)와, 요크(5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이러한 사이 공간은 일명 자기갭이라고 한다. 보이스 코일(30)에 음향신호용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제1 영구자석(60)에 의한 자기장과 상호 관계로 인해,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30)에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20)이 진동하며 음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서스펜션(40)은, 보스부(42)를 구비한다.
제1 서스펜션(40)은, 탄성을 지니며, 프레임(10)에 그 외주부가 고정되어 있 다. 서스펜션은, 탄성부재, 스프링 또는 판형 스프링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탄성이라 하면, 물체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부피와 모양이 바뀌었다가, 그 힘을 제거하면 본디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을 말하며, 변형의 종류에 따라 체적 탄성과 형상 탄성으로 나눈다. 본 고안의 경우, 제1 서스펜션(40)은 주로 형상 탄성과 관련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서스펜션(40)은, 판형상이며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원판 형상이다. 제 1 서스펜션(40)은 인청동과 같은 금속판재로 제조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서스펜션이 고분자 탄성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서스펜션(40)의 가운데 부분에는 요크(50)가 고정된다.
상기 보스부(42)는 제1 서스펜션(40)의 중앙부분에 상향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보스부(42)는, 본 실시예의 경우, 서스펜션(40)이 금속판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을 포함한 다양한 금속가공 공정에 의해 제조하기 용이하다.
보스부(42)는 본 실시예의 경우,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보스부(42)의 횡방향 단면은 내부가 빈 원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보스부는, 원통 형상 이외에도, 횡단면이 다양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의 기둥 형상일 수도 있고, 보스부의 내부는 비어 있을 수도 있고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서스펜션이 본 실시예의 경우처럼 금속이 아닌 고분자 탄성물질로 되는 경우에는, 보스부도 서스펜션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된다.
보스부(42)의 높이는 요크(50)의 수용홈의 두께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보스부(42)의 두께는, 요크(50)의 두께보다 약간 작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요크(50)는, 제1서스펜션(40)의 상면에 고정된다. 요크(50)는, 평평한 바닥부(54)와, 바닥부의 외주부를 둘러싸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벽부(56)로 이루어진다. 요크의 바닥부(54)에는 제1 영구자석((60)가 결합된다.
요크의 바닥부(54)의 중심에는, 요크의 아래에 위치한 제1 서스펜션(40)의 보스부(42)가 결합되는 요크 수용홈(52)이 구비되어 있다. 요크 수용홈(52)은 보스부(4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스부(42)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보스부(42)가 원통형태이므로, 요크 수용홈(52)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원기둥 형태이다. 요크 수용홈(52)의 직경의 크기는, 보스부(42)가 별도의 접착제가 없이도 요크 수용홈에 끼워지는 것만으로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보스부(42)의 외경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스부(42)와 요크 스용홈(52)의 간편한 결합에 의해, 요크(50)와 제1 서스펜션(40)은, 상호 정확한 위치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스부(42)와 요크 수용홈(52)의 사이에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구자석(60)은, 요크(5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제1 영구자석(60)은, 요크(50)와 동심이 되도록, 요크의 바닥부(54)에 접착제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제1 영구자석(60)은 요크(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판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70)는, 제1 영구자석(60)의 상면에 고정된다. 플레이트(70)는 자력이 잘 통하도록 하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제1 영구자석(60)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제1 영구자석(60) 및 플레이트(70)는, 요크(50)의 벽부와 이격되어 고정된다. 상호 대면하는, 제1 영구자석(60) 및 플레이트(70)의 외측면과 요크(50)의 벽부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보이스 코일(30)의 하부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제1 영구자석(60), 플레이트(70)와 요크(50)는 스피커 자기회로를 구성한다. 즉, 영구자석(60)에서 발생한 자속은 플레이트(70)를 거쳐 요크(50)로 들어오는 자속 경로(path)를 만들어 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서스펜션(80)과, 제2 자석(9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서스펜션(80)은, 제1 서스펜션(40)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 서스펜션(80)은, 프레임(10)에 그 외주부가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 재료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서스펜션(80)은, 제1 서스펜션(40)과 동일한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1 서스펜션(40) 및 제2 서스펜션(80)의 형상과 재질은, 상호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공진주파수, 변위, 진동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자석(90)은, 제2 서스펜션(80)의 하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자석(90)은, 제1 서스펜션(40) 및 요크(50)와 이격되어 있다. 제2 자석의 상하 방향 극성은 필요에 따라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S극과 N극이 배치될 수도 있고,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N극과 S극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자석은, 영구자석일 수도 있고, 전자석일 수도 있다.
