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444B1 -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444B1
KR101063444B1 KR1020090025391A KR20090025391A KR101063444B1 KR 101063444 B1 KR101063444 B1 KR 101063444B1 KR 1020090025391 A KR1020090025391 A KR 1020090025391A KR 20090025391 A KR20090025391 A KR 20090025391A KR 101063444 B1 KR101063444 B1 KR 10106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torage tank
opening
pipe
clo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216A (ko
Inventor
김정순
Original Assignee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102009002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44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에 개별적으로 저장된 여러 종류의 사료가 단일의 공급라인을 통해 이송되면서 축사의 가축에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축사에서 다종의 사료를 가축에게 자동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축에서 여러 종류의 사류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비교적 설치 비용을 줄이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는 사료의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사료의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와, 사료의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의 개폐수단이 구비된 복수의 사료통과,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사료통의 투입구 및 사료저장탱크의 수용공간을 차례로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료의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이송파이의 내측에서 사료를 이송시키는 사료이송수단과, 상기 사료저장탱크와 이송파이프의 사이에서 사료저장탱크의 수용공간과 이송파이프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와 대응되는 수로 설치되는 사료회수부와, 상기 복수의 사료통에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통 별로 하나씩 설치되되, 동일 종류의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통 중 상기 이송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사료통에 설치되며, 사료통 내의 투입된 사료의 량이 임계 량을 초과하면 해당 신호를 출력 하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와, 상기 복수의 사료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료선택스위치와,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 이송 순서가 사전 설정되고,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의 개폐수단과 사료통의 투입구의 개폐수단 및 사료이송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출구의 개폐수단 및 투입구의 개폐수단을 폐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이송파이프 기준으로 1회 순환시킬 수 있는 시간동안 상기 사료이송수단이 더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25391
사료, 디스크 와이어, 이송파이프, 사료 선택스위치, 단일 라인

Description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Transfer apparatus for various feed having single pipe l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일라인을 이용하는 디스크식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에 개별적으로 저장된 여러 종류의 사료가 단일의 공급라인을 통해 이송되면서 축사의 가축에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축사에서 다종의 사료를 가축에게 자동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축사에서 여러 종류의 사료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비교적 설치 비용을 줄이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축을 대규모로 사육하는 양돈장, 우사, 양계장 등에서 많은 량의 사료를 인력으로 공급시 과다한 인건비가 지출되는 것이므로, 통상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양돈장, 우사, 양계장 등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사료를 자동 공급하는 장치의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374호 에 "가축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의 구동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이를 예로 종래 사료를 자동 공급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키로 한다.
사료를 자동 공급하는 장치는 사료 저장을 위한 사료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사료 저장탱크의 하부에 호퍼가 설치되고, 호퍼는 사료의 배출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호퍼의 배출구와 회수구에 이송파이프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즉, 이송파이프는 축사 내부의 사료 공급 장소를 따라 이어지게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호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사료는 이송파이프를 따라 순환하면서 축사의 여러 사료 공급 장소에 차례로 공급되며, 최종의 사료 공급 장소에 공급된 후 남은 잔량은 이송파이프에 남게된다.
여기서, 축사의 내부에 이송파이프와 연결되는 사료급이통이 설치되며, 이송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사료가 사료 급이통에 저장된 후, 가축들이 사료를 먹는 복수의 사료 먹이통에 사료 급이통의 사료가 일시에 공급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사료의 이송은 이송파이프의 내측에 설치되는 디스크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크 와이어는 와이어에 등 간격으로 디스크가 고정된 형태이며, 이러한 디스크 와이어아는 이송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져 이송파이프와 같이 순환형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이송파이프의 내측에 순환형 구조로 설치된 디스크 와이어가 이송파이프의 내측에서 전체적으로 진행하며 그 디스크로 사료를 밀어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디스크 와이어를 전체적으로 진행시키는 동력은 축사의 외부에 설치되고 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구동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료를 자동 공급하는 장치(이하 사료 자동 공급장치라 함)는 사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단일 품목의 사료가 단일 라인의 이송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면서 축사의 사료 급이통에 공급되는 방식이므로, 가축에게 다양한 종류의 사료를 공급하지 못하거나, 여러 성장 단계의 가축 종류 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공급하지 못하는 등 기능적인 한계점을 보이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소를 사육하는 우사에서는 소의 균형적인 발육과 발육 촉진 등을 위해 다양한 성분을 함유한 여러 종류의 사료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사료 자동 공급장치는 상기와 같이 단일의 사료 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사료가 단일의 이송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면서 축사의 사료 급이통에 공급되므로, 여러 품목의 사료를 사료 저장탱크에 함께 투입하면 사료가 섞이게 되어 사용이 불가하다.
