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330B1 - 바구니가위 - Google Patents

바구니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330B1
KR101064330B1 KR1020090026687A KR20090026687A KR101064330B1 KR 101064330 B1 KR101064330 B1 KR 101064330B1 KR 1020090026687 A KR1020090026687 A KR 1020090026687A KR 20090026687 A KR20090026687 A KR 20090026687A KR 101064330 B1 KR101064330 B1 KR 10106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hole
semi
fixing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470A (ko
Inventor
김현지
김현진
김지원
김상순
Original Assignee
김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순 filed Critical 김상순
Priority to KR102009002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33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달린 물체 또는 과실을 한 손으로 손쉽게 절취하여 바구니에 담을 수 있도록 한 바구니가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물체 또는 과실을 절취하는 가위(102)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설치된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와; 상기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 및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에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상기 가위(102)의 작동시, 물체 또는 과실을 모으는 바구니(108)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위(102)의 작동시,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10)으로 구성된다.
바구니가위, 고정활대, 회전활대, 평기어, 래크기어, 회전수단

Description

바구니가위{Collecting Basket Scissors}
본 발명은 바구니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달린 물체 또는 과실을 한 손으로 손쉽게 절취하여 바구니에 담을 수 있도록 한 바구니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위(수동가위, 정전가위 등)를 이용하여 매달린 물체 또는 과실을 절취할 경우, 물체 또는 과실은 바닥(땅)에 떨어진다.
이때, 바닥에 떨어진 물체 또는 과실이 상처를 받을 수 있으며, 떨어진 물체 또는 과실을 줍거나 모이게 하는 행위가 수반되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한 손으로 물체 또는 과실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가위를 이용하여 과실을 절취할 경우, 양손은 동시에 각각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시간과 노동력이 더 소비됨으로 비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매달린 물체 또는 과실을 한 손으로 손쉽게 절취하여 바구니에 담을 수 있도록 한 바구니가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물체 또는 과실을 절취하는 가위(102)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설치된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와;
상기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 및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에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상기 가위(102)의 작동시, 물체 또는 과실을 모으는 바구니(108)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위(102)의 작동시,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10)으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달려 있는 물체 또는 과실을 손쉽게 절취하여 바구니에 모일 수 있도록 만든 바구니가위로써, 한 손으로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매달려 있는 물체 또는 과실을 연속적으로 절취하여 바구니에 모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물체 또는 과실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절취하여 바구니에 모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손이 자유스럽게 주위 환경에 대응하므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위(수동가위 또는 정전가위)로 양손을 동시에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여 절취하는 것보다 시간과 노동력이 덜 소비됨으로 능률이 향상되는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약재 등의 물체를 일정크기로 자르고 모일 때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가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가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받침날부와 자름날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받침날부손잡이와 자름날부손잡이를 분해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바구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바구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가위(100)는,
물체 또는 과실을 절취하는 가위(수동가위 또는 정전가위)(102)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설치된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와;
상기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 및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에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상기 가위(102)의 작동시, 물체 또는 과실을 모으는 바구니(108)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위(102)의 작동시,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10)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위(102)는,
상부에 고정활대나사홀(112)과 하부에 받침날힌지홀(114)과 고정활대볼트홀(116)과 받침날손잡이고정나사홀(118)을 구비한 받침날부(120)와;
상기 받침날부(120)의 상면에 위치되되, 중부에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게 회전활대열림표시눈금부(122)와 하부에 자름날힌지홀(124)과 자름날손잡이고정나사홀(126)을 구비한 자름날부(128)와;
상기 받침날부(120)의 하부 일측에 위치되되, 받침날손잡이고정홀(130)을 구비한 받침날손잡이(132)와;
상기 받침날손잡이고정홀(130), 받침날손잡이고정나사홀(118)에 삽입 고정되어 받침날손잡이(132)와 받침날부(120)를 고정시키는 나사(134)와;
상기 자름날부(128)의 하부 일측에 위치되되, 자름날손잡이고정홀(136)을 구비한 자름날손잡이(138)와;
상기 자름날손잡이고정홀(136), 자름날손잡이고정나사홀(126)에 삽입 고정되어 자름날손잡이(138)와 자름날부(128)를 고정시키는 나사(1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는,
탄성을 갖는 일정길이의 철사(142)와;
상기 철사(142)의 일 단부에 설치되되, 제1 및 제2수용홀(144)(146)을 구비한 "ㄴ"자형 고정부(148)와;
상기 철사(142)의 타 단부에 설치되는 너트(1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는,
탄성을 갖는 일정길이의 철사(152)와;
상기 철사(152)의 일 단부에 연장 절곡되되, 상기 ㄴ"자형 고정부(148)의 제1수용홀(144)에 삽입되는 제1돌기(154)와;
상기 철사(152)의 타 단부에 연장 절곡된 제2돌기(15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110)은,
상기 받침날부(12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되, 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홀(도시는 생략함)과 몸체의 양 측면에 수용홈(158)을 구비한 박스형상의 장착부(160)와;
상기 박스형상의 장착부(16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몸체의 일 단부 및 타 단부는 수용홈(158)에 수용되는 평기어(162)와;
