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742B1 -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742B1
KR101063742B1 KR1020090026902A KR20090026902A KR101063742B1 KR 101063742 B1 KR101063742 B1 KR 101063742B1 KR 1020090026902 A KR1020090026902 A KR 1020090026902A KR 20090026902 A KR20090026902 A KR 20090026902A KR 101063742 B1 KR101063742 B1 KR 10106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unger
water supply
supply valv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736A (ko
Inventor
노관호
Original Assignee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6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74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장품에 공급되는 용수의 흐름라인을 전기신호에 따라 자동제어하는 전자식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관에 의해 공급되어 송수압이 조절되는 용수를 수용하며, 그 공간부에 전자석(134)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용수의 흐름라인을 개폐하는 플런져(131)와, 상기 플런져(131)의 둘레면에 감싸져 이동루트를 안내하는 실린더(132), 및 상기 플런져(131)의 작동과정에서 개폐되는 밸브시트(123)를 갖는 밸브체스트(124)를 내장한 전자식 급수밸브로서, 상기 실린더(132)의 둘레면에 상기 용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배출공간(10)을 포함하며;상기 플런져(131)와 상기 실린더(132)의 사이로 유입되는 용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간(1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기 급수밸브에 유입되는 용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간을 통해 배출되므로 상기 용수의 오염이 최소화됨은 물론 상기 플런져의 원활한 작동이 유지되어 누수현상이 방지되고 수명이 연장되도록 한 것이다.
급수밸브, 조절부, 본체부, 플런져, 실린더, 밸브시트, 배출공간

