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817B1 - 안경렌즈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렌즈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817B1
KR101063817B1 KR1020090045460A KR20090045460A KR101063817B1 KR 101063817 B1 KR101063817 B1 KR 101063817B1 KR 1020090045460 A KR1020090045460 A KR 1020090045460A KR 20090045460 A KR20090045460 A KR 20090045460A KR 101063817 B1 KR101063817 B1 KR 10106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lens
roller
alignment device
lens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993A (ko
Inventor
민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테크
Priority to KR102009004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81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D11/0098Inspect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4Optical bench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측정, 외경측정, 도수측정, 렌즈표면 검사 및 포장 등 난시렌즈를 다루는 장치 이전에서 안경렌즈를 이송시킬 때 안경렌즈를 회전시켜 안경렌즈의 난시축 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렌즈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두께 측정기로 투입되는 안경렌즈가 난시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투입되게 하는 것으로, 안경렌즈를 중심두께 측정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어의 끝단에 안경렌즈 투입을 단속하는 차단판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의 개방시 벨트 콘베어를 타고 이동하는 안경렌즈를 수평 회전시키되 안경렌즈의 돌출부위가 중심두께 측정기 방향으로 정렬되게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정렬장치의 선단에 안경렌즈의 배출을 단속하는 단속판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안경렌즈, 정렬, 회전, 롤러

Description

안경렌즈 정렬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측정, 외경측정, 도수측정, 렌즈표면 검사 및 포장 등 난시렌즈를 다루는 장치 이전에서 안경렌즈를 이송시킬 때 안경렌즈를 회전시켜 안경렌즈의 난시축 방향이 일정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렌즈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렌즈는 렌즈 형태와 같은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는 것으로, 두 장의 몰드를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만큼 이격시켜 양 측면을 테이프나 몰드 고정체로 고정시킨 후 몰드 사이에 렌즈용 모노마를 주입하여 중합로에서 열반응시킨 후 몰드를 분리시켜 안경렌즈를 제조하게 되며, 제조된 안경렌즈는 코팅과 세척 등의 과정을 거친 후 다양한 측정 및 검사나 포장을 하게 되고, 측정이 완료된 안경렌즈는 측정 데이터가 기록된 봉투에 넣어져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작이 완료된 안경렌즈의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심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안경렌즈의 중심두께를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하게 되는데, 안경렌즈는 도수에 따라 기울기가 다르게 되고 또한 두께도 다르게 되어 기존과 같이 가운데 공간이 형성된 벨트 콘베어를 타고 안경렌즈를 이송시키며 중심두께를 측정하는 경우 안경렌즈가 놓이는 방향이 일정하지 못하여 안경렌즈가 벨트 콘베어에 놓이는 방향에 따라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또한 중심두께 측정과 달리 렌즈도수와 프리즘 검사시에도 렌즈메타기의 측정구 중앙에 렌즈의 중앙이 위치하여야만 도수오차와 프리즘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벨트위의 렌즈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즉 안경렌즈(1)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쪽으로 두께가 다르고 돌출 높이도 다르게 돌출부위(2)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돌출부위 중 높이가 높은 두 곳의 돌출부위(2)는 난시축을 잡아주게 되는 것으로, 안경렌즈(1)의 중심두께 측정시 돌출부위(2)가 정렬되게 안경렌즈(1)를 위치시킨 후 측정하여야만 보다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안경렌즈(1)의 중심두께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안경렌즈(1)의 돌출부위(2)가 측정기 방향을 향하도록 난시축을 잡아준 상태에서 측정기로 안경렌즈(1)가 투입되어 측정이 이루어져야만 최대한 측정오차가 적은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나, 기존에는 안경렌즈(1)의 난시축을 고려하여 측정기로 안경렌즈(1)를 공급해주지 못하여 중심두께 측정시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측정, 외경측정, 도수측정, 렌즈표면 검사 및 포장 등 난시렌즈를 다루는 장치 이전에서 안경렌즈를 이동시킬 때 안경렌즈가 수평 상태로 회전되면서 안경렌즈의 돌출부위가 정렬된 상태로 중심두께 측정기로 이동되어 중심두께의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안경렌즈의 난시축을 일정하게 정렬시킨 상태로 안경렌즈를 회전시킨 후 측정기로 투입하여 중심두께 측정기에서의 측정오차를 없애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두께 측정기 등의 다음 고정으로 이동되어 투입되는 안경렌즈가 난시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투입되게 하는 것으로, 안경렌즈를 중심두께 측정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어의 끝단에 안경렌즈 투입을 단속하는 차단판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의 개방시 벨트 콘베어를 타고 이동하는 안경렌즈를 수평 회전시키되 안경렌즈의 돌출부위가 중심두께 측정기 방향으로 정렬되게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정렬장치의 선단에 안경렌즈의 배출을 단속하는 단속판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를 갖고 정렬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개 롤러의 회전으로 안경렌즈가 난시축 방향으로 정렬된 후 중심두께 측정기 등의 다음공정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등을 측정하기에 앞서 안경렌즈를 이동시켜가며 수평 회전시키되 안경렌즈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위를 이용하여 안경렌즈가 돌출부위 방향 즉 난시축 방향으로 정렬되게 한 후 배출되게 함으로써, 안경렌즈의 중심두께를 측정할 때 도수 및 프리즘 측정 등의 측정오차 발생을 크게 낮추는 한편 다음 단계인 포장단계에서 안경렌즈를 봉투에 포장할 때 안경렌즈의 난시축 방향으로 투입되게 하여 투입시 안경렌즈가 파손되는 경우를 없애는 것이다.
