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642B1 -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 Google Patents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642B1
KR101064642B1 KR1020080079867A KR20080079867A KR101064642B1 KR 101064642 B1 KR101064642 B1 KR 101064642B1 KR 1020080079867 A KR1020080079867 A KR 1020080079867A KR 20080079867 A KR20080079867 A KR 20080079867A KR 101064642 B1 KR101064642 B1 KR 101064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layer
functional
sensitive
fabric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122A (ko
Inventor
이인범
Original Assignee
이인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범 filed Critical 이인범
Priority to KR102008007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6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45Nitriles
    • D06M13/348Nitriles unsaturated, e.g. acrylonitri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 시트는 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화합물 시트에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고 색상의 변화 또는 색상의 발현 기능성 층을 포함하여 패션전시, 패션쇼 또는 블랙등/블랙조명 하에서의 변색, 새로운 색의 발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의류 또는 산업용 재료를 위한 기능성 섬유집합체 원단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로 형성된 기초층, 바인더 화합물과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기초층 위에 도포되는 제1기능층 및 바인더 화합물과 염색용 안료 또는 염료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제1기능층 위에 도포되는 제2기능층을 포함하고, 제1기능층 및 제2기능층은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스프레이 방식, 플로킹 방식, 침지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외선감응피그먼트, 피그먼트 파우더, 고착, 프린트법, 자외선감응원단, 자외선감응시트

Description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Functional Fabrics Including Ultraviolet Light Reacting Pigments}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 시트는 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화합물 시트에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고 색상의 변화 또는 색상의 발현 기능성 층을 포함하여 패션전시, 패션쇼 또는 블랙등/블랙조명 하에서의 변색, 새로운 색의 발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의류 또는 산업용 재료를 위한 기능성 섬유집합체 원단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 또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시트 상에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한 바인더를 로터리 방식 또는 롤러 방식 또는 플로킹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 등을 사용하여 프린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여 변색 또는 새로운 색을 발현을 발현하도록 하는 기능성 원단 및 시트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캡슐, 마이크로스피어 또는 파우더가 음이온 발생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바인더에 이를 포함하여 피그먼트와 동일층으로 또는 별도의 층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성 원단 또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염색가공 부문에서 발달한 고도의 기술을 사 또는 섬유집합체에 응용한 소위 고기능성 섬유소재가 개발되어 의류용 섬유소재로서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용, 각종산업용 소재로 사용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섬유집합체에 있어서 블랙등/블랙조명에 의해 형광물질의 특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기술은 응용이 되고 있으나, 이는 주어진 색상을 더욱 강하게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색으로의 변색이나 무색에서 새로운 색상을 발현하는 기능은 주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바인더 적용 층을 이용하여 패션전시 또는 패션쇼 또는 블랙등 하에서의 변색 또는 새로운 색상의 발현을 위한 기능성 원단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로 형성된 기초층, 바인더 화합물과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기초층 위에 도포되는 제1기능층 및 바인더 화합물과 염색용 안료 또는 염료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기능층 위에 도포되는 제2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능층 및 제2기능층은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스프레이 방식, 플로킹 방식, 침지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기능층 및 제2기능층은 연속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기능층이 제1기능층 보다 먼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기능층 및 제2기능층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의 입자는 직경이 1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인더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염화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부타디엔 모노머, 특수아크릴고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계모노머, 염화비닐모노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감응 기능성 원단 또는 시트를 이용한 의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또는 시트는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의 특성으로 자외선 조사시 새로운 색상의 발현으로 패션전시용 의류, 패션쇼용 의류, 블랙등/블랙조명 하에서의 색상변화 복장, 산업용 용도에 의한 시트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캡슐화에 의해 형성된 캡슐의 벽에 의하여 기능성 화학물질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기능성 화학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시기, 장소, 속도 등은 벽을 이루는 고분자 물질의 재질 및 두께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유로이 조절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란 파장이 250 나노미터 전후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였을 때 적색은 613 나노미터 전후의 적색 가시광선을 발산하거나, 515 나노미터 전후의 초록색 가시광선을 발산하거나, 477 나노미터 전후의 청색 가시광선을 발산한다.