Description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Fluid value having outlet}
본 발명은 전장품에 공급되는 용수의 흐름라인을 자동제어하는 전자식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밸브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신속하게 배출시켜 플런져의 작동성능을 유지시킴은 물론 누수현상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급수밸브(이하 급수밸브라 함)는 유체의 흐름경로를 전기적신호에 따라 개폐하는 밸브의 한 종류로서, 이 급수밸브는 냉장고나 세탁기나 정수기와 같은 전장품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석에 의해 작동하는 플런져가 왕복이동하여 유체의 흐름 경로를 개폐하게 된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와 같이, 급수밸브(100)는 상수도관에 의해 공급되는 용수의 송수압을 조절하는 조절부(110) 및 상기 조절부(110)에 의해 공급되는 용수를 전장품으로 공급하는 본체부(120)로 구성되며, 특히 본체부(120)의 수용공간에 용수의 흐름경로를 제어하는 개폐수단(1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110)는, 상기 상수도관(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용수를 수용하여 배출구(112)로 배출하는 챔버(111)와, 상기 챔버(111)에 설치되어 용수의 송수압을 조절하는 조절시트(113) 및, 상기 챔버(111)의 용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조절부(110)에 의해 공급되는 용수를 상기출수구(125)를 통해 전장품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전자석(134)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개폐수단(130) 및, 상기 개폐수단(13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시트(123)를 갖는 밸브체스트(124)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130)은, 상기 본체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134)의 전기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플런져(131)와, 상기 플런져(131)의 둘레면에 감싸져 이동루트를 안내하는 실린더(132) 및, 상기 플런져(131)의 작동경로에 장착된 스프링(13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수도관의 용수가 상기 조절부(110)의 챔버(111)로 공급된 다음, 상기 조절시트(113)에 의해 송수압이 조절되고 상기 필터(114)에 의해 이물질이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20)로 공급된 후, 상기 플런져(131)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출수구(125)를 통해 전장품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급수밸브(100)는, 상기 본체부(120)에 유입되는 용수의 일부가 상기 개폐수단(130)으로 흘러들고, 이 과정에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플런져(131)와 실린더(132)의 사이에 눌러 붙는 경우, 상기 전장품에 공급되는 용수의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130)에 눌러 붙은 이물질에 의해, 상기 플런져(131)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개폐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플런져(131)의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 상기 밸브시트(123)와 밀폐가 어려워 누수가 발생되고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급수밸브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신속하게 배출시켜 플런져의 작동성능을 유지시킴은 물론 누수현상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에 의해 공급되어 송수압이 조절되는 용수를 수용하며, 그 공간부에 전자석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용수의 흐름라인을 개폐하는 플런져와, 상기 플런져의 둘레면에 감싸져 이동루트를 안내하는 실린더, 및 상기 플런져의 작동과정에서 개폐되는 밸브시트를 갖는 밸브체스트를 내장한 전자식 급수밸브로서, 상기 실린더의 둘레면에 상기 플런져와 실린더로 유입되는 용수 또는 상기 밸브시트를 경유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배출공간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급수밸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급수밸브의 공간부로 유입되는 용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간을 통해 배출되어 눌러 붙지 않으므로 상기 전장품에 공급되는 상기 용수의 오염이 최소화되어 공급용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둘째, 상기 급수밸브에 이물질이 눌러붙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플런져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져 개폐효율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밸브시트와의 밀폐력이 유지되어 누수현상이 방지되고 수명이 연장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급수밸브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급수밸브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의 개폐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의 개폐수단을 도시한 저면도 및 조립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급수밸브(100)는 상수도관에 의해 공급되어 송수압이 조절되는 용수를 수용하며, 그 공간부에 전자석(134)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용수의 흐름라인을 개폐하는 플런져(131)와, 상기 플런져(131)의 둘레면에 감싸져 이동루트를 안내하는 실린더(132), 및 상기 플런져(131)의 작동과정에서 개폐되는 밸브시트(123)를 갖는 밸브체스트(124)를 내장한 전자식 급수밸브로서, 상기 실린더(132) 의 둘레면에 상기 용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배출공간(10)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져(131)와 상기 실린더(132)의 사이로 유입되는 용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간(10)을 통해 배출되는 구성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급수밸브(100)는, 상수도관의 용수를 수용하여 송수압을 조절하는 조절부(110)와, 상기 조절부(110)에 의해 압력 및 이물질이 제거된 용수를 수용하는 본체부(120), 및 상기 본체부(120)에 경유하는 용수를 선택적으로 전장품에 공급하는 개폐수단(130)으로 구성되며, 특히 개폐수단(130)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공간(10)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조절부(110)는, 상기 상수도관(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용수를 수용하여 수압을 조절하고 상기 용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것으로서, 그 몸체에 상기 상수도관과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용수의 배출구(112)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상수도관의 용수를 수용하는 챔버(111)가 형성된다.
또한, 조절부(110)는, 상기 챔버(111)에 내장되어 상기 용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14) 및, 상기 필터(114)의 전방측에 장착되어 상기 용수의 송수압을 조절하는 조절시트(113)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부(120)는, 상기 조절부(110)의 배출구(112)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용수를 수용하여 상기 전장품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그 몸체에 상기 전장품과 연결되는 출수구(125)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상기 개폐수단(130)을 수용하는 공간부 및 상기 개폐수단(130)과 접촉하여 용수의 흐름경로를 개폐하는 밸브시트(123)를 갖는 밸브체스트(124)가 구비된다.
그리고, 개폐수단(130)은, 상기 본체부(120)의 공간부에 장착되어 용수의 흐름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간부에 장착된 실린더(132)와, 상기 실린더(132)의 내부를 따라 승강하는 플런져(131)와, 상기 플런져(131)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를 제공하는 전자석(13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130)은 상기 본체부(12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장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원에서는 상기 본체부(120)의 공간부에 상기 개폐수단(130)이 장착된 것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개폐수단(130)은, 상기 플런져(131)의 이동경로에 장착되어 리턴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3)이 더 구비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배출공간(10)은, 상기 실린더(132)의 둘레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져(131)가 리턴하는 경우 빈공간을 이루는 부분에 한 개 또는 다수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플런져(131)와 실린더(132)의 사이로 유입되는 용수 또는 상기 밸브시트(123)를 경유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장품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작동스위치를 "온"하면, 상기 상수도관의 용수가 상기 챔버(111)로 공급된 다음, 상기 조절시트(113) 및 필터(114)를 경유하여 송수압이 조절되고 이물질이 걸려진다.
이어서, 상기 조절부(110)에 의해 압력조절된 용수가 상기 본체부(120)로 공급된 다음, 상기 플런져(131)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밸브시트(123)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구(125)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본체부(120)에 공급되는 용수는, 상기 전자석(134)에 의해 상기 플런져(131)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밸브시트(123)와 플런져(131)의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구(125)를 통해 상기 냉장고 등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130)의 플런져(131)와 실린더(132)의 사이에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132)의 둘레면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간(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20)에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간(10)을 통해 배출되므로, 상기 용수의 오염원이 제거되어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상기 플런져(131)의 오작동이 방지되어 누수가 예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급수밸브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급수밸브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급수밸브의 개폐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의 개폐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의 개폐수단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의 개폐수단을 도시한 조립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급수밸브 110 : 조절부
111 : 챔버 112 : 배출구
113 : 조절시트 114 : 필터
120 : 본체부 123 : 밸브시트
124 : 밸브체스트 125 : 출수구
130 : 개폐수단 131 : 플런져
132 : 실린더 133 : 스프링
134 : 전자석 10 : 배출공간

