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596B1 -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596B1
KR102378596B1 KR1020200080081A KR20200080081A KR102378596B1 KR 102378596 B1 KR102378596 B1 KR 102378596B1 KR 1020200080081 A KR1020200080081 A KR 1020200080081A KR 20200080081 A KR20200080081 A KR 20200080081A KR 102378596 B1 KR102378596 B1 KR 10237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hain
user
suppor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240A (ko
Inventor
전영근
Original Assignee
전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근 filed Critical 전영근
Priority to KR102020008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5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25Particular aspects relating to the orientation of movement paths of the limbs relative to the bod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limbs
    • A63B2022/0035Upper limbs performing together the same movement, e.g. on a single support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81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과 같이 이용자가 이동한 거리만큼 가서 멈추는 구름사다리 운동과는 달리 이용자의 수준에 맞게 체인의 궤도순환속도를 설정하고, 체인의 순환으로 체인에 등간격지게 배치된 바를 잡고 놓는 방식으로 구름사다리 운동을 함으로써, 주변에서 운동하는 다른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운동할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공간에 설치가 유리하며,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다는 이점과 함께 포토센서에 의한 감지, 간섭밴드의 접촉에 의한 코일형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신호로서 일시적인 운동을 정지시키거나, 유동바를 누름스위치에 접촉시켜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신체단련은 물론, 보다 안전한 운동을 추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름사다리 운동기구{Cloud ladder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제자리에서 타인에 영향을 주지 않고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로서, 이용자의 수준에 맞게 연속 순환하는 바(bar)를 잡고 매달리는 동작을 반복 실시하여 신체의 상체부위의 근육을 단련하고, 하나 이상의 안전장치를 두어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맨손 체조, 요가와는 달리 전문 기구를 이용한 운동들은 신체의 각 부위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으로서, 몸의 균형미와 다이어트 건강, 재활운동 등을 위해 다양하게 실시되는 운동기구들이 있다.
크게 나누어 상반신, 하반신, 또는 전신운동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근육부위를 자극하여 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반인은 물론, 선수 트레이닝 전용으로 각종 기구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근육은 이두근, 삼두근, 삼각근, 광배근, 척추기립근 등 손아귀 힘을 키우는 등등의 운동으로 단기 다이어트는 물론, 체력향상은 물론, 교정효과 및 신진대사 향상효과로 널리 알려져 있어, 주로 유도, 레슬링, 격투기, 체조 선수 및 클라이밍 애호가 들이 애용하는 운동이다.
잘 알려진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는 대부분 운동장 또는 공원놀이터 등의 놀이시설 지면으로부터 설치되며, 상부에 평행하는 프레임 사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바(bar)가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사용자는 발을 지면에서 뗀 상태에서 양손을 번갈아 바를 잡고 옮겨가는 운동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실내운동시설에서는 천장에 구름사다리를 매달아 사용하기도 하며, 유사한 형태로는 크로스핏 스테이션을 시설하여 기타 운동기구들과 함께 상체를 단련시킬 수 있는 기구로 이용되고 있다.
구름사다리는 단순히 바에 손을 잡고 옮겨가는 운동 외에도 철봉기구와 같은 턱걸이운동을 겸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름사다리는 대부분 그 제작된 길이만큼 이용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제작되는 예가 보편적이다.
따라서 외부 운동장이나 놀이시설에 설치되는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는 충분한 설치공간(길이 3~5M)을 필요로 하게 된다.
