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453B1 -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453B1
KR101068453B1 KR1020090031284A KR20090031284A KR101068453B1 KR 101068453 B1 KR101068453 B1 KR 101068453B1 KR 1020090031284 A KR1020090031284 A KR 1020090031284A KR 20090031284 A KR20090031284 A KR 20090031284A KR 101068453 B1 KR101068453 B1 KR 10106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trailer
horizontal transfer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805A (ko
Inventor
남창호
Original Assignee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창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9003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45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차량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적재면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로부터 화차에 컨테이너를 이/적재시키거나 화차로부터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이/적재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자유 적재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이동하는 수평이송부와;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수평이송부의 컨테이너 자유 적재가 용이하도록 수평이송부의 적재 높이에 컨테이너의 적재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DMT, 컨테이너, 트레일러, 화차, 이동, 수평, 수송, 화물, 트럭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Dual mode trailer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본 발명은 화물 또는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서 상호 이/적재할 수 있는 2중 모드 트레일러(Dual Mode Trailer(DM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에 수평이송부와 컨테이너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이송부와 컨테이너고정부의 선택적인 동작을 통하여 트레일러 또는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하부로부터 들어올려 수평이송부에 자유 적재하고 상기 수평이송부의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수평 이동을 통하여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도록 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가 간의 교역 또는 지역 간의 화물의 운송으로 인해 해상물동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운송 또는 교역에 의해 컨테이너를 이용한 물류수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방식은 육상수송과 해상수송으로 대별되며, 육상수송은 공로를 통한 수송과 철도를 통한 수송으로 분류된다. 현재, 공로는 포화상태에 있으며, 트레일러의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사고발생 및 매연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철도를 통한 수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철도를 통한 수송은 비용이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송이 가능하지만 공로와의 연결지역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철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송하기 위해서는 하역장 또는 장치장에 컨테이너를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직배송(DTD(Door to door)) 및 실시간 배송(JIT(Just in time))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철송장에서는 대부분 크레인을 사용하여 트레일러와 화차 간 컨테이너를 이/적재하고 있으나, 기관차의 전차화로 인하여 작업장에 전선이 공중 가설되기 때문에 크레인의 사용이 제한되거나 불가하게 되므로 새로운 형태의 컨테이너 이송방식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 이/적재 시키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가 대한민국 특허 제774015호와 제797200호 등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특허들 중 제774015호는 화물의 레일/도로 조합 수송 및 하역용 레일카에 관한 것으로, 레일차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분리 가능한 연결부에 의하여 단부 플랫폼에 연결되어 강성 조립체를 형성하고 운송을 위한 결합상태에서는 견인, 운송 및 하역에 의해 일어나는 모든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며, 하역을 위해 분리되는 경우에는 단부 플랫폼의 단부가 완전히 해제될 수 있고, 단부 플랫폼 사이에는 하역 작업 중 단부 플랫폼의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유지수단이 제공되며, 유지수단은 견인, 운송 및 하역 작업과 관련된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지 않고, 레일 캐리어 구조체에는 상승력 및 회동력을 받는 위치에 배치되고 레일카에는 길이방향 중심선 중에 회동지점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제797200호는 특허 제774015호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 구조체를 상승시킨 후 회동시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트레일러로 또는 트레일러에서 화차로 이/적재 시키는 방법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특허에서는 각각의 하역장의 플랫폼에는 캐리어 구조체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의 설치가 필수적이므로 유효공간 및 작업공간을 과도하게 필요로 함은 물론 비용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를 회동방식으로 이/적재시키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많이 소요되어 시스템 및 하역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드시 구동수단 또는 회동수단이 구비된 플랫폼에서만 이/적재 작업이 가능하므로 적용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역장의 플랫폼에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트레일러에 수평이송부와 컨테이너고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이송부와 컨테이너고정부의 선택적인 동작을 통하여 트레일러 또는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하부로부터 