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982B1 -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982B1
KR101066982B1 KR1020090080068A KR20090080068A KR101066982B1 KR 101066982 B1 KR101066982 B1 KR 101066982B1 KR 1020090080068 A KR1020090080068 A KR 1020090080068A KR 20090080068 A KR20090080068 A KR 20090080068A KR 101066982 B1 KR101066982 B1 KR 101066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ystem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459A (ko
Inventor
정광균
오규환
백종목
최효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08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9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모듈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취득된 동일 시간대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전력 계통 정보를 추출하는 계통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계통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추출된 전력 계통 정보로부터 광역의 전력계통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데이터 감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역계통에 포함된 다수의 발전소 또는 변전소들에서 동일 시각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분석함으로써, 광역계통 전체의 상황을 한눈에 감시할 수 있으며, 시각 동기화된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전력계통 안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운영자에게 계통상황 및 안정적인 계통운영에 관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광역계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ower monitoring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전소 및 변전소에서 취득한 시각 동기화된 전력계통 데이터를 위성망을 통해 온라인 전송함으로서 전력계통 안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 분석하고, 운영자에게 계통상황 및 안정적인 계통운영에 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 단위의 모선을 감시하는 기존의 감시 시스템은 광역계통 사고의 감시나 사후 분석에 취약하다.
미국의 대정전사고 이래 광역계통감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선 개발이 뒤쳐지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적인 추세와 부합하고 선진기술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는 기존의 감시 시스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위성망을 백업망으로 이용 시 시스템의 안정성이 강화되고, 동남아시아와 같은 통신인프라가 취약한 개발도상국에서는 개통시스템 초기구축에 있어 경제성이 있다.
국내의 전력설비는 감시 및 제어를 위해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고 있지만, 자연재해나 재난 발생시 통신설비나 중계장치가 손상되었을 경우, 전력의 공급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재난 및 재해가 발생할 경우 신속히 대처 가능한 통신망이 구성되어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전국에 산재한 전력설비의 상태를 감시가 필요한데, 시설이 용이치 않은 산악 및 오지의 경우 기존의 설비망은 한계를 가진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역계통에 포함된 다수의 발전소 또는 변전소들에서 동일 시각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전체 계통상황을 한눈에 분석 가능한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소 및 변전소에서 취득한 시각 동기화된 전력계통 데이터를 위성망을 통해 온라인 전송함으로서 전력계통 안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 분석하고, 운영자에게 계통상황 및 안정적인 계통운영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통신망을 이용하여 재난, 재해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취득된 동일 시간대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전력 계통 정보를 추출하는 계통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계통 데이 터 분석부에 의해 추출된 전력 계통 정보로부터 광역의 전력계통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데이터 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는, 위성통신망으로부터의 동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전압 및 전류를 계측 가능한 범위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I 모듈, 해당 전력장치의 동작 접점을 입력 받아, 해당 전력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DI 모듈, 및 상기 AI 모듈 및 상기 DI 모듈로부터 입력된 전압, 전류 및 전력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계통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를 위성통신망을 통해 호스트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DSP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는, 상기 위성통신망으로부터의 GPS 시각정보에 따라 각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의 AI 모듈이 신호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SP 모듈은, 상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RMS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RMS 값으로부터 해당 전력계통 데이터의 위상, 주파수, 유효 전력값, 및 무효 전력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통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추출된 전력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동기 위상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부터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계통 안정도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통 안정도 판단부는,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해치는 정도의 비교 위상을 설정하고, 상기 각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취득된 전력계통 데이터의 동기 위상과 비교하여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통 안정도 판단부는, 기준 위상각 및 계통안정기준각도를 설정하고, 상기 취득된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위상각이 상기 기준 위상각으로부터 상기 계통안정 기준각도 이내이면 안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감시부는, 상기 계통 안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 전력계통 안정도가 불안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방법은, 위성통신망으로 연결된 복수의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동일 시간대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동일 시간대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전력 계통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전력 계통 정보로부터 광역의 전력계통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해당 전력계통 데이터에 대한 전력계통 안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 전력계통 안정도가 불안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는, 상기 위성통신망으로부터의 동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에서 동일한 시각에 변환된 신호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계통 안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 위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계통 안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력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 위상각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 결과로부터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기 위상각을 비교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 위상각 및 계통안정 기준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취득된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위상각이 상기 기준 위상각으로부터 상기 계통안정 기준각도 이내이면 전력계통이 안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역계통에 포함된 다수의 발전소 또는 변전소들에서 동일 시각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분석함으로써, 광역계통 전체의 상황을 한눈에 감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시각 동기화된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전력계통 안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운영자에게 계통상황 및 안정적인 계통운영에 관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광역계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진, 화재, 홍수 등의 재난/재해에 강한 위성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환경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전력계통의 감시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전력계통감시에 있어 광역계통 감시가 부족한 국내시장에 도입시 광역계통의 고장원인이나 초기 이상징후를 감시하는데 도움을 주어 기존의 계통 감시시스템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망을 이용한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은, 위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국에 배치된 전력 장치의 전력 상태를 감시하며, 특히 발전소 및 변전소로부터 취득된 동시간대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전력계통 안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분석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망을 이용한 전력 감시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성망을 이용한 전력 감시 장치는 전국 각지에 위치한 발전소 또는 변전소(100)의 광역계통 데이터 취득장치(Satellite Phasor Measurement Unit, 이하 'sPMU'라 칭한다)(101)를 포함하고, 각 발전소 또는 변전소(100)에 설치된 복수의 sPMU(101)로부터 위성통신망(200)을 이용하여 전력계통 데이터를 취득하는 호스트 서버(300)를 포함한다.