한편, 제2 자석(90)과 제2 서스펜션(80)은, 진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는, 제2 자석(90)과 제2 서스펜션(80)으로 이루어진 진동자가, 제1 영구자석(60)과 플레이트(70)와 요크(50)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와 상호 이격되어 있지만, 자기회로와 진동자는 자기장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발생을 위한 진동판(20)의 진동 움직임과, 제2 자석(90)과 제2 서스펜션(80)으로 이루어진 진동자의 진동 움직임의 상호 간섭이 최소화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는, 제1 서스펜션(40)에 보스부(42)를 구비하고 있고, 보스부(42)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크 수용홈(5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 원하는 위치에 정밀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구적으로 제1 서스펜션과 요크가 결합되기 때문에, 본드 공정이나 별도의 지그 없이도 결합공정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생산 단가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서스펜션과 제2 자석을 구비한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고안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서스펜션과 하나의 영구자석만을 구비한 형태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있어서, 서스펜션과 영구자석을 결합하는 것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있 어서, 서스펜션, 요크, 영구자석 및 플레이트의 구성들만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이 단면도로서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요크 수용홈(52)은 제1 서스펜션(40)의 보스부(42)를 위로 관통시킨다. 그리고 영구자석(60)에 요크 수용홈(52)을 관통한 제1 서스펜션(40)의 보스부(42)가 결합되는 영구자석 수용홈(62)이 구비되어 있다.
즉, 서스펜션(40)의 보스부(42)가 요크(50)의 요크 수용홈(52)을 관통하고, 영구자석(60)의 영구자석 수용홈(62)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영구자석(60)의 상면에는 플레이트(70)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서스펜션의 보스부(42)에 의해, 서스펜션(400과 요크(50)와 영구자석(60)이 상호 정밀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장점들이 모두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에 있어서, 서스펜션, 요크, 영구자석 및 플레이트의 구성들만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이 단면도로서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요크 수용홈(52)은 제1 서스펜션(40)의 보스부(42)를 위로 관통시키고, 영구자석(60)의 영구자석 수용홈(62)도 제1 서스펜션(40)의 보스부(42)를 관통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70)에는 영구자석 수용홈(62)을 관통한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42)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수용홈(72)이 구비되어 있다. 플레이트 수용홈(72) 은,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보스부(42)를 관통시킬 수 있는 원기둥 형태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보스부(42)를 관통시키지 않고 보스부(42)의 상단부 일부만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홈의 형태일 수도 있다.
서스펜션(40)의 보스부(42)가 요크(50)의 요크 수용홈(52)과, 영구자석(60)의 영구자석 수용홈(62)을 관통하고, 플레이트(70)의 수용홈(720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보스부(42)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밀봉시킬 수도 있다. 보스부(42)의 아래의 서스펜션(40) 부분 역시,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밀봉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서스펜션의 보스부(42)에 의해, 서스펜션(40), 요크(50), 영구자석(60) 및 플레이트(70)의 모든 구성들이, 본드공정이나 지그없이도, 간편한 공정에 의해 상호 정밀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장점들이 모두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된다.
한편, 도 6에는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의 보스부의 상단부가 변형된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제1 서스펜션(40)의 보스부(42)의 상단부에는 절곡된 절곡부(44)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곡부(44)는 보스부의 상단테두리 전체가 절곡되어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보스부 상단테두리의 일부분 만이 절곡될 수도 있다.
보스부(42)의 상단부에 절곡부(44)를 구비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이 가지는 장점 이외에도, 서스펜션, 요크, 영구자석 및 플레이트의 구성들이 상호 가압되며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보스부(42)의 상단의 절곡부(44)는, 예를 들면, 원통형의 보스부(42)를 요크, 영구자석 및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끼운 후,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더 높게 위치한 보스부의 상단부를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시킨 것이다. 절곡부(44)는, 요크, 영구자석 및 플레이트들 산의 상호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보스부의 상단부를 절곡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스부(4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둘 다 혹은 적어도 하나가 밀봉될 수도 있고 개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1a)는, 도 2에 도시된 첫 번째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서스펜션(40)의 보스부(4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50), 영구자석(60), 플레이트(70)를 관통하고 상단부에 절곡부(44)를 구비한다는 점과, 제2 서스펜션(80)에도 보스부(82)를 구비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2 서스펜션(80)의 중심부에는 아래로 돌출형성된 제2 서스펜션 보스부(8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자석(90)은 제2 서스펜션(80)의 아래에 구비되고, 제2 자석(90)에는, 제2 서스펜션 보스부(82)가 결합되는 제2 자석 수용홈(92)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서스펜션 보스부(82)의 하단에는 절곡부(84)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서스펜션(80)에 제2 서스펜션 보스부(82)가 구비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2 자석(90)에 제2 자석 수용홈(92)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결합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2 서스펜션의 위에 제2 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서스펜션 보스부는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1은, 종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개략적 단면도,
도 3 내지 6은, 각각, 도 2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의 구성 중 서스펜션, 요크, 영구자석 및 플레이트 구성들의 변형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된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고정된 보이스 코일;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되고, 판형상이며, 탄성을 지닌 제1 서스펜션;
    상기 제1서스펜션에 고정되는 요크(yoke);