들어올려 수평이송부에 자유 적재하고 상기 수평이송부의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수평 이동을 통하여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도록 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이/ 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컨테이너고정부가 컨테이너 적재면으로부터 수평이송부의 동작 높이에 대응되도록 승강 동작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를 자유 적재하여 화차로 수평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의 동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차량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적재면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로부터 화차에 컨테이너를 이/적재시키거나 화차로부터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이/적재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자유 적재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이동하는 수평이송부와;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수평이송부의 컨테이너 자유 적재가 용이하도록 수평이송부의 적재 높이에 컨테이너의 적재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송부는, 상기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캐터필러; 상기 캐터필러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에 의해 승강되며 컨테이너의 하부를 지지하는 버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고정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이/적재시 고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이/적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평이송부의 버킷에 상기 컨테이너 자유 적재시, 상기 수평이송부의 버킷이 상승하기 전에 상기 컨테이너고정부의 승강부에 의해 컨테이너의 하부가 버킷의 상승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이송부의 컨테이너 자유 적재시, 상기 컨테이너고정부의 승강부에 의해 컨테이너의 하부가 하강되어 상기 수평이송부의 버킷에 컨테이너의 하부가 자유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자유 적재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수평 왕복 이동하는 수평이송부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복잡한 구성의 컨테이너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컨테이너의 이/적재를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컨테이너고정부에 의해 컨테이너의 하부가 수평이송부의 동작 높이에 대응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부의 컨테이너의 자유 적재시 상기 수평이송부에 전달되는 컨테이너의 하중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여 상기 수평이송부가 용이하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 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2중 모드 트레일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T)는,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거나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C)를 자유 적재한 상태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는 수평이송부(100),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수평이송부(100)의 적재 높이에 컨테이너(C)의 적재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이송부(100)의 컨테이너(C) 자유 적재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부(200)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C)의 이/적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일러(T)는, 견인차량(미도시)에 본체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어 도로를 운행하며,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적재면이 트레일러(T)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면에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상기 견인차량(미도시) 또는 트레일러(T)의 일측의 콘트롤박스(미도시)에 구비된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수평이송부(100)와 컨테이너고정부(200)가 제어된 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T)의 측부에는 상기 트레일러(T)를 하역장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트리거부(4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이 화차(F)의 적재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 트레일러(T)의 적재면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 수평이송부의 버킷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수평이송부의 버킷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수평이송부(100)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며,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캐터필러(110), 캐터필러(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리프트(120) 및 리프트(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리프트(120)에 의해 승강되며 컨테이너(C)의 하부를 지지하는 버킷(130)을 포함한다.
