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927B1 - 스텝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텝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927B1
KR101068927B1 KR1020080079495A KR20080079495A KR101068927B1 KR 101068927 B1 KR101068927 B1 KR 101068927B1 KR 1020080079495 A KR1020080079495 A KR 1020080079495A KR 20080079495 A KR20080079495 A KR 20080079495A KR 101068927 B1 KR101068927 B1 KR 10106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eesaw
shaft
fram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755A (ko
Inventor
창 주 이
Original Assignee
창 주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주 이 filed Critical 창 주 이
Priority to KR102008007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9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발판을 번갈아 내디디면서 운동을 할 때 발판과 연결된 링크 및 시소운동에 의해 상기 발판이 복귀되는 기구 수단에 의한 스텝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기초프레임과, 상기 기초프레임의 크로스바를 통해 전, 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각각 설치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스텝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된 브래킷에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축을 통해 일단부가 각각 상하로 수평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좌, 우 회전바와, 상기 한 쌍의 좌, 우 회전바의 타단부가 이격된 두 개의 축과 링크로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축 사이의 링크에 고정된 발판프레임을 통해 설치되는 좌, 우 발판과,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의 상부에 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시소바와, 상기 한 쌍의 상부 측 좌, 우 회전바에는 상기 좌, 우 회전바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축 방향과 같은 방향의 축을 설치하고 상기 축을 통해 제1링크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이 제1링크의 타단부를 상기 축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축을 통해 링크연결구와 연결하고, 상기 제1링크를 연결하는 축과 90도 방향으로 상기 링크연결구에 설치된 축과 상기 축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시소바 양단에 설치된 축과 각각 연결되는 제2링크로 구성하여 상기 제1링크를 연결하는 축과 링크연결구를 통해 제2링크를 연결하는 축에 의해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가 한 쌍의 좌, 우 회전바의 상하 운동과 함께 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시소바의 시소운동을 하게 하여 상기 좌, 우 발판에 복귀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시소바가 설치된 각각의 스텝프레임의 상부에는 좌, 우 손잡이가 설치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텝운동, 링크운동, 시소운동, 발판

Description

스텝운동기구{Step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발판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스텝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 발판을 번갈아 내디디면서 운동을 할 때 발판과 연결된 링크 및 시소운동에 의해 상기 발판이 복귀되는 기구 수단에 의해 스텝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실외에서 고장 염려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텝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우 두 개의 발판에 양 발을 위치시켜 번갈아 내디디면서 운동하는 스텝운동기구는 제자리에서 계단이나 산을 오르내리는 것과 같은 운동효과를 얻는 것으로,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많이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에서 생활체육의 보급을 위해 공원이나 실외 체육시설에 스텝운동기구를 많이 보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텝운동기구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09357, 20-0416280 등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양 발을 내딛는 발판의 복귀수단으로 유압실린더 또는 가스실린더 또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를 적용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복 귀수단의 경우 실내에서는 큰 고장 없이 사용하지만, 실외의 운동시설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눈 또는 비 등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의해 상기 복귀수단들을 부식시키거나 노후를 촉진시켜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실외에서 사용하는 운동기구에는 악천후에서 영향을 받지 않고 견딜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텝운동기구를 필요로 하고, 더욱이 경제적으로 애프터서비스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스텝운동기구를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와 같은 발판의 복귀수단으로 실린더 형태의 부품 등을 사용하지 않고 기구적인 복귀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실외 운동기구의 사용에 적합한 스텝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텝운동기구를 두 사람이 서로 마주하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스텝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 자세에서 스텝운동을 할 때 양 손잡이에 의해 안전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스텝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기초프레임(10)과,
상기 기초프레임(10)의 크로스바(12)를 통해 전, 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각각 설치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스텝프레임(14)과,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된 브래킷(16)에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축(18)을 통해 일단부가 각각 상하로 수평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좌, 우 회전바(20)(22)와,
