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050B1 - 줄타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줄타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050B1
KR101068050B1 KR1020090108691A KR20090108691A KR101068050B1 KR 101068050 B1 KR101068050 B1 KR 101068050B1 KR 1020090108691 A KR1020090108691 A KR 1020090108691A KR 20090108691 A KR20090108691 A KR 20090108691A KR 101068050 B1 KR101068050 B1 KR 10106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tightrope
support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881A (ko
Inventor
박상일
Original Assignee
박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일 filed Critical 박상일
Priority to KR102009010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0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00Freely-suspended gymnastic apparatus
    • A63B7/08Apparatus for rope-dancing
    • A63B7/085Balancing on a band tensioned between two anchor points, e.g. Slacklin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00Balance be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adder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및 야외로 이동시켜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보관하기가 용이하며, 줄타기와 평균대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줄타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줄타기 운동기구는 수직지지부 및 이 수직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수직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된 바닥지지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지주 및 제2지주와; 제1지주와 제2지주가 이격상태에서 직립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두 지주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지지대와; 제1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과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며 그 양단이 제1지주와 제2지주에 각각 결속되는 로프와; 제1지주와 제2지주 상부에 탑재할 수 있는 평균대장치를 포함하고, 가로지지대는 제1지주로부터 제2지주 쪽으로 길게 연장된 제1가로지지대와, 제2지주로부터 제1지주 쪽으로 길게 연장되며 길이조절을 위해 제1가로지지대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2가로지지대와, 길이조절 후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의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줄타기 운동기구{SPORT APPARATUS FOR TIGHTROPE WALKING}
본 발명은 줄타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및 야외로 이동시켜 설치하거나 보관하기가 용이하며 줄타기 운동과 평균대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줄타기는 줄 위를 걸어 다니면서 여러 가지 재주를 보이는 놀이이다. 줄타기는 몸의 균형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평소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단련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줄타기는 오랜 기간 훈련을 받은 숙련자들만이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일반인이 운동으로 즐기기에는 위험부담이 너무 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429261호는 안전하게 줄타기를 즐기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줄타기용 민속운동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줄타기 운동기구는 양측의 기둥부재에 외줄을 연결하여서 된 줄타기수단과, 하단부가 땅에 매설된 난간부재를 줄타기수단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서 된 안전수단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줄타기 운동기구는 기둥부재와 난간부재가 땅에 고정되기 때 문에 설치한 후에는 이를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공원이나 놀이터와 같은 야외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및 야외로 이동시켜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서 보관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줄타기 운동과 평균대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는 수직지지부 및 이 수직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수직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된 바닥지지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지주 및 제2지주와;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가 이격상태에서 직립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두 지주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지지대와; 상기 제1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과 상기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며 그 양단이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에 각각 결속되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대는 상기 제1지주로부터 상기 제2지주 쪽으로 길게 연장된 제1가로지지대와, 상기 제2지주로부터 상기 제1지주 쪽으로 길게 연장되며 길이조절을 위해 상기 제1가로지지대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2가로지지대와, 길이조절 후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상 기 제2가로지지대의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줄타기 운동기구는 상기 로프의 지지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에 각각 설치된 롤러와, 상기 로프를 감기 위해 상기 제1지주와 제2지주 중 하나에 마련된 권취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로프를 감는 권취부와, 이 권취부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레칫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상기 제2가로지지대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핀과, 상기 체결핀의 장착위치를 변경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상기 제2가로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길이조절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지지대는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측 가로지지대와, 상기 하측 가로지지대와 이격된 상부에서 상기 제1지주의 수직지지부와 상기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를 연결하는 상측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줄타기 운동기구는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의 상부로 오를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주와 제2지주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다리는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의 상부에 놓이도록 그 상단에 연결된 평판부와,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평판부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로프부분이 절개된 연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줄타기 운동기구는 상기 제1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과 상기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균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균대장치는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된 직선형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를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바의 양측 하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로프부분이 절개된 연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줄타기 운동기구는 상기 로프와 평행하도록 상기 로프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안전바와, 상기 안전바의 지지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된 안전바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지지대에는 그 외면을 덮는 완충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바닥지지부는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 T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는 가로지지대의 길이조절을 통해 그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서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실내공간이나 및 야외로 쉽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는 상부에 평균대장치를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줄타기를 하거나 평균대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하나의 장치를 이용해 줄타기와 평균대운동을 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지주(10)와 제2지주(20), 두 지주(10,20)가 이격상태에서 직립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두 지주(10,20)를 연결하는 가로지지대(30,40), 두 지주(10,20)의 상부를 연결하는 로프(50), 두 지주(10,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다리(70)를 포함한다.
