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279B1 - 자동차용 경적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경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279B1
KR101067279B1 KR1020100131450A KR20100131450A KR101067279B1 KR 101067279 B1 KR101067279 B1 KR 101067279B1 KR 1020100131450 A KR1020100131450 A KR 1020100131450A KR 20100131450 A KR20100131450 A KR 20100131450A KR 101067279 B1 KR101067279 B1 KR 10106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act
horn device
lifting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천
정연진
Original Assignee
(주)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텍 filed Critical (주)유니텍
Priority to KR102010013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경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1)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경적을 울리는 경적장치로서, 상기 자동차용 경적장치는 커버(5)의 눌림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판(10)과, 상기 승강판(10)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10)과 체결부재(22)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20)과, 상기 승강판(10)과 고정판(20)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스프링(24)과, 상기 승강판(10)과 체결되어 있는 접점샤프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5)의 가압시 승강판(10)이 하강하여 승강판(10)의 저면과 고정판(20)에 형성된 접점(21)이 붙음으로써 전기가 흘러 경적이 울리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경적장치{Car horn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용 경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경적을 울리는 경적장치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적장치는 운전자가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음원 발생을 위한 경음기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경음기는 공기식과 전기식이 있고 근래에는 주로 전기식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전기식은 전자석에 의해 금속제의 막을 진동시켜 음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경적장치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0146840호에 개시되어 있는 자동차의 경적장치가 있으며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자동차의 경적장치는 전력을 공급받으면 막의 진동으로 소리를 발하는 경음기(40)와, 상기 경음기(4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경음기스위치(10)와, 스티어링 휠(2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음기스위치(1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판(50)과, 스티어링 칼럼(30) 상부에 설치되며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봉(90)과, 상기 지지봉(90) 상부에 부분 매몰되어 상기 접촉판(50)과 접속되는 접촉부재(80)와, 상기 지지봉(90)을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촉판(50)에 밀착되도록 하는 스프링(70)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접촉부재(80)는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경적장치는 스티어링 휠 중심축에 형성된 커버에 의해 경음기 스위치(10)를 개폐하게 되는데 종래의 경음기 스위치는 각각 별도의 전선이 접촉판(50)과 연결되어 있어야하고 사용자의 작동 후 원위치로 돌려주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이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위 도 11에 도시된 경적장치에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20) 내부의 구성이 복잡하고 이와 별도의 접촉판(20), 접촉부재(80), 지지봉(90) 및 스프링(70) 등의 구성이 필요하여 경적장치 전체의 제조비용이 상승된다.
또한, 접촉판(50)이 스티어링 휠(20)의 하측부에 형성되고 접촉판(20), 접촉부재(80), 지지봉(90) 및 스프링(70) 등의 구성에는 전기가 항상 흐르고 있으므로 별도의 절연부재와 이러한 절연부재를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가 필요하다.
또 다른 경적장치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0431433호에 개시되어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경적발생장치의 승강판 지지기구가 있으며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물론 도 12에 도시된 도면은 위 등록실용신안 제0431433호에서 종래기술로 제시한 경적발생장치이다).
이러한 종래 경적발생장치는 경적발생장치를 보호하는 커버(31)와,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판(15)과, 승강판(15) 위의 베이스판(33)과, 제2절연부재(23)에 의해 절연되어 승강판(15)과 결합되는 지지볼트(17)와, 지지볼트(17)의 외부에 형성된 스프링(25)과, 베이스판(33)과 승강판(15)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제1절연부재(19)와, 승강판(15)에 형성된 이동접점(21)과,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접점(29)과 상기 고정접점(29)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2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적발생장치의 작동은 사용자가 F 방향으로 커버(31)에 힘을 가하면 베이스판(33) 및 승강판(15)이 제1절연부재(19)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어 같이 하강하면서 이동접점(21)과 고정접점(29)이 부착되고 이로써 전기가 흘러 경음기를 울리게 된다.
