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859B1 - 키보드 메모지 - Google Patents

키보드 메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859B1
KR101065859B1 KR1020080136446A KR20080136446A KR101065859B1 KR 101065859 B1 KR101065859 B1 KR 101065859B1 KR 1020080136446 A KR1020080136446 A KR 1020080136446A KR 20080136446 A KR20080136446 A KR 20080136446A KR 101065859 B1 KR101065859 B1 KR 10106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memo
paper
wrist
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243A (ko
Inventor
조수환
Original Assignee
조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환 filed Critical 조수환
Priority to KR102008013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8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06Paper provided with guiding marks, e.g. ruled, squared or scaled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 메모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지의 길이는 키보드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하고 메모지의 높이는 손목을 받칠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여, 키보드 앞에 위치하여 손목을 받치는 역할과 메모지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키보드 메모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키보드 메모지의 가로길이가 키보드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보드 메모지, 손목받침대,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스티커, 홍보란

Description

키보드 메모지{scratch paper for keyboard}
본 발명은 키보드 메모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지의 길이는 키보드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하고 메모지의 높이는 손목을 받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여, 키보드 앞에 위치하여 손목을 받치는 역할과 메모지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키보드 메모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지는 갑자기 떠오른 좋은 아이디어나 전화도중에 필요한 내용을 잊지않기 위하여 간단히 메모하는데 사용하는 요긴한 도구로서 현대인들에게는 필수적 요소가 되었다.
그런데 일반적인 업무환경에서는 책상의 공간이 협소하여 이런 메모지를 책상위의 한쪽에 놓고 사용하거나 서랍 등에 넣어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메모지를 두고 사용하다 보면 급하게 메모하여야 할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메모지를 찾기가 쉽지 않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8-4749호에 기 재된 발명이 개발되었는데, 도1은 종래의 마우스패드에 메모지가 구비된 사시도로 그 구성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의 상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지력이 강한 패드판(1)과 그 상면에 접착제(3)로 다수의 메모지(2)를 적층시킨 메모지를 구비한 컴퓨터의 마우스 패드로, 마우스 패드와 메모지를 결합하여 책상위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메모지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마우스 패드의 상부에 구비된 메모지는 마우스를 상기 메모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다보면 메모지가 자주 말리게 되어, 메모지로서의 올바른 기능을 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마우스 패드에 메모지가 구비되어 있어 마우스를 사용하기에는 높이가 높기 때문에 손목 및 어깨에 부담이 되어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손목 및 어깨에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보드 손목받침대로 메모지를 사용하여 책상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게 되고, 메모지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 한면에 접착제로 제본을 하여 손목받침대로 사용하더라도 메모지가 말리지 않도록 하는 키보드 메모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지의 하부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스티커를 부착하여 미끄러운 바닥에도 미끄러지지 않는 키보드 메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메모지를 손목받침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 높이가 필요하기 때문에 메모지의 하부에 메모지 받침대를 더 구비하여 메모지의 사용 활용도를 높이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키보드 메모지의 가로길이가 키보드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메모지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제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보드 메모지의 하부에는 보강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키보드 메모지의 바닥면 또는 보강판의 하부에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밀림방지 스티커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메모지의 하부에는 메모지 받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 받침부의 하면에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밀림방지 스티커가 부착되고, 상기 메모지 받침부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지의 상면 일측에는 홍보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키보드 손목받침대로 메모지를 사용하여 책상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게 되고, 메모지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접착제로 제본을 하여 손목받침대로 사용하더라도 메모지가 말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지의 하부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스티커를 부착하여 미끄러운 바닥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게 하고, 또한, 메모지의 하부에 메모지 받침대를 더 구비하여 메모지의 사용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메모지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메모지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메모지 받침부가 구비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보드 메모지(100)는 키보드(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가로길이(L)는 키보드(1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가로길이(L)가 키보드(10)의 가로길이보다 너무 길게 형성되게 되면 키보드(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튀어나온 부분이 손에 걸리거나 책상위의 다른 물체에 부딪혀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가로길이(L)가 상기 키보드(10)의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게 되면, 상기 키보드(10)의 양 끝부분에 위치하는 자판을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가 손목 받침대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세로길이(W)는 4.5 ~ 5.5c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한데, 그 이유는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세로길이(W)를 4.5cm 보다 좁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는 상면에 손목을 받쳐서 사용해야 하는데 세로길이(W)가 너무 좁게 형성되므로 인해 손목을 받치는 부분이 손목받침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세로길이(W)를 5.5cm 보다 넓게 형성하게 되면, 손목을 받치는 부분이 너무 넓게 형성되므로 인해 손목뿐만 아니라 팔의 하부가 걸리게 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더하게 된다.