제1지주(10)와 제2지주(2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직지지부(11,21)와, 수직지지부(11,21)의 지지를 위해 수직지지부(11,21)의 하단에 T형으로 연결된 바닥지지부(12,22)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두 지주(10,20)를 연결하는 가로지지대는 제1지주(10)와 제2지주(20)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측 가로지지대(30)와, 하측 가로지지대(30)와 소정간격 이격된 상부 위치에서 제1지주(10)의 수직지지부(11)와 제2지주(20)의 수직지지부(21)를 연결하는 상측 가로지지대(40)를 구비한다. 여기서는 안정된 지지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상측과 하측에 상호 평행하도록 두개의 가로지지대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가로지지대는 그 강도를 높게 할 경우 하나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하측 가로지지대(30)는 제1지주(10)로부터 제2지주(20) 쪽으로 길게 연장된 제1가로지지대(31)와, 제2지주(20)로부터 제1지주(10) 쪽으로 길게 연장되며 길이 조절을 위해 제1가로지지대(31)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2가로지지대(32)를 포함한다. 또 제1가로지지대(31)와 제2가로지지대(3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이들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장치가 마련된다. 이 고정장치는 제1가로지지대(31)와 제2가로지지대(32)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핀(33)과, 체결핀(33)의 장착위치를 변경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가로지지대(31)와 제2가로지지대(32)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길이조절공(34)을 포함한다. 상측 가로지지대(40)도 하측 가로지지대(3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된다. 즉 상측 가로지지대(40)도 제1가로지지대(41), 제2가로지지대(44), 체결핀(43), 길이조절공(44)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체결핀(33)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1가로지지대(31)를 제2가로지지대(32) 내부로 진입시키는 방식으로 밀어서 제1지주(10)와 제2지주(20)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할 때는 제1가로지지대(31)를 제2가로지지대(32)로부터 인출하여 두 지주(10,20)사이의 거리를 멀어지게 한 후 체결핀(33)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복수의 길이조절공(34)을 통해 체결핀(33)의 체결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지주(10)와 제2지주(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로프(50)는 제1지주(10)의 수직지지부(11) 상단과 제2지주(20)의 수직지지 부(22)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설치되며 그 양단이 제1지주(10)와 제2지주(20)에 각각 결속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로프(50)의 일단을 제1지주(10)의 수직지지부(11)에 마련된 고리(13)에 걸어서 고정한 후 로프(50)의 타단을 제2지주(20)의 수직지지부(21)에 마련된 권취장치(60)에 감아서 결속한다. 권취장치(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50)를 감는 권취부(61)와, 이 권취부(61)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레칫기구(62)로 구성될 수 있다. 레칫기구(62)는 권취부(61)와 함께 회전하며 외부에 톱니형 걸림부가 마련된 회전체(62a)와, 이 회전체(62a)의 톱니부를 걸어서 구속하는 걸림쇠(62b)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권취장치(60)는 권취부(61)가 로프(50)의 일단을 감아서 당김으로써 로프(50)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하고, 레칫기구(62)가 권취부(61)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로프(50)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로프(50)를 풀 때는 레칫기구(62)의 걸림을 해제하여 권취부(62)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서는 권취장치(60)가 제2지주(20)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였나, 이러한 권취장치(60)는 제1지주(10)와 제2지주(20)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지주(10)와 제2지주(20)의 수직지지부(11,21) 상단에는 권취장치(60)로 로프(50)를 당길 때 로프(50)가 쉽게 당겨지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14,24)가 각각 설치된다.