운동시설이 갖추어진 건물 등과 같은 실내에서는 최대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목적에서 천장에 구름사다리를 부착 설치하기도 하지만, 구름사다리 운동 중에는 구름사다리가 있는 공간에 다른 이용자가 진입하는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제자리에서 타인에 영향을 주지 않고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로서 이용자의 수준에 맞게 연속 순환하는 바(bar)를 잡고 매달리는 동작을 반복 실시하여 신체의 상체부위의 근육을 단련하고, 하나 이상의 안전장치를 두어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는,
장변프레임과 단변프레임이 평행하게 직사각형으로 조합되고, 네지점에 다리연결부를 갖으며, 장변프레임의 길이방향 상부 전후에 축지지대가 대응되게 구비되며, 마주하는 장변프레임의 하부에 레일프레임이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부착된 지지틀체와, 상기 지지틀체의 축지지대에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휠 및 구동스프라켓휠과, 상기 종동스프라켓휠 및 구동스프라켓휠에 치합 회전되는 체인 및 체인에 등간격지게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바(bar)와, 상기 바가 설치되는 체인의 외측으로부터 바를 연결하는 체결축 및 체결축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프레임에 받쳐져 체인과 함께 구름이송되는 롤러베어링과, 상기 지지틀체에 구동스프라켓휠이 설치되는 회전축과 연결되는 감속기 및 감속기와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지지틀체의 다리연결부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지틀체를 받치는 받침다리와, 상기 받침다리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조절 및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반으로 구성된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체인에 연결되는 바의 양단은 체인의 길이변에 걸쳐져 바(6)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체의 레일프레임에는 바를 잡은 이용자의 후퇴를 감지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을 임시 또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안전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지지틀체의 레일프레임에 마주되게 설치되어 이용자의 손목부위를 조사되는 빛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로 구동모터의 회전을 임시로 정지시키는 포토센서 및 반사판과, 상기 포토센서 및 반사판이 설치된 레일프레임에 마주되게 설치되어 이용자의 손목부위와 접촉시 접촉된 신호로 구동모터의 회전을 임시로 정지시키는 코일형 리미트스위치 및 코일형 리미트스위치를 상호 잇는 간섭밴드와, 상기 코일형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레일프레임에 전후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바 및 유동바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유동바와 접촉누름으로 전원을 오프시키는 누름스위치를 포함하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틀체에는 순환되는 체인의 상부에 위치한 바를 가리기 위한 커버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는, 기존과 같이 이용자가 이동한 거리만큼 가서 멈추는 구름사다리 운동과는 달리 이용자의 수준에 맞게 체인의 궤도순환속도를 설정하고, 체인의 순환으로 체인에 등간격지게 배치된 바를 잡고 놓는 방식으로 구름사다리 운동을 함으로써, 주변에서 운동하는 다른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운동할 수 있으며, 비교적 작은 공간에 설치가 유리하며,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다는 이점과 함께 포토센서에 의한 감지, 간섭밴드의 접촉에 의한 코일형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신호로서 일시적인 운동을 정지시키거나, 유동바를 누름 스위치에 접촉시켜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신체단련은 물론, 보다 안전한 운동을 추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 3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바(bar), 체인 및 롤레베어링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안전수단인 코일형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안전수단인 유동바와 누름스위치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의 조작반과 각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름사다리 운동기구(100)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변프레임(1)과 단변프레임(2)이 평행하게 직사각형으로 조합된 지지틀체(10)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틀체의 전후 양측, 즉 네지점에는 다리연결부(3)가 구비되고, 장변프레임의 길이방향 상부 전후에 축지지대(4)가 대응되게 구비되며, 마주하는 장변프레임(1)의 하부 내측면에는 레일프레임(5)이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용접 부착된다.
상기 지지틀체(10)에 상호 대응되는 축지지대(4)는 베어링이 구비된 것으로, 회전축(S1)(S2)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S1)(S2)의 각각 양단에는 종동스프라켓휠(W1) 및 구동스프라켓휠(W2)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마주되게 설치된 종동스프라켓휠(W1) 및 구동스프라켓휠(W2)에는 체인(C)이 치합되고, 체인(C)상에는 체인과 체인 사이의 폭에 맞게 설계된 바(bar, 6)가 등간격지게 양단이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바(6)는 구름사다리에서와 같은 바를 지칭한다.