부가적인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마이크로캡슐화란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매우 작은 고분자 물질로 된 캡슐 내에 기능성 화학물질을 넣어주는 것을 말한다. 마이크로캡슐화에 의해 형성된 캡슐의 벽에 의하여 기능성 화학물질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기능성 화학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시기, 장소, 속도 등은 벽을 이루는 고분자 물질의 재질 및 두께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유로이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조사 하에서 변색 또는 새로운 색상의 발현을 특성으로 하는 의류 또는 산업용 소재를 위한 기능성 시트는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로 형성된 기초층, 바인더 화합물과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기초층 위에 도포되는 제1기능층 및 바인더 화합물과 염색용 안료 또는 염료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기능층 위에 도포되는 제2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능층 및 제2기능층은 순서를 바꾸어 처리하거나 단일 층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각 층은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플로킹 또는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이 될 수 있다. 각 층에는 바인더 화합물과 혼합된 세라믹, 비타민, 아로마 및 메탈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어를 부수적으로 첨가하여 부가 기능을 발현할 수도 있다. 제1기능층 및 제2기능층은 연속해서 형성이 되거나 제1기능층 및 제2기능층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의 입자 크기는 1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가 될 수 있다.
바인더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염화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스티 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부타디엔 모노머, 특수아크릴고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계모노머 및 염화비닐모노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에 있어서, 적색 칼라 발현을 위하여, Y2O3: Eu3+, Y2O23: Eu3+,(Y,Gd)BO3:Eu3+, Y2O2S:Eu, and CaMoO4: Eu3+, Y(V,P)O4: Eu3+ 등의 피그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청색 칼라 발현을 위하여 BaMgAl10O17: Eu2+ 등의 피그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녹색 칼라 발현을 위하여 Zn2SiO4:Mn2+, BaAl12O19:Mn, YBO3:Tb, ZnS:Cu,Au,Al, Y2O2S:Eu 등의 피그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적색 칼라 발현을 위하여 질소 2.8%, 탄소 43%, 수소 2.2%, 황 9.6%, 산소 14.2% ± 5%인 Eu 컴플렉스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며, 청색 칼라 발현을 위하여 질소 8.6%, 탄소 74%, 수소 5.3%, 산소 9.2% ± 5%인 Eu 컴플렉스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며, 녹색 칼라 발현을 위하여 질소 6.2%, 탄소 69%, 수소 4.12%, 황 11.9%, 산소 7.1% ± 5%인 Eu 컴플렉스 유기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이용한 원단 또는 시트는 의류 및 산업용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자외선 감응 원단 및 시트는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 상에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로터리 방식, 플로킹 방식, 침지방식, 스프레이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을 이용해 프린트법에 의해 직물이나 편직물 및 부직포 등의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에 고착하는 방법으로 형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층의 형성을 위한 바인더 물질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 화합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트 화합물로는 톨루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텔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 물질은 추가로 염화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부타디엔 모노머, 특수아크릴고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계모노머, 염화비닐모노머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부가 중합하여 형성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 물질은 용도에 따라 촉매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는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의 적색 칼라 발현, 청색 칼라 발현, 녹색 칼라 발현 등을 포함하고, 그리고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의 입자 크기는 지름이 1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가 될 수 있다. 여기에 부가적인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는 예를 들면 비타민 D와 비타민 E ,아로마 및 메탈, 세라믹 등을 구성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가 될 수 있고, 그리고 마이크로스피어의 지름은 0.1 내지 20마이크로미터가 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위의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에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131)에 부가된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는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그리고 세라믹 파우더는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방출하는 구조식 A: X1Y3Al6 B3Si6(OH)4 (X = Na 또는 Ca, Y = Mg, Li, Al 또는 Fe2+), (Al과 OH는 치환 가능). 구조식 B: (Na, Ca)2 (Al2Si3O10)8H2O (화합물의 유도체 포함). 구조식 C: (Ce, La, Th, Nd, Y)PO4 Cu3(Ge, Fe)S4 (화합물의 유도체 포함). 