그리고, 여러 품목의 사료를 개별적으로 우사의 사료 급이통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사료의 품목 수와 동일한 수의 이송파이프 및 그 내측에 설치되는 디스크 와이어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사료 자동 공급장치의 설치 작업이 매우 복잡한 동시에 번거롭게 되고, 그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여러 품목의 사료를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다수 라인의 이송파이프가 필요하여 사료 자동 공급장치의 설치 작업이 복잡해지고, 또한 그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에 개별적으로 저장된 여러 종류의 사료가 단일의 공급라인을 통해 이송되면서 축사의 가축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단일라인을 이용하는 디스크식 다종 사료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에 개별적으로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사료가 섞이지 않는 상태에서 그 종류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공통의 단일 공급라인을 통해 이송되면서 축사의 가축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단일라인을 이용하는 디스크식 다종 사료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는 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에 사료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사료를 배출하는 하부의 배출구에 대해 개폐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출구에 대한 개폐 시간의 조정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와, 사료의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의 개폐수단이 구비된 복수의 사료통과,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사료통의 투입구 및 사료저장탱크의 수용공간을 차례로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료의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이송파이의 내측에서 사료를 이송시키는 사료이송수단과, 상기 사료저장탱크와 이송파이프의 사이에서 사료저장탱크의 수용공간과 이송파이프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와 대응되는 수로 설치되는 사료회수 부와, 상기 복수의 사료통에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통 별로 하나씩 설치되되, 동일 종류의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통 중 상기 이송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사료통에 설치되며, 사료통 내의 투입된 사료의 량이 임계 량을 초과하면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와, 상기 복수의 사료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료선택스위치와,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 이송 순서가 사전 설정되고,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의 개폐수단과 사료통의 투입구의 개폐수단 및 사료이송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출구의 개폐수단 및 투입구의 개폐수단을 폐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이송파이프 기준으로 1회 순환시킬 수 있는 시간동안 상기 사료이송수단이 더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는 상기 사료회수부를 통해 회수되는 사료의 동선 상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수용공간으로 회수되는 사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사료회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이송수단은, 상기 이송파이프의 내측에 이송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그 디스크를 통해 사료를 밀어 이송시키는 디스크 와이어와, 상기 이송파이프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구동함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 기 디스크 와이어의 디스크에 순차적으로 맞물리면서 상기 디스크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통해 사전 설정되는 시간 내에서만 상기 사료이송수단,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의 개폐수단, 사료통의 투입구의 개폐수단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는 상기 복수의 사료통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 감지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신호 송신부와, 상기 무선신호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해당 신호를 입력하는 무선신호 수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방법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이한 종류의 사료가 각각 수용되고 사료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개폐수단이 각각 구비되는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에 사료 공급시의 공급순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순환형의 이송파이프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이송파이프의 내부와 통하는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의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상태로 축사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n 사료통의 사료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 중 어느 한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가 공급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과 제1 사료 저장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도록 설정된 사료통의 개폐수단 및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이송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가 이송되면서 사료통에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도록 설정된 사료통 중 이송파이프를 기준으로 제1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사료통에 설치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사료이송수단을 상기 이송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회 더 순환시켜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에 회수되도록 하며,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회수하기 