sPMU(101)는 해당 발전소 또는 변전소(100)에서의 전압, 전류, 위상 등과 같은 전력계통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이때, sPMU(101)는 GPS 시각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에 추가한다.
호스트 서버(300)로부터 동시간대의 전력계통 데이터의 요청이 있으면, 각 발전소 또는 변전소(100)에 설치된 sPMU(101)는 위성통신망(200)으로부터의 동기신 호에 따라 전력계통 데이터에 대하여 동시에 샘플링 작업을 수행한다. 이로써, 호스트 서버(300)는 각 sPMU(101)로부터 동일 시간대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망(200)을 이용한 광역의 전력 감시 장치는 동일 시간대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감시하고 분석함으로써, 광역계통의 안정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호스트 서버(300)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등의 원격 감시제어장치와의 데이터 연계를 통해 이중으로 전력계통 데이터를 감시할 수도 있다.
한편, 위성통신망(200)은 sPMU(101)에서 취득한 전력계통 데이터를 호스트 서버(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성통신망(200)은 지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재난, 재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기존의 전력통신망에 대한 백업망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는 AI(Analog Interface) 모듈(110), 계기용 트랜스(PT, Power Transformer)(120), 계기용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130), DI(Digital Interface) 모듈(140), DSP(Digital Signal Process) 모듈(150), 전원공급 모듈(16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는 전력계통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한 GPS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170) 및 위성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180)을 더 포함한다.
PT(120)는 높은 전압을 분압하여 낮은 전압으로 변환해주는 수단이고, CT(130)는 높은 전류를 낮은 전류로 변환해주는 수단이다. 전력공급 모듈은 각 모듈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모듈이다.
AI 모듈(110)은 외부에서 인입되는 AC 전압과 전류를 증폭기를 거쳐 신호를 증폭시킨 후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AI 모듈(110)은 외부에서 인입되는 AC 전압을 PT(120)로, 전류를 CT(130)로 전달하고, PT(120)와 CT(130)에 의해 노이즈 필터링 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DSP 모듈(150)로 전달한다.
이때, AI 모듈(110)은 전압 및 전류를 계측 가능한 범위로 그 크기를 변화시킨다. 전압의 계측 가능 범위는 1~240V 이고, 전류의 계측 가능 범위는 0.1~100A 이다.
한편, AD 컨버터는 1PPS(Pulse Per Second) 신호에 따라 모든 모듈이 동시에 신호변환을 하게 되는데, 모든 장소의 위상각을 하나의 기준위상으로 동기화하여 위상각을 분석할 수 있다.
DI 모듈(140)은 계통을 보호하는 전력설비의 동작접점을 입력 받아 해당 전력설비의 상태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모듈이다. 이때, DI 모듈(140)의 끝단에 필 터를 장착하여, 접점의 ON/OFF시 채터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SP 모듈(150)은 데이터를 취득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수단으로, AI 모듈(110) 및 DI 모듈(14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고, 전압, 전류의 순시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이후, DSP 모듈(150)은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위상, 주파수, 유효 전력값, 및 무효 전력값 등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의 RMS 값을 산출한다. DSP 모듈(150)은 AI 모듈(1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실시간 RMS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전압, 전류와 그 외의 전력요소(예를 들어, 위상, 주파수 등)를 감시한다. DSP 모듈(150)은 연산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호스트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DSP 모듈(150)은 외부로부터의 이벤트를 저장하고, GPS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 외에도, DSP 모듈(150)은 인쇄작업과 MMI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서버(300)는 통신모듈(310), 메인 제어부(320), 저장부(330), 데이터 감시부(340), 계통 안정도 판단부(350), 계통 데이터 분석부(360), 및 상태 표시부(37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310)은 위성통신망(2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위성 통신 모듈이다. 메인 제어부(320)는 호스트 서버(300)의 각 부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330)는 위성통신망(200)을 통해 각 sPMS로부터 취득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계통 데이터 분석부(360)는 통신모듈(310)을 통해 각 sPMU(101)로부터 전력계통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를 분석한다. 계통 데이터 분석부(360)에 의한 전력계통 데이터의 분석 결과는 저장부(330)에 저장된다. 이때, 계통 데이터 분석부(360)는 수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정보를 추출한다.