즉, 렌즈를 봉투에 포장할 때 렌즈의 두꺼운 방향이 봉투의 좌우로 위치되게 정렬하여 포장되게 함으로써, 렌즈의 두꺼운 부분이 위,아래로 위치하여 봉투에 투입시 파손되거나 봉투의 날개가 불규칙하게 접히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작이 완료된 안경렌즈를 공지의 측정 및 검사장치 등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안경렌즈(1)가 돌출부위(2) 즉 난시축 방향으로 정렬된 후 도시되지 아니한 후단의 측정 및 검사장치 등으로 이동되어 측정 및 검사 오차를 줄이는 한편 렌즈 파손의 우려를 없애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1)를 정렬장치(100)로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어(10)와, 상기 벨트 콘베어(10)로 이동된 안경렌즈(1)를 정렬장치(100)로 투입하는 것을 단속하는 차단판(20)과, 상기 차단판(20)이 열릴 때 투입된 안경렌즈(1)를 돌출부위(2)가 전방을 향하여 회전되게 하는 정렬장치(100)와, 상기 정렬장치(100)에서 정렬이 완료된 안경렌즈(1)의 배출을 단속하는 단속판(30)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벨트 콘베어(10)는 모터(11)의 회전력을 벨트(12)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상부에 놓인 안경렌즈(1)를 정렬장치(100)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벨트 콘베어(10)를 타고 이동한 안경렌즈(1)는 정렬장치(100)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벨트 콘베어(10)와 정렬장치(100) 사이에는 에어 실린더(21)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 하는 차단판(20)을 설치하되 상기 차단판(20)은 가이드 봉(22)을 이용하여 전후진이 안정되게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차단판(20)이 전진하면 벨트 콘베어(10)의 상부에 놓인 안경렌즈(1)가 정렬장치(100)로 이동하지 못하게 잡아주게 되며, 차단판(20)이 후퇴하였을 경우에 안경렌즈(1)가 벨트 콘베어(10)를 타고 정렬장치(100)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차단판(20)은 전후로 이동하는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상기 차단판(20)은 벨트 콘베어(10)와 정렬장치(100) 사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벨트 콘베어(10)와 정렬장치(100) 사이를 막아주거나 개방되게 할 수 있으며, 이 같이 차단판(20)을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상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0)의 전면에는 벨트 콘베어(10)를 타고 이동한 안경렌즈(1)가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 차단판(20)의 전면에는 안경렌즈(1)의 외경과 같은 형태의 라운드 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안경렌즈(1)가 벨트 콘베어(10)를 타고 이동할 때 차단판(20)에 걸리게 되면, 라운드 면에 의해 난시축의 정렬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정렬장치(100)는 양쪽으로 오링(41)이 끼워진 롤러(40)를 구비하되 상기 롤러(40)는 벨트 콘베어(10)를 타고 이동하는 안경렌즈(1)를 롤러(50)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롤러(40)의 후방으로 일측에만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의 롤러부를 구비한 제1롤러(50)를 구비하는 한편 그 후방으로 한쪽에만 원통형의 롤러부를 구비한 제2롤러(60)를 구비하며, 다시 그 후방으로 양쪽에 원통형의 롤러부를 구비하되 한쪽의 롤러부만 회전되게 하는 제3롤러(70)를 구비하고, 그 후방에는 양쪽으로 구비된 원통형의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제4및 제5롤러(80)(90)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40)와 제1롤러(50) 내지 제5롤러(90)의 중앙에 끼워진 벨트(110)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롤러(40) 및 제1내지 제5롤러(50(60)(70)(80)(90)는 모터 (51)의 회전력을 벨트(52)로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롤러(40)에서 제1롤러(50)내지 제5롤러(90)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함으로써, 롤러(40)에서 오링(41)으로 이동된 안경렌즈(1)는 제1롤러(50) 쪽으로 이동한 후 점점 높이가 높아지면서 제5롤러(90)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롤러의 개수는 가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롤러(40)는 중앙에 벨트(110)가 끼워져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양측에는 오링(4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벨트 콘베어(10)를 타고 이동하는 안경렌즈(1)를 제1롤러(50)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1롤러(50)와 제2롤러(60)는 일측으로 경사진 롤러부를 구비하여 안경렌즈(1)가 롤러(40)를 타고 이동하여 제1롤러(50)의 경사 롤러부에 돌출부위(2)가 