상기 체인(C)에 연결되는 바(6)의 양단은 상기 체인(C)의 길이변에 걸쳐져 바(6)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부(6a)가 형성되며, 상기 바(6)의 양단에는 나사체결공을 두어 후술하는 체결축(S)과의 나사체결로서 상기 체인(C)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바(6)가 연결되는 체인(C)을 이루는 체인소자와 체인소자의 연결부 사이에 연결공(C1)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축(S)의 관통으로 바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6)가 설치되는 체인(C)의 외측으로부터 바(6)를 연결하는 체결축(S)에 있어, 체결축상에는 상기 레일프레임(5)에 받쳐져 체인(C)과 함께 구름 이송되는 롤러베어링(R)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바(6) 및 롤러베어링(R)은 상기 체인(C)에 있어, 외측에 위치한 체인소자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베어링(R)의 외직경은 상기 체인(C)이 레일프레임(5)상에 닿지 않는 정도로 이격되어 지날 수 있는 직경의 베어링을 사용한다.
이는 상기 레일프레임(5)에 받쳐져 체인(C)의 이송을 돕기 위한 것으로 레일프레임에 대해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를 통한 이용자가 바를 번갈아가면서 잡는 운동시 바(6)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지지틀체(10)에는 구동스프라켓휠(W2)이 설치되는 회전축(S2)과 연결되는 감속기(G) 및 감속기와 연결되는 구동모터(M)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틀체(10)에는 순환되는 체인(C)의 상부에 위치한 바(6)를 가리기 위한 커버체(12)가 더 설치된다. 상기 커버체(12)는 순환되는 바(6)를 잡고 놓는 동작으로 반복함에 있어, 이용자의 시선이 바를 향할때 체인의 상부측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바를 바라보는 시선의 혼동(어지러움)을 피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지지틀체(10)는 모퉁이측 네지점에 마련된 다리연결부(3)에 지지틀체(10)를 받쳐 공중에 세우기 위한 받침다리(20)와 연결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받침다리(20)는 운반 및 현장시공성을 위해 하나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최상부측 받침다리는 상기 다리연결부(3)와 동일한 받침연결부(21)를 두어 연결되고, 그 반대측은 축삽입 방식의 단차를 두어 받침다리를 연장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다리연결부(3) 및 받침연결부(21)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맞대어져 체결볼트와 너트의 체결로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지지틀체(10)의 레일프레임(5)에는 구동모터(M), 체인(C)의 순환에 의해 일방향으로 움직이는 바(6)를 잡은 이용자의 후퇴감지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모터(M)의 구동을 임시 또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안전수단(30)이 간격져 단계별로 설치된다.
상기 안전수단(30)은, 상기 지지틀체(10)의 레일프레임(5)에 마주되게 설치되어 이용자의 손목부위를 조사되는 빛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로 구동모터(M)의 회전을 임시로 정지시키는 포토센서(31) 및 반사판(32)과, 상기 포토센서(31) 및 반사판(32)이 설치된 레일프레임(5)에 마주되게 설치되어 이용자의 손목부위와 접촉시 접촉된 신호로 구동모터(M)의 회전을 임시로 정지시키는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 및 코일형 리미트스위치를 상호 잇는 간섭밴드(34)와, 상기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가 설치된 레일프레임(5)에 전후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바(35) 및 유동바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유동바와 접촉누름으로 전원을 오프시키는 누름스위치(36)로 구성된다.
상기 간섭밴드(34)는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의 외부에 돌출된 코일부분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두개의 코일형 리미트스위치를 연결한 것으로, 상기 간섭밴드에 외력을 가할시 코일부분이 당겨지면서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유동바(35)는 레일프레임(5)의 저부에 마련되는 브라켓트(35-1)에 양측이 전후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트는 유동바에 대해 장공이 형성된 브라켓트가 사용된다. 상기 브라켓트(35-1)의 장공에 각각 양측이 안내된 유동바(35)는 이탈방지되도록 유동바에 이탈방지용 나사를 체결하여 장공으로부터 전후 유동가능하되, 양측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구비된다.