사다리(70)는 제1지주(10)와 제2지주(20)에 각각 설치되거나 어느 한쪽에만 설치될 수 있다. 사다리(7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로프(50)를 보행하기에 앞서 제1지주(10) 또는 제2지주(20) 위에 올라 설 수 있도록 그 상단부에 연결된 평판부(71)와, 제1 또는 제2지주(10,20)의 수직지지부(11,21) 상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평판부(71)의 저면에 마련된 원통형의 연결캡(72)을 구비한다. 연결캡(72)에는 연결캡(72)을 수직지지부(11,21) 상단에 결합시킬 때 로프(50)와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로프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73)이 마련된다. 이러한 사다리(70)는 수직지지부(11,21) 상부에 연결캡(72)을 씌우는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줄타기 운동과 평균대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지주(10)와 제2지주(20) 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균대장치(80)를 구비한다. 이 평균대장치(80)는 제1지주(10)와 제2지주(20)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마련되고 그 상면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된 수평바(81)와, 수평바(81)를 제1 및 제2지주(10,20)의 수직지지부(11,21) 상단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수평바(81)의 양측 하부에 각각 마련된 연결캡(82)을 포함한다. 연결캡(82)은 사다리의 연결캡(72)과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로프부분에 절개홈(83)을 구비하고, 수평바(81)의 하면에 나사체결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플랜지부(84)를 구비한다.
이러한 평균대장치(80)는 평균대운동을 하고자 할 때 양측의 연결캡(82)을 제1지주(10)와 제2지주(20)의 상단에 씌우는 방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 분리해 둘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로프(50)의 양측에 안전바(90)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안전바(90)는 금속재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로프(50)와 평행 하게 로프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이를 위해 제1지주(10)와 제2지주(20)의 수직지지부(11,21) 상부 양측에는 안전바(90)를 끼워서 설치할 수 있는 안전바지지부(91)가 각각 마련된다. 이는 초보자가 줄타기를 연습하는 과정에서 중심을 잃을 경우 안전바(90)에 발을 올려 몸을 지탱함으로써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줄타기가 어느 정도 숙련된 사람은 이러한 안전바(90)를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측 및 하측 가로지지대(30,40)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 기능을 가진 완충덮개(100)가 설치된다. 완충덮개(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스펀지 등으로 구성되며 그 하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원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완충덮개(100)는 사용자가 줄타기 운동을 하다가 로프(50)로부터 낙하하여 상측 또는 하측 가로지지대(30,40)에 부딪힐 경우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이러한 줄타기 운동기구의 사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지주(10)와 제2지주(2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측 및 하측 가로지지대(30,40)의 길이를 줄인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 상측 및 하측 가로지지대(30,40)는 제1가로지지대(31,41)의 외면에 제2가로지지대(32,4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체결핀(33,43)을 분리한 상태에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서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실내공간이나 및 야외로 쉽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사용을 위해 설치할 때는 먼저 상측 및 하측 가로지지대(30,40)의 길이를 원 하는 길이로 조절한 후 체결핀(33,43)으로 고정하고, 상측 및 하측 가로지지대(30,40) 외면에 완충덮개(1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지주(10,20)의 상부에 로프(50)를 건 후 권취장치(60)를 이용해 로프(50)를 당겨 로프(50)의 장력을 조절한다. 로프(50)를 설치한 후에는 제1지주(10)와 제2지주(20)에 사다리(70)를 설치하는 것으로 사용 준비를 완료한다. 줄타기 초보자인 경우에는 로프(50) 양측에 안전바(9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평균대로 이용할 때는 제1지주(10)와 제2지주(20)에 설치된 사다리(70)를 분리한 다음 그 위에 평균대장치(80)를 탑재한다. 평균대장치(80)는 그 하측의 연결캡(82)이 두 지주(10,20)의 상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연결캡(82)에 절개홈(83)이 있기 때문에 로프(5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의 사다리와 권취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에 평균대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의 평균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줄타기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 예로, 안전바가 구비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지주, 20: 제2지주,
30: 하측 가로지지대, 40: 상측 가로지지대,
50: 로프, 60: 권취장치,
70: 사다리, 80: 평균대장치,
90: 안전바.

