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615U - 세탁기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615U
KR19980064615U KR2019970009314U KR19970009314U KR19980064615U KR 19980064615 U KR19980064615 U KR 19980064615U KR 2019970009314 U KR2019970009314 U KR 2019970009314U KR 19970009314 U KR19970009314 U KR 19970009314U KR 19980064615 U KR19980064615 U KR 199800646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suspension device
reservoir
suspension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대영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9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615U/ko
Publication of KR19980064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15U/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 그리고 탈수행정시 저수조의 상.하부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외에도 상기 저수조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잡아줄수 있도록 하여 현가장치의 진동흡수효율을 극대화 시킬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세탁기 외체의 상부방향으로 부터 저수조(10)의 하부방향으로 현가장치(30)를 장착시키되, 상기 저수조(10)의 외주면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중앙에 공간부(120)를 갖는 리브(110)를 형성하여 상기 리브(110)의 공간부(120)내에 현가장치(30)에 적용되어진 걸이봉(40)과 접촉되는 탄성부재(130)를 장착하여 상기 탄성부재(130)를 통하여 저수조(10)의 측방향으로 전달되어진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시킬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현가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적용되어진 지지바와 저수조의 외주면사이에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통하여 세탁조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수 있도록 하여 현가장치의 진동흡수효율을 극대화시킬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에 적용되어지는 세탁기의 현가장치는, 세탁기 외체의 상부로부터 저수조의 하부둘레에 대각선방향으로 각각 장착되어 세탁물의 세탁및 헹굼 그리고 탈수행정시에 저수조에 전달되어진 진동이 세탁기의 외체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시킬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탁기에 적용되어진 종래의 현가장치는 첨부된 도면의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탁기 외체(미도시함)의 상부방향에서 저수조(10)의 하부둘레 방향으로 걸이봉(4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걸이봉(40)의 하단은 내부에 탄성스프링(70)이 수용되어진 하부징(60)의 상부구멍(80)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스프링(7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90)에 결합나사(100)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하부징(60)의 상부는 상기 저수조(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진 걸이구(50)의 하부에 걸쳐지게 됨으로서, 상기 저수조(1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저수조(1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발생되어진 진동량에 비례하여 상기 현가장치(30)의 하우징(60)내에 수용된 탄성스프링(70)이 압축되면서 그 진동을 흡수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현가장치(40)는 하우징(60)내에 장착되어진 탄성스프링(70)이 저수조(10)의 상.하방향으로 발생된 진동에 대해 압축 및 팽창되어 지면서 상기 저수조(10)에 전달되어진 진동을 흡수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예컨데 상기 저수조(10)의 측방향으로 발생되어지는 진동에 대해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특히, 세탁물의 초기탈수시에는 상기 저수조(10)의 내부에 장착되어진 세탁조(미도시함)가 정지된 상태에서 갑자기 고속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세탁조의 상부가 심하게 흔들리게 됨과 아울러 동시에 그 진동에 의해 저수조(10)가 좌.우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현가장치는, 상기 저수조(10)의 좌.우방향으로 발생된 진동을 효율적으로 잡아줄수가 없어 그 발생된 진동이 오히려 현가장치의 걸이봉(40)을 매개로 세탁기의 외체에 전달됨으로서 세탁기전체가 세탁물이 탈수행정시에 심하게 진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세탁기 저수조의 상.하부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외에도 상기 저수조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잡아줄수 있도록 하여 현가장치의 진동흡수효율을 극대화 시킬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는 세탁기 외체의 상부방향으로 부터 저수조의 하부방향으로 현가장치를 장착시키되, 상기 현가장치에 적용되어지는 걸이봉과 상기 저수조의 외주둘레간에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통하여 저수조의 측면방향으로 전달되어진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시킬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고안에 따른 현가장치가 적용되어진 세탁기의 결합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가 세탁기에 적용되어진 상태의 결합단면 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저수조 30:현가장치
40:걸이봉 50:걸이구
60:하우징 70:탄성스프링
80:상부구멍 90:밀착판
100:결합나사 110:리브
120:공간부 130:탄성부재
