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868B1 - 의료용 거침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거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868B1
KR101067868B1 KR1020080065614A KR20080065614A KR101067868B1 KR 101067868 B1 KR101067868 B1 KR 101067868B1 KR 1020080065614 A KR1020080065614 A KR 1020080065614A KR 20080065614 A KR20080065614 A KR 20080065614A KR 101067868 B1 KR101067868 B1 KR 101067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rotation
needle
members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533A (ko
Inventor
조철민
Original Assignee
조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민 filed Critical 조철민
Priority to KR102008006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8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거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거침장치는 일방향으로 뻗은 회전중심축선에 대해 회전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방사형리브들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형리브들 중 인접한 방사형리브들 사이사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긴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각 슬릿에, 일단부측이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끼움부재; 상기 각 끼움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바늘부재;를 구비하는 의료용 거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끼움부재가 상기 각 슬릿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각 끼움부재의 회전부재에 대향하는 일면과 반대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타면은,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일단부, 타단부,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가운데에 위치한 중심부 및 상기 바늘부재가 상기 타면을 관통함으로써 그 바늘부재의 외주면과 타면이 만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중심부의 직선거리가 가장 길고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의 직선거리가 가장 작으며,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단부측에서 상기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직선거리가 점점 길어지고, 상기 중심부 측에서 타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선거리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부재, 끼움부재, 바늘부재

Description

의료용 거침장치{Micro-needle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의료용 거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바늘부재가 피침되는 인체의 피부에, 각 바늘부재가 인체의 피부에 피침되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각 바늘부재와 인체의 피부 간의 접촉면적을 작게 하여 각 바늘부재의 피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료용 거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거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들은 등록특허 제768550호에 개시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거침장치는 손잡이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각 슬릿에 결합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각 끼움부재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늘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각 슬릿은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방사형리브들의 사이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거침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한 쌍의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재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의료용 거침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재를 파지하고 상기 바늘부재를 의학적 시술(예컨대 피부미용)이 요구되는 인체의 피부, 예컨대 얼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그 손잡이부재에 힘을 가하면서 상기 회전부재를 롤링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그 가압된 부위에서 혈액을 강제 유출시킨 다음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피부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거침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인체의 피부는 어느 부위에서나 모두 평평한 면을 갖지 못하고 대부분 곡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상을 가지는 피부에, 접촉되는 면이 평평한 끼움부재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끼움부재의 가운데 부위(도3 기준)가 접촉하는 인체의 피부가 상대적으로 깊이 들어가고 상기 끼움부재의 양측단부(도3 기준)가 가운데 부위에 비해 덜 들어가기 때문에, 복수의 바늘부재의 피부에 피침되는 정도가 가운데 부위는 상대적으로 조금 들어가고, 양측단부는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각 바늘부재가 요구되는 깊이만큼 피부에 피침되지 못하여 침투되는 약물의 정도 등의 차이로 미용시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각 바늘부재가 인체의 피부에 피침되는 경우에, 상기 끼움부재의 면이 인체의 피부에 접촉된다. 따라서, 곡면형상을 가지는 피부가 상기 각 바늘부재 사이의 끼움부재에 불필요하게 가압되어 눌리면서 상기 피부에 대한 바늘부재의 피침정확도를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바늘부재가 인체의 피부에 균일하게 피침될 수 있게 하는 의료용 거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늘부재의 피부에 대한 피침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용 거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뻗은 회전중심축선에 대해 회전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방사형리브들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형리브들 중 인접한 방사형리브들 사이사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긴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각 슬릿에, 일단부측이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끼움부재; 상기 각 끼움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바늘부재;를 구비하는 의료용 거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끼움부재가 상기 각 슬릿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각 끼움부재의 회전부재에 대향하는 일면과 반대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타면은,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일단부, 