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959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959B1
KR101068959B1 KR1020090024104A KR20090024104A KR101068959B1 KR 101068959 B1 KR101068959 B1 KR 101068959B1 KR 1020090024104 A KR1020090024104 A KR 1020090024104A KR 20090024104 A KR20090024104 A KR 20090024104A KR 101068959 B1 KR101068959 B1 KR 101068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outer tub
vibration
cabinet
vibration lim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202A (ko
Inventor
노현우
이태희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959B1/ko
Priority to PCT/KR2010/001623 priority patent/WO2010107231A1/ko
Priority to US13/256,164 priority patent/US9487900B2/en
Publication of KR2010010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와 서스펜션 사이에 배치되어, 외조와 서스펜션 중 어느 하나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과도한 진동을 방지하는 진동 리미터를 포함함으로써, 과도한 진동시 발생할 수 있는 캐비닛과 외조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여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조와 캐비닛 사이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조와 캐비닛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외조의 대용량화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세탁기, 탑로드, 외조, 캐비닛, 서스펜션, 진동, 리미터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A 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조의 과도한 진동이 방지되어, 외조와 캐비닛 사이의 충돌이 방지되고, 외조의 대용량화가 가능해질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열풍과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젖은 포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조의 회전시 생기는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와,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드럼의 회전시 포의 낙차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의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측 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놓여 세탁이 이루어지는 내조와, 상기 내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조는 캐비닛의 내측에 서스펜션에 의해 매달리게 된다. 즉, 상기 서스펜션의 상단은 상기 캐비닛의 내측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서스펜션의 하단은 상기 외조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외조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상기 외조의 과도 진동시에는 상기 외조가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 충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이러한 충돌로 인하여 외조, 캐비닛, 모터 등의 부품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세탁기가 점점 대용량화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상기 외조의 크기가 점점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외조와 캐비닛 사이의 간격이 점점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외조가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 충돌하는 경우가 더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조가 캐비닛의 충돌을 방지하여, 외조의 대용량화를 이루면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와, 상기 캐비닛에 상기 외조가 매달리도록 상기 캐비닛과 외조를 연결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외조와 서스펜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다른 하나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제한하는 진동 리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리미터에서 상기 서스펜션에 대향되는 전면부는 상기 서스펜션과 충돌시 면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하단의 곡률은 상기 전면부 상단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와, 상기 캐비닛에 상기 외조가 매달리도록 상기 캐비닛과 외조를 연결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외조와 서스펜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다른 하나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제한하는 진동 리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리미터는 양단은 상기 외조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조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와 서스펜션 사이에 배치되어, 외조와 서스펜션 중 어느 하나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과도한 진동을 방지하는 진동 리미터를 포함함으로써, 과도한 진동시 발생할 수 있는 캐비닛과 외조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여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조와 캐비닛 사이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조와 캐비닛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외조의 대용량화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실시예로서 탑로드 타입 세탁기(이하, '세탁기'라 칭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결합된 레그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세탁기의 측면을 이루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탑 커버(3)와,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내에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4)와, 상기 외조(4)의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6)와, 상기 내조(6)를 구동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8)와, 상기 외조(4)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와, 세탁 또는 탈수가 완료된후 상기 외조(4)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20)와, 상기 급수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급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부(3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3)에는 포를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포 출입홀(3a)이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3)에는 포 출입홀(3a)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5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40)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글래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0)는 프레임부(40a)와, 상기 프레임부(40a)에 끼워진 글래스부(4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탑커버(3)의 일측에는 세탁기의 작동을 입력하거나, 세탁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7)이 장착된다.
상기 내조(6)의 저면에는 상기 외조(4)에 수용된 세탁수의 회전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펄세이터(9)가 설치된다.
상기 내조(6)의 상측에는 포의 치우침에 의해 상기 내조(6)가 균형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런서(15)가 설치된다.