    상기 요크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제1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의 상면에 고정된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서스펜션의 중앙부분에는 위로 돌출형성된 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에는 상기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가 결합되는 요크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multi function device speak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수용홈은 상기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를 관통시키고,
    상기 영구자석에는 상기 요크 수용홈을 관통한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가 결합되는 영구자석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수용홈은 상기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를 관통시키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영구자석 수용홈을 관통한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션의 보스부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션은 금속이고,
    상기 보스부는 속이 빈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션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그 외주부가 고정되고, 탄성을 지닌 제2 서스펜션 및
    상기 제2 서스펜션에 고정되되, 상기 제1 서스펜션 및 요크와 이격되어 고정된 제2 자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스펜션의 중심부에는 아래로 돌출형성된 제2 서스펜션 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서스펜션의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석에는, 상기 제2 서스펜션 보스부가 결합되는 제2 자석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스펜션의 중심부에는 위로 돌출형성된 제2 서스펜션 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서스펜션의 위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석에는, 상기 제2 서스펜션 보스부가 결합되는 제2 자석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20090010878U 2009-08-20 2009-08-20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110001968U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878U KR20110001968U (ko) 2009-08-20 2009-08-20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PCT/KR2009/006438 WO2011021745A1 (ko) 2009-08-20 2009-11-04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TW098139558A TW201108758A (en) 2009-08-20 2009-11-20 Multi-function micro-speaker
TW098222298U TWM385175U (en) 2009-08-20 2009-11-27 Multi-function micro-speaker
CN2010201072061U CN201608883U (zh) 2009-08-20 2010-01-19 多功能微型喇叭
CN2010101057973A CN101998211B (zh) 2009-08-20 2010-01-19 多功能微型喇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878U KR20110001968U (ko) 2009-08-20 2009-08-20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68U true KR20110001968U (ko) 2011-02-28

Family

ID=4295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878U KR20110001968U (ko) 2009-08-20 2009-08-20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10001968U (ko)
CN (2) CN101998211B (ko)
TW (2) TW201108758A (ko)
WO (1) WO2011021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31B1 (ko) * 2013-01-23 2014-11-12 부전전자 주식회사 전자기 댐핑 기능을 갖는 전자음향변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968U (ko) *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0455084Y1 (ko) * 2009-09-04 2011-08-16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WO2013108607A1 (ja) * 2012-01-20 2013-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用磁気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CN105072527A (zh) * 2015-07-20 2015-11-18 朝阳聚声泰(信丰)科技有限公司 一种入耳式受话器
CN108289269B (zh) * 2018-01-04 2019-08-0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扬声器箱
US10462560B2 (en) * 2018-01-08 2019-10-29 Skullcandy, Inc. Driver assemblies, headphones including drive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916A (ja) * 2000-11-24 2002-06-04 Citizen Electronics Co Ltd 多機能型音響装置
CN2641968Y (zh) * 2003-04-01 2004-09-15 李秉彧 改进结构后的喇叭
KR200417799Y1 (ko) * 2006-03-24 2006-06-02 유동준 동 위상 저음 반전 방식의 출력 구조를 갖는 전기음향변환유닛
KR200421900Y1 (ko) * 2006-05-09 2006-07-19 신기음향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기능성스피커
KR101135396B1 (ko) * 2006-07-03 2012-04-17 아이필유(주) 다기능 초소형 스피커
KR100962594B1 (ko) * 2007-11-13 2010-06-11 에스텍 주식회사 다기능 스피커
KR20090078000A (ko) * 2008-01-14 2009-07-17 김재학 마이크로 스피커 및 제조방법
KR20110001968U (ko) *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비에스이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31B1 (ko) * 2013-01-23 2014-11-12 부전전자 주식회사 전자기 댐핑 기능을 갖는 전자음향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98211B (zh) 2013-11-20
TWM385175U (en) 2010-07-21
CN101998211A (zh) 2011-03-30
WO2011021745A1 (ko) 2011-02-24
CN201608883U (zh) 2010-10-13
TW201108758A (en) 201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084Y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57078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47548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47549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US10820113B2 (en) Speaker
KR20110001968U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111894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090040952A (ko) 전자음향변환기
KR101057077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96788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160067344A (ko)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
KR20110004764U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40310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0454024Y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CN113785599A (zh) 具有对称的音圈和磁路的微型扬声器
CN202514066U (zh) 多功能微型扬声器
KR101111895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192397B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468629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모듈
KR101518607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KR200453990Y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