구 조식 D: Cu3(Ge, Fe)S4 (화합물의 유도체 포함)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마이크로스피어는 입자의 직경이 0.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로 형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파우더는 첨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섬유집합체 및 고분자 시트에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바인더 물질을 이용하여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스프레이 방식, 침지 방식, 플로킹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인 프린트법에 의해 직물이나 편직물 및 부직포 등의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에 형성된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린트법에 의한 고착방법인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을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시트는 섬유 집합체(11) 및 기능성 층(12)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12)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121)를 포함하는 바인더(125)의 혼합액을 50에서 300목, 바람직하게는 130목의 스크린으로 처리하여 형성이 된다. 기능성 층(12)은 스크린(2a)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섬유집합체(11) 위에서 처리가 된 후, 프린트용 스퀴즈(3a)로 표면이 평평하게 만들어진다. 이후 상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50℃에서 3초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30초 동안 처리하여 고착이 된다.
본 발명에서 다른 고착방법으로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121)를 포함하는 바인더(125)의 혼합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다. 스프레이 방식에 따르면 기능성 층(12)은 스프레이(2b)의 관통된 홈에 의해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11)위에 처리된다. 이후 상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150℃에서 3초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30초 동안 처리되어 고착이 된다.
본 발명에서 다른 고착방법으로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121)를 포함하는 바인더(125)의 혼합액을 로터리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로터리 방식에 따르면 기능성 층(12)은 로터리(2c)의 관통된 홈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11)위에 처리된 후 로터리 나이프(3c)에 의하여 표면이 평평하게 만들어진다. 이후 상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150℃에서 3초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30초 동안 처리되어 고착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고착방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성 층(12)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121)를 포함하는 바인더(125)의 혼합액을 롤러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이 된다. 기능성 층(12)은 롤러(2d) 표면의 홈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섬유집합체(11) 위에서 처리가 된 후, 상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150℃에서 3초 내지 10분간, 바람직하게는 30초 동안 처리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고착방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성 층(12)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121)를 포함하는 바인더(125)의 혼합액을 간접 침지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이 된다. 기능성 층(12)은 롤러(2e) 표면에 의해 섬유집합체(11) 위에서 처리가 된 후, 상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150℃에서 3초 내지 10분간, 바람직하게는 30초 동안 처리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고착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성 층(12)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121)를 포함하는 바인더(125)의 혼합액 속에 침지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이 된다. 기능성 층(12)은 롤러(2f) 표면과 바인더(125)의 혼합액에 의해 섬유집합체(11) 위에서 처리가 된 후, 상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150℃에서 3초 내지 10분간, 바람직하게는 30초 동안 처리가 된다.
이와 같은 상기한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131)는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11)에 연속해서 고착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고착이 된다.
상기에서 기재된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 중 어느 하나의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바인더 화합물과 함께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방법에 따라 섬유집합체에 먼저 고착을 시킨다. 그리고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바인더 화합물과 함께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방법에 따라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에 고착시킨다. 이러한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의 고착 순서는 일반 염색용 피그먼트 또는 염료를 먼저 처리한 후 고착시킬 수도 있고, 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동일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만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와 일반 염색 피그먼트를 별도의 공정 과정에 따라 고착하는 것은 기존의 색상의 효과 발현을 또한 기대하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비교 예를 기술한다.
아래의 실시 예 및 비교 예에서 에미션 칼라, 자극 에너지 파장, 에미션 파장, 융점, pH, 평균입자크기 등이 측정되었다.