타단부,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가운데에 위치한 중심부 및 상기 바늘부재가 상기 타면을 관통함으로써 그 바늘부재의 외주면과 타면이 만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중심부의 직 선거리가 가장 길고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의 직선거리가 가장 작으며,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단부측에서 상기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직선거리가 점점 길어지고, 상기 중심부 측에서 타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선거리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각 슬릿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접한 끼움부재들 사이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채움구멍 및 상기 각 채움구멍에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채워지는 복수의 채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채움구멍은, 상기 슬릿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제1구멍과,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구멍보다 먼 위치에 형성되는 제2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움부재는, 상기 제1구멍에 채워지는 제1채움부와, 상기 제2구멍에 채워지는 제2채움부와,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그 끼움부재의 끼움방향으로 위치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축방향 양단부에 채워지는 제3채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바늘부재가 관통하는 상기 끼움부재의 각 구멍은 상기 끼움부재의 일면에서 타면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각 바늘부재는 상기 끼움부재의 접촉부를 통해 상기 끼움부재에 억지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접한 접촉부들 사이사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홈과 접촉부를 잇는 선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서, 상기 접촉부가 엠보싱 형 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거침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인체의 피부에 대한 바늘부재의 피침깊이가 그 피부와 끼움부재 간의 접촉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미용시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끼움부재와 인체의 피부 간의 접촉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바늘부재가 원하는 피부 위치에 정확하게 피침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거침장치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일방향으로 뻗은 회전중심축선에 대해 회전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방사형리브들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형리브들 중 인접한 방사형리브들 사이사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긴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110)와, 상기 각 슬릿에, 일단부측이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끼움부재(120)와, 상기 각 끼움부재(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끼움부재(120)가 상기 회전부 재(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110)와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바늘부재(130)를 구비하고, 이러한 구성들에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특유의 효과를 도출시키는 구성으로 아래와 같은 구성을 더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는 상기 각 끼움부재(120)가 상기 각 슬릿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각 끼움부재(120)의 회전부재(110)에 대향하는 일면과 반대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타면(120')은,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일단부(121), 타단부(122), 상기 일단부(121)와 타단부(122)의 가운데에 위치한 중심부(123) 및 상기 바늘부재(130)가 상기 타면(120')을 관통함으로써 그 바늘부재(130)의 외주면과 타면(120')이 만나는 접촉부(124)를 가진다.
이러한 끼움부재(120)의 타면(120')은, 상기 중심부(123)의 직선거리(L1)가 가장 길고 상기 일단부(121)와 타단부(122) 각각의 직선거리(L2)가 가장 작으며,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단부(121)측에서 상기 중심부(123) 측으로 갈수록 직선거리가 점점 길어지고, 상기 중심부(123) 측에서 타단부(122) 측으로 갈수록 직선거리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끼움부재(120)의 타면(120')이 인체의 피부, 예컨대 얼굴에 접촉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끼움부재(120)의 타면(120')에 접촉되는 인체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접촉면의 가운데 부위가 접촉면의 양단부 측보다 움푹 들어가게 되는데 상기 중심부(123)가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어, 접촉면의 가운데 부위가 양단부보다 더 들어간 만큼에 해당하는 깊이를 보상하게 됨으로써, 상기 바늘부재(130)가 상기 타면(120')의 일단부(121), 타단부(122), 중심부(123) 및 접촉부(124)에서 거의 동일한 깊이만큼 피침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거침장치는 복수의 바늘부재(130)가 균일한 깊이로 인체의 피부 표면적에 골고루 피침됨으로써, 피부 내피의 원하는 위치에 약물이 골고루 침투될 수 있게 하여 피부미용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의해 도출되는 효과 이외에 복수의 바늘부재(230)가 인체의 피부에 정밀하게 피침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본 실시예는 끼움부재(220)와 인체의 피부 간의 접촉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끼움부재(220)에 의해 인체의 피부가 눌려서 바늘부재(230)가 원하는 피부 위치에 정확하게 피침되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을 도출해 내기 위해, 본 실시예는 인접한 접촉부(224)들 사이사이에 상대적으로 움푹 패인 홈(G)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G)의 형성으로 인하여, 끼움부재(220)와 인체의 피부 간의 불필요한 접촉을 억제할 수 있어, 각 바늘부재(230)의 인체의 피부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제3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보다 바늘부재(330)가 인체의 피부에 더욱 정밀하게 피침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제 3실시예는 인접한 접촉부(324)들 사이사이에, 제2실시예의 홈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곡면 형상의 홈(G)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3실시예는 곡면형의 홈(G)에 눌려진 피부가 수용되게 함으로써, 끼움부재(320)와 인체의 피부 간의 불필요한 접촉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각 바늘부재(330)의 인체의 피부에 대한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이며,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성형과정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그 성형방법 및 구조에 있어서 다르다.