이런 종래의 경적발생장치는 베이스판(33)으로의 전기흐름을 차단해주기 위해 복잡한 형태의 제1절연부재(19)가 필요하고, 이에 더해 지지볼트(17)와 승강판(15)과의 절연을 위해 제2절연부재(23)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승강판(15)에 제2절연부재(23)와 스프링(25)을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볼트(17)에 의해 고정부(27)와 승강판(15)을 고정해야하고 이에 더해 제1절연부재(19) 역시 승강판(15)에 결합되어 있어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복잡한 형상으로 인한 가공비 역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용 경적장치를 제공하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단순한 구성으로 인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경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 내에 별도의 전선을 없앰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구성을 간략히 하고 스티어링 칼럼과의 조립성을 높이며 이로써 유지보수 또한 편리한 자동차용 경적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경적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형성된 커버를 누르면 전기가 흘러 경적이 울리는 자동차용 경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경적장치는 커버의 눌림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과, 상기 승강판과 고정판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스프링과, 상기 승강판과 체결되어 있는 접점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경적장치는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단순한 구성으로 인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경적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휠 내에 별도의 전선을 없앰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구성을 간략히 하고 스티어링 칼럼과의 조립성을 높이며 이로써 유지보수 또한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사시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분 조립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도
도 6은 도 5를 타관점에서 살펴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판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판과 접점샤프트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구성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구성예시도
도 11과 도 12는 종래 자동차용 경적장치의 구성예시도
본 발명은 자동차용 경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경적을 울리는 경적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분 조립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를 타관점에서 살펴본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경적장치는 스티어링 휠(1)에 형성된 커버(5)를 누르면 전기가 흘러 경적이 울리는 자동차용 경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경적장치는 커버(5)의 눌림에 따라 승강되며 스티어링샤프트(2)와 너트(6)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승강판(10)과, 상기 승강판(10)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10)과 체결부재(22)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20)과, 상기 승강판(10)과 고정판(20)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스프링(24)과, 상기 승강판(10)과 체결되어 있는 접점샤프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5)의 가압시 승강판(10)이 하강하여 승강판(10)의 저면과 고정판(20)에 형성된 접점(21)이 붙음으로써 전기가 흘러 경적이 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는 스티어링 칼럼(3), 칼럼링(4), 접점링(7), 전선(8) 등이다.
나머지 도면 즉,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판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판과 접점샤프트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구성예시도이다.
먼저, 승강판(10)은 커버(5)의 눌림에 따라 승강되는데 상기 커버(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누름돌기(5a)가 커버(5)와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5)가 눌리게 되면 누름돌기(5a)가 승강판(10)을 누르게 되며, 일측에는 결합후크(5b)가 형성되어 스티어링 휠(1)과 결합된다.
상기 승강판(10)과 일정거리 떨어져서 고정판(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승강판(10)과 고정판(20)은 체결부재(22)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2)의 일측 즉, 고정판(20)과는 볼트(25)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에는 후크(23)가 형성되어 있어 승강판(10)에 형성된 후크결합홈(11)에 후크(23)가 결합되고 나면 후크(23) 사이의 거리를 좁혀주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부연하면, 상기 체결부재(22)는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승강판(10)과 고정판(20)은 접점(21)이 열려있는 경우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으며,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승강판(10)에 형성된 후크결합홈(11)에 끼워질 때에는 양쪽 후크(23) 사이의 거리가 좁아진 상태 즉, 압축된 상태에서 끼워지고 후크결합홈(11)에 완전히 끼워진 후에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승강판(10)이 후크(23)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판(20)과 체결부재(22)를 볼트(25)에 의해 결합하는 방식에 대해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 볼트 이외의 결합부재 즉, 너트를 사용할 경우 체결부재(22)의 일부분이 고정판(20) 아래로 나오도록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산에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볼트나 너트 대신 멈춤링을 사용할 경우 체결부재(22)의 일부분이 고정판(20) 아래로 나오도록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 중 일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멈춤링이 결합됨으로써 체결부재(22)와 고정판(20)을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판(10)은 체결부재(22)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항상 고정판(20)과 멀어지는 쪽으로 힘을 받고 있으나, 상기 후크(23)에 의해 더 이상 밀려나갈 수 없어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승강판(10)과 고정판(20)의 간격은 유지된다.
상기 승강판(1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판(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판(12)에는 체결스프링(13)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체결스프링(13)의 타측은 접점샤프트(14)와 결합된다.