실시 예 1
자외선 감응 적색 발현 피그먼트 층 단일 형성 :
폴리아크릴수지 에멀젼 79중량부, 물 20중량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 (질소 2.8%, 탄소 43%, 수소 2.2%, 황 9.6%, 산소 14.2% ± 5%인 Eu 컴플렉스 유기화합물) 1.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 범위로 조절되도록 발명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이를 1차 층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130목의 스크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부직포나 직물, 편물 또는 고분자 시트에 처리한 후 도포직물을 100℃에서 5분간 예비로 건조시켜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식에 있어서,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 스프레이 방식, 침지 방식, 플로킹 방식과 같은 프린트법에 의하여 하나의 층을 섬유집합체 위에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미션 칼라, 자극 에너지 파장, 에미션 파장, 융점, pH, 평균입자크기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2
자외선 감응 녹색 발현 피그먼트 층 단일 형성 :
폴리아크릴수지 에멀젼 79중량부, 물 20중량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 (질소 6.2%, 탄소 69%, 수소 4.12%, 황 11.9%, 산소 7.1% ± 5%인 Eu 컴플렉스 유기화합물) 1.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 범위로 조절되도록 발명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이를 1차 층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130목의 스크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부직포나 직물, 편물 또는 고분자 시트에 처리한 후 도포직물을 100℃에서 5분간 예비로 건조시켜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식에 있어서,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 스프레이 방식, 침지 방식, 플로킹 방식과 같은 프린트법에 의하여 하나의 층을 섬유집합체 위에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미션 칼라, 자극 에너지 파장, 에미션 파장, 융점, pH, 평균입자크기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3
자외선 감응 청색 발현 피그먼트 층 단일 형성 :
폴리아크릴수지 에멀젼 79중량부, 물 20중량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 (질소 8.6%, 탄소 74%, 수소 5.3%, 산소 9.2% ± 5%인 Eu 컴플렉스 유기화합물) 1.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 범위로 조절되도록 발명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이를 1차 층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130목의 스크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부직포나 직물, 편물 또는 고분자 시트에 처리한 후 도포직물을 100℃에서 5분간 예비로 건조시켜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식에 있어서,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 스프레이 방식, 침지 방식, 플로킹 방식과 같은 프린트법에 의하여 하나의 층을 섬유집합체 위에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미션 칼라, 자극 에너지 파장, 에미션 파장, 융점, pH, 평균입자크기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4
1. 자외선 감응 적색 발현 피그먼트와 진한 녹색 기능성 층의 형성
진한 녹색을 가시광선에서 발현하고 자외선 방사 하에서 적색을 발현하는 기능성 층의 형성을 위해; 폴리아크릴수지 에멀젼 71.9중량부, 엘로우 칼라 3중량부, 블루 칼라 4중량부, 오렌지 칼라 0.1중량부, 물 20중량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 (질소 2.8%, 탄소 43%, 수소 2.2%, 황 9.6%, 산소 14.2% ± 5%인 Eu 컴플렉스 유기화합물) 1.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 범위로 조절되도록 발명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130목의 스크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부직포나 직물, 편물 또는 고분자 시트에 처리한 후 도포직물을 100℃에서 5분간 예비로 건조시켜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2. 자외선 감응 적색 발현 피그먼트와 연한 녹색 기능성 층의 형성
연한 녹색을 가시광선에서 발현하고 자외선 방사 하에서 적색을 발현하는 기능성 층의 형성을 위해 폴리아크릴수지 에멀젼 71.6중량부, 엘로우 칼라 4중량부, 블루 칼라 3중량부, 오렌지 칼라 0.4중량부, 물 20중량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 (질소 2.8%, 탄소 43%, 수소 2.2%, 황 9.6%, 산소 14.2% ± 5%인 Eu 컴플렉스 유기화합물) 1.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 범위로 조절되도록 발명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130목의 스크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부직포나 직물, 편물 또는 고분자 시트에 처리한 후 도포직물을 100℃에서 5분간 예비로 건조시켜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3.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 기능성 층의 형성