상기 캐터필러(110)는, 상호 평형을 이루며 대향하는 2개의 프레임(111)을 가지는 본체(112), 본체(112) 각각의 프레임(11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송부(100)의 왕복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용 액츄에이터(113), 상기 각각의 프레임(11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 동작되는 복수개의 회전체(114) 및 회전체(114)에 접촉 설치되며 회전체(114)의 진행방향에 따라 화차(F)와 트레일러(T)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구름 운동하는 무한궤도(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용 액츄에이터(113)는 후술된 주행트랙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가역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용 액츄에이터(113)는 유압이 공급되는 몸체(113a), 상기 몸체(113a)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유압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각각의 선단이 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로드(113b), 상기 구동로드(113b)에 일체로 구비되는 풀리(113c)를 구비한다. 물론, 상기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에 공급되는 유압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또는 트레일러(T)에 설치된 유압장치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유압 공급을 위한 라인 또는 호스는 예컨대 각각의 프레임(111)을 통해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의 몸체(113a)에 연결되는 등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바, 이 기술적 사상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114)는 본체(112) 각각의 프레임(111) 사이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로드(114a), 회전로드(114a)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원주형의 롤러(114b) 및 연결부재(114c)에 의해 회전형 액츄에이터(113)의 풀리(113c)에 연결되는 풀리(114d)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14c)는 풀리의 형성상태에 따라 벨트 또는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롤러(114b)의 표면에는 후술된 무한궤도(115)의 내측에 형성되는 치(미도시)에 치차결합되는 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115)는 내측이 상기 각각의 회전체(114)에 접촉되어 회전체(11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캐터필러(110) 전체를 이동시킨다. 즉, 무한궤도(115)의 내측면은 각각의 회전체(114)의 롤러(114b)와 접촉되어 상기 롤러(114b)가 회전됨에 따라 무한궤도(115)가 롤러(114b)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리프트(120)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111)의 적정 위치에 일체로 구비되는 각각의 고정편(1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관절부재(122), 상기 각각의 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관절부재(12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23) 및 상기 각각의 관절부재(122)를 관절 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연결부재(123)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절첩용 액츄에이터(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절부재(122)는 일단부가 고정편(12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관절편(122a)과 일단부가 제1 관절편(122a)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후술된 버킷(130)의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관절편(122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23)는 일단부가 일측의 프레임(111)의 고정편(121)에 설치된 관절부재(122)의 연결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123)의 타단부가 타측의 프레임(111)의 고정편(121)에 설치된 관절부재(122)의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하며 연결된 각각의 연결부재(123)가 동시에 관절운동된다.
또한, 상기 절첩용 액츄에이터(124)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써, 일단부가 각각의 연결부재(123)들 중 하나의 연결부재에 고정되며 유압이 공급 되거나 배출되는 실린더(124a)와, 실린더(124a)에 왕복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부가 다른 하나의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구동로드(124b)로 구성된다. 물론, 절첩용 액츄에이터(124)의 실린더(124a)로 공급되는 유압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또는 트레일러(T)에 설치된 유압장치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첩용 액츄에이터(124)는 실린더의 용량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버킷(130)은, 리프트(120)에 상하로 설치되며, 리프트(120)의 관절부재(122)의 제2 관절편(122b)의 상단이 고정되는 지지판넬(131)과, 상기 지지판넬(131)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어 컨테이너(C)의 양측방을 지지하도록 양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편(132)을 일체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버킷(130)의 상승 높이는 캐터필러(110)의 하부로부터 약 30 cm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하강 높이는 캐터필러(110)의 하부로부터 약 25 cm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평이송부(100)에 의하면,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컨테이너(C)의 하부를 고정하는 컨테이너고정부(200) 사이의 공간에 복수개의 수평이송부(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리프트(120)의 절첩용 액츄에이터(124)에 유압을 공급하여 상승시켜 버킷(130)이 컨테이너(C)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자유 적재한 후 캐터필러(110)의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에 유압을 공급하여 구동로드(113b)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체(114)와 무한궤도(115)가 회전되도록 하여 컨테이너(C)를 자유 적재한 상태에서 수평이송부(100)가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절첩용 액츄에이터(124)의 유압을 제어하여 버킷(130)이 하강 동작함에 따라 화차(F)에 구비된 복수개의 콘소켓(S)에 컨테이너(C)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하여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로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일러(T)와 화차(F)의 적재면에는 상기 수평이송부(100)가 컨테이너(C)를 자유 적재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상호 적재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 또는 가이드홈 등과 같은 가이드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5c는 