위한 상기 사료이송수단의 1회 순환되는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료통의 투입구에 대한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n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과 제n 사료 저장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도록 설정된 사료통의 개폐수단 및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이송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제n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가 이송되면서 사료통에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제n 사료 저장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도록 설정된 사료통 중 이송파이프를 기준으로 제n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사료통에 설치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사료이송수단을 상기 이송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회 더 순환시켜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상 기 제1 사료 저장탱크에 회수되도록 하며,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회수하기 위한 상기 사료이송수단의 1회 순환되는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료통의 투입구에 대한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상기 사료이송수단,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 제1 내지 제n 사료통의 개폐수단,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에 대한 제어신호의 출력이 정지되면서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로부터의 제1 내지 제n 사료통에 대한 사료 공급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에 의해서,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에 개별적으로 저장된 여러 종류의 사료가 단일의 공급라인을 통해 이송되면서 축사의 가축에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축사에서 다종의 사료를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가축에게 자동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축에서 여러 종류의 사류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비교적 설치 비용을 줄이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사료이송수단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이송파이프와 사료통의 연결 구조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사료회수 감지센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송 사료 이송장치는 사료 저장탱크(11~13), 사료통(21~27), 이송파이프(30), 사료이송수단,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 제어부(80), 사료선택스위치(91~97), 사료회수부(131~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는 무선신호 송신부(101~107), 무선신호 수신부(110), 타이머(120), 사료회수 감지센서(131b~133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료 저장탱크(11~13)는 내측에 사료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사료 저장탱크(11~13)의 내측에는 사료가 투입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사료 저장탱크(11~13)는 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 사료 배출을 위한 깔때기 형태의 제1 내지 제3 배출구(11a~13a)가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사료 저장탱크(11~13)의 제1 내지 제3 배출구(11a~13a)에 개폐수단(11b~13b)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11b~13b)은 사료 저장탱크(11~13)의 배출구(11a~13a)에 대해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개폐수단(11b~13b)이 배출구(11a~13a)를 개방하는 시간 및 폐쇄하는 시간을 조정하여 사료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료 저장탱크(11~13)는 다수로 이루어져, 각각의 사료 저장탱크(11~13)에 서로 다른 사료가 저장된다.
상기 사료통(21~27)은 축사의 내부에 적정 수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사료통(21~27)은 축사의 규모 및 사육되는 가축의 종류나 수 등을 고려하여 적정 위치에 적정 수로 설치된다. 이러한 사료통(21~27)은 사료의 투입구(21a~27a) 및 상기 투입구(21a~27a)의 개폐수단(21b~27b)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사료통(21~27)의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투입구(21a~27a)가 형성되며, 이러한 투입구(21a~27a) 상에 개폐수단(21b~27b)이 설치된다. 여기서, 개폐수단(21b~27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축(21b-2)상에 판 상의 개폐부재(21b-3)가 결합되며, 상기 축(21b-2)은 함체(21b-1) 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직선 방향의 왕복 이동을 한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모터 및 랙과 피니언 등 통상의 구성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료통(21~27)은 통상 후술되는 이송파이프(30)를 통해 이송된 사료 가 집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렇게 사료통(21~27)에 투입된 사료가 축사의 각 먹이통으로 분산되어 사육되는 가축에게 공급된다. 미설명 부호 21c 내지 27c는 개폐수단(21b~27b)을 수용하는 함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송파이프(30)는 사료 저장탱크(11~13)의 배출구(11a~13a)와 사료통(21~27)의 투입구(21a~27a) 및 사료 저장탱크(11~13)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사료 회수부(131~133)를 순차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송파이프(30)는 사료 저장탱크(11~13)의 배출구(11a~13a)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받아 각 사료통(21~27)의 투입구(21a~27a)로 이송시키고, 각 사료통(21~27)에 공급되고 남은 사료의 잔여분을 다시 사료 저장탱크(11~13)로 이송시켜 회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이송파이프(20)는 단일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단일 라인(20)의 이송파이프(30)를 통해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11~13)에 