상기 실시 예 1, 실시 예 2 및 실시 예 3에서 세라믹 파우더,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및 메탈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 3.0 중량부를 아래와 같이 투입 도포하여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고형분 50중량%를 갖는 폴리아크릴수지 에멀젼 54중량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물에 경질탄산칼슘 15중량부, 올레인산석검 15중량부, 디메틸실록산 에멀젼 1.0중량부, 착색제 10중량부, 세라믹, 항균소취 성분이 내입된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기능성 캡슐 3.0 중량부 및 에틸렌렌 이민계 가교제 2.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내지 27℃ 범위로 조절되도록 발명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한 후, 120메쉬의 망사천으로 필터링을 실시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130목의 스크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시트에 처리하여 2차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도포시트를 100℃에서 5분간 예비 건조를 시키고 그리고 건조된 도포시트를 2단계 구조의 건조기에 도입시켜 건조기 전부의 풍량을 최소로 하고 중부 및 후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풍량을 크게 하며, 최종적으로 140℃에서 5분간 열처리를 행한 다음 냉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포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 예 5
자외선 감응 적색 발현 피그먼트 층과 연한 녹색 기능성 층의 분리 형성
폴리아크릴수지 에멀젼 79중량부, 물 20중량부,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 (질소 2.8%, 탄소 43%, 수소 2.2%, 황 9.6%, 산소 14.2% ±5%인 Eu 컴플렉스 유기화합물) 1.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 범위로 조절되도록 발명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이를 1차 층으로 형성하였다.
2차 층으로는 폴리아크릴수지 에멀젼 72.9중량부, 엘로우 칼라 3중량부, 블루 칼라 4중량부, 오렌지 칼라 0.1중량부, 물 2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범위로 조절되도록 발명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130목의 스크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부직포나 직물, 편물 또는 고분자 시트에 처리한 후 도포직물을 100℃에서 5분간 예비로 건조시켜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식에 있어서,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 스프레이 방식, 침지 방식, 플로킹 방식과 같은 프린트법에 의하여 하나의 층을 섬유집합체 위에 형성시킬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기능성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1 기능성 층에 포함되는 화합물을 혼합시켜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시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실시 예 6
위의 실시 예 1, 2 및 3에 따라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Ne 40 사로 구성된 평직의 직물로 밀도가 13372(경사 133 올/인치, 위사 72 올/인치)의 면직물에 기능층을 만든 후 이를 응용하여 자외선 감응 의류를 제작하였다.
삭제
표 1
항 목 자외선 감응 적색 발현 피그먼트
(실시예 1)
자외선 감응 녹색 발현 피그먼트
(실시예 2)
자외선 감응 청색 발현 피그먼트
(실시예 3)
에미션 칼라 적색 녹색 청색
자극 에너지 파장 254 나노 미터 254 나노 미터 254 나노 미터
에미션 파장 (피크) 612 나노 미터 515 나노 미터 477 나노 미터
융점 246℃ 130℃ 210℃
pH 7 ~ 7.5 7 ~ 7.5 12 ~ 13
평균 입자 크기 14 마이크로미터 66 마이크로미터 39 마이크로미터
저항 우수 우수 불량
알칼리 우수 불량 불량
표 1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실시 예 1, 2, 3의 도포시트는 종래의 방식에서 자외선 방사에서 발현되지 않는 612 나노 미터의 적색, 515 나노 미터의 녹색, 477 나노 미터의 청색이 발현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가 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섬유집합체에 스크린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한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섬유집합체에 스프레이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한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섬유집합체에 로터리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한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섬유집합체에 롤러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한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섬유집합체에 간접 침지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한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섬유집합체에 침지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한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7)

  1. 자외선 감응 기능성 원단에 있어서,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로 형성된 기초층;
    바인더 화합물과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기초층 위에 도포되는 제1기능층; 및
    바인더 화합물과 염색용 안료 또는 염료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기능층 위에 도포되는 제2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능층 및 제2기능층은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스프레이 방식, 플로킹 방식, 침지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2기능층은 세라믹 파우더,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기능성 원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층 및 상기 제2기능층은 연속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기능성 원단.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의 입자는 직경이 1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기능성 원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염화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부타디엔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계모노머 및 염화비닐모노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기능성 원단.