각각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컨테이너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측단면도 및 컨테이너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컨테이너고정부(20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트레일러(T)의 이동시 관성에 의하여 컨테이너(C)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형성된 고정프레임(201)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컨테이너(C)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의 하부와 적재면 사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고정부(2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210)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 즉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적재시 컨테이너(C)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I)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로써, 원통형 또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211)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12a)의 탄력과 외부의 하중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공부(213a)를 가지는 작동구(213), 상기 작동구(213)의 중공부(213a)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C)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214)를 가지며 상기 작동구(213)의 출몰 동작시 접촉되어 연동되는 걸림턱(215a)을 가지는 록커(215), 상기 록커(215)의 내부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 만큼 관형홈(215b)이 형성되며 상기 관형홈(215b)에 형성되어 상기 록커(215)의 하강 동작시 일정범위의 회전을 유도하는 곡면을 가지는 슬릿홈(216), 상기 관형홈(215b)의 내부에 탄성스프링(212b)을 매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되게 하우징(211)의 저면에 결합된 덮개(217)에 고정설치되는 지지축(218) 및 상기 지지축(218)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슬릿홈(216)에 삽입된 지점을 고정축으로 슬릿홈(216)을 따라 승강되는 록커(215)의 방향을 변위되게 하는 핀(219)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2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211)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구(213)는 하부의 덮개(217)에 의해 구속되는 외경이 큰 탄성스프링(212a)의 장력에 의해 하우징의 최상부로 밀려진 상태에서 정지되고, 록커(215)는 하우징(211)의 하부 덮개(217)에 기립 고정된 지지축(218)과 상기 지지축(218)이 삽입된 관형홈(215b)에 개입되어 있는 탄성스프링(212b)의 장력에 의해 상향으로 밀려진 상태에서 관형홈(215b)에 형성된 슬릿홈(216)과 이에 삽입된 지지축(218)의 핀(219)에 의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록커(215)의 헤드(214)에 일치되도록 적재되는 경우, 컨테이너(C)의 하중이 가해지는 작동구(213)가 록커(215)에 구비된 걸 림턱(215a)에 이르는 거리만큼 하강되는 동안 록커(215)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컨테이너(C)의 적재 초기에는 상기 체결홈(I)에 록커(215)의 헤드(214)가 완전 삽입되어 체결을 위한 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준비상태를 지나 컨테이너(C)의 적재가 더욱 진행되면, 작동구(213)의 하단에 접촉된 걸림턱(215a)에 의해 록커(215)가 동시에 하강되며, 상기 하강동작과 더불어 록커(215)의 관형홈(215b)에 형성된 슬릿홈(216)의 곡면부가 지지축(218)의 핀(219)에 의해 유도되면서 하강동작과 더불어 록커(215)를 록킹하기에 적합한 범위만큼 회전된 후 하강이 완료되어 컨테이너(C)가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상기 고정부(210)의 헤드(214)가 체결된 상태에서 컨테이너(C)를 이재하기 위하여, 수평이송부(100)의 버킷(130)이 상승하여 컨테이너(C)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작동구(213)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스프링(212a,212b)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록킹과정과 반대과정을 거쳐 자동으로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정부(210)에 의하면, 컨테이너(C)를 적재 또는 이재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C)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록킹 또는 록킹해제가 가능하여 중량이 큰 컨테이너(C)를 안전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록킹해제를 위한 수단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어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220)는, 상기 고정부(210)를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부재로써, 트레일러(T)의 적재면, 즉 상부프레임에 구 비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원통형상의 실린더(221)와, 상기 실린더(221)의 내부에 유압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부가 고정부(210)의 덮개(217) 하부에 고정된 승강로더(222)를 가지는 승강용 액츄에이터(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223)의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유압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일러(T)에 설치된 유압장치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220)는,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C)의 적재면 상부에 구비되지 않고 적재면에 별도로 형성된 승강부구비홈(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되어 적재면으로부터 고정부(210)에 지지되는 컨테이너(C)의 하부까지 높이를 최소화 하여 보다 안정적인 컨테이너(C)의 지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승강부(220)에 의하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된 수평이송부(100)의 리프트(120)에 의해 버킷(130)이 상승 동작하여 컨테이너(C)의 하부를 자유 적재해야 하는데, 이 경우 상기 수평이송부(100)의 리프트(120)에 구비된 절첩용 액츄에이터(124)만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의 자유 적재를 상승 동작시 상기 절첩용 액츄에이터(124)에 컨테이너(C)의 무게에 대응된 부하가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버킷(130)의 상승 전에 상기 승강부(220)에 의해 