상기 평기어(162)의 중앙 내부에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156)를 나사고정 하도록 하는 나사공(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자름날부(128)의 하부 측면에 라운드형으로 설치되되, 자름날부(128)의 동작시, 장착부(160)의 슬라이딩홀로 삽입되어 평기어(162)를 회전시키는 레크기어(16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받침날손잡이(132)와 자름날손잡이(138) 사이에는,
상기 받침날손잡이(132)와 자름날손잡이(138)의 동작시, 받침날손잡이(132)와 자름날손잡이(138)를 원위치시켜 주는 현가스프링(16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손잡이(132)의 단부에는,
자름날손잡이(138)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168)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68)는 받침날손잡이(13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구니(108)에는,
바구니를 사용자에게 고정시 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고정줄(170) 또는 팔목조정줄(17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구니(108)의 하단이 개구될 수 있으며, 바구니의 개구부를 묶을 수 있는 고정줄(174)이 설치된다.
다른 한편, 중앙 내부에 일정길이로 수용나사공(176)을 구비한 고정체(178)가 설치되는바,
상기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의 제1돌기(154)는,
상기 고정체(178)의 수용나사공(176)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가위의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가위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먼저, 일정한 장소에 고정활대나사홀(112)과 받침날힌지홀(114)과 고정활대볼트홀(116)과 받침날손잡이고정나사홀(118)을 구비한 받침날부(12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부(120)의 하부 측면에 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홀(도시는 생략함)과 몸체의 양 측면에 수용홈(158)을 구비한 박스형상의 장착부(160)를 설치한 후, 상기 장착부(160)의 내부에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한 평기어(162)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평기어(162)의 일 단부 및 타 단부는 수용홈(158)에 수용된다.
그리고, 일정한 장소에 회전활대열림표시눈금부(122)와 자름날힌지홀(124)과 자름날손잡이고정나사홀(126)을 구비한 자름날부(128)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부(120)의 받침날힌지홀(114)의 상면에 자름날부(128)의 자름날힌지홀(124)을 위치시킨 후, 힌지로 받침날힌지홀(114)과 자름날힌지홀(124)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부(120)의 하부 일측에 받침날손잡이고정홀(130)을 구비한 받침날손잡이(132)를 위치시킨 후, 나사(134)로 받침날손잡이고정홀(130)과 받침날손잡이고정나사홀(118)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받침날부(120)의 하부 일측에 받침날손잡이(132)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자름날부(128)의 하부 일측에 자름날손잡이고정홀(136)을 구비한 자름날손잡이(138)를 위치시킨 후, 나사(140)로 자름날손잡이고정홀(136)과 자름날손잡이고정나사홀(126)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자름날부(128)의 하부 일측에 자름날손잡이(138)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손잡이(132)와 자름날손잡이(138) 사이에 받침날손잡이(132)와 자름날손잡이(138)를 원위치시켜 주는 현가스프링(166)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손잡이(13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한 고정부(16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 및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에 수직하방으로 물체 또는 과실을 모으는 바구니(108)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바구니(108)는 짧은 것을 설치할 수 있고 긴 것을 설치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 및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에 긴 바구니(108)를 설치할 경우, 바구니를 사용자에게 고정시 킬 수 있도록, 바구니(108)의 일측에 손목고정줄(170) 또는 팔목조정줄(17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부(12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철사(142)와, 제1 및 제2수용홀(144)(146)을 구비한 "ㄴ"자형 고정부(148)와, 너트(150)로 구성된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부(12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철사(152)와, 제1돌기(154)와, 제2돌기(156)로 구성된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수용나사공(176)을 구비한 고정체(178)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의 제1돌기(154)를 "ㄴ"자형 고정부(148)의 제1수용홀(144)로 삽입시킨 후, 상기 제1돌기(154)를 고정체(178)의 수용나사공(176)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의 제2돌기(156)를 평기어(162)의 나사공(도시는 생략함)에 나사고정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부(120)의 고정활대볼트홀(116)의 저면에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의 너트(150)를 위치시킨 후, 나사로 고정활대볼트홀(116)과 너트(150)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날부(120)의 고정활대나사홀(112)의 저면에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의 "ㄴ"자형 고정부(148)의 제2수용홀(146)을 위치시킨 후, 나사로 고정활대나사홀(112)과 제2수용홀(146)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가위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가위(102)의 받침날손잡이(132)와 자름날손잡이(138)를 잡은 후, 받침날손잡이(132)와 자름날손잡이(138)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10)이 동작하는바, 즉, 자름날부(128)의 레크기어(164)가 박스형상의 장착부(160)의 슬라이딩홀로 삽입되어 평기어(162)를 회전시킨다.
상기 평기어(162)의 회전에 따라, 평기어(162)의 나사공에 나사고정된 회전활대(106)의 제2돌기(15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회전활대(106)에 설치된 바구니(108)가 펼쳐진다.
따라서, 물체 또는 과실이 절취 되는 순간, 상기 바구니(108)의 내부로 물체 또는 과실이 떨어진다.
그리고, 바구니(108)의 내부에 물체 또는 과실이 일정한 수준까지 모이면, 바구니(108)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줄(174)을 푼다.
한편, 매달린 물체 또는 과실이 많을 경우, 긴 바구니를 사용하고, 이때, 바구니를 사용자에게 고정시 킬 수 있도록, 바구니에 손목고정줄(170) 또는 팔목조정줄(172)을 설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가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받침날부와 자름날부를 분해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받침날부손잡이와 자름날부손잡이를 분해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바구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바구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가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가위(수동가위 또는 정전가위) 104 :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
106 :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 108 : 바구니
110 : 회전수단 112 : 고정활대나사홀
114 : 받침날힌지홀 116 : 고정활대볼트홀
118 : 받침날손잡이고정나사홀 120 : 받침날부
122 : 회전활대열림표시눈금부 124 : 자름날힌지홀
126 : 자름날손잡이고정나사홀 128 : 자름날부
130 : 받침날손잡이고정홀 132 : 받침날손잡이
134, 140 : 나사 136 : 자름날손잡이고정홀
138 : 자름날손잡이 142, 152 : 철사
144, 146 : 수용홀 148 : "ㄴ"자형 고정부
150 : 너트 154, 156 : 돌기
158 : 수용홈 160 : 박스형상의 장착부
162 : 평기어 164 : 레크기어