닿는 순간 안경렌즈(1)는 돌출부위(2)가 중앙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안경렌즈(1)가 회전하여 돌출부위(2)가 벨트(110)에 닿게 되면 안경렌즈(1)는 벨트(110)에 닿은 돌출부위(2)에 의해 벨트(110)가 회전되는 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롤러(60)는 일측에만 원통형의 롤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안경렌즈(1)의 돌출부위(2)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회전을 진행하게 되고, 이렇게 회전이 진행된 안경렌즈(1)는 다시 제3롤러(70)에 의해 회전되며 안경렌즈(1)의 돌출부위(2)가 중앙에 위치한 채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4롤러(80) 및 제5롤러(90)는 양쪽의 롤러부를 구성하는 재질이 달라 안경렌즈(1)를 밀어주는 힘의 차이가 있도록 함으로써, 단속판(30)이 상부로 이 동하여 안경렌즈(1)의 배출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 안경렌즈(1)의 돌출부위(2)가 중앙에 위치한 상태로 안경렌즈(1)가 놓이게 되고, 단속판(30)이 하강하면 안경렌즈(1)는 전진하여 일반적인 검사 및 측정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롤러(40)와 제1롤러(50) 내지 제5롤러(90)의 중앙에 끼워진 벨트(110)는 롤러(40)와 제5롤러(9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안경렌즈(1)의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위(2)가 상기 벨트(110)에 닿아 안경렌즈(1)가 회전되게 하거나 돌출부위(2)가 벨트(1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정렬시키게 된다.
상기 단속판(30)은 에어 실린더(31)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정렬장치(100)에서 안경렌즈(1)의 난시축이 중앙을 향하게 정렬될 때 단속판(30)을 상승시켜 안경렌즈(1)의 배출을 방지하게 되고, 에어 실린더(31)를 작동시켜 단속판(30)을 하강시키면 안경렌즈(1)는 정렬장치(100)에서 중심두께 측정기 등의 검사 및 측정장치를 gi하여 이동하게 된다.
정렬장치(100)에서 안경렌즈(1)의 정렬이 이루어지는 동안 차단판(20)이 전진하고, 단속판(30)이 상승하여 정렬장치(100)에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벨트 콘베어(10)에서 하나의 안경렌즈(1)가 투입 대기 상태로 놓이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에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시되지 아니한 벨트 콘베어를 타고 이동하는 안경렌즈(1)가 벨트 콘베어(10)로 이동되게 한 후 모터(11)를 구동시켜 벨트 콘베어(10)를 회전시킴으로써 벨트 콘베어(10)에 놓인 안경렌즈(1)가 정렬장치(100) 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에어실린더(21)를 작동시켜 차단판(20)을 정렬장치(100)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안경렌즈(1)가 차단판(20)에 가려져 정렬장치(100)로 투입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차단판(20)은 가이드 봉(22)이 연결되어 전후 이동할 때 유동되지 않고 움직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차단판(20)을 돌출시켜 안경렌즈(1)가 정렬장치(100)로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정렬장치(100)의 내부에서 난시축이 정렬된 안경렌즈(1)가 단속판(30)을 하강시켜 외부로 배출시킨 후 정렬장치(100)의 내부에 안경렌즈(1)가 없는 상태에서 투입하기 위함이고, 또한 차단판(20)에 막힌 채로 안경렌즈(1)가 벨트 콘베어(10)를 타고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안경렌즈(1)가 차단판(20)에 형성된 라운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도록 하여 안경렌즈(1)의 돌출부위(2)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렬장치(100)에서 안경렌즈(1)가 배출되면 에어실린더(31)를 작동시켜 단속판(30)을 상부로 이동시킨 후 차단판(20)을 후퇴시키게 되면, 벨트 콘베어(10)에 올려진 안경렌즈(1)는 벨트 콘베어(10)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안경렌즈(1)는 롤러(40)에 설치된 오링(41)에 의해 제1롤러(5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벨트 콘베어(10)의 회전에 따라 안경렌즈(1)는 정렬장치(10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는 것으로, 안경렌즈(1)는 롤러(40)를 타고 넘어 제1롤러(50)에 하측이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제1롤러(50)는 일측에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롤러부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롤러부의 외측에는 아세탈 등으로 코팅되어 있게 함으로써, 안경렌즈(1)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위(2)를 물고 회전하게 되고, 이때 롤러부가 내측으로 경사져 있게 되므로, 안경렌즈(1)는 돌출부위(2)가 벨트(110)쪽을 향하게 회전되면서 제1롤러(50)를 타고 넘게 된다.