상기 밸런서(15)는 내부에 액체가 충진된 액체 밸런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조(4)는 상기 캐비닛(2)의 내측 상부에 서스펜션(60)에 의해 매달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조(4)의 상측에는 포의 이탈이나 세탁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외조 커버(14)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 어셈블리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로 안내하는 외부 호스(11)와, 상기 외부 호스(11)와 연결되어 세탁수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 밸브(12)와, 상기 급수 밸브(12)와 상기 세제공급부(30)를 연결하는 급수 호스(13)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 밸브(12)와 급수 호스(13)는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유로상에 배치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호스(13)와 연통되게 설치된 세제박스 하우징(31)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착탈가능토록 수납되는 세제박스(32)와,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고정되고 상기 세제박스(32)의 상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분사하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박스(32)는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서 상기 세제박스 하우 징(31)으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결합된다. 상기 세제박스(32)는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세탁수의 공급시 세탁수와 함께 세제가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와 상기 베이스(5)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의 하부에 연결된 제 1배수 호스(21)와, 상기 제 1배수 호스(21)상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 밸브(22)와,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 펌프(23)를 포함하는 배수펌프 하우징(24)과,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 펌프(23)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2)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 2배수호스(25)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내에는 상기 배수 펌프(23)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수 모터가 내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리미터가 설치된 외조의 일부분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동 리미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진동 리미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외조(4)와 서스펜션(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다른 하나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서스펜션(60)의 진동을 제한하는 진동 리미터(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 리미터(70)는 상기 외조(4)의 외둘레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서스펜션(60)에서 상기 외조(4)를 향한 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외조(4)와 상기 서스펜션(60)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리미터(70)는 상기 외조(4)의 외둘레면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진동 리미터(70)는 상기 외조(4)의 외둘레면 하부에서 상기 서스펜션(60)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진동 리미터(70)는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 리미터(7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진동 리미터(70)는 육면체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진동 리미터(70)는 상기 외조(4)의 외둘레면 하부에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진동 리미터(70)에는 볼트(80) 등의 체결 부재가 관통하도록 관통홀(7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71)은 상기 진동 리미터(7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조(4)에는 상기 관통홀(71)을 통과한 볼트(80)가 체결되도록 체결 보스(4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71)의 직경은 상기 체결 보스(4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 보스(4a)는 상기 관통홀(7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볼트(80)와 상기 체결 보스(4a)사이에는 와셔(81)가 배치된다.
상기 볼트(80)의 길이(L1)는 상기 관통홀(71)의 전후방향 깊이(L2)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80)가 상기 진동 리미터(7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진동 리미터(70)는 상기 서스펜션(60)의 진동시 상기 서스펜션(6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 리미터(70)와 상기 서스펜션(60)과 충돌시, 상기 진동 리미터(70)와 상기 서스펜션(60)은 면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스펜션(60)이 진동하면서 상기 진동 리미터(70)에 면접촉할 경우, 상기 서스펜션(60)이 튕기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선접촉하는 경우보다 면접촉하는 경우, 접촉시간이 길기 때문에 선접촉시보다 댐핑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60)은 상기 외조(4)의 하부에 지지되는 서스펜션 캡(61)과, 상단은 상기 캐비닛(2)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서스펜션 캡(61)을 관통하는 서스펜션 바(62)와, 상기 서스펜션 바(62)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서스펜션 캡(61)의 내측 둘레면에 기밀 접촉되는 서스펜션 베이스(63)와, 상기 서스펜션 캡(61)과 상기 서스펜션 베이스(63) 사이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64)을 포함한다.
상기 서스펜션(60)의 진동시 상기 서스펜션 바(62)가 상기 진동 리미터(70)에 접촉된다. 상기 서스펜션 바(6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진다.