Claims (10)

  1. 수직지지부 및 이 수직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수직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된 바닥지지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지주 및 제2지주와;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가 이격상태에서 직립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두 지주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지지대와;
    상기 제1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과 상기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며 그 양단이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에 각각 결속되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지지대는 상기 제1지주로부터 상기 제2지주 쪽으로 길게 연장된 제1가로지지대와, 상기 제2지주로부터 상기 제1지주 쪽으로 길게 연장되며 길이조절을 위해 상기 제1가로지지대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2가로지지대와, 길이조절 후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상기 제2가로지지대의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지지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에 각각 설치된 롤러와, 상기 로프를 감기 위해 상기 제1지주와 제2지주 중 하나에 마련된 권취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로프를 감는 권취부와, 이 권취부의 역회전을 제한하 는 레칫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상기 제2가로지지대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핀과, 상기 체결핀의 장착위치를 변경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상기 제2가로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 상호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길이조절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는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측 가로지지대와, 상기 하측 가로지지대와 이격된 상부에서 상기 제1지주의 수직지지부와 상기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를 연결하는 상측 가로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의 상부로 오를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주와 제2지주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다리는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의 상부에 놓이도록 그 상단에 연결된 평판부와,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 록 상기 평판부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로프부분이 절개된 연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과 상기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균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대장치는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된 직선형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를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바의 양측 하부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로프부분이 절개된 연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와 평행하도록 상기 로프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안전바와, 상기 안전바의 지지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수직지지부 상부 양측에 각각 마련된 안전바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에는 그 외면을 덮는 완충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주의 바닥지지부는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 T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타기 운동기구.
KR1020090108691A 2009-11-11 2009-11-11 줄타기 운동기구 KR10106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91A KR101068050B1 (ko) 2009-11-11 2009-11-11 줄타기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91A KR101068050B1 (ko) 2009-11-11 2009-11-11 줄타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81A KR20110051881A (ko) 2011-05-18
KR101068050B1 true KR101068050B1 (ko) 2011-09-28

Family

ID=4436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691A KR101068050B1 (ko) 2009-11-11 2009-11-11 줄타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581B1 (ko) 2015-10-14 2017-03-14 정태연 장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로프 복합 평균대
FI11562U1 (fi) * 2016-12-20 2017-03-06 Tiimataito Oy Tasapainopuomi kehon harjoittamista vart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648A (ja) * 1994-08-02 1996-02-13 Oriental Sangyo Kk 綱渡り用走行車及びこれを用いた遊戯装置
JPH08318005A (ja) * 1995-05-24 1996-12-03 Naomi Urata 遊戯具
KR200228416Y1 (ko) 2000-12-13 2001-06-15 이범관 조립식 평균대
KR200429261Y1 (ko) 2006-07-22 2006-10-20 한각수 외줄타기용 민속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648A (ja) * 1994-08-02 1996-02-13 Oriental Sangyo Kk 綱渡り用走行車及びこれを用いた遊戯装置
JPH08318005A (ja) * 1995-05-24 1996-12-03 Naomi Urata 遊戯具
KR200228416Y1 (ko) 2000-12-13 2001-06-15 이범관 조립식 평균대
KR200429261Y1 (ko) 2006-07-22 2006-10-20 한각수 외줄타기용 민속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81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36724B2 (en) Modular Play Set
US8708104B1 (en) Rotatable tree stand
US8672770B2 (en) Stand up swing apparatus
US10064403B2 (en) Safety rail
US10895109B2 (en) Step extension assembly for tree stand and kit including the same
KR101068050B1 (ko) 줄타기 운동기구
US5033734A (en) Training aid for skaters
KR101478964B1 (ko) 갱폼용 사다리
GB2461335A (en) Multipurpose trampoline
US20140202796A1 (en) Rotatable tree stand
KR20140015947A (ko) 가변형 놀이기구
US20060058166A1 (en) Portable Exerciser
ES2937054T3 (es) Escalera deslizante de seguridad para trabajar a gran altura contra una fachada o un poste
KR200429261Y1 (ko) 외줄타기용 민속운동기구
KR101696078B1 (ko) 휴대용 네트장치
KR200451834Y1 (ko) 평행봉 보조대
NZ748719B2 (en) Modular play set
US10688400B1 (en) Playground stand-up sw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75565A1 (en) Combination play set and excercising station
CN209828245U (zh) 一种具备安全防护装置的悬崖秋千
KR20190042933A (ko) 휴대용 접이식 사다리
CN207506909U (zh) 一种带有吊桩和吊环的攀爬桥
JP4808680B2 (ja) 樹木高所切断作業用トレーニング装置
NL2021098B1 (en) Recreational jumping system, inflatable wall-shaped drop stitch member, support structure, trampoline frame, and set of parts
CA2724157C (en) Hunting ladder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