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55B1 -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355B1
KR101975355B1 KR1020180158311A KR20180158311A KR101975355B1 KR 101975355 B1 KR101975355 B1 KR 101975355B1 KR 1020180158311 A KR1020180158311 A KR 1020180158311A KR 20180158311 A KR20180158311 A KR 20180158311A KR 101975355 B1 KR101975355 B1 KR 10197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mus
waveform
pmu
wavef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창
오승열
송성근
최정식
차대석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05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hase or frequency of 2 mutually independent oscillations in demodu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는 전원장치와 부하 사이에 복수의 PMU(phasor measurement unit)를 설치하고, 설치된 복수의 PMU로부터 측정된 파형을 수집하는 PMU부, PMU부로부터 수집된 PMU별 파형을 동일한 주파수로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복수의 파형에 대한 이산적 시점을 검출하며, 검출된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을 재배치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attack detection of stand-alone microgrid}
본 발명은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상에서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부족한 에너지 수요에 대한 대응, 친환경 에너지 개발 및 적용 확대, 에너지 손실 감소 및 효율적 에너지 운용 등을 위한 스마트 그리드의 필요성과 적용 확대 등의 목적으로 마이크그리드의 수와 분산전원의 용량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원 기반의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를 적용한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가 도서 지역에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는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교란과 같은 전력 공격에 대한 노출 위험이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8774호(2017.09.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악의적인 의도로 주파수 교란 방법을 통한 시스템에 위해를 가는 상황을 자동적으로 감지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는 전원장치와 부하 사이에 복수의 PMU(phasor measurement unit)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수의 PMU로부터 측정된 파형을 수집하는 PMU부, 상기 PMU부로부터 수집된 PMU별 파형을 동일한 주파수로 샘플링하고, 상기 샘플링된 복수의 파형에 대한 이산적 시점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을 재배치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상기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파수 공격을 감지하면 기 설정된 외부 장치로 해당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PMU부 및 상기 제어부의 현재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샘플링을 16kHz, 32kHz, 64kHz 및 128k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 중 다른 파형의 시점과 중복되지 않는 이산적 시점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산적 시점의 원래 시점에 재배치하여 상기 검증 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상기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여 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미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분석된 결과가 일치하더라도 주파수의 범위가 59Hz 이하 또는 61Hz 이상이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PMU 중 상기 전원장치와 가장 가까운 PMU의 파형을 기준으로 나머지 PMU의 파형에 대한 위상을 조정하여 일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방법은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전원장치와 부하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PMU로부터 측정된 파형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상기 수집된 PMU별 파형을 동일한 주파수로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상기 샘플링된 복수의 파형에 대한 이산적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을 재배치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상기 생성된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상기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상기 복수의 PMU 중 상기 전원장치와 가장 가까운 PMU의 파형을 기준으로 나머지 PMU의 파형에 대한 위상을 조정하여 일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상기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여 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미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PMU(phasor measurement unit)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파형을 이용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여 외부의 주파수 공격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PMU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파형의 위상이 시프트(shift)된 현상을 보상하여 각 파형의 위상을 최대한 일치되도록 제어하여 시스템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격 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증 파형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격 감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격 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증 파형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파수 공격 감시장치(100)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400)에서 악의적인 의도로 주파수 교란 방법을 통한 시스템에 위해를 가는 상황을 자동적으로 감지한다. 즉 주파수 공격 감시장치(100)는 섬, 산간지역 또는 고립된 지역 등과 같은 도서 지역에서 사용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400)에 설치될 수 있다. 주파수 공격 감시장치(100)는 PMU부(1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고, 통신부(50), 출력부(70) 및 저장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MU부(10)는 복수의 PMU(11, 12, 13)를 포함한다. PMU는 동기화를 위한 공통 시간 소스를 사용하여 전기 그리드에서 파형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즉 PMU는 위상 측정 및 동기화 파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PMU부(10)는 전원장치(200)와 부하(300) 사이에 복수의 PMU(11, 12, 13)를 설치하고, 설치된 복수의 PMU(11, 12, 13)로부터 측정된 파형을 수집한다. 