140:요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가 세탁기에 적용되어진 상태의 결합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세탁기 외체의 상부방향으로 부터 저수조(10)의 하부방향으로 현가장치(30)를 장착시키되, 상기 현가장치(30)에 적용되어지는 걸이봉(40)과 상기 저수조(10)의 외주둘레간에 탄성부재(130)를 장착하여 상기 탄성부재(130)를 통하여 저수조(10)의 측방향으로 전달되어진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저수조(10)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리브(110)가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리브(110)간에 발생되는 공간부(120)내에 상기 탄성부재(130)가 끼워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탄성부재(130)의 일측면에는 그 수직방향으로 요홈(140)이 형성되어 이 요홈(140)내에 상기 현가장치(30)에 적용되어지는 걸이봉(40)이 밀착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30)는 충격흡수력이 뛰어나고 형태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이봉(40)의 후단은 종래와 같이 내부에 탄성스프링(70)이 수용되어진 하우징(60)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60)의 상부는 저수조(10)의 하부둘레에 형성되어진 걸이구(50)의 하면에 밀착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 그리고 탈수행정시에 상기 저수조(10)의 상.하부방향으로 전달되어지는 진동만이 아닌 측방향으로 전달되어지는 진동에 대해서도 이를 효율적으로 흡수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저수조(10)의 상.하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상기 현가장치(30)의 하우징(60)내에 장착되어진 탄성스프링(70)이 그 진동량에 따라 하우징(60)내에서 압축, 또는 팽창되면서 그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수조(10)의 측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저수조(10)의 리브(110)와 현가장치(30)의 걸이봉(40)간에 결합되어진 탄성부재(130)가 수축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시키게 됨으로서 저수조(10)의 측면으로 발생되어진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시킬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현가장치(30)의 하우징(60)내에 수용되어진 탄성스프링(70)에 의해 저수조(10)의 상.하방향으로 발생된 진동을 흡수시킬수 있는 것이고, 또한 현가장치(30)의 걸이봉(40)과 저수조(1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진 리브(110)간에 결합되어진 탄성부재(130)를 통하여 저수조(10)의 측방향으로 발생되어지는 측면진동을 효율적으로 잡아줄수가 있어 현가장치의 진동흡수효율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세탁기 외체의 상부방향으로 부터 저수조의 하부방향으로 현가장치를 장착시키되, 상기 현가장치에 적용되어지는 걸이봉과 상기 저수조의 외주둘레간에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통하여 저수조의 측면방향으로 전달되어진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시킬수 있도록 함으로서,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 그리고 탈수행정시에 상기 저수조의 상.하부방향으로 전달되어지는 진동만이 아닌 측방향으로 전달되어지는 진동에 대해서도 이를 효율적으로 흡수시킬수 있어 현가장치의 진동흡수효율을 극대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세탁기 외체의 상부방향으로 부터 저수조(10)의 하부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저수조(10)에 발생되어진 진동을 흡수시킬수 있도록 된 세탁기의 현가장치(30)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현가장치(30)는 저수조(10)의 외주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리브(110)가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리브(110)간에 발생되는 공간부(120)내에는 탄성부재(130)가 끼움결합되는한편, 상기 탄성부재(130)의 일측면에는 그 수직방향으로 요홈(140)이 형성되어 이 요홈(140)내에 상기 현가장치(30)에 적용되어지는 걸이봉(40)이 밀착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19970009314U 1997-04-30 1997-04-30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99800646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14U KR19980064615U (ko) 1997-04-30 1997-04-30 세탁기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14U KR19980064615U (ko) 1997-04-30 1997-04-30 세탁기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15U true KR19980064615U (ko) 1998-11-25

Family

ID=6968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314U KR19980064615U (ko) 1997-04-30 1997-04-30 세탁기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61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7231A1 (ko) * 2009-03-20 201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54437B1 (ko) * 2009-03-20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68959B1 (ko) * 2009-03-20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7231A1 (ko) * 2009-03-20 201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54437B1 (ko) * 2009-03-20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68959B1 (ko) * 2009-03-20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4294B (zh) 洗衣机的减震器和具有其的洗衣机
KR19980064615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9980025339U (ko) 드럼 세탁기용 진동 흡수 장치
KR200159084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0159077Y1 (ko) 세탁기
KR200146585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1095403B1 (ko) 드럼 세탁기용 저수조 고정부재
KR0130634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484274B1 (ko) 세탁기의 댐핑장치
KR19980031928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9980022715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0136465Y1 (ko) 진동감쇠부재를 갖는 세탁기
KR19990025575U (ko) 상/하진동을 완충시킬수 있는 세탁기용 걸이봉
KR19980024352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0134363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0152819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EP1094142B1 (en) Device for the suspension of a washing tub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KR200150855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850002752Y1 (ko) 드라이크리닝기의 방진장치
KR19990021142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970043512A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360437B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댐퍼 배치 구조
KR19980023316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229661B1 (ko) 세탁기의 소음 방지장치
KR19980035612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