상기 한 쌍의 좌, 우 회전바(20)(22)의 타단부가 이격된 두 개의 축(24)과 링크(26)로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축(24) 사이에 고정된 발판프레임(28)을 통해 설치되는 좌, 우 발판(30)(32)과,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상부에 축(34)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시소바(36)와,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양측으로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측 좌, 우 회전바(20)(22)와 상기 시소바(36)의 양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좌, 우 발판(30)(32)의 복귀수단을 제공하되, 상기 한 쌍의 상부 측 좌, 우 회전바(20)(22)에는 상기 좌, 우 회전바(20)(22)가 상기 축(18)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축(18) 방향과 같은 방향의 축(38)을 설치하고 상기 축(38)을 통해 제1링크(40)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이 제1링크(40)의 타단부를 상기 축(38)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축(42)을 통해 링크연결구(44)와 연결하고, 상기 제1링크(40)를 연결하는 축(38)(42)과 90도 방향으로 상기 링크연결구(44)에 설치된 축(46)과 상기 축(46)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시소바(36) 양단에 설치된 축(48)과 각각 연결되는 제2링크(50)로 구성하여 상기 제1링크(40)를 연결하는 축(38)(42)과 링크연결구(44)를 통해 제2링크(50)를 연결하는 축(46)(48)에 의해 상기 제1링크(40)와 제2링크(50)가 한 쌍의 좌, 우 회전바(20)(22)의 상하 운동과 함께 축(34)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시소바(36)의 시소운동을 하게 하여 상기 좌, 우 발판(30)(32)에 복귀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시소바(36)가 설치된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상부에는 좌, 우 손잡이(52)가 설치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양 스텝프레임(14)을 통해 각각 구성되는 좌, 우 발판(30)(32)과 손잡이(52)는 2인이 서로 마주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스텝프레임(14)의 전, 후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텝운동기구는 좌, 우 발판이 각각 제1 및 제2링크와 스텝프레임에 설치된 시소바와 연결되어 좌, 우 발판에 복귀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처럼 발 판의 복귀수단으로 유압실린더 또는 가스실린더 또는 쇼크업소버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가능하게 되어 복귀수단의 부품비를 절감하면서 실외의 운동시설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눈 또는 비 등의 악천후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애프터서비스 비용을 절감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텝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로서 작용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로서 사용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 도시된 스텝운동기구 전 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텝운동기구(100)는 기초프레임(10)과 이 기초프레임(10)을 통해 양측으로 스텝프레임(14)을 통해 설치 및 구성된다.
상기 기초프레임(10)은 스텝운동기구(100)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이 기초프레임(10)은 수직으로 세워진 틀 형태로 하여 바닥에 고정된다. 이러한 기초프레임(10)은 운동시설물이 설치되는 바닥에 앵커 볼트 등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텝프레임(14)은 본 발명의 주요 부품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기초프레임(10)을 지지하는 크로스바(12)의 중앙을 통해 연결바(15)로 연결되어 전, 후 방향으로 대향하여(마주하여) 각각 설치되며 스텝프레임(14)의 하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14a)가 바닥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하부 양측에는 브래킷(16)이 각각 설치되고 이 브래킷(16)에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축(18)을 통해 일단부가 각각 상하로 수평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좌, 우 회전바(20)(22)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좌, 우 회전바(20)(22)의 타단부가 이격된 두 개의 축(24)과 링크(26)로 연결된다.
상기 좌, 우 회전바(20)(22)는, 두 개로 하여 브래킷(16)에 설치된 두 개의 축(18)과 링크(26)에 설치된 두 개의 축(24)을 통해 상하 수평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어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26)로 연결된 좌, 우 회전바(20)(22)의 두 개의 축(24) 사이의 링크(26)에는 발판프레임(28)이 고정되고, 이 발판프레임(28)에는 발을 내딛는 좌, 우 발판(30)(3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상부에 축(34)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가능하게 시소바(36)가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양측으로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측 좌, 우 회전바(20)(22)와 상기 시소바(36)의 양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좌, 우 발판(30)(32)의 복귀수단을 제공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상부 측 좌, 우 회전바(20)(22)에는 상기 좌, 우 회전바(20)(22)가 상기 축(18)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축(18) 방향과 같은 방향의 축(38)을 설치하고 상기 축(38)을 통해 제1링크(40)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이 제1링크(40)의 타단부를 상기 축(38)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축(42)을 통해 링크연결구(44)와 연결하고, 상기 제1링크(40)를 연결하는 축(38)(42)과 90도 방향으로 상기 링크연결구(44)에 설치된 축(46)과 상기 축(46)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시소바(36) 양단에 설치된 축(48)과 각각 연결되는 제2링크(50)로 구성하여 상기 제1링크(40)를 연결하는 축(38)(42)과 링크연결구(44)를 통해 제2링크(50)를 연결하는 축(46)(48)에 의해 상기 제1링크(40)와 제2링크(50)가 한 쌍의 좌, 우 회전바(20)(22)의 상하 운동과 함께 축(34)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시소바(36)의 시소운동을 하게 하여 상기 좌, 우 발판(30)(32)에 복귀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시소바(36)가 설치된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상부에는 좌, 우 손잡이(5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텝운동기구(100)는 기초프레임(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스텝프레임(14)이 각각 설치되고, 이 스텝프레임(14)을 통해 각각 구성되는 좌, 우 발판(30)(32)과 손잡이(52)는 2인이 서로 마주하면서 운동할 있도록 스텝프레임(14)의 전, 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 발을 좌, 우 발판(30)(32)에 올려놓고 두 손을 좌, 우 손잡이(52)를 잡고, 좌, 우 발판(30)(32)을 번갈아 내디디면서 운동을 한다.