상기 누름스위치(36)는 기계장치에서 비상안전을 위해 마련되는 비상누름스위치인 것으로, 양측에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유동바(35)의 접촉누름시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 것이며, 이는 구름사다리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동바(36)를 인위적으로 밀어 후퇴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의 작동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받침다리(20)중 어느 받침다리에는 구동모터(M)의 회전속도 조절 및 안전수단(30)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M)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반(4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의 이용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100)는 사용에 앞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조작반(40)을 통해 이용자의 운동수준에 따라 구동모터(M)를 통한 감속기(G)의 출력축 회전속도를 설정한다.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구동모터(M) 및 감속기(G)를 통해 구동스프라켓휠(W2), 종동스프라켓휠(W1)은 각 회전축(S1)(S2)을 지지틀체(10)로부터 체인(C)의 연결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체인(C)에 양단이 연결되어 등간격지게 배치된 바(6)는 궤도순환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순환되는 바(6)는 그 양단에 구비된 회전방지턱부(6a)가 인(C)의 길이변에 걸쳐져 연결된 것이기 때문에, 순환도중 체인(C)으로부터 자체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바(6)가 연결된 체인의 외측에 체결축(S)에 의해 결합된 롤러베어링(R)은 지지틀체(10)의 장변프레임(1)에 부착된 레일프레임에 받쳐져 구름 이동되기 때문에, 바(6)가 설치된 체인(C)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안정되게 순환이동되게 한다.
구름사다리 운동기구(100)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자신의 신장에 따라서 별도로 발 받침대를 지면측에 두어 이를 밟고 발은 지면이나 발 받침대에서 뺀 상태에서 순환되는 바(6)들을 두팔로 교호로 잡고 이동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신장이 비교적 큰 이용자는 직접 자신이 지면으로부터 점프하여 순환되는 바(6)를 잡은 상태즉, 두발이 모두 지면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순환되는 바를 번갈아 잡아가면서 구름사다리 운동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순환되는 바(6)를 교호로 양 팔을 이용하여 손으로 잡고 이동함에 있어, 지지틀체(10)에 마련된 커버체(12)는 궤도순환을 하고 있는 체인(C)의 상측에 위치한 바(6)의 움직임을 가려주기 때문에, 이용자는 전방에서 다가오는 바(6)들만을 바라보며서 손으로 잡고 이동하기에 유용하다.
여기서 이용자는 일방향으로 체인(C)에 의해 순환되고 있는 바(6)를 순차적으로 교호로 엇갈려 잡아가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원하는만큼 운동을 할 수 있고, 바를 잡는 힘이 없어지기 전 바에서 손을 놓고 지면에 발을 딪는 동작으로 운동을 그만둘 수도 있다.
일 예로 이용자가 바를 잡은 상태서 후방으로 밀려나게되면, 지지틀체(10)측 레일프레임(5)의 저부에 마련된 안전수단(30)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동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는 이용자가 바(6)를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가 되며, 이용자가 앞에 있는 바(6)를 다시 잡고 나아가면, 다시 체인(C)의 순환이 이루어져 구름사다리 운동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안전수단(30)은 이용자가 바(6)를 잡은 상태에서 후방으로 점차 밀려나게 되면, 제일 먼저 설치되어 있는 포토센서(31)에서 반대측에 위치한 반사판(32)에 조사한 빛이 이용자의 손목부위에 가려져 감지되며, 이러한 감지신호는 조작반(40)을 통한 구동모터(M), 감속기(G)를 정지시켜 일시적으로 운동기구(100)를 정지시켜 준다.