여기서, 전원장치(200)는 부하(3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써, 발전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부하(300)는 전원장치(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자 장치로써, 냉장고, 에어콘, 텔레비전,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MU(11, 12, 13)는 제1 PMU(11) 내지 제n(n은 2이상 자연수) PMU(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MU(11) 내지 제n PMU(13)는 전원장치(200)를 기준으로 부하(300)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PMU(11)는 전원장치(200)와 가장 가깝게 설치된 PMU이고, 제n PMU(13)는 부하(300)와 가장 가깝게 설치된 PMU일 수 있다. 여기서 PMU부(10)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파형은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미발생되면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면서 위상 차이가 가진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미발생되면 제1 PMU(11) 내지 제n PMU(13)로부터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는 동일하고, 전원장치(200)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제1 PMU(11)에서 측정된 파형의 위상이 전원장치(200)로부터 출력된 파형과 위상이 가장 일치하며, 부하(300) 방향으로 설치된 PMU로 갈수록 위상이 시프트(shift)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PMU부(10)로부터 수집된 파형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0)는 PMU별 파형을 동일한 주파수로 샘플링한다. 제어부(30)는 샘플링을 16kHz, 32kHz, 64kHz 및 128k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샘플링 주파수가 높을수록 보다 정확한 파형 분석이 가능하나, 데이터 용량 및 연산량이 많이지므로 시스템에 부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는 32kHz로 샘플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샘플링된 복수의 파형에 대한 이산적 시점을 검출한다. 제어부(30)는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을 재배치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한다. 제어부(30)는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 중 다른 파형의 시점과 중복되지 않는 이산적 시점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고, 선택된 이산적 시점의 원래 시점에 재배치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한다. 즉 제어부(30)는 제1 PMU(11)로부터 측정된 파형의 이산적 시점(11a, 11b, 11c, 11d, 11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제2 PMU(12)로부터 측정된 파형의 이산적 시점(12a, 12b, 12c, 12d, 12e) 중 제1 PMU(11)에서 선택된 이산적 시점과 다른 시점의 이산적 시점을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제3 PMU로부터 측정된 파형의 이산적 시점 중 제1 PMU(11) 및 제2 PMU(12)에서 선택된 이산적 시점과 다른 시점의 이산적 시점을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제어부(30)는 상술된 이산적 시점을 선택하는 과정을 제n PMU(13)까지 반복 수행하고, 선택된 이산적 시점을 해당 시점에 재배치시켜 검증 파형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제1 PMU(11)로부터 측정된 파형 중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의 이산적 시점(11a, 11b)을 선택하고, 제2 PMU(12)로부터 측정된 파형 중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의 이산적 시점(12a, 12b)을 제외한 제4 시점의 이산적 시점(12d)을 선택하며, 제n PMU(13)로부터 측정된 파형 중 제1 시점, 제2 시점 및 제4 시점의 이산적 시점(13a, 13b, 13d)을 제외한 제3 시점 및 제5 시점의 이산적 시점(13c, 13e)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선택된 이산적 시점(11a, 11b, 12d, 13c, 13e)을 원래 시점에 재배치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선택된 이산적 시점(11a)를 이산적 시점(14a)에 배치하고, 이산적 시점(11b)를 이산적 시점(14b)에 배치하며, 이산적 시점(12d)를 이산적 시점(14d)에 배치하고, 이산적 시점(13c)를 이산적 시점(14c)에 배치하며, 이산적 시점(13e)를 이산적 시점(14e)에 배치함으로써, 검증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적어도 하나의 검증 파형 주기가 생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이산적 시점을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제1 PMU(11) 내지 제n PMU(13) 중 일부 PMU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이산적 시점만을 이용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상술된 설명에서는 무작위로 이산적 시점을 선택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정 패턴 또는 순환 반복 등을 통한 방법으로 이산적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생성된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복수의 PMU(11, 12, 13)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30)는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여 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미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제어부(30)는 전원장치(200)와 부하(300) 사이에 흐르는 전원에 대한 파형의 주파수가 항상 동일하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는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와도 주파수의 범위가 59Hz 이하 또는 61Hz 이상이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30)는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전원장치(200)와 가장 가깝게 설치된 PMU보다 앞단에서 진행되는 경우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전원장치(200)가 60Hz 기준의 주파수를 생성하기 때문에 해당 범위로 설정한다. 하지만 특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 해당 주파수의 ±1Hz 기준으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복수의 PMU(11, 12, 13) 중 전원장치(200)와 가장 가까운 PMU의 파형을 기준으로 나머지 PMU의 파형에 대한 위상을 조정하여 일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PMU(11)가 전원장치(200)와 가장 가까운 PMU인 경우, 제어부(30)는 나머지 PMU인 제2 PMU(12) 내지 제n PMU(13)의 파형을 제1 PMU(11)의 파형과 최대한 일치되도록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0)는 시스템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통신부(50)는 제어부(30)가 주파수 공격을 감지하면 기 설정된 외부 장치로 해당 결과를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로써, 스마트폰, 데스크톱, 랩톱, 핸드헬드 PC, 태블릿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70)는 PMU부(10) 및 제어부(30)의 현재 상태를 출력한다. 