즉, 좌측 발판(30)에 힘을 주어 내디디면 사용자의 하중이 좌측 발판(30)에 실려 좌측 회전바(20)와 연결된 좌측 발판(30)이 축(18)(24)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로 내려간다. 이에 따라 좌, 우 회전바(20)(22)와 시소바(36) 사이에 연결된 제1링크(40)와 제2링크(50)의 링크운동으로 상기 시소바(36)가 시소운동을 하여 우측 발판(32)은 좌측 발판(30)과 반대로 축(18)(24)을 중심으로 위로 올라간다.
이어서,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우측 발판(32)에 힘을 주어 내디디면 하중이 우측 발판(32)에 실려 상기와 같이 링크운동과 시소운동으로 우측 발판(32)이 내려가고 반대로 좌측 발판(30)이 위로 올라오게 되며, 이러한 좌, 우 발판(30)(32)을 통해 사용자가 발에 하중을 실어 번갈아 내디딤에 따라 상기 제1링크(40)와 제2링크(50)의 링크운동과 상기 시소바(36)의 시소운동으로 반복적인 스텝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 발판(30)(32)을 통해 반복적인 스텝운동을 할 때 제1링크(40)가 좌, 우 회전바(20)(22)의 축(18)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축(38)(42)과 연결되고, 제2링크(50)의 축(46)은 시소바(36)의 축(48)과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어 링크운동과 시소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좌, 우 발판(30)(32)을 통해 스텝운동을 할 때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좌, 우 손잡이(52)를 잡고 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안정된 상태로 운동에 전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텝운동기구(100)는 도 4와 같이 스텝프레임(14)을 통해 각각 설치된 좌, 우 발판(30)(32)과 손잡이(52)가 2인이 서로 마주하면서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설치 및 사용에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실외에 체육시설물을 설치할 경우 불특정다수인이 사용함으로써 실내 체육시설물보다 견고하고 파손 및 안전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좌, 우 발판(30)(32)의 발판프레임(28)을 지지하는 좌, 우 회전바(20)(22)를 두 개로 하여 축(18)(26)과 링크(26)를 통해 상하 수평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견고한 기구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좌, 우 발판(30)(32)의 복귀 동작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크운동과 시소운동으로 해결함으로써 견고성과 파손에 대한 부담이 적어 애프터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텝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로서 작용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로서 사용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프레임 14 : 스텝프레임
16, 18, 24, 34, 38, 42, 46, 48 : 축
20, 22 : 좌, 우 회전바 26 : 링크
28 : 발판프레임 30, 32 : 좌, 우 발판
36 : 시소바 40 : 제1링크
50 : 제2링크 52 : 좌, 우 손잡이
100 : 스텝운동기구

Claims (3)

  1. 수직으로 형성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기초프레임(10)과,
    상기 기초프레임(10)의 크로스바(12)를 통해 전, 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각각 설치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스텝프레임(14)과,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된 브래킷(16)에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축(18)을 통해 일단부가 각각 상하로 수평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좌, 우 회전바(20)(22)와,
    상기 한 쌍의 좌, 우 회전바(20)(22)의 타단부가 이격된 두 개의 축(24)과 링크(26)로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축(24) 사이의 링크(26)에 고정된 발판프레임(28)을 통해 설치되는 좌, 우 발판(30)(32)과,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상부에 축(34)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시소바(36)와,
    상기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양측으로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측 좌, 우 회전바(20)(22)와 상기 시소바(36)의 양단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좌, 우 발판(30)(32)의 복귀수단을 제공하되, 상기 한 쌍의 상부 측 좌, 우 회전바(20)(22)에는 상기 좌, 우 회전바(20)(22)가 상기 축(18)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축(18) 방향과 같은 방향의 축(38)을 설치하고 상기 축(38)을 통해 제1링크(40)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이 제1링크(40)의 타단부를 상기 축(38)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축(42)을 통해 링크연결구(44)와 연결하고, 상기 제1링크(40)를 연결하는 축(38)(42)과 90도 방향으로 상기 링크연결구(44)에 설치된 축(46)과 상기 축(46)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시소바(36) 양단에 설치된 축(48)과 각각 연결되는 제2링크(50)로 구성하여 상기 제1링크(40)를 연결하는 축(38)(42)과 링크연결구(44)를 통해 제2링크(50)를 연결하는 축(46)(48)에 의해 상기 제1링크(40)와 제2링크(50)가 한 쌍의 좌, 우 회전바(20)(22)의 상하 운동과 함께 축(34)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시소바(36)의 시소운동을 하게 하여 상기 좌, 우 발판(30)(32)에 복귀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시소바(36)가 설치된 각각의 스텝프레임(14)의 상부에는 좌, 우 손잡이(52)가 설치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운동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 스텝프레임(14)을 통해 각각 구성되는 좌, 우 발판(30)(32)과 손잡이(52)는 2인이 서로 마주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스텝프레임(14)의 전, 후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운동기구.