Claims (8)

  1. 물체 또는 과실을 절취하는 가위(102)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설치된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와;
    상기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 및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에 수직하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상기 가위(102)의 작동시, 물체 또는 과실을 모으는 바구니(108)와;
    상기 가위(102)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위(102)의 작동시,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10)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위(102)는,
    상부에 고정활대나사홀(112)과 하부에 받침날힌지홀(114)과 고정활대볼트홀(116)과 받침날손잡이고정나사홀(118)을 구비한 받침날부(120)와;
    상기 받침날부(120)의 상면에 위치되되, 중부에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게 회전활대열림표시눈금부(122)와 하부에 자름날힌지홀(124)과 자름날손잡이고정나사홀(126)을 구비한 자름날부(128)와;
    상기 받침날부(120)의 하부 일측에 위치되되, 받침날손잡이고정홀(130)을 구비한 받침날손잡이(132)와;
    상기 받침날손잡이고정홀(130), 받침날손잡이고정나사홀(118)에 삽입 고정되어 받침날손잡이(132)와 받침날부(120)를 고정시키는 나사(134)와;
    상기 자름날부(128)의 하부 일측에 위치되되, 자름날손잡이고정홀(136)을 구비한 자름날손잡이(138)와;
    상기 자름날손잡이고정홀(136), 자름날손잡이고정나사홀(126)에 삽입 고정되어 자름날손잡이(138)와 자름날부(128)를 고정시키는 나사(140)로 구성되고,
    상기 반원 형상의 고정활대(104)는,
    탄성을 갖는 일정길이의 철사(142)와;
    상기 철사(142)의 일 단부에 설치되되, 제1 및 제2수용홀(144)(146)을 구비한 "ㄴ"자형 고정부(148)와;
    상기 철사(142)의 타 단부에 설치되는 너트(150)로 구성되며,
    상기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는,
    탄성을 갖는 일정길이의 철사(152)와;
    상기 철사(152)의 일 단부에 연장 절곡되되, 상기 ㄴ"자형 고정부(148)의 제1수용홀(144)에 삽입되는 제1돌기(154)와;
    상기 철사(152)의 타 단부에 연장 절곡된 제2돌기(156)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수단(110)은,
    상기 받침날부(12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되, 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홀과 몸체의 양 측면에 수용홈(158)을 구비한 박스형상의 장착부(160)와;
    상기 박스형상의 장착부(16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몸체의 일 단부 및 타 단부는 수용홈(158)에 수용되는 평기어(162)와;
    상기 평기어(162)의 중앙 내부에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156)를 나사고정 하도록 하는 나사공과;
    상기 자름날부(128)의 하부 측면에 라운드형으로 설치되되, 자름날부(128)의 동작시, 장착부(160)의 슬라이딩홀로 삽입되어 평기어(162)를 회전시키는 레크기어(164)로 구성되고,
    상기 바구니(108)에는,
    바구니를 사용자에게 고정시 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고정줄(170) 또는 팔목조정줄(172)이 설치되며,
    상기 반원 형상의 회전활대(106)의 제1돌기(154)는,
    고정체(178)의 수용나사공(176)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구니가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26687A 2009-03-28 2009-03-28 바구니가위 KR10106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687A KR101064330B1 (ko) 2009-03-28 2009-03-28 바구니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687A KR101064330B1 (ko) 2009-03-28 2009-03-28 바구니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470A KR20100108470A (ko) 2010-10-07
KR101064330B1 true KR101064330B1 (ko) 2011-09-14