출력부(70)는 PMU부(10)로부터 수집된 파형을 출력하고, 제어부(30)로부터 생성된 검증 파형, 연산과정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70)는 제어부(30)가 주파수 공격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강조와 같은 시각적 효과, 경보음 발생과 같은 청각적 효과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90)는 제어부(30)가 운영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저장부(90)는 PMU부(10)로부터 수집된 파형이 저장되고, 제어부(30)로부터 생성된 검증 파형, 연산과정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9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공격 감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주파수 공격 감시방법은 복수의 PMU(11, 12, 13)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파형을 이용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복수의 PMU(11, 12, 13)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여 외부의 주파수 공격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S110단계에서,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100)는 복수의 PMU(11, 12, 13)로부터 측정된 파형을 수집한다. 여기서 복수의 PMU(11, 12, 13)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파형은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미발생되면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면서 위상 차이가 가진다.
S130단계에서,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100)는 PMU별 파형을 동일한 주파수로 샘플링한다. 이때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100)는 샘플링을 16kHz, 32kHz, 64kHz 및 128k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수행할 수 있다.
S150단계에서,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100)는 샘플링된 복수의 파형을 이용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한다.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100)는 복수의 파형에 대한 이산적 시점을 검출한다.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100)는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 중 다른 파형의 시점과 중복되지 않는 이산적 시점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고, 선택된 이산적 시점의 원래 시점에 재배치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한다.
S170단계에서, 주파수 공격 감시장치(100)는 생성된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복수의 PMU(11, 12, 13)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 여부를 판단한다.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100)는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복수의 PMU(11, 12, 13)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여 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미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주파수 공격 감시장치(100)는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외부 장치로 해당 결과를 전송하고, 시각적 또는 청각적 효과를 통해 경보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주파수 공격 감시장치(100)는 복수의 PMU(11, 12, 13)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파형의 위상이 시프트된 현상을 보상하여 각 파형의 위상을 최대한 일치되도록 제어하여 시스템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PMU부
11: 제1 PMU
12: 제2 PMU
13: 제n PMU
30: 제어부
50: 통신부
70: 출력부
90: 저장부
100: 주파수 공격 감시장치
200: 전원장치
300: 부하
400: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Claims (10)

  1. 전원장치와 부하 사이에 복수의 PMU(phasor measurement unit)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수의 PMU로부터 측정된 파형을 수집하는 PMU부; 및
    상기 PMU부로부터 수집된 PMU별 파형을 동일한 주파수로 샘플링하고, 상기 샘플링된 복수의 파형에 대한 이산적 시점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을 재배치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상기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상기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여 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미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파수 공격을 감지하면 기 설정된 외부 장치로 해당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PMU부 및 상기 제어부의 현재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샘플링을 16kHz, 32kHz, 64kHz 및 128k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 중 다른 파형의 시점과 중복되지 않는 이산적 시점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산적 시점의 원래 시점에 재배치하여 상기 검증 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분석된 결과가 일치하더라도 주파수의 범위가 59Hz 이하 또는 61Hz 이상이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PMU 중 상기 전원장치와 가장 가까운 PMU의 파형을 기준으로 나머지 PMU의 파형에 대한 위상을 조정하여 일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8.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전원장치와 부하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PMU로부터 측정된 파형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상기 수집된 PMU별 파형을 동일한 주파수로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상기 샘플링된 복수의 파형에 대한 이산적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각 파형의 이산적 시점을 재배치하여 검증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상기 생성된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상기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파형의 주파수와 상기 복수의 PMU 중 적어도 하나의 PMU에서 측정된 파형의 주파수를 비교 분석하여 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미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면 외부로부터의 주파수 공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가 상기 복수의 PMU 중 상기 전원장치와 가장 가까운 PMU의 파형을 기준으로 나머지 PMU의 파형에 대한 위상을 조정하여 일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방법.