가령, 바(6)를 잡고 있는 이용자의 손목이 제대로 감지되지 못한 경우일 지 라도 포토센서(31)의 후미측에 간격져 설치된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는 그 작동부분인 코일부분에 간섭밴드(34)로 하여금 횡으로 연결되어 있어, 대부분 이용자의 손목부위가 간섭밴드에 직접 접촉되어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이용자가 위치한 후방측으로 간섭밴드를 밀어내는 동작으로 하여금 상기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를 작동시켜 줌으로써, 상기와 같은 구동모터(M)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시적인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의 구동정지는 이용자가 구름사다리 운동을 하면서 힘이 점점 약해져 전방측 바를 잡고 나아갈려는 힘이 부족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이용자의 몸이 전차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일시적으로 구동모터(M)를 정지시켜주고, 여기서 이용자가 바(6)를 잡고 매달린 상태에서 더 진행하고자 전방에 있는 바를 잡고 나아가면, 포토센서(31)에서 조사되는 빛으로부터 이용자의 손목이 벗어나거나,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의 접촉신호를 해제시키는 결과로 상기 구동모터(M)는 다시 구동되어 체인(C), 바(6)를 순환이 이루어져 이용자는 이러한 안전수단으로 하여금 일시적으로 매달린 상태에서 쉬거나 혹은 바에서 손을 뗄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여 자신에게 맞는 구름사다리 운동을 실시하기에 좋다.
상기와 같이 포토센서(31)의 감지 또는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의 접촉감지에 의해 구동모터(M)를 일시정지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그대로 잡고 있던 바(6)에서 손을떼고 내려올 수도 있지만, 상기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의 후방에 간격져 설치된 유동바(35)를 이용자가 다른 한 손으로 잡고 후방으로 밀쳐주면, 유동바(35)는 브라켓트(35-1)로부터 유동되어 유동바(35)와 근접 설치된 두개의 누름스위치(36) 중 어느하나가 첨부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되어 눌러지는 동작으로서 구름사다리 운동기구의 구동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줄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동작은 연속으로 순환하는 바를 잡고 전진하는 이용자에 있어, 순환되는 바의 영역구간에서 보다 안전성을 확보하여 신체단련과 함께 안전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장변프레임 2: 단변프레임
3:다리연결부 4: 축지지대
5: 레일프레임 6: 바(bar)
6a: 회전방지턱부 10: 지지틀체
12: 커버체 20: 받침다리
30: 안전수단 31: 포토센서
32: 반사판 33: 코일형 리미트스위치
34: 간섭밴드 35: 유동바
36: 누름스위치 40: 조작반
100: 운동기구 C: 체인
G: 감속기 M: 구동모터
W1: 종동스프라켓휠 W2: 구동스프라켓휠

Claims (4)

  1. 장변프레임(1)과 단변프레임(2)이 평행하게 직사각형으로 조합되고, 네지점에 다리연결부(3)를 갖으며, 장변프레임의 길이방향 상부 전후에 축지지대(4)가 대응되게 구비되며, 마주하는 장변프레임(1)의 하부에 레일프레임(5)이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부착된 지지틀체(10)와, 상기 지지틀체(10)의 축지지대(4)에 회전축(S1)(S2)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휠(W1) 및 구동스프라켓휠(W2)과, 상기 종동스프라켓휠(W1) 및 구동스프라켓휠(W2)에 치합 회전되는 체인(C) 및 체인(C)에 등간격지게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바(bar, 6)와, 상기 바(6)가 설치되는 체인(C)의 외측으로부터 바(6)를 연결하는 체결축(S) 및 체결축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프레임(5)에 받쳐져 체인(C)과 함께 구름이송되는 롤러베어링(R)과, 상기 지지틀체(10)에 구동스프라켓휠(W2)이 설치되는 회전축(S2)과 연결되는 감속기(G) 및 감속기와 연결되는 구동모터(M)와, 상기 지지틀체(10)의 다리연결부(3)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지틀체(10)를 받치는 받침다리(20)와, 상기 받침다리(2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M)의 회전속도 조절 및 구동모터(M)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반(40)으로 구성된 구름사다리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체인(C)에 연결되는 바(6)의 양단은 체인(C)의 길이변에 걸쳐져 바(6)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부(6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체(10)의 레일프레임(5)에는 바(6)를 잡은 이용자의 후퇴를 감지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모터(M)의 구동을 임시 또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안전수단(30)이 설치되되, 