데이터 감시부(340)는 계통 데이터 분석부(360)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이때, 데이터 감시부(340)는 광역계통 상태, 동기위상 등을 감시한다.
계통 안정도 판단부(350)는 계통 데이터 분석부(360)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동기 위상각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확인한다. 한편, 계통 안정도 판단부(350)는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해칠 수 있는 비교 위상을 설정하고, 각 sPMU(101)로부터 취득된 전력계통 데이터의 동기위상과 비교한다.
상태 표시부(370)는 계통 안정도 판단부(350)의 판단 결과를 표시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320)는 계통 안정도 판단부(350)로부터 광역계통이 불안정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계통 안정도 판단부(350)의 결과를 통신모듈(310)을 통해 해당 발전소 또는 변전소(100)로 전송함으로써, 운전원에게 알리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 전력 감시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로서, sPMU(101)로부터 취득된 전력계통 데이터를 분석 결과로부터 광역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서 원 내에 표시된 직선은 각 발전소 또는 변전소의 sPMU(101)로부터의 전력계통 데이터에 대한 중요모선의 위상각을 나타낸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계통안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계통안정 기준각도가 10도인 것을 예로 한다.
모선1은 기준모선의 위상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준모선의 위상각은 0도이다. 따라서, 기준모선의 위상각이 0도이므로, sPMU(101)로부터 취득된 전력계통 데이터의 위상각이 10도 이내이면 광역계통이 안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10도 이내의 영역을 벗어나면 광역계통이 불안정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모선2와 모선3은 위상각이 계통안정기준각도인 10도 이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계통 안정도 판단부(350)는 모선2로부터 광역계통이 안정 상태에 있음을 확인한다.
물론,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선의 개수가 여럿인 경우에는 계통안정기준각도 내의 위상각을 갖는 모선의 개수와 계통안정기준각도 이상의 위상각을 갖는 모선의 개수를 비교하여 계통 안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위상각이 50도 이상이 되면 계통이 붕괴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물론, 계통 안정도 및 계통의 붕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설정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발전소 또는 변전소(100)에 설치된 sPMU(101)는 해당 발전소 또는 변전소(100)에서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측정한다. 이때, sPMU(101)는 동기 위상 데이터를 위해 동일 시간에 샘플링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GPS 시각정보를 전력계통 데이터에 추가한다.
이후, sPMU(101)는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력계통 데이터를 위성통신망(200)을 이용하여 호스트 서버(300)로 전송한다.
호스트 서버(300)는 각 sPMU(101)로부터 전송되는 전력계통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sPMU(101)에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호스트 서버(300)는 sPMU(101)로부터 전송된 전력계통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압, 전류, 주파수, 위상 등의 전력 계통 정보를 감시한다. 또한, sPMU(101)는 전력 계통 정보로부터 동기 위상각을 분석하여, 전력계통정보에 대한 계통 안정도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시한다.