컨테이너(C)가 일정 높이(예를 들면, 버킷(130)의 상승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승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버킷(130)이 상승되도록 하여 컨테이너(C)의 자유 적재시 수평이송부(100)의 리프트(120)에 큰 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수평이송부(100) 에 무리한 부하 전달로 인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컨테이너고정부(200)는, 컨테이너(C)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부(210)와 상기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수평이송부(100)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C)의 하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220)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수평이송부(100)의 상승 높이가 약 30 cm 이상이고 상기 고정부(210)의 높이가 약 30 cm 미만일 경우에 한하며, 상기 고정부(210)의 높이가 약 30 cm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승강부(220)의 구성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수평이송부(100)는, 캐터필러(110)의 상측에 리프트(120)가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120)의 승강동작에 따라 버킷(130)이 승강되면서 컨테이너(C)의 하부가 자유 적재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고정부(200)가 고정부(210)와 승강부(220)를 가지는 경우 상기 리프트(120)의 구성을 생략하고 캐터필러(110)의 상측에 버킷(130)만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220)의 하강동작에 따라 수평이송부(100)의 버킷(130)에 컨테이너(C)가 자유 적재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컨테이너(C)가 이재되어 적재될 화차(F)의 적재면에 구성되는 콘소켓(S)은 상기 컨테이너고정부(200)의 승강부(220)에 대응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를 이용한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이/적재 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화차(F)로 이/적재시키기 위해, 먼저,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컨테이너(C)의 하부 즉, 상기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체결된 컨테이너고정부(200)의 고정부(210) 사이에 수평이송부(100)가 설치된다. 물론, 화차(F)의 적재면에도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체결될 콘소켓(S)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트레일러(T)와 화차(F)에 수평이송부(100), 컨테이너(C)를 고정하기 위한 컨테이너고정부(210)와 콘소켓(S)이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예컨대 화차(F)가 하역스테이션으로 입장하고 트레일러(T)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화차(F)로 이재시키는 경우, 작업자에 의해 수평이송부(100)의 캐터필러(110)의 회전용 액츄에이터(113), 리프트(120)의 절첩용 액츄에이터(124) 및 컨테이터 고정부(200) 승강부(22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223)에 유압공급원을 연결하거나 유압을 공급한다.
이후, 수평이송부(100) 리프트(120)의 절첩용 액츄에이터(124)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출입을 제어하여 리프트(120)를 동작시키게 되면, 절첩용 액츄에이터(124)의 실린더(124a)로 구동로드(124b)가 당겨지게 되면서 관절부재(122)가 서로를 향해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버킷(130)이 승강하게 된다.
이후, 리프트(120)에 의해 버킷(130)이 승강하게 되면서, 컨테이너(C)의 체 결홈(I)에 체결된 컨테이너고정부(200)의 고정부(210)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버킷(130)에 컨테이너(C)가 자유 적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상기 고정부(210)의 헤드(214)가 체결된 상태에서 컨테이너(C)를 이재하기 위하여, 수평이송부(100)의 버킷(130)이 상승하여 컨테이너(C)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더 상승하게 되면, 컨테이너(C)의 하중에 의해 탄성스프링(212a,212b)을 가압하면서 하우징(211)의 내부로 삽입된 작동구(213)와 록커(215)의 압력이 제거되어 작동구(213)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가지게 되고, 이때, 작동구(213)의 하단에 접촉된 걸림턱(215a)에 의해 록커(215)가 동시에 상승되며, 상기 상승동작과 더불어 록커(215)의 관형홈(215b)에 형성된 슬릿홈(216)의 곡면부가 지지축(218)의 핀(219)에 의해 유도되면서 록커(215)가 록킹 해제하기에 적합한 범위만큼 회전된 후 상승이 완료되어 컨테이너(C)의 체결홈(I)으로부터 헤드(214)의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버킷(130)에 컨테이너(C)가 자유 적재되는 과정은, 컨테이너고정부(200)가 승강부(220)를 가지는 경우, 상기 수평이송부(100)의 절첩용 액츄에이터(124)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승강부(22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223)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또는 제어하여 승강로드(222)가 실린더(221) 내부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고정부(210)로부터 록킹 해제되도록 하강됨과 동시에 버킷(130)에 자유 적재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수평이송부(100)의 버킷(130)에 컨테이너(C)가 자유 적재되면, 캐터필러(110)의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출입되는 유압을 제 어하여 정방향으로 작동시켜 수평이송부(100)가 화차(F)의 적재면을 향해 이동된다. 즉, 상기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의 몸체(113a)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유압을 제어하여 구동로드(113b)를 회전시키면, 구동로드(113b)의 풀리(113c)에 연결부재(114c)를 통해 연결된 각각의 회전체(114)의 풀리(114d)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로드(114a)가 회전되며, 또한 동시에 각각의 롤러(114b)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회전체(114)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체(114)의 롤러(114b)에 내측면이 접촉되는 무한궤도(115)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캐터필러(110)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결국 컨테이너(C)가 화차(F)로 이송되게 된다.