그리고, 제1롤러(50)를 타고 넘은 안경렌즈(1)는 제2롤러(60)에서 일측에만 형성된 원통형 롤러부에 의해 돌출부위(2)가 벨트(110)에 닿도록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2롤러(60)에서 회전되며 이동된 안경렌즈(1)는 제3롤러(70)에서 일측의 고정된 원통형 롤러부와 타측의 회전되는 원통형 롤러부에 하측에 접촉하게 되고, 중앙에는 벨트(110)가 놓여져 있게 되므로, 안경렌즈(1)는 중앙의 벨트(110)에 돌출부위(2)가 닿도록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제3롤러(70)에서 회전되며 이동되는 안경렌즈(1)는 제4및 제5롤러(80)(90)에서 미세 회동되며 이동되게 되나, 단속판(30)이 상부로 올려져 있어 안경렌즈(1)가 단속판(30)에 닿은 채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된다.
제4롤러(80) 및 제5롤러(90)는 양쪽에 아세탈로 제작된 원통형 롤러부와 고무로 제작된 원통형 롤러부가 형성되게 되어, 양측 롤러부에서 안경렌즈(1)의 하부와 접촉하는 접촉력에 차이가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4및 제5롤러(80)(90)에 올려져 이동하는 안경렌즈(1)는 단속판(30)에 막혀있는 상태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 동시에 안경렌즈(1)의 돌출부위(2) 중앙이 벨트(110)에 올려져 있게 되고, 이 같이 안경렌즈(1)의 돌출부위(2)가 중앙을 향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단속판(30)을 하강시 켜 안경렌즈(1)가 후단의 측정 및 검사장치로 이동하게 하면, 오차 없는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정렬장치(100)에서 안경렌즈(1)가 롤러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게 되나, 롤러를 구성하는 양측의 롤러부 형상과 롤러부를 감싸는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안경렌즈(1)는 돌출부위(2)가 중앙을 향하여 이동되게 하고, 안경렌즈(1)의 돌출부위(2)는 벨트(110)의 상부에 놓이는 상태로 정렬되게 된다.
이러한 안경렌즈(1)의 정렬은 안경렌즈(1)의 투입 방향이나 두께에 관계없이 항상 정렬장치(100)를 통과하면 난시축이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게 되므로, 중심두께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벨트(110)는 제1롤러(50)와 제5롤러(90)의 중앙에 끼워져 있게 되는 것으로, 안경렌즈(1)의 돌출부위(2)가 상기 벨트(110)의 중앙에 놓이게 되면 안경렌즈(1)는 좌우 회동을 멈추게 되고, 벨트(110)에 의해 전진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단속판(30)이 하강 하였을 경우 안경렌즈(1)의 난시축이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렌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경렌즈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경렌즈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롤러 구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롤러장치를 구성하는 롤러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롤러장치를 구성하는 롤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롤러장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경렌즈 2 : 돌출부위
10 : 벨트 콘베어 20 : 차단판
30 : 차단판 50 : 제1롤러
60 : 제2롤러 70 : 제3롤러
80 : 제4롤러 90 : 제5롤러
100 : 정렬장치 110 : 벨트

Claims (4)

  1. 안경렌즈(1)를 정렬장치(1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 콘베어(10)와,
    상기 벨트 콘베어(10)로 이동된 안경렌즈(1)가 정렬장치(100)로 투입되는 것을 전후 이동하며 단속하는 차단판(20)과,
    상기 차단판(20)을 지난 안경렌즈(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양쪽으로 오링(41)이 끼워진 롤러(40)를 지나게 하고, 상기 롤러(40)를 지난 안경렌즈(1)가 일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의 롤러부를 구비한 제1롤러(50)를 지나고, 한쪽에만 원통형의 롤러부를 구비한 제2롤러(60)를 지나며, 양쪽으로 원통형의 롤러부를 구비하되 한쪽의 롤러부만 회전되게 하는 제3롤러(70)를 지나고, 양쪽으로 구비된 원통형의 롤러부를 구비한 제4및 제5롤러(80)(90)를 지나게 하되 제1롤러(50)와 제5롤러(60)의 중앙에 끼워져 회전되는 벨트(110)에 걸쳐져 회전되며 이동되게 하는 정렬장치(100)와,
    상기 정렬장치(100)의 후단에서 상하 이동되며 정렬이 완료된 안경렌즈(1)의 배출을 단속하는 단속판(3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렬장치(100)를 구성하는 롤러(40)와 제1롤러(50) 내지 제5롤러(90)는 롤러(40)에서 제5롤러(90)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지게 하여 안경렌즈(1)가 경사진 상태에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정렬장치(100)의 롤러(40)와 제1롤러(50) 내지 제5롤러(90)는 모터(51)의 구동력을 벨트(52)로 전달받아 상측에 놓인 안경렌즈(1)를 단속판(30)쪽으로 이동되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정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정렬장치(100)의 전방에 설치된 차단판(20)과 후방에 설치된 단속판(30)은 정렬장치(100)의 내측에 하나의 안경렌즈(1)가 위치되게 안경렌즈(1)의 이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정렬 장치.