따라서, 상기 서스펜션 바(62)와 상기 진동 리미터(70)가 면접촉하기 위해서는, 상기 진동 리미터(70)에서 상기 서스펜션 바(62)에 대향되는 전면부(70a)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60)은 상기 외조(4)와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스펜션 바(62)에 대향되는 상기 진동 리미터(70)의 전면부(70a)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 리미터(70)의 전면부(70a)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서스펜션 바(62)에 대향되는 면의 곡률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 리미터(70)의 전면부(70a) 하단의 곡률(R2)은 상기 진동 리미터(70)의 전면부(70a) 상단의 곡률(R1)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서스펜션(60)은 4개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어, 상기 외조(4)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상기 진동 리미터(70)도 4개로 이루어져, 상기 4개의 서스펜션(60)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기의 작동시, 상기 모터(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조(4)에 진동이 발생되게 된다.
상기 외조(4)의 진동은 상기 서스펜션(60)으로 전달되고, 상기 서스펜션 캡(61) 내부의 상기 압축 스프링(64)이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조(4)의 과도 진동시에는 상기 외조(4)는 상기 캐비닛(2)을 향한 반경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외조(4)가 반경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되면, 상기 서스펜션(60)도 상기 외조(4)의 반경방향으로 과도하게 흔들릴 수 있다.
상기 외조(4)와 서스펜션(60)이 진동하면서, 상기 외조(4)와 상기 서스펜션(60)이 접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진동 리미터(70)가 상기 서스펜션(60)과 접촉되게 되고, 상기 진동 리미터(70)가 상기 서스펜션(60)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스펜션(60)의 운동 에너지가 소산되어, 상기 서스펜션(60)의 과도 진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리미터(70)가 상기 서스펜션(60)에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서스펜션(60)을 밀어내어, 상기 서스펜션(60)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돕게 된다.
상기 진동 리미터(70)와 상기 서스펜션(60)이 면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 리미터(70)에 상기 서스펜션(60)의 접촉시 상기 서스펜션(60)이 튕겨 나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선접촉하는 경우보다 면접촉하는 경우 접촉시간이 길기 때문에, 운동 에너지 흡수에 보다 효과적이다.
즉, 상기 외조(4)의 과도 진동시 상기 서스펜션(60)도 함께 과도하게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진동 리미터(70)에 의해 상기 서스펜션(60)의 운동에너지가 흡수되기 때문에, 상기 서스펜션(60)의 과도한 움직임이 제한된다. 상기 서스펜션(60) 의 과도한 움직임이 제한되면, 상기 서스펜션(60)이 상기 외조(4)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외조(4)의 과도 진동도 방지되어, 상기 외조(4)가 상기 캐비닛(2)에 부딪히는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외조(4)와 캐비닛(2) 사이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시 상기 외조(4)와 캐비닛(2) 사이의 이격거리를 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외조(2)의 크기를 늘려 세탁용량의 대용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리미터가 설치된 외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리미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리미터(90)는 외조(4)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 리미터(90)는 탄성 재질이고, 두께가 얇고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긴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조(4)의 둘레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 1,2리브(91)(9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진동 리미터(90)는 상기 제 1,2리브(91)(92)의 전방에 배치되고, 양단은 상기 외조(4)에서 돌출 형성된 체결 보스(93)(94)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체결 보스는 상기 제 1리브(91)의 좌측에 배치된 제 1체결보스(93)와, 상기 제 2리브(92)의 우측에 배치된 제 2체결보스(94)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리미터(90)의 양단은 상기 제 1체결보스(93)와 상기 제 2체결보스(94)에 각각 볼트(95)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진동 리미터(90)의 양단부에는 제 1,2체결홀(90a)(90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볼트(95)와 상기 제 1,2체결홀(90a)(90b) 사이에는 와셔(9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리미터(90)의 양단은 상기 제 1,2체결보스(93)(9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진동 리미터(90)의 중심부는 상기 제 1,2리브(91)(92)에 걸쳐지게 된다.
상기 제 1,2리브(91)(92)는 상기 진동 리미터(90)의 중심부를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진동 리미터(90)는 팽팽하게 외측방향으로 당겨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 1,2리브(91)(92)에 의해 상기 진동 리미터(9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외조(4)의 둘레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조(4)의 과진동시, 상기 외조(4)와 서스펜션(60)이 진동하면서 상기 서스펜션(60)이 상기 진동 리미터(90)에 접촉된다.
