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820B1 -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 - Google Patents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820B1
KR101063820B1 KR1020040064365A KR20040064365A KR101063820B1 KR 101063820 B1 KR101063820 B1 KR 101063820B1 KR 1020040064365 A KR1020040064365 A KR 1020040064365A KR 20040064365 A KR20040064365 A KR 20040064365A KR 101063820 B1 KR101063820 B1 KR 101063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pocket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960A (ko
Inventor
이혜령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82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충전용 배터리를 수납하여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용 포켓과, 리모컨을 충전하기 위한 리모컨 충전용 포켓이 형성되어 텔레비전 세트 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으로부터 생성되는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가 개시된다.
포켓, 슬롯, 충전, 원격제어장치, 리모트 컨트롤러

Description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Television set capable of charging remote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충전부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모컨 충전부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의 기능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충전하거나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가전제품들은 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리모컨'이라 함)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리모컨의 이용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편리함에 가중되는 한편, 리모컨에 이용되는 배터리의 소요가 크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버튼들이 전자제품에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중요한 기능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예비 배터리가 준비되어 있지 않는 상황에서 배터리용량이 소모되는 경우에는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전 세트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모컨 뿐 아니라 충전용 배터리 자체를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용 배터리를 수납하고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 1 커넥터가 형성된 리모컨을 수납함과 동시에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 2 커넥터가 저면에 설치된 리모컨 충전용 포켓과, 충전용 배터리를 수납하여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용 포켓이 전면에 설치되며, 리모컨 충전용 포켓과 배터리 충전용 포켓에는 텔레비전 세트 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으로부터 생성되는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리모컨 충전용 포켓의 입구에는 내부측으로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커버가 설치되며, 배터리 충전용 포켓의 입구에는 내부에 도전단자들이 쌍을 이 루어 연결되고 도전단자들과 수납되는 충전용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버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충전부를 보여주는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의 리모컨 충전부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텔레비전 세트(100)의 전면 하부에는 배터리 충전용 포켓(120)과 리모컨(200)을 삽입할 수 있는 리모컨 충전용 포켓(140)이 각각 형성된다.
배터리 충전용 포켓(120)과 리모컨 충전용 포켓(140)은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가 설치되거나 양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충전용 포켓(120)에는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통로(122)가 구획되어 형성되며, 여기에서는 4개의 배터리 수납통로(122)가 형성된다.
배터리 수납통로(122)의 전면에는 내측에 도전단자들(124, 125)이 설치된 커버(126)가 형성된다. 커버(126)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전단자들(124, 125)은 각각 쌍을 이루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납되는 충전용 배터리가 전체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커버(126)의 내측 상부 중앙에는 끼움돌기(127)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텔레비전 세트(100) 쪽에는 끼움공(128)이 형성되어 끼움돌기(127)를 끼 움공(128)에 밀어 넣어 결합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배터리 충전용 포켓(120)의 배터리 수납통로(122)에 충전용 배터리를 수납하고 커버(127)를 닫으면 내부의 배터리들은 전체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충전을 시작한다.
배터리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은 텔레비전 세트(100)의 내부에 장착된 정류기나 트랜스포머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즉, 텔레비전 세트(100)의 전원을 오프한 경우에도 전원은 항상 인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한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낮은 직류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모컨 충전용 포켓(140)의 저면에는 전원인가를 위한 숫커넥터(142)가 형성되고 리모컨(200)의 단부에는 암커넥터(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리모컨(200)을 리모컨 충전용 포켓(140)의 끝까지 밀어 넣으면 숫커넥터(142)가 암커넥터(220)에 끼워져 리모컨(200)에 수납된 충전용 배터리에 전원이 인가된다.
숫커넥터(142)와 암커넥터(220)를 서로 바꾸어 설치할 수도 있으나, 리모컨(200)의 외관을 고려한다면 상기한 구조가 적절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리모컨 충전용 포켓(140)의 전면에는 내부측으로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커버(144)를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리모컨 충전용 포켓(140)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 충전용 포켓(140)은 리모컨을 충전하는 기능 이외에도 리모컨을 보관하는 기능을 한다. 즉,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리모컨 충전용 포켓(140)에 보관함으로써 충전과 보관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어 판단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먼저 리모컨에 수납되는 배터리를 충전용 배터리로 선정함으로써 텔레비전 세트로부터 직접 충전할 수 있어 배터리의 소모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배터리 충전용 포켓을 구비함으로써 다른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배터리를 예비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 충전용 포켓을 보관 장소로 이용함으로써 리모컨을 보관할 별도의 장소를 마련할 필요 없이 항상 같은 위치에 리모컨을 충전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충전용 배터리가 삽입되며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용 포켓, 리모컨이 삽입되며 상기 리모컨을 충전하기 위한 리모컨 충전용 포켓이 형성된 텔레비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용 포켓의 입구에는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충전용 포켓에 삽입된 상기 충전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 및 상기 배터리 충전용 포켓의 입구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는 끼움돌기 및 끼움공이 각각 형성된 텔레비전 세트.
  2. 삭제
  3. 삭제
KR1020040064365A 2004-08-16 2004-08-16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 KR101063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365A KR101063820B1 (ko) 2004-08-16 2004-08-16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365A KR101063820B1 (ko) 2004-08-16 2004-08-16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960A KR20060015960A (ko) 2006-02-21
KR101063820B1 true KR101063820B1 (ko) 2011-09-08

Family

ID=3712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365A KR101063820B1 (ko) 2004-08-16 2004-08-16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8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960A (ko) 2006-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4339B2 (ja) 可搬型充電給電装置
JP3143249U (ja) 電池カバー
US20190214839A1 (en) Luggage with integrated wireless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s
CN102118047B (zh) 供电装置
KR101063820B1 (ko) 충전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세트
US8274257B2 (en) Portable charging equipment
KR20150107843A (ko) 전동식 피부 트리트먼트용 휴대용 장치
KR200207411Y1 (ko) 이동 전화기용 밧데리 충전장치
CN204425264U (zh) 可通过太阳能充电的手机保护壳型移动电源结构
WO2003067734A2 (en) Recharging device for hearing aid with rechargeable battery
JP3066904U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CN207819503U (zh) 一种快速充电碳纤维背包
KR200404743Y1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CN219697314U (zh) 填孔设备以及用电系统
KR200468987Y1 (ko) 외장형 배터리
CN219980469U (zh) 一种带插脚端子的高能密充电宝
KR200363324Y1 (ko) 배터리 삽입부를 이용한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 충전장치
KR200273716Y1 (ko) 유에스비포트를 내장한 다기능 멀티차저 장치
JPH0742547U (ja) 電源装置
CN211655779U (zh) 一种带点烟器的多功能车载充电器
US20050231155A1 (en) Battery pack with power input/output
JP2004207137A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これに装着する電池パック充電アダプタ
KR200253479Y1 (ko) 건전지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대용 및 충전장치
KR100449051B1 (ko) 건전지와 니켈도금 자석을 이용한 분리형 휴대폰 충전기
JP3095039U (ja) カメラ用補助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