상기 접점샤프트(1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접점링(7)과 체결스프링(13)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항상 접해 있으며 이는 스티어링 휠(1)의 회전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접점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접점링(7)은 도 2와 도 3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링 형상이므로 접점샤프트(14)의 회전에 관계없이 접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승강판(10)이 커버(5)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면 승강판(10)의 저면과 고정판(20)에 형성된 접점(21)이 접속함으로써 전기가 흘러 전선(8)과 연결되어 있는 경음기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기의 흐름에 대해 다시 살펴보면, 너트(6)에 의해 스티어링샤프트(2)와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20) 쪽으로는 항상 전원이 개방되어 있으나, 승강판(10)과 고정판(20)에 형성된 접점(21)이 열려있게 되면 고정판(20)에 흐르는 전류가 승강판(10) 쪽으로의 흐름이 차단된다. 물론, 승강판(10)은 내부에 형성된 홈으(15)로 인해 너트(6)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때 승강판(10)이 하강하여 고정판(20)의 접점(21)과 접하게 되면 고정판(20)에 흐르던 전류는 접점(21)을 통해 승강판(10) 쪽으로 전달되고 이후 체결판(12), 체결스프링(13), 접점샤프트(14)를 거쳐 접점링(7)을 통해 전선(8)으로 흐르게 되어 전기회로가 완성되므로 결국 경음기가 작동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판(20) 쪽으로의 전원이 항상 개방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승강판(10)에 항상 전원이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승강판(10)이 하강하여 고정판(20)의 접점과 접속되게 되면 전선(8)을 통해 흐르던 전류가 접점링(7), 접점샤프트(14), 체결스프링(13), 체결판(12), 승강판(10)을 순차적으로 거쳐 접점(21)을 통해 고정판(20)으로 흐르게 되어 결국 스티어링샤프트(2) 쪽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점샤프트(1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원뿔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어 칼럼링(4)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접점링(7)과의 접점성을 높이고 스티어링 휠(1)의 회전시 마찰면적을 줄여 회전에 대한 간섭을 줄이도록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접점샤프트(14)는 승강판(10)에 형성된 체결판(12)과 체결스프링(13)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자유도가 높으므로 이를 방지해주기 위해 도 3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에는 관통홈(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관통홈(9)에 의해 접점샤프트(14)는 접점샤프트(14)의 반경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축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어 체결스프링(13)이 접점링(7)에 의해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 결합되게 되어 상기 접점샤프트(14)는 승강판(1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항상 힘을 받으므로 접점링(7)과 접점샤프트(14)의 접점이 떨어질 우려는 없다.
이때, 상기 접점샤프트(14)의 단면은 평면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평면형상의 단면은 접점링(7)과 접촉되는 면적의 증가로 인해 스티어링 휠(1)의 회전시 소음발생의 우려가 높다.
상기 고정판(20)에 형성되는 접점(21)은 최소 2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고정판(20)과 승강판(10)의 형상을 고려하여 3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커버(5)를 누르는 동작이 스티어링샤프트(2)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항상 일정할 수는 없으므로 한쪽으로 치우쳐져 커버(5)를 누른다 하더라도 접점(21)과 승강판(10)이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1. 스티어링 휠 2. 스티어링샤프트
3. 스티어링칼럼 4. 칼럼링
5. 커버 5a. 누름돌기
5b. 결합후크 6. 너트
7. 접점링 8. 전선
9. 관통홈
10. 승강판 11. 후크결합홈
12. 체결판 13. 체결스프링
14. 접점샤프트 15. 홈
20. 고정판 21. 접점
22. 체결부재 23. 후크
24. 스프링 25. 볼트
26. 볼트홈 30. 지지판

Claims (8)

  1. 스티어링 휠(1)에 형성된 커버(5)를 누르면 전기가 흘러 경적이 울리는 자동차용 경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경적장치는 커버(5)의 눌림에 따라 승강되며 스티어링샤프트(2)와 너트(6)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승강판(10)과, 상기 승강판(10)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10)과 체결부재(22)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20)과, 상기 승강판(10)과 고정판(20)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스프링(24)과, 상기 승강판(10)과 체결되어 있는 접점샤프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5)의 가압시 승강판(10)이 하강하여 승강판(10)의 저면과 고정판(20)에 형성된 접점(21)이 붙음으로써 전기가 흘러 경적이 울리며,
    상기 체결부재(22)에 형성된 후크(23)는 체결부재(22)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승강판(10)에 형성된 후크결합홈(11)에 끼워질 때는 압축된 상태로 끼워짐으로써 결합작업이 용이하고 완전히 끼워진 후에는 탄성에 의해 후크와 후크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원형상으로 복귀되며,
    승강판(10)의 분리시에는 후크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승강판(10)과 고정판(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경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샤프트(14)는 승강판(1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판(12)에 체결스프링(13)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경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2)는 일측에 후크(23)가 형성되어 체결판(12)과 고정판(20)이 체결부재(22)에 의해 결합된 후에는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경적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샤프트(14)의 일단은 원뿔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어 칼럼링(4)에 결합되어 있는 접점링(7)과의 접점성을 높여주고 스티어링 휠(1)의 회전시 마찰면적을 줄여 스티어링 휠(1)의 회전에 대한 간섭을 줄이는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경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0)에 형성된 접점(21)은 2개 이상 형성된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경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샤프트(14)는 칼럼링(4)에 형성된 접점링(7)과 접촉되어 전기가 흐르되, 상기 접점샤프트(14)는 스티어링 휠(1)에 형성된 관통홈(9)에 의해 접점샤프트(14)의 반경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경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0)과 체결부재(22)는 볼트, 너트, 멈춤링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경적장치.