상기 안전수단(30)은, 상기 지지틀체(10)의 레일프레임(5)에 마주되게 설치되어 이용자의 손목부위를 조사되는 빛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로 구동모터(M)의 회전을 임시로 정지시키는 포토센서(31) 및 반사판(32)과, 상기 포토센서(31) 및 반사판(32)이 설치된 레일프레임(5)에 마주되게 설치되어 이용자의 손목부위와 접촉시 접촉된 신호로 구동모터(M)의 회전을 임시로 정지시키는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 및 코일형 리미트스위치를 상호 잇는 간섭밴드(34)와, 상기 코일형 리미트스위치(33)가 설치된 레일프레임(5)에 전후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바(35) 및 유동바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유동바와 접촉누름으로 전원을 오프시키는 누름스위치(36)를 포함하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체(10)에는 순환되는 체인(C)의 상부에 위치한 바(6)를 가리기 위한 커버체(12)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KR1020200080081A 2020-06-29 2020-06-29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KR10237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81A KR102378596B1 (ko) 2020-06-29 2020-06-29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81A KR102378596B1 (ko) 2020-06-29 2020-06-29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240A KR20200088240A (ko) 2020-07-22
KR102378596B1 true KR102378596B1 (ko) 2022-03-23

Family

ID=7189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81A KR102378596B1 (ko) 2020-06-29 2020-06-29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5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733Y1 (ko) * 1999-06-16 2000-02-15 장홍석 런닝머신
CN203029903U (zh) 2013-01-30 2013-07-03 河北体育学院 自由悬挂式臂力训练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978A (ko) * 2003-06-02 2003-06-18 이성부 사다리형 전신 운동기구
KR102163247B1 (ko) * 2019-09-25 2020-10-08 전영근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733Y1 (ko) * 1999-06-16 2000-02-15 장홍석 런닝머신
CN203029903U (zh) 2013-01-30 2013-07-03 河北体育学院 自由悬挂式臂力训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240A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4064B2 (en) Exercise machine reversible resistance system
US10661115B2 (en) Stationary manual exercise sled
KR100829774B1 (ko) 웨이트 운동이 가능한 트레드밀 및 제어방법
CN106470739A (zh) 并入跑步机的缆索系统
WO2007087007A1 (en) Dual track exercise device
US20090156377A1 (en) Exercise to simulate horizontal ladder exercise
WO2021164384A1 (zh) 攀爬机
KR102378596B1 (ko)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US5145472A (en) Physical fitness exercise machine
KR102216146B1 (ko) 줄타기 운동기구
KR101078058B1 (ko) 재활 트레이닝 룸
KR102163247B1 (ko)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RU2143938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RU2643991C1 (ru) Тренажер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развития координации движений и вестибуляр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лонжей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20230089993A (ko) 낙하방지 및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계단 운동 기구
KR19990076024A (ko) 다용도 헬스기구
KR20110089913A (ko) 하체 및 복근 운동기구
KR20110005221U (ko) 허리 운동 기구
WO2014026464A1 (zh) 摔撞健身器
CN204106975U (zh) 带动力的倒立行走健身器
CN212166504U (zh) 一种复合型娱乐设施
RU203019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в беге на лыжах
KR101044734B1 (ko) 놀이 시설물용 매립형 발목 운동기구
RU2615687C1 (ru) Тренажер
KR101724543B1 (ko) 수중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