Family

ID=4312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687A KR101064330B1 (ko) 2009-03-28 2009-03-28 바구니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3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5047A (zh) * 2015-06-24 2015-08-26 冯世英 手动枸杞采收机
CN105850367A (zh) * 2016-05-19 2016-08-17 长葛市金安农机专业合作社 一种果蔬采摘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1164B (zh) * 2018-12-21 2020-12-08 漳州红点商务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苗木的便于收集型修剪装置
CN110936423B (zh) * 2019-12-02 2021-04-09 绍兴市米莉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插花用自动回收剪刀
CN111108900A (zh) * 2020-02-17 2020-05-08 兰晓峰 一种黄瓜采摘器
CN114946444B (zh) * 2022-07-01 2023-11-17 国家林业和草原局哈尔滨林业机械研究所 一种高效爬树修枝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8829U (ko) 1979-01-24 1980-07-30
JPH03123489A (ja) * 1989-09-30 1991-05-27 Chemo Sero Therapeut Res Inst イヌ免疫グロブリンκ鎖の定常領域をコードする遺伝子断片およびマウス×イヌキメラ抗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8829U (ko) 1979-01-24 1980-07-30
JPH03123489A (ja) * 1989-09-30 1991-05-27 Chemo Sero Therapeut Res Inst イヌ免疫グロブリンκ鎖の定常領域をコードする遺伝子断片およびマウス×イヌキメラ抗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5047A (zh) * 2015-06-24 2015-08-26 冯世英 手动枸杞采收机
CN104855047B (zh) * 2015-06-24 2016-08-17 冯世英 手动枸杞采收机
CN105850367A (zh) * 2016-05-19 2016-08-17 长葛市金安农机专业合作社 一种果蔬采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470A (ko)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330B1 (ko) 바구니가위
US20090302184A1 (en) Mounting apparatus for a window decoration and window decoration including the same
KR101441807B1 (ko) 과일채취기
CN207590391U (zh) 一种雕塑展示架
CN202310606U (zh) 摘果器
US6793187B2 (en) Movable mounting bracket arm assembly
GB2441957A (en) A fruit picking device
US2591638A (en) Line carrier
CN206123738U (zh) 一种切菜器
CN108619640B (zh) 一种消防用灭火器存放装置
CN210687598U (zh) 一种手持式消防设备管理装置
CN209253979U (zh) 一种预防工具坠落的装置
CN207883173U (zh) 一种物理教学教具
CN216280430U (zh) 一种环境检测采样烟枪支架
CN207323860U (zh) 一种逃生缓降器支架和逃生缓降器
CN213989643U (zh) 一种便于检修的电气自动化控制柜
CN203279520U (zh) 手动摘果机
CN208654272U (zh) 一种按压式的架空线路故障指示器
CN208462405U (zh) 方便水果采摘装置
CN208242267U (zh) 水果采摘器
CN206085133U (zh) 一种便于残疾人使用的切菜器
CN211906564U (zh) 一种音韵式英语学习系统用的语言学习机
CN104711948A (zh) 便携式垃圾清理杆
CN209824518U (zh) 一种园艺管理用修剪装置
RU74760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насть с подсекателем для ловли рыб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