만일, 계통 안정도가 불안정한 상태로 확인되면, 호스트 서버(300)는 해당 결과를 sPMU(101)로 전송하여, 안전원에게 이를 알리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고객 군집 화 장치 및 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감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3)

  1.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로서,
    위성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취득된 동일 시간대의 전력계통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전력 계통 정보를 추출하는 계통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계통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추출된 전력 계통 정보로부터 광역의 전력계통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데이터 감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는,
    위성통신망으로부터의 동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전압 및 전류를 계측 가능한 범위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I 모듈;
    해당 전력장치의 동작 접점을 입력 받아, 해당 전력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DI 모듈; 및
    상기 AI 모듈 및 상기 DI 모듈로부터 입력된 전압, 전류 및 전력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계통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를 위성통신망을 통해 호스트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DSP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는,
    상기 위성통신망으로부터의 GPS 시각정보에 따라 각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의 AI 모듈이 신호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SP 모듈은,
    상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RMS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RMS 값으로부터 해당 전력계통 데이터의 위상, 주파수, 유효 전력값, 및 무효 전력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통 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추출된 전력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동기 위상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부터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계통 안정도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계통 안정도 판단부는,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 위상을 설정하고, 상기 각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로부터 취득된 전력계통 데이터의 동기 위상과 비교하여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계통 안정도 판단부는,
    기준 위상각 및 계통안정기준각도를 설정하고, 상기 취득된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위상각이 상기 기준 위상각으로부터 상기 계통안정 기준각도 이내이면 안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감시부는,
    상기 계통 안정도 판단부의 판단 결과, 전력계통 안정도가 불안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9.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방법으로서,
    상기 위성통신망으로부터의 동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일 시간대에 전력계통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전력 계통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 계통 정보로부터 광역의 전력계통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에 대한 전력계통 안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 전력계통 안정도가 불안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위성통신망으로부터의 동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전압 및 전류를 계측 가능한 범위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전력장치의 동작 접점을 입력 받아, 상기 전력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장치의 상태, 상기 계측 가능한 범위로 변환된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는,
    상기 위성통신망으로부터의 동기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전력계통 데이터 취득장치에서 동일한 시각에 변환된 신호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안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 위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안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계통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 위상각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 결과로부터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동기 위상각을 비교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 위상각 및 계통안정 기준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위상각이 상기 기준 위상각으로부터 상기 계통안정 기준각도 이내이면 전력계통이 안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방법.
KR1020090080068A 2009-08-27 2009-08-27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066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068A KR101066982B1 (ko) 2009-08-27 2009-08-27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068A KR101066982B1 (ko) 2009-08-27 2009-08-27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459A KR20110022459A (ko) 2011-03-07
KR101066982B1 true KR101066982B1 (ko) 2011-09-22

Family

ID=4393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068A KR101066982B1 (ko) 2009-08-27 2009-08-27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5423A1 (zh) * 2014-07-31 2016-02-04 国家电网公司 基于电力系统的费控信息通信方法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55B1 (ko) * 2018-12-10 2019-05-07 전자부품연구원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124A (ko) * 2002-06-11 2003-12-18 조용범 Gps 기반의 정밀 동기클록장치를 이용한 전력계통선로정수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60038494A (ko) * 2004-10-30 2006-05-04 한국전력공사 위성통신기반의 전력산업 종합감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20080140326A1 (en) 2006-12-12 2008-06-12 Abb Research Ltd. Estimation of real-time power system quantities using time-synchronized measurements
KR20090064796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기연구원 지역측정 페이저 정보를 이용하여 과도 안정도를 감시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124A (ko) * 2002-06-11 2003-12-18 조용범 Gps 기반의 정밀 동기클록장치를 이용한 전력계통선로정수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60038494A (ko) * 2004-10-30 2006-05-04 한국전력공사 위성통신기반의 전력산업 종합감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20080140326A1 (en) 2006-12-12 2008-06-12 Abb Research Ltd. Estimation of real-time power system quantities using time-synchronized measurements
KR20090064796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기연구원 지역측정 페이저 정보를 이용하여 과도 안정도를 감시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5423A1 (zh) * 2014-07-31 2016-02-04 国家电网公司 基于电力系统的费控信息通信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459A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6083B1 (en) Power network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8861155B2 (en) High-impedance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 system
CN103490504B (zh) 一种利用变电所测控装置遥信量测试系统对站间soe测试的方法
Gu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off-grid operation detection tool from a wide-area measurements perspective
WO2013042925A1 (ko) 온라인 전기회로 정수 측정에 의한 전력설비 상태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885556B1 (ko) 배전반 고장 감시 시스템
RU2548025C2 (ru) Контроль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CN102064612A (zh) 继电保护状态检修系统及检修方法
CN108132425A (zh) 电网配电线路故障在线监测方法及系统
CN106460198A (zh) 阴极保护管理系统
KR101452980B1 (ko) 전력계통 축소형 고장 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한 고장 기록 시스템
CN107144757A (zh) 一种瓦斯继电器油流流速在线监测装置及方法
JP2018011370A (ja) 電力系統監視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KR101066982B1 (ko)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45567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송전설비 감시 시스템
JP5854953B2 (ja) 断線検出装置
CN104360215A (zh) N600多点接地故障检测装置
AU2010201998A1 (en) Voltage monitoring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CN113532538A (zh) 母线槽在线智能环境监测系统
CN113452139A (zh) 一种利用大数据的配电房电力运维系统
KR101302068B1 (ko) 통합형 전철제어반 glds
KR100697859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지중배전선로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0981786B1 (ko) 가변형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모듈과 이를 포함한 광역 전력 계통 상태 감시 시스템
CN116404748A (zh) 基于多源数据的配电网监控方法及系统
WO2005064562A1 (en) Multi-function electric power supply automation system that use plc mod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