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696B1 -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696B1
KR101064696B1 KR1020100099376A KR20100099376A KR101064696B1 KR 101064696 B1 KR101064696 B1 KR 101064696B1 KR 1020100099376 A KR1020100099376 A KR 1020100099376A KR 20100099376 A KR20100099376 A KR 20100099376A KR 101064696 B1 KR101064696 B1 KR 10106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web
capacity
website
web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포드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포드닷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포드닷컴
Priority to KR102010009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53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2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에 있어서, 운영자가 웹사이트의 일별 또는 계정별 기본 용량과 종량제 용량을 설정하고 해당 금액을 납부하는 단계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의 요청이 웹서버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설치된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처리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웹사이트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에서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분석하는 단계와; 계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웹사이트 기본 용량을 읽어 온 후,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제어하는 단계와; 일정시각마다 상기 웹사이트에서 사용된 웹 트래픽을 초기화시켜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웹 트래픽 로그 데이터를 로그 분석 프로그램이 수집하고 분석하여 트래픽 사용 현황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중단 없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의 정해진 용량 전체를 무조건 쓰는 것이 아니라 일정 용량을 미리 구매 후 필요할 때마다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종량제 방식을 제공하여 좀 더 유연하게 사이트 운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웹 로그 분석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트래픽 총 사용량을 그래프로 보여주기 때문에 웹 공격을 통해 정상적인 트래픽이 아닌 이상 트래픽의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대량의 트래픽의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METHOD OF AUTOMATIC BLOCK AND CHARGE ACCORDING TO WEB TRAFFIC MEASURED RATE SYSTEM}
본 발명은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웹 트래픽 사용에 따라 과금을 하는 종량제에서 기본 트래픽 용량과 종량제 용량을 두어 트래픽 사용량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를 차단하거나 충전을 통해 서비스를 계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인터넷 망에서 인터넷 서비스 사용에 대한 과금 산출을 위한 종량제는 라우터에서 가입자가 사용한 트래픽 유형과 양을 측정하여 과금하였다.
또는 선불 종량제로, 사용자는 트래픽 사용량을 정하여 미리 그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불하고,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트래픽 사용에 따라 과금을 하여 사용자가 미리 구입한 금액만큼 서비스를 계속하고 그 금액을 초과하면 서비스를 차단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트래픽 유형과 양을 측정하여 과금하는 방법은 서비스 공급자가 정한 트래픽 유형을 벗어나는 경우 과금 하기 어렵고, 서비스 공급자가 정한 트래픽 유형을 벗어나는 경우에 트래픽 양에 대한 처리가 곤란하였다.
또한, 리눅스 등 서버 단위로 트래픽 용량을 체크하기 때문에 윈도우 인터넷 서비스 사용에서 계정별(웹사이트별) 트래픽의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별-계정별(웹사이트별)로 기본 트래픽 용량과 종량제 용량을 미리 구매하도록 하여, 기본 트래픽 사용량을 기준으로 사이트가 운영되도록 하고, 상황에 따라 기본 용량을 초과할 때만 종량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트래픽이 기본 트래픽을 초과하였을 경우 종량제 용량이 없으면 사이트를 차단하고, 종량제 용량이 있다면 초과한 양만큼을 종량제 용량에서 충전하여 기본 트래픽 용량을 늘려주어 사이트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웹 로그 파일을 이용한 트래픽 수집 및 차단 프로그램으로 리눅스 뿐만 아니라 윈도우에서 사용자에게 트래픽 사용 현황을 알 수 있도록 그래프를 제공하고, 트래픽 사용 한도를 보여주어 트래픽 추가 설정 여부를 결정하는데 용이한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에 있어서, 운영자가 웹사이트의 일별 또는 계정별 기본 용량과 종량제 용량을 설정하고 해당 금액을 납부하는 단계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의 요청이 웹서버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설치된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처리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웹사이트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에서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분석하는 단계와; 계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웹사이트 기본 용량을 읽어 온 후,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제어하는 단계와; 일정시각마다 상기 웹사이트에서 사용된 웹 트래픽을 초기화시켜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의 요청이 웹서버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여 결과를 반환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 용량과 결과로 반환한 데이터 용량을 로그로 기록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웹서버에 설치된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처리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웹사이트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웹사이트별로 저장된 로그를 수집하고, 사용된 웹 트래픽 데이터의 총량을 산출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에서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웹사이트 별로 현재 웹 트래픽 사용량을 반환하며, 웹 트래픽 용량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 그래프를 생성하여 운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계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웹사이트 기본 용량을 읽어 온 후,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는,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상기 기본 용량을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차단 또는 웹 트래픽 용량을 충전하여 웹사이트 운영을 