KR1020080079495A 2008-08-13 2008-08-13 스텝운동기구 KR10106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95A KR101068927B1 (ko) 2008-08-13 2008-08-13 스텝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95A KR101068927B1 (ko) 2008-08-13 2008-08-13 스텝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55A KR20100020755A (ko) 2010-02-23
KR101068927B1 true KR101068927B1 (ko) 2011-09-29

Family

ID=4209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495A KR101068927B1 (ko) 2008-08-13 2008-08-13 스텝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241B1 (ko) * 2008-11-28 2011-02-25 창 주 이 스텝 앤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1724543B1 (ko) * 2015-05-18 2017-04-07 신광의료기산업(주) 수중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65Y1 (ko) * 1993-05-17 1997-04-24 필엠염 발과 다리의 운동장치
US5888176A (en) * 1998-04-13 1999-03-30 Kuo; Hui Kuei Stepping exerciser
JP2003180768A (ja) 2001-12-14 2003-07-02 Yasuyuki Takimoto 腰掛けて行うシーソー型脚機能回復装置
KR200436896Y1 (ko) 2007-08-07 2007-10-15 유창근 헬스 운동 보조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65Y1 (ko) * 1993-05-17 1997-04-24 필엠염 발과 다리의 운동장치
US5888176A (en) * 1998-04-13 1999-03-30 Kuo; Hui Kuei Stepping exerciser
JP2003180768A (ja) 2001-12-14 2003-07-02 Yasuyuki Takimoto 腰掛けて行うシーソー型脚機能回復装置
KR200436896Y1 (ko) 2007-08-07 2007-10-15 유창근 헬스 운동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55A (ko)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578B2 (en) Exercise device
KR101068927B1 (ko) 스텝운동기구
KR20120008223U (ko) 공중걷기운동기구용 안전장치
KR20110103112A (ko) 운동기구
CN211341658U (zh) 一种便携式的二次施工伸缩凳
KR101156553B1 (ko) 모듈화된 조립식 상판
RU2302892C2 (ru) Тренажер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спортивный
KR20090059746A (ko) 조립식 이동 가변형 안전발판 지지장치
CN206007936U (zh) 一种模拟爬山健身器
KR200429288Y1 (ko) 물의 저항을 이용한 신체단련기
KR101182117B1 (ko) 다기능 복합 스트레칭기구
CN111450552A (zh) 一种安全性高的跨栏架
KR101017241B1 (ko) 스텝 앤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302167Y1 (ko) 그네 운동기구
CN205777420U (zh) 高层建筑高空连廊施工支架
KR101303539B1 (ko) 야외용 괄약근 운동기구
KR200466524Y1 (ko) 제자리 걸음기
KR102478840B1 (ko) 스텝 운동기구
KR20030016939A (ko) 하체운동기구
KR101144592B1 (ko) 관광지, 공원, 레저단지 및 주택단지에 설치되는 레그 프레스 운동기구
KR102378596B1 (ko)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CN2477221Y (zh) 翘翘架
RU75297U1 (ru) Детский спор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JP3730569B2 (ja) 腰掛けて行うシーソー型脚機能回復装置
KR200308594Y1 (ko) 척추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