또한,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세로길이(W)가 5.5cm 보다 넓게 형성되면 불필요하게 너무 넓은 키보드 메모지(100)가 책상위에 놓이게 되어 책상 위의 공간활용도도 나빠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높이는 메모지(100)가 손목을 받쳤을 때 손목이 부담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키보드(10)를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H)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1.2cm ~ 2.0cm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높이(H)가 1.2cm보다 낮게 형성되면 손목을 위로 많이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손목에 부담이 느껴지게 되고, 또한, 2.0cm보다 높게 형성되면 손목의 높이가 너무 높아서 손목을 아래로 많이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손 목에 부담이 느껴지게 된다.
따라서, 사람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1.2cm ~ 2.0cm정도의 높이(H)로 형성되면 메모지(100)로 손목을 받치고 사용하는데 큰 부담이 없이 편안하게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키보드 메모지(100)는 책상위의 키보드(10) 앞에 놓아두고 손목 받침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손목을 올려놓고 사용하다 보면 키보드 메모지(100)가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그래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하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밀림방지 스티커(150)를 부착하여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림방지 스티커(150)는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하면 전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밀림방지 스티커(150)를 적당한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하여 2 ~ 4개 정도를 하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가 밀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제작비용 또한 줄일 수 있게 되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키보드 메모지(100)의 상면에 손목을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 한쪽면에만 접착제로 제본한 키보드 메모지(100)는 접착되지 않는 부분이 3면이어서 구속되는 1면만으로는 키보드 메모지(100)가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는 힘이 부족하여 말 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가 말리게 되면 받침대로 사용하기도 불편하고 메모지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를 적층하여 접착제로 제본할때,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일측면만 접착제로 제본하는 것이 아니라, 전면(110)과 후면(120) 중 어느 한면과, 좌측면(130)과 우측면(140) 중 어느 한 측면을 접착제로 제본하게 되면,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길게 형성된 가로면 하나와 짧게 형성된 세로면 하나가 접착제 제본된 형태여서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상면에 손목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키모드 메모지(100)가 말리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두방향의 면을 접착제로 제본하게 되어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상면에 손목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상면이 밀리지 않게 측면의 두 면에서 잡아주게 되므로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가 말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하면에는 종이재로 이루어진 키보드 메모지(100)가 적당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보강판(17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이 등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키보드 메모지(100)의 변형을 방지하여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보강판(170)의 하부에는 키보드 메모지(100)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스티커(150)를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상면 일측에 상호, 로고, 상표 등이 인 쇄되는 홍보란(160)을 별도로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상호, 로고, 상표 등을 홍보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하부에 메모지 받침부(200)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메모지 받침부(200)가 구비되면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를 손목 받침대로 사용할 때 손목을 받치기 위해서는 1.2cm ~ 2.0cm의 높이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를 일정량 사용하다 보면 키보드 메모지(10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손목에 부담을 주게되어 결국 남아있는 키보드 메모지(100)의 상부에 키보드 메모지(100)를 더 적층하여 손목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높이를 맞추고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는 높이(H)가 일정 높이 이하로 되면 키보드 메모지(100)의 사용을 기피하게 되므로 키보드 메모지(100)의 낭비가 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메모지 받침부(200)를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하부에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면 키보드 메모지(100)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지 받침대(200)와 키보드 메모지(100)를 적층시킨 높이는 1.2cm ~ 2.0cm로 손목을 받치기에 적당한 높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 받침부(200)의 하면에도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및 고무재질의 밀림방지 스티커(250)를 부착하여 밀림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메모지 받침대(200)의 상면에는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가 밀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단턱(210)을 형성하여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이하 전술된 키보드 메모지(100)의 작용 관계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는 가로길이(L)는 키보드(1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게 형성하고, 세로길이(W)는 4.5 ~ 5.5cm정도로 형성하며, 높이(H)는 1.2cm ~ 2.0cm로 형성하여 손목을 받쳐 사용하기 편하게 구성하여 손목 받침대로 사용하게 되고, 또한 메모지의 역할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하면에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스티커(150)를 부착하여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하부에 메모지 받침부(200)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와 메모지 받침부(200)를 합한 높이는 손목을 받치기에 적당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 받침부(2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단턱(210)이 형성되어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를 올려놓고 사용하더라도 밀리지 않게 하여 키보드 메모지(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메모지 받침부(200)의 하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스티커(250)를 부착하여 메모지 받침부(200) 역시 밀리지 않게하여 사용하기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메모지(100)의 상면에 상표, 로고, 상호 등이 인쇄되는 홍보란(160)을 형성하여 상기 키보드메모지(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홍보하는 효과도 아울러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보드 메모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지의 길이는 키보드의 길이에 맞추어 형성하고 메모지의 높이는 손목을 받칠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여, 키보드 앞에 위치하여 손목을 받치는 역할과 메모지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키보드 메모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마우스패드에 메모지가 구비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메모지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메모지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메모지 받침부가 구비된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보드 100 : 키보드 메모지
110 : 전면 120 : 후면
130 : 좌측면 140 : 우측면
150 : 밀림방지 스티커 160 : 홍보란
170 : 보강판
200 : 메모지 받침대 210 : 단턱
250 : 밀림방지 스티커
H : 높이 L : 가로길이
W : 세로길이