지속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웹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기본 용량의 90%에 도달하면, 계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계정에 충전 가능한 종량제 용량이 있는지 체크하여 종량제 용량이 있는 경우,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에서 해당 웹서버로 웹 트래픽 용량 충전 명령을 전송하고, 종량제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는 웹사이트 운영자에게 메일 또는 문자메세지를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기본 용량의 100%에 도달하고, 종량제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는 상기 웹서버에 해당 웹사이트를 차단시키는 명령을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웹 트래픽 로그 데이터를 로그 분석 프로그램이 수집하고 분석하여 트래픽 사용 현황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중단 없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의 정해진 용량 전체를 무조건 쓰는 것이 아니라 일정 용량을 미리 구매 후 필요할 때마다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종량제 방식을 제공하여 좀 더 유연하게 사이트 운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웹 로그 분석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트래픽 총 사용량을 그래프로 보여주기 때문에 웹 공격을 통해 정상적인 트래픽이 아닌 이상 트래픽의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대량의 트래픽의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은, 운영자가 웹사이트의 일별 또는 계정별 기본 용량과 종량제 용량을 설정하고 해당 금액을 납부하는 단계(S10)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의 요청이 웹서버(20)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S20)와; 상기 웹서버(20)에 설치된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처리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웹사이트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S30)와;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10)에서 상기 웹서버(20)에 저장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분석하는 단계(S40)와; 계정별 데이터베이스(30)에서 웹사이트 기본 용량을 읽어 온 후,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50)와; 일정시각마다 상기 웹사이트에서 사용된 웹 트래픽을 초기화시켜 재시작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운영자가 웹사이트의 일별 또는 계정별 기본 용량과 종량제 용량을 설정하고 해당 금액을 납부하는 단계(S10)에서는 사용자가 트래픽 용량을 기본 용량을 구매할 것인지, 기본 용량과 종량제 용량을 구매할 것인지 결정한다.
이렇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기본 트래픽 용량은 한번 증설하면 계속 그 용량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도 신청한 만큼의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기본 트래픽을 적당히 신청하고 그 용량을 초과할 경우 종량제 용량을 사용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기본 용량과 종량제 용량을 구매하면 해당 정보가 계정별(웹사이트별)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의 요청이 웹서버(20)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S20)는, 상기 웹서버(20)에 접속(S22)된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여 결과를 반환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 용량과 결과로 반환한 데이터 용량을 로그로 기록(S24)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20)는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결과를 반환한 후,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데이터 용량과 결과로 반환한 데이터 용량을 로그로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20)는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로그 수집 프로그램은, 도 2 에서와 같이, 웹 트래픽을 분석하는 로그 분석 처리부(24)와 상기 로그 분석 처리부(24)에서 분석된 트래픽 로그가 저장되는 로그 저장부(22)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요청용량과 처리된 결과용량이 XML파일로 변환되는 XML 변환부(26)와 상기 XML 변환부(26)에서 변환된 결과를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10)에 전송하는 트래픽 사용량 반환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20)에 설치된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처리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웹사이트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S30)는, 웹사이트별로 저장된 로그를 수집 및 분석(S32)하고, 사용된 웹 트래픽 데이터의 총량을 산출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형식으로 저장(S34)하는 단계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웹서버(20)에 설치된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웹사이트별로 저장된 로그 파일을 읽어서 로그를 수집한다.
여기서, 웹서버(20)가 남기는 로그는 텍스트 파일이며, 로그 수집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한다. 때문에 전체 로그 파일 중에서 한번 분석 했던 부분은 다음 분석에서 제외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 기술이 없다면 기존에 수집했던 부분을 다시 중복 수집하여 최종 데이터에 중복 값이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웹사이트 당 1개의 체크포인트 파일을 생성하여 한번 수집했던 부분의 최종 위치를 기록하여 다음 로그 수집에서는 마지막 수집한(체크) 로그 이후부터 수집하도록 한다.
즉, 상기 웹서버(20)에 설치된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처리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웹사이트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S30)는,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사이트별로 로그를 수집하고, 수집된 로그에서 요청받은 용량과 결과로 반환한 용량을 추출하여 총 트래픽 사용량을 산출하고, 웹사이트별로 산출된 총 트래픽 사용량을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형식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XML 파일에는 사이트별로 해당 시점까지의 누적 트래픽 사용량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에서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분석하는 단계(S40)는, 웹사이트 별로 현재 웹 트래픽 사용량을 반환하며, 웹 트래픽 용량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 그래프를 생성하여 운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S40단계는 S30단계까지 진행되어 산출된 총 트래픽 사용량에 대해,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10)가 각 웹서버(20)에 저장된 트래픽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한다.