KR1020100131450A 2010-12-21 2010-12-21 자동차용 경적장치 KR10106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450A KR101067279B1 (ko) 2010-12-21 2010-12-21 자동차용 경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450A KR101067279B1 (ko) 2010-12-21 2010-12-21 자동차용 경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279B1 true KR101067279B1 (ko) 2011-09-26

Family

ID=4495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450A KR101067279B1 (ko) 2010-12-21 2010-12-21 자동차용 경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8619A (zh) * 2020-10-14 2021-01-12 安徽天堂唯高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叉车方向盘安装结构
CN112954541A (zh) * 2021-04-14 2021-06-11 深圳市盛佳丽电子有限公司 一种耳机喇叭面盖的装配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2157U (ko) 1980-03-10 1981-10-07
JPH034619U (ko) * 1989-06-07 1991-01-17
JP2007296922A (ja) * 2006-04-28 2007-11-15 Piolax Inc 車両用ホーン装置
KR20080026821A (ko) * 2006-09-21 2008-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혼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2157U (ko) 1980-03-10 1981-10-07
JPH034619U (ko) * 1989-06-07 1991-01-17
JP2007296922A (ja) * 2006-04-28 2007-11-15 Piolax Inc 車両用ホーン装置
KR20080026821A (ko) * 2006-09-21 2008-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혼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8619A (zh) * 2020-10-14 2021-01-12 安徽天堂唯高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叉车方向盘安装结构
CN112208619B (zh) * 2020-10-14 2023-05-26 安徽天堂唯高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叉车方向盘安装结构
CN112954541A (zh) * 2021-04-14 2021-06-11 深圳市盛佳丽电子有限公司 一种耳机喇叭面盖的装配装置
CN112954541B (zh) * 2021-04-14 2023-09-22 深圳市盛佳丽电子有限公司 一种耳机喇叭面盖的装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8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orn contact mechanism
US6719324B2 (en) Horn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US7173202B2 (en) Horn switch device, airbag system, and steering wheel
US20050161308A1 (en) Vehicle steering wheel
JP3650028B2 (ja) 特にホーンを鳴らすためのスイッチング素子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P1671854A1 (en) Horn switch device, airbag system, and steering wheel
KR101067279B1 (ko) 자동차용 경적장치
KR100999966B1 (ko)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JP5670313B2 (ja) 自動車用ロックに乾燥した電気接続を提供する装置
KR100477245B1 (ko) 에어백 모듈 일체형 혼 스위치
WO2019207394A1 (en) Electromechanical switch having movable contact and dampener
CN201126795Y (zh) 汽车起动电机中间继电器
US7307229B2 (en) Switch provided with self-cleaning contacts
CN211828569U (zh) 开关组件及汽车
CN103129504A (zh) 安装在汽车方向盘上的安全气囊卡接装置
CN101174517B (zh) 一种振动感应开关
US11292345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nergy feedback, braking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0587408B1 (ko) 차량의 혼 스위치 어셈블리
KR10054259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KR200431433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휠에 구비되는 경적발생장치의승강판지지기구
KR100306073B1 (ko) 자동차의경음기스위치구조
KR100317168B1 (ko) 제동등 스위치 장치
KR100559302B1 (ko) 운전자용 에어백모듈의 센터링 구조
KR200240274Y1 (ko) 트림류의곡면체킹장치
JPH0523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