Claims (7)

  1.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키보드 메모지의 가로길이가 키보드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키보드 메모지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제본되며,
    상기 키보드 메모지의 하부에는 메모지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모지 받침부의 하면에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밀림방지 스티커가 부착되며,
    상기 메모지 받침부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메모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메모지의 하부에는 보강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메모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메모지의 바닥면 또는 보강판의 하부에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밀림방지 스티커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메모지.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지의 상면 일측에는 홍보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메모지.
KR1020080136446A 2008-12-30 2008-12-30 키보드 메모지 KR101065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446A KR101065859B1 (ko) 2008-12-30 2008-12-30 키보드 메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446A KR101065859B1 (ko) 2008-12-30 2008-12-30 키보드 메모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243A KR20100078243A (ko) 2010-07-08
KR101065859B1 true KR101065859B1 (ko) 2011-09-20

Family

ID=4263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446A KR101065859B1 (ko) 2008-12-30 2008-12-30 키보드 메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8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942A (ja) * 1998-09-04 2000-03-21 Hisashi Mizuguchi テーブル・リストレスト
KR20000035829A (ko) * 1996-08-28 2000-06-2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손목 받침 조립체
KR20000016557U (ko) * 1999-02-03 2000-09-25 김응욱 다기능컴퓨터 키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829A (ko) * 1996-08-28 2000-06-2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손목 받침 조립체
JP2000081942A (ja) * 1998-09-04 2000-03-21 Hisashi Mizuguchi テーブル・リストレスト
KR20000016557U (ko) * 1999-02-03 2000-09-25 김응욱 다기능컴퓨터 키보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공개(블로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243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4213A (en) Laptop computer work station and accessory storage system
WO2008061163A3 (en) Rigid mouse pad
KR200484501Y1 (ko) 다기능 클립보드
KR101065859B1 (ko) 키보드 메모지
US6896948B1 (en) Computer mouse cover
USD595297S1 (en) Portable computer
WO1998020412A1 (fr) Tapis pour souris
KR20160093842A (ko) 펜과 포스트잇이 있는 스트링공책
US20100019118A1 (en) Travelling desk
US20060227109A1 (en) Computer mouse with changeable holding part
US20020061216A1 (en) Multifunctional keyboard
CN201683425U (zh) 座椅
JP2020006674A (ja) 折畳み式クリップボード
JP3115089U (ja) デスクマット
CN217543795U (zh) 隐藏触控板的皮套键盘
CN206178692U (zh) 新型分体式键盘
KR102023078B1 (ko) 태블릿 스탠드 기능을 가진 키보드 장치 및 스피커 장치
US20070125927A1 (en) A memo paper structure
CN214704474U (zh) 一种易于握持的平板
CN212460525U (zh) 一种人体工学鼠标外壳
TWM333847U (en) Improved structure of paper-made chair
JP3087583U (ja) パレット(絵の具板)型の携帯式ノートパッド(メモ用紙用下敷き板)
JP3120015U (ja) モバイルマウスパッド
US20040145175A1 (en) File device having white board member
CN206350566U (zh) 异材质组合的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