KR1020090045460A 2009-05-25 2009-05-25 안경렌즈 정렬 장치 KR10106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460A KR101063817B1 (ko) 2009-05-25 2009-05-25 안경렌즈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460A KR101063817B1 (ko) 2009-05-25 2009-05-25 안경렌즈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993A KR20100126993A (ko) 2010-12-03
KR101063817B1 true KR101063817B1 (ko) 2011-09-14

Family

ID=4350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460A KR101063817B1 (ko) 2009-05-25 2009-05-25 안경렌즈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0345A (zh) * 2019-03-01 2019-05-17 江苏汇鼎光学眼镜有限公司 一种带盖镜片加硬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633A (ko) * 1999-12-30 2001-07-11 김상열 안경코받침용 심재공급기
KR200368857Y1 (ko) 2004-08-26 200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KR200369944Y1 (ko) 2004-09-07 2004-12-14 민병직 안경렌즈 정렬 장치
KR200377275Y1 (ko) 2004-12-03 2005-03-08 민병직 안경렌즈용 봉투의 인쇄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633A (ko) * 1999-12-30 2001-07-11 김상열 안경코받침용 심재공급기
KR200368857Y1 (ko) 2004-08-26 200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KR200369944Y1 (ko) 2004-09-07 2004-12-14 민병직 안경렌즈 정렬 장치
KR200377275Y1 (ko) 2004-12-03 2005-03-08 민병직 안경렌즈용 봉투의 인쇄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993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0290B (zh) 钢球表面缺陷检测装置
JP6689672B2 (ja) 基板収納容器及びその管理システム並びに基板収納容器の管理方法
RU257228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горлышка и венчика емкости
US20090103110A1 (en) Pellet Sorting by Diameter Measurement
TW201302317A (zh) 電糊塗布頭、電糊塗布裝置及電糊塗布方法
KR101063817B1 (ko) 안경렌즈 정렬 장치
EP1014053B1 (en) Weight sorter
US6877611B2 (en) Weight sorter
JP3601161B2 (ja) 液体封入ダンパーの製造方法
CN201314899Y (zh) 钢球表面缺陷检测装置
KR101703904B1 (ko) 웨이퍼 그립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양면 웨이퍼 스트레스 검사장치
CA2482473C (en) Improvements in tire uniformity testing
CN111256756A (zh) 检测装置
KR102389937B1 (ko) 진공채혈관 선별공급장치
KR20220112465A (ko) 미세저항 측정기용 전지 고정지그 및 상기 전지 고정지그를 구비한 전지 탭의 약용접 검사장치
EP1647819B1 (en) Device and method of discrimating plastic
CN217764779U (zh) 一种液晶器件膜盒厚测试装置
CN216871901U (zh) 双回道半导体组件检测系统
KR100507965B1 (ko)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및 도수 측정장치
KR20100012472A (ko) 안경렌즈용 몰드의 투입장치
CN104567988B (zh) 用于长接脚电子组件的自动检测装置及检测方法
EP0964236A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ontainer for leakage of liquid
CN117233028B (zh) 一种石墨坩埚检测装置
KR20190061643A (ko) 기판 처리용 챔버
CN208459569U (zh) 电源定位固定装置和移动电源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