이후, 수평이송부(100)가 트레일러(T)에서 화차(F)로 완전 이송되면 캐터필러(110)의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에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하거나 제어하여 상기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의 작동을 정지시켜 캐터필러(110)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리프트(120)의 절첩용 액츄에이터(124)에 대한 유압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제어하여 절첩용 액츄에이터(124)의 실린더(124a)로부터 구동로드(124b)를 밀어내면, 상기 실린더(124a) 및 구동로드(124b)의 단부에 고정된 관절부재(122)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밀려져 버킷(130)이 하강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버킷(130)이 하강하게 되면,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화차(F)의 콘소켓(S)에 체결되어 안착되게 되고, 수평이송부(100)는 리프트(120)가 원위치, 즉, 완전 하강된 상태로 버킷(130)이 컨테이너(C)의 체결홈(I)과 완전 분리되어 자유 이동상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버킷(130)으로부터 화차(F)의 콘소켓(S)에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과정은, 상기 콘소켓(S)이 승강부재를 가지는 경우, 상기 콘소켓(S)이 승강부재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 수평이송부(100)가 화차(F)의 적재면에 이동되면,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콘소켓(S)이 다시 상승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체결 적재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이송부(100)를 다시 트레일러(T)로 복귀시키기 위해, 캐터필러(110)의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의 몸체(113a)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제어하여 구동로드(113b)를 역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의 풀리(113c)에 연결부재(114c)를 통해 연결된 회전체(114)의 풀리(114d)와 회전로드(114a)가 역회전되어 롤러(114b)가 역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회전체(114)에 연결된 무한궤도(115)가 트레일러(T)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캐터필러(110)가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로 이동되어 결국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로 컨테이너(C)의 이/적재가 완성된다.
이후에는 물론, 컨테이너(C)를 화차(F)에 고정 체결시키고, 화차(F)를 목적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역으로,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는 경우는 상기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는 과정과 유사하게 진행된다.
먼저, 화차(F)의 콘소켓(S)에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수평이송부(100)의 캐터필러(110)가 구동되어 화차(F)의 적재면과 컨테이너(C)의 하부 사이로 수평이송부(100)가 이동한다.
이후, 수평이송부(100)의 리프트(120)에 의해 버킷(130)이 승강동작 하게 됨과 동시에 컨테이너(C)의 하부가 자유 적재된다.
이후, 수평이송부(100)의 캐터필러(110)가 역구동되어 화차(F)의 적재면으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 수평이송부(100)가 이동한다.