  10. 삭제
KR1020180158311A 2018-12-10 2018-12-10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97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11A KR101975355B1 (ko) 2018-12-10 2018-12-10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311A KR101975355B1 (ko) 2018-12-10 2018-12-10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355B1 true KR101975355B1 (ko) 2019-05-07

Family

ID=6665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311A KR101975355B1 (ko) 2018-12-10 2018-12-10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3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459A (ko) * 2009-08-27 2011-03-07 한국전력공사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8927A (ko) * 2014-09-30 2016-04-08 한국전기연구원 주파수 측정에 의한 마이크로그리드 이상 검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70700A (ko) * 2015-12-14 2017-06-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기위상기 신호를 이용한 전력계통 사고 발생 자동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778774B1 (ko) 2014-09-30 2017-09-27 한국전기연구원 주파수 측정에 의한 마이크로그리드 내 아일랜딩 현상 검지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459A (ko) * 2009-08-27 2011-03-07 한국전력공사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광역계통의 전력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8927A (ko) * 2014-09-30 2016-04-08 한국전기연구원 주파수 측정에 의한 마이크로그리드 이상 검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78774B1 (ko) 2014-09-30 2017-09-27 한국전기연구원 주파수 측정에 의한 마이크로그리드 내 아일랜딩 현상 검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70700A (ko) * 2015-12-14 2017-06-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기위상기 신호를 이용한 전력계통 사고 발생 자동 검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gual et al. Integral mathematical model of power quality disturbances
Cai et al. Real-time detection of power system disturbances based on $ K $-nearest neighbor analysis
Varotsos et al.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of the magnetic and electric field variations that precede rupture
US20180024900A1 (en) Methods and system for detecting false data injection attacks
Raza et al. Passive islanding detection technique for synchronous generators based on performance ranking of different passive parameters
EP317014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in-situ sensor response data patterns representative of grid pathology severity
EP3353559A1 (en) Remote sensing to derive calibrated power measurements
JP6334312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監視制御装置、監視制御プログラム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101688892A (zh) 用于在时域中预测电力系统的状态的方法和设备
EP3101616A1 (en) Fault detection in energy generation arrangments
Jimenez et al. Feature extraction for nonintrusive load monitoring based on S-Transform
Barsim et al. Unsupervised adaptive event detection for building-level energy disaggregation
KR101843881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역전력 차단을 위한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624761B2 (en) Fault detection for appliances based on energy consumption data
US10948527B2 (en) Power system detection of sustained oscillations based on synchrophasor frequency measurements
US201601094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ng electricity consumption
KR101894680B1 (ko) 유틸리티 그리드에서의 신호 삽입 패턴 사이의 직교성을 이해하고 유지하기 위한 신호 삽입을 편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3609033A1 (en) Power system stabilization device and power system stabilization method
US201802595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electricity consumption
CN106201175A (zh) 应用图标的位置调整方法、装置及终端
KR101975355B1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공격 감지장치 및 방법
Ghanbarnejad et al. Impact of individual nodes in Boolean network dynamics
Weißhaar et al. Device classification for NILM using FIT-PS compared with standard signal forms
CN116540038A (zh) 一种电容器组的绝缘状态监测方法和装置
US11159020B2 (en) Hybrid dynamic demand control for power system frequency reg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