즉, 상기 제4실시예는 도 8 및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재(420)가 각 슬릿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접한 끼움부재(420)들 사이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채움구멍(421)과, 상기 각 채움구멍(421)에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채워지는 복수의 채움부재(44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채움구멍(421)은, 상기 슬릿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제1구멍(421a)과,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구멍(421a)보다 먼 위치에 형성되는 제2구멍(421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채움부재(440)는, 상기 제1구멍(421a)에 채워지는 제1채움부(441)와, 상 기 제2구멍(421b)에 채워지는 제2채움부(442)와, 상기 끼움부재(420)가 상기 회전부재(410)로부터 그 끼움부재(420)의 끼움방향으로 위치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부재(410)의 축방향 양단부에 채워지는 제3채움부(443)를 구비한다.
이러한 채움부재(440)는 상기 채움구멍(421)에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상기 끼움부재(420)와 회전부재(410) 간의 부품공차로 인한 틈새를 메워준다. 예컨대, 도 9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10)와 끼움부재(420)가 결합되어 있는 조립품을 금형에 넣고 용융물을 상기 금형의 내부로 주입하는 인서트 사출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도 10과 같이 상기 제1구멍(421a)에 제1채움부(441)가 채워지고 상기 제2구멍(421b)에 제2채움부(442)가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성형과정에 의하면, 상기 바늘부재(430)가 인체의 피부 내측으로 침투하여 발생하는 혈액이, 상기 틈새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재활용이 가능하거나 폐기시에는 상기 틈새로 유입된 혈액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줄어 그 폐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3채움부(443)는, 설명의 편의상 도 10과 도 11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도 10의 제1구멍(421a) 및 제2구멍(421b)에 유입되는 용융물이 상기 회전부재(410)의 축방향 양단부측에 채워짐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3채움부(443)가 상기 회전부재(410)의 양단부측에 채워짐으로써, 상기 회전부재(410)가 상기 끼움부재(420)의 끼움방향(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위치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는, 도 1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 재(420)가 슬릿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재(420)의 회전부재(410)에 대향하는 일면과 반대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타면(420')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4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바늘부재(430)가 균일한 깊이로 인체의 피부 표면적에 골고루 피침됨으로써, 피부 내피의 원하는 위치에 약물이 골고루 침투될 수 있게 하여 피부미용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5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끼움부재(520)의 타면의 형상을 제외하고 앞에서 설명한 제4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끼움부재(520)의 타면 형상은 앞에서 설명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이서, 상기 끼움부재(520)의 타면 형상에 따른 기능 및 장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6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끼움부재(620)의 타면의 형상을 제외하고 앞에서 설명한 제4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끼움부재(620)의 타면 형상은 앞에서 설명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이서, 상기 끼움부재(620)의 타면 형상에 따른 기능 및 장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앞에서 설명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바늘부재가 관통하는 상기 끼움부재의 구멍(A)은 상기 끼움부재의 일면에서 타면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바늘부재는 끼움부재의 접촉부를 통해 그 끼움부재에 억지끼워맞춤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바늘부재와 끼움부재 간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 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거침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3에 대응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3에 대응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3에 대응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1에 대응되는 도면.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성형과정도.