이후, 수평이송부(100)의 리프트(120)에 의해 버킷(130)이 하강동작 하게 됨과 동시에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컨테이너고정부(200)의 고정부(210)에 체결 고정되어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 사이의 컨테이너(C) 이/적재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10)의 작동구(213)와 록커(215)가 탄성스프링(212a,212b)의 장력에 의해 하우징(211)의 최상부로 밀려진 상태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 상태에서 컨테이너(C)의 체결홈(I)이 록커(215)의 헤드(214)에 일치되도록 적재되는 경우, 적재초기에는 컨테이너(C)의 하중이 가해지는 작동구(213)가 록커(215)에 구비된 걸림턱(215a)에 이르는 거리만큼 하강되는 동안 록커(215)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체결홈(I)에 록커(215)의 헤드(214)가 완전 삽입되어 체결을 위한 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준비상태를 지나 컨테이너(C)의 적재가 더욱 진행되면, 작동구(213)의 하단에 접촉된 걸림턱(215a)에 의해 록커(215)가 동시에 하강되며, 상기 하강동작과 더불어 록커(215)의 관형홈(215b)에 형성된 슬릿홈(216)의 곡면부가 지지축(218)의 핀(219)에 의해 유도되면서 하강동작과 더불어 록커(215)를 록킹하기에 적합한 범위만큼 회전된 후 하강이 완료되어 컨테이너(C)의 삽입홈(I)이 헤드(214)에 의해 안정적으로 체결된 다.
한편, 상기 화차(F)로부터 수평이송부(100)에 컨테이너(C)가 자유 적재되는 동작과, 상기 수평이송부(100)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동작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부(100)의 리프트(120) 동작과 컨테이너고정부(200)의 고정부(210)와 승강부(220) 및 화차(F)의 콘소켓(S)에 구비된 승강부재의 선택적인 동작 제어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자유 적재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수평 왕복 이동하는 수평이송부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복잡한 구성의 컨테이너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컨테이너의 이/적재를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컨테이너고정부에 의해 컨테이너의 하부가 수평이송부의 동작 높이에 대응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부의 컨테이너 자유 적재시 상기 수평이송부에 전달되는 컨테이너의 하중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여 상기 수평이송부가 용이하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에 의해 컨테이너의 하부가 수평이송부의 동작 높이에 대응되도록 승강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부의 컨테이너 자유 적재시 상기 수평이송부에 전달되는 컨테이너의 하중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여 상기 수평이송부가 용이하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 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2중 모드 트레일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 수평이송부의 버킷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수평이송부의 버킷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 내지 5c는 각각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컨테이너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측단면도 및 컨테이너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및
도 6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이/적재 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부호설명*
100 : 수평이송부 200 : 컨테이너고정부
300 : 제어부 400 : 트리거부
C : 컨테이너 F : 화차
S : 콘소켓 T : 트레일러

Claims (10)

  1. 견인차량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며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적재면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일러(T)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거나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C)를 자유 적재한 상태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는 수평이송부(100)와;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수평이송부(100)의 컨테이너(C) 자유 적재가 용이하도록 수평이송부(100)의 적재 높이에 컨테이너(C)의 적재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상기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캐터필러(110);
    상기 캐터필러(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리프트(120); 및
    상기 리프트(120)에 의해 승강되며 컨테이너(C)의 하부를 지지하는 버킷(130)을 포함하고,
    상기 캐터필러(110)는,
    상호 평형을 이루며 대향하는 2개의 프레임(111)을 가지는 본체(112);
    상기 본체(112) 각각의 프레임(11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송부(100)의 왕복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용 액츄에이터(113);
    상기 각각의 프레임(11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용 액츄에이터(113)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 동작되는 복수개의 회전체(114); 및
    상기 회전체(114)에 접촉 설치되며 회전체(114)의 진행방향에 따라 화차(F)와 트레일러(T)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구름 운동하는 무한궤도(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20)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111)의 적정 위치에 일체로 구비되는 각각의 고정편(1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관절부재(122);
    상기 각각의 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관절부재(12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23); 및
    상기 각각의 관절부재(122)를 관절 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연결부재(123)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절첩용 액츄에이터(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고정부(200)는,
    상기 컨테이너(C)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부(210)와;