  7.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 원단을 포함하는 의류.
KR1020080079867A 2008-08-14 2008-08-14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KR101064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67A KR101064642B1 (ko) 2008-08-14 2008-08-14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67A KR101064642B1 (ko) 2008-08-14 2008-08-14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22A KR20100021122A (ko) 2010-02-24
KR101064642B1 true KR101064642B1 (ko) 2011-09-15

Family

ID=4209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867A KR101064642B1 (ko) 2008-08-14 2008-08-14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6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672B1 (ko) * 1989-12-02 1996-02-03 동양나이론주식회사 감광 가역 변색성 시이트
KR200248641Y1 (ko) 2001-06-18 2001-11-16 (주)신텍스타일 빛에 의해 변색되는 직물원단
JP2004098385A (ja) 2002-09-06 2004-04-02 Pilot Ink Co Ltd 可逆熱変色性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可逆熱変色性物品
KR20060026629A (ko) * 2004-09-21 2006-03-24 김영극 시광안료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672B1 (ko) * 1989-12-02 1996-02-03 동양나이론주식회사 감광 가역 변색성 시이트
KR200248641Y1 (ko) 2001-06-18 2001-11-16 (주)신텍스타일 빛에 의해 변색되는 직물원단
JP2004098385A (ja) 2002-09-06 2004-04-02 Pilot Ink Co Ltd 可逆熱変色性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可逆熱変色性物品
KR20060026629A (ko) * 2004-09-21 2006-03-24 김영극 시광안료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22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0745C (en) Fluorescent particle,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aper for preventing forgery using the fluorescent particle
US10132031B1 (en) Foamed, opacifying elements with thermally transferred images
US10145061B1 (en) Method for preparing thermally imaged opacifying elements
EP3500702B1 (en) Method for providing a foamed, opacifying element
US11802369B2 (en) Laminated light-blocking decorative articles
KR200408457Y1 (ko)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EP4076938A1 (en) Method for making light-blocking decorative articles
Topbas et al. Photochromic microcapsules by coacervation and in situ polymerization methods for product-marking applications
Sayeb et al. Investigation of photochromic pigment used for smart textile fabric
CN111074368A (zh) 一种光致变色pva纱线的制备方法
EP3621817B1 (en) Foamed, opacifying elements with thermally transferred images
Attar et al. Development of novel photoluminescent fibers from recycled polyester waste using plasma-assisted dyeing toward ultraviolet sensing and protective textiles
KR101064642B1 (ko)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AU642529B2 (en) Dyeing method and dyed product
US11091874B2 (en) Yarn with coating over yarn core
JP4827031B2 (ja) 光触媒加工シート
EP3887439B1 (en) Light-blocking articles with spacer functional composition
KR100513769B1 (ko) 프린트법을 이용한 내세탁성이 우수한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KR101895268B1 (ko) 형광안료를 저온 조건에서 균일하게 흡착시킨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El‐Hefnawy et al. Preparation of afterglow and photochromic fibrous mats from polypropylene plastics to detect ultraviolet light
JP2929162B2 (ja) 夜光性顔料の改質方法
KR930006936B1 (ko) 변색성포지의 제조방법
EP3850047B1 (en) Opacifying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JPH07109681A (ja) パディングによる可逆変色着色法及び着色物
CN100362078C (zh) 将uv-发光化合物结合至聚合材料中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