도 12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도 3에 대응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5에 대응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거침장치의 도 6에 대응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회전부재 120:끼움부재
120':타면 121:일단부
122:타단부 123:중심부
124:접촉부 130:바늘부재

Claims (6)

  1. 일방향으로 뻗은 회전중심축선에 대해 회전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방사형리브들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형리브들 중 인접한 방사형리브들 사이사이에는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긴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각 슬릿에, 일단부측이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끼움부재; 상기 각 끼움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바늘부재;를 구비하는 의료용 거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끼움부재가 상기 각 슬릿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각 끼움부재의 회전부재에 대향하는 일면과 반대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타면은,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일단부, 타단부,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가운데에 위치한 중심부 및 상기 바늘부재가 상기 타면을 관통함으로써 그 바늘부재의 외주면과 타면이 만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가지며,
    상기 중심부의 직선거리가 가장 길고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의 직선거리가 가장 작으며,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일단부측에서 상기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직선거리가 점점 길어지고, 상기 중심부 측에서 타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선거리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거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각 슬릿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접한 끼움부재들 사이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채움구멍; 및
    상기 각 채움구멍에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채워지는 복수의 채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거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구멍은, 상기 슬릿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제1구멍과,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구멍보다 먼 위치에 형성되는 제2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움부재는, 상기 제1구멍에 채워지는 제1채움부와, 상기 제2구멍에 채워지는 제2채움부와,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그 끼움부재의 끼움방향으로 위치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축방향 양단부에 채워지는 제3채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거침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늘부재가 관통하는 상기 끼움부재의 각 구멍은 상기 끼움부재의 일면에서 타면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각 바늘부재는 상기 끼움부재의 접촉부를 통해 상기 끼움부재에 억지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거침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들 중 인접한 접촉부들 사이사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거침장치.
  6. 삭제
KR1020080065614A 2008-07-07 2008-07-07 의료용 거침장치 KR101067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14A KR101067868B1 (ko) 2008-07-07 2008-07-07 의료용 거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14A KR101067868B1 (ko) 2008-07-07 2008-07-07 의료용 거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33A KR20100005533A (ko) 2010-01-15
KR101067868B1 true KR101067868B1 (ko) 2011-09-27

Family

ID=4181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614A KR101067868B1 (ko) 2008-07-07 2008-07-07 의료용 거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2406B1 (fr) 2015-10-15 2017-12-15 Oreal Dispositif de massage et de soin
KR200487901Y1 (ko) 2018-07-25 2018-11-19 송현서 개선된 붙임 머리
KR20200011827A (ko) 2018-07-25 2020-02-04 송현서 개선된 붙임 머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852Y1 (ko) 2005-03-04 2005-05-19 비알 컨설팅 인코포레이티드 지압구
KR20070105841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미세바늘유닛과 이를 갖는 롤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8004818A1 (en) 2006-07-05 2008-01-10 Cheol-Min Cho Rotating body for medical treatment
KR100824940B1 (ko) 2006-11-06 2008-04-28 박상석 스킨 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852Y1 (ko) 2005-03-04 2005-05-19 비알 컨설팅 인코포레이티드 지압구
KR20070105841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미세바늘유닛과 이를 갖는 롤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8004818A1 (en) 2006-07-05 2008-01-10 Cheol-Min Cho Rotating body for medical treatment
KR100824940B1 (ko) 2006-11-06 2008-04-28 박상석 스킨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33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868B1 (ko) 의료용 거침장치
US7824382B2 (en) Needle tip
US20110295204A1 (en) Tube assembly for controlling length of syringe needle
US20190209369A1 (en) Ophthalmic surgical instrument with internal frame and external coating
US20070135741A1 (en) Massage device including at least two rotary annular lips and method using same
KR101897958B1 (ko) 피부 자극을 위한 미용기
US11801372B2 (en) Microneedle array
CN108434557B (zh) 针座及相关的使用方法
KR20120119250A (ko) 단턱이 형성된 미세바늘
WO2012098767A1 (ja) 針付きシリンジ及び針付きシリンジの製造方法
KR102137760B1 (ko) 주사기용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및 주사기용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의 제조 방법
KR101005228B1 (ko) 의료용 거침장치
JP6198694B2 (ja) 注射針
JP2003116960A (ja) 鍼灸針
WO2017063989A1 (en) Massage and beauty care device
KR20200036973A (ko) 마이크로 니들 구조체
KR100912686B1 (ko) 의료용 거침장치
FR3100434B1 (fr) Applicateur pour le maquillage des fibres kératiniques humaines, notamment des sourcils
CN219167298U (zh) 一种限位针套和注射器
WO2019097621A1 (ja) 注射針
EP3939638A1 (en) Pen needle
KR101120467B1 (ko) 다수 개의 니들들을 포함하는 니들 롤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10714A (ko) 피부 마사지기구
JP5931130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射出成形用金型
CN213077209U (zh) 一种出药式皮肤滚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