Claims (1)

  1. 상수도관에 의해 공급되어 송수압이 조절되는 용수를 수용하며, 그 공간부에 전자석(134)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용수의 흐름라인을 개폐하는 플런져(131)와, 상기 플런져(131)의 둘레면에 감싸져 이동루트를 안내하는 실린더(132), 및 상기 플런져(131)의 작동과정에서 개폐되는 밸브시트(123)를 갖는 밸브체스트(124)를 내장한 전자식 급수밸브로서,
    상기 실린더(132)의 둘레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플런져(131)가 리턴하는 경우 빈공간을 이루는 부분을 따라 상기 용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배출공간(10)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져(131)와 실린더(132)의 사이로 유입되는 용수 또는 상기 밸브시트(123)를 경유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간(1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
KR1020090026902A 2009-03-30 2009-03-30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 KR101063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02A KR101063742B1 (ko) 2009-03-30 2009-03-30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02A KR101063742B1 (ko) 2009-03-30 2009-03-30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36A KR20100108736A (ko) 2010-10-08
KR101063742B1 true KR101063742B1 (ko) 2011-09-08

Family

ID=4312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902A KR101063742B1 (ko) 2009-03-30 2009-03-30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803B1 (ko) 2012-02-23 2012-12-12 정휘동 냉장고용 워터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982A (ja) * 1985-10-25 1987-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用油圧制御弁
JP2009121504A (ja) 2007-11-12 2009-06-04 Hitachi Ltd ポペットバル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982A (ja) * 1985-10-25 1987-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用油圧制御弁
JP2009121504A (ja) 2007-11-12 2009-06-04 Hitachi Ltd ポペットバル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803B1 (ko) 2012-02-23 2012-12-12 정휘동 냉장고용 워터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36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3725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свобождения набора емкостей от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заполнения такого набора емкостей
WO2008107967A1 (ja) フロート式弁装置及びフロート式弁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KR20170128264A (ko) 유체 여과 시스템
KR101063742B1 (ko) 이물질배출수단을 갖는 전자식 급수밸브
CA2625716A1 (en) Water sensor apparatus
KR20070078145A (ko) 전자밸브의 유체 역류방지장치
WO2008094990A1 (en) Integral sweep controller for gas membrane separation device
JP2005125091A (ja) 電気圧力炊飯器の蒸気排出装置
KR100858101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206379B1 (ko) 전자석 급수밸브
KR20160026724A (ko) 린스조 및 해당 린스조를 사용한 기판 세정 방법
KR100813112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유로 개폐장치
KR101684398B1 (ko) 매니폴드 일체형 유체 차단 모듈
MX2009003952A (es) Valvula de control de nivel de fluido.
KR20210108588A (ko) 제어유 세정 조립체
KR100403011B1 (en) Air dryer system
US9701554B2 (en) Aeration control valve system for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102138090B1 (ko) 제어기구가 구비되는 피스톤방식의 개폐밸브
KR200303565Y1 (ko) 펌프과열방지용 드레인밸브
KR102601474B1 (ko) 제빙기
KR0168277B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
CN111734876B (zh) 一种先导式高压电磁阀
KR100595420B1 (ko) 초절수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장치
ATE418038T1 (de) Elektromagnetventil
KR100830594B1 (ko)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