여기서,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10)가 주기적으로 각 웹서버(20)에 트래픽 사용량을 요청하는 것은 내부적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처리된다.
또한,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10)는 트래픽 사용량에 대한 요청이 들어온 웹사이트 별로 현재 트래픽 사용량을 반환하고, 총 트래픽 사용량의 그래프를 생성하여 운영자가 실시간으로 한눈에 현재 트래픽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계정별 데이터베이스(30)에서 웹사이트 기본 용량을 읽어 온 후,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50)는,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상기 기본 용량을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차단 또는 웹 트래픽 용량을 충전하여 웹사이트 운영을 지속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웹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기본 용량의 90%에 도달(S51)하면, 계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계정에 충전 가능한 종량제 용량이 있는지 체크하여 종량제 용량이 있는 경우(S52),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10)에서 해당 웹서버(20)로 웹 트래픽 용량 충전 명령을 전송(S53)하고, 종량제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는 웹사이트 운영자에게 메일 또는 문자메세지를 전송(S54)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기본 용량의 100%에 도달하고, 종량제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는 상기 웹서버에 해당 웹사이트를 차단(S54)시키는 명령을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계정별 데이터베이스(30)에서 해당 사이트의 기본 용량(제한 용량)을 읽어온 후,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10)에 있는 총 트래픽 사용량과 비교(S51)한다.
이 때, 총 트래픽 사용량이 기본용량의 90%에 도달하였으면, 계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계정에 충전 가능한 종량제 용량이 있는지 체크(S52)하여 종량제 용량이 있는 경우에는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10)에서 각각의 웹서버(20)로 충전 명령을 전송(S53)하고, 종량제 용량이 없는 경우에는 트래픽 통합 수집 서버는 미리 사이트 운영자에게 메일을 보내거나 SMS 문자메시지를 보내 알람(S54)을 하고 사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충전 가능한 용량이 얼마 남지 않았거나 없는 경우는 고객이 직접 충전(S55)하도록 하며, 여기서 충전은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종량제 용량이 있는 경우, 종량제 용량에서 일정 용량을 가져와 기본 용량을 늘려 주어 총 트래픽 사용량이 기본 용량을 초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사이트를 계속 이용(S56)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1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기본 용량과 총 트래픽 사용량을 비교하고 총 트래픽 사용량이 기본용량 한도(100%)에 도달하였을 경우는 웹서버(20)에 웹사이트 중지 명령(S54)을 전송한다.
즉, 총 트래픽 사용량이 기본용량의 90%에 도달할 경우, 종량제 용량이 있어 충전이 가능하거나 웹사이트 운영자가 통합 수집 서버가 보낸 메일이나 SMS 알람을 보고 충전을 한 경우는 계속 사이트 이용이 가능하고, 종량제 용량이 없거나 알람 이후에도 사용자가 충전을 하지 않아 총 트래픽 사용량이 기본용량의 100%를 차지할 경우 사이트 이용이 자동으로 중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시각마다 상기 웹사이트에서 사용된 웹 트래픽을 초기화시켜 재시작하는 단계(S60)는 매일 0시가 되면 사용 트래픽을 0으로 초기화하고 혹시 트래픽 초과로 중지된 계정을 재시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트래픽 체크와 충전 및 중지 작업은 1일 단위로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S30단계에서는 로그 수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리눅스와 동일한 기능을 윈도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하였고, 기본 웹 로그 파일과 공개된 LogParser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개발하여 범용성이 뛰어나고 다른 분야로의 통합 및 확장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XML 파일 형식은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XML 파일의 내용을 읽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형식이므로 시스템의 확장성이 증가하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더불어 서버의 이전이나 재설치 등으로 트래픽 로그 데이터를 이전해야 하는 경우 파일 복사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트래픽 로그 데이터를 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S40단계에서는, 현재 트래픽 사용량과 제한 용량을 하나의 그래프에 표시해 줌으로써 트래픽 사용 상황을 간편하게 한눈에 확인해 볼 수 있게 했다.