    상기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고정부(2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는,
    하우징(211)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12a)의 탄력과 외부의 하중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공부(213a)를 가지는 작동구(213);
    상기 작동구(213)의 중공부(213a)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컨테이너(C)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214)를 가지며 상기 작동구(213)의 출몰 동작시 접촉되어 연동되는 걸림턱(215a)을 가지는 록커(215);
    상기 록커(215)의 내부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깊이 만큼 관형홈(215b)이 형성되며 상기 관형홈(215b)에 형성되어 상기 록커(215)의 하강 동작시 일정범위의 회전을 유도하는 곡면을 가지는 슬릿홈(216);
    상기 관형홈(215b)의 내부에 탄성스프링(212b)을 매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되게 하우징(211)의 저면에 결합된 덮개(217)에 고정설치되는 지지축(218); 및
    상기 지지축(218)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슬릿홈(216)에 삽입된 지점을 고정축으로 슬릿홈(216)을 따라 승강되는 록커(215)의 방향을 변위되게 하는 핀(2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220)는,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는 실린더(221)와, 상기 실린더(22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부가 고정부(210)의 덮개(217) 하부에 고정된 승강로더(222)를 가지는 승강용 액츄에이터(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부(100)와 컨테이너고정부(200)를 제어하여 컨테이너(C)의 이/적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평이송부(100)에 상기 컨테이너(C)의 자유 적재시,
    상기 수평이송부(100)가 상승 동작하기 전에 상기 컨테이너고정부(200)에 의해 컨테이너(C)의 하부가 상기 수평이송부(100)의 상승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평이송부(100)의 컨테이너(C) 자유 적재시,
    상기 컨테이너고정부(200)의 승강부(220)에 의해 컨테이너(C)의 하부가 하강되어 상기 수평이송부(100)에 컨테이너(C)의 하부가 자유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T)의 측부에는 상기 트레일러(T)를 하역장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트리거부(4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20090031284A 2009-04-10 2009-04-10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106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284A KR101068453B1 (ko) 2009-04-10 2009-04-10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284A KR101068453B1 (ko) 2009-04-10 2009-04-10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805A KR20100112805A (ko) 2010-10-20
KR101068453B1 true KR101068453B1 (ko) 2011-09-28

Family

ID=4313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284A KR101068453B1 (ko) 2009-04-10 2009-04-10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4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2288A1 (de) * 1993-04-30 1994-11-02 Wolfgang Bermüller Verfahren zum Umsetzen von Wechselbehältern
US6302635B1 (en) * 1997-06-22 2001-10-16 Daimlerchrysler Ag Transshipment system
KR200395830Y1 (ko) * 2005-06-13 2005-09-14 손봉률 컨테이너 자동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2288A1 (de) * 1993-04-30 1994-11-02 Wolfgang Bermüller Verfahren zum Umsetzen von Wechselbehältern
US6302635B1 (en) * 1997-06-22 2001-10-16 Daimlerchrysler Ag Transshipment system
KR200395830Y1 (ko) * 2005-06-13 2005-09-14 손봉률 컨테이너 자동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805A (ko)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782B1 (en) Container crane hoist and system
CN101475003B (zh) 铁路路基铺设抢险石料自卸列车
CN111994651B (zh) 一种新型物料卸料设备以及新型物料卸料装置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US7121782B2 (en) Container lift-off hoist
KR20170097982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1085546B1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KR100993279B1 (ko)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용 컨테이너 수평이송장치
KR101202461B1 (ko) 시설물 구동형 컨테이너 수평 이송 시스템
KR101068453B1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1085545B1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KR20110015135A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KR100993281B1 (ko) 콘테이너 수평이송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CN212686956U (zh) 一种新型物料卸料设备以及新型物料卸料装置
JP5900843B2 (ja) 車載式昇降装置
KR101085552B1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20110015129A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JP2008174340A (ja) 手動走行式リフター
WO2011016667A9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KR20110105600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
KR20110015134A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CN201390257Y (zh) 铁路路基铺设抢险石料自卸列车
KR20120006854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KR20110015131A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20110015127A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