상기 서스펜션(60)이 상기 진동 리미터(90)에 접촉되면, 상기 진동 리미터(90)가 상기 서스펜션(6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서스펜션(60)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스펜션(60)의 운동 에너지가 소산되어, 상기 서스펜션(60)의 과도 진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리미터(90)가 상기 서스펜션(60)에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서스펜션(60)을 밀어내어, 상기 서스펜션(60)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돕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진동 리미터가 외조의 외둘레면에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리미터는 서스펜션에서 외조를 향한 면에 부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와 서스펜션 사이에 배치되어, 외조와 서스펜션 중 어느 하나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과도한 진동을 방지하는 진동 리미터를 포함함으로써, 과도한 진동시 발생할 수 있는 캐비닛과 외조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여 주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조와 캐비닛 사이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조와 캐비닛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외조의 대용량화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리미터가 설치된 외조의 일부분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동 리미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진동 리미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리미터가 설치된 외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리미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 캐비닛 4: 외조
60: 서스펜션 62: 서스펜션 바
70,90: 진동 리미터 80, 95: 볼트

Claims (10)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와;
    상기 캐비닛에 상기 외조가 매달리도록 상기 캐비닛과 외조를 연결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외조와 서스펜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다른 하나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제한하는 진동 리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리미터에서 상기 서스펜션에 대향되는 전면부 전체는, 상기 서스펜션과 충돌시 면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하단의 곡률은 상기 전면부 상단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리미터는 상기 외조와 서스펜션 중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리미터는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기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외조와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상기 진동 리미터에서 상기 서스펜션에 대향되는 면은 상기 서스펜션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7.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와;
    상기 캐비닛에 상기 외조가 매달리도록 상기 캐비닛과 외조를 연결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외조와 서스펜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다른 하나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제한하는 진동 리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리미터는 양단은 상기 외조에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조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리미터는 상기 외조의 둘레면 하부에서 상기 서스펜션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조에는 체결 보스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진동 리미터는 상기 체결 보스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 리미터는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90024104A 2009-03-20 2009-03-20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6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104A KR101068959B1 (ko) 2009-03-20 2009-03-20 세탁물 처리기기
PCT/KR2010/001623 WO2010107231A1 (ko) 2009-03-20 2010-03-16 세탁물 처리기기
US13/256,164 US9487900B2 (en) 2009-03-20 2010-03-16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104A KR101068959B1 (ko) 2009-03-20 2009-03-20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202A KR20100105202A (ko) 2010-09-29
KR101068959B1 true KR101068959B1 (ko) 2011-09-30

Family

ID=4300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104A KR101068959B1 (ko) 2009-03-20 2009-03-20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9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582U (ko) 1985-09-13 1987-03-28
KR19980064615U (ko) * 1997-04-30 1998-11-25 배순훈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030055968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저수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582U (ko) 1985-09-13 1987-03-28
KR19980064615U (ko) * 1997-04-30 1998-11-25 배순훈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030055968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저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202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82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82550B1 (ko) 의류처리장치
RU2442850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20050172678A1 (en) Pedesta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US9487900B2 (en) Washing machine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KR102165604B1 (ko) 세탁기
EP2248934B1 (en) Pulsator unit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5443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6895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7428832B2 (en) Drum washing machine
JP5639979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3556925B1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top load type laundry apparatus
JP2004329778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09102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105195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54428B1 (ko) 드럼 세탁기의 개스킷
KR20100007356A (ko) 의류처리장치
KR101055733B1 (ko) 드럼세탁기용 세이프티 커버 구조
KR10228710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58068A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039583A (ko) 의류처리장치
EP2065507B1 (en) Laundry machine
KR20110088954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712280B1 (ko) 드럼 세탁기의 터브용 밸런스 웨이트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