또한, 상기 S50단계에서는, 트래픽 사용량을 초과 했을 때 차단 페이지를 운영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트래픽 자동 차단 및 충전 방법이 보다 유연하게 처리되도록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은, 웹 트래픽 로그 데이터를 로그 분석 프로그램이 수집하고 분석하여 트래픽 사용 현황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중단 없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의 정해진 용량 전체를 무조건 쓰는 것이 아니라 일정 용량을 미리 구매 후 필요할 때마다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종량제 방식을 제공하여 좀 더 유연하게 사이트 운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웹 로그 분석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트래픽 총 사용량을 그래프로 보여주기 때문에 웹 공격을 통해 정상적인 트래픽이 아닌 이상 트래픽의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대량의 트래픽의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 20 : 웹 서버
22 : 분석부 24 : XML변환부
26 : 로그 저장부 28 : 처리부
30 : 계정별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에 있어서,
    운영자가 웹사이트의 일별 또는 계정별 기본 용량과 종량제 용량을 설정하고 해당 금액을 납부하는 단계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의 요청이 웹서버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설치된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처리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웹사이트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에서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분석하는 단계와;
    계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웹사이트 기본 용량을 읽어 온 후,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제어하는 단계와;
    일정시각마다 상기 웹사이트에서 사용된 웹 트래픽을 초기화시켜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의 요청이 웹서버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여 결과를 반환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 용량과 결과로 반환한 데이터 용량을 로그로 기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에 설치된 로그 수집 프로그램이 처리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웹사이트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웹사이트별로 저장된 로그를 수집하고, 사용된 웹 트래픽 데이터의 총량을 산출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에서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웹 트래픽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웹사이트 별로 현재 웹 트래픽 사용량을 반환하며, 웹 트래픽 용량을 누적하여 누적 용량 그래프를 생성하여 운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웹사이트 기본 용량을 읽어 온 후,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는, 웹 트래픽 사용 용량과 상기 기본 용량을 비교하여 웹사이트를 차단 또는 웹 트래픽 용량을 충전하여 웹사이트 운영을 지속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기본 용량의 90%에 도달하면, 계정별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계정에 충전 가능한 종량제 용량이 있는지 체크하여 종량제 용량이 있는 경우,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에서 해당 웹서버로 웹 트래픽 용량 충전 명령을 전송하고, 종량제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는 웹사이트 운영자에게 메일 또는 문자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트래픽 사용량이 상기 기본 용량의 100%에 도달하고, 종량제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통합 트래픽 수집서버는 상기 웹서버에 해당 웹사이트를 차단시키는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KR1020100099376A 2010-10-12 2010-10-12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KR101064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376A KR101064696B1 (ko) 2010-10-12 2010-10-12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376A KR101064696B1 (ko) 2010-10-12 2010-10-12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696B1 true KR101064696B1 (ko) 2011-09-14

Family

ID=4495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376A KR101064696B1 (ko) 2010-10-12 2010-10-12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9733A (zh) * 2022-03-14 2022-06-14 浙江开心果数智科技有限公司 基于ai的流量自动充值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368A (ko) * 2000-02-10 2000-05-06 이상원 인터넷 과금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368A (ko) * 2000-02-10 2000-05-06 이상원 인터넷 과금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포항공과대학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9733A (zh) * 2022-03-14 2022-06-14 浙江开心果数智科技有限公司 基于ai的流量自动充值方法
CN114629733B (zh) * 2022-03-14 2024-02-13 浙江开心果数智科技有限公司 基于ai的流量自动充值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0006B (zh) 一种资源计费方法和装置
US10762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intelligent water points in resource constrained regions
KR101092507B1 (ko) 실시간 에너지 정보 표시 시스템
CN110493016B (zh) 流量业务计费方法及装置
CN104811344A (zh) 网络动态业务监控方法及装置
JP2010128810A (ja) 自動検針方法、自動検針システム、自動検針装置、およびスマートメータ
KR102242782B1 (ko) 지역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870597B2 (en) Systems and methods allowing multi-family property owners to consolidate retail electric provider charges with landlord provided utilities and services
CN105373118A (zh) 一种智能设备数据采集方法
BRPI0804501B1 (pt) Método de faturamento, sistema de faturamento e módulo de corte de ciclo de conta
CN106022749A (zh) 一种电费计费方法
KR101064696B1 (ko) 웹 트래픽 종량제에 따른 자동차단 및 충전방법
JP2011128953A (ja) 電気料金システム
KR20140119342A (ko) 전력 수요반응 시장 자원으로 이동성 부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성 부하의 충전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60116625A (ko) 태양광 발전 설비의 대여 관리 장치 및 방법
US90477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KR101092501B1 (ko) 실시간 에너지정보 포탈 시스템
CN109685993B (zh) 一种充电桩用电的账务管理方法
CN101188000A (zh) 确定所预测系统行为的准确度的方法和装置
Dujak et al.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as key enabler in smart metering systems
KR20200130103A (ko) 통합 스마트 계량 시스템 및 취합 서버
JP2008117247A (ja) 前払い式のlpガス料金徴収方法およびシステム
Li et al. Performance Monitoring of African Micro-Grids: Good Practices and Operational Data
KR101860598B1 (ko) 이기종 시스템의 데이터 통합 장치
KR101627912B1 (ko) 전류 계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