저장된 상이한 종류의 사료가 개별적으로 이송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3개의 사료 저장탱크(11~13)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 저장탱크(11~13)의 배출구(11a~13a)에 단일 라인의 이송파이프(30)가 각각 연결되며, 이러한 이송파이프(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사 내의 복수의 사료통(21~27)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연장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7개의 사료통(21~27)이 축사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이송파이프(30)를 통해 이송되는 사료 저장탱크(11~13)의 사료가 제1 내지 제7의 사료통(21~27) 중 적어도 하나의 사료통에 공급되는 것으로서, 도 1을 예로 설명하면, 제1 사료 저장탱크(111)의 사료는 제6 및 제7 사료통(26)(27)에 공급되며, 제2 사료 저장탱크(112)의 사료는 제1 및 제4 그리고 제5의 사료통(21)(24)(25)에 공급되고, 제3 사료 저장탱크(113)의 사료는 제2 및 제3 사료통(22)(23)에 공급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 사료 저장탱크(11~13)의 사료를 공급하는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부(80)에 사전 설정되는 것이며, 단일의 이송파이프(30)를 통해 어느 한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통에 대한 사료 공급이 종료된 후, 동일한 단일의 이송파이프(30)를 통해 다른 한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통에 대한 사료 공급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통에 대한 전체적인 사료 공급이 진행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본 실시예에 대한 작용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상기 사료이송수단은 이송파이프(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송파이프(30)의 내측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사료를 밀어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사료이송수단이 디스크 와이어(40), 구동모터(52), 감속기(53), 구동기어(51), 구동함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룰 예로 하였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크 와이어(40)는 와이어(41)에 다수의 디스크(42)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디스크 와이어(40)가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디스크(42)가 연동하여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렇게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크(42)가 사료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와이어(40)의 디스크(42)는 와이어(4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구동기어(51)의 회전시 연동하여 이동되면서 사료를 밀어 이송시키는 것일 수 있다. 즉, 이송파이프(30)에 구동기어(51)를 내측에 설치한 구동함체(5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함체(50)의 내측에 구동모터(52)가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52)는 그 구동축(51a)과 연결되는 감속기(53)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53)에 구동기어(51)가 축(51a)을 통해 결합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52)의 동력이 감속기(53)를 통해 구동기어(51)에 전달되고, 이렇게 감속기(53)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은 구동기어(51)는 회전하면서 디스크 와이어(40)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디스크(42)와 순차적으로 맞물리면서 디스크 와이어(40)를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는 축사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사료통(21~27) 중에서 동일 종류의 사료를 공급받는 소정 수의 사료통 중 최종적으로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통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축사 내에 설치된 다수의 사료통에 대해 3종류의 사료가 공급되는 경우,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는 각 사료의 최종 공급되는 사료통에 각각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는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사료가 공급되는 최종의 사료통인 제7 사료통(27), 제2 사료 저장탱크(112)의 사료가 공급되는 최종의 사료통인 제5 사료통(25), 그리고 제3 사료 저장탱크(113)의 사료가 공급되는 최종의 사료통인 제3 사료통(23)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는 사료통 내의 투입된 사료의 량을 감지하게 되며, 사료통 내에 투입된 사료의 량이 사전 설정된 임계 량을 초과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는 상기 제어부(80)에 해당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는 접점스위치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는 축(61a)을 중심으로 회전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可動)단자(61)와, 상기 가동단자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가동단자(61)의 회전시 접촉되는 고정단자(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접점스위치의 구조를 갖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는 사료통(21~27)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서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가 상기와 같이 접점 스위치의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는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광수자와 발광소자가 사료통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는 사료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료통 내부의 사료에 대한 거리 차를 감지하여 사료통의 사료 공급량을 감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사료 선택스위치(91~97)는 복수의 사료통(21~27)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사료 선택스위치(91~97)는 상기 제어부(80)와 전기적인 접속을 하며, 이에 따라 사료 선택스위치(91~97)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80)에 입력된 다. 즉, 사료선택스위치(91~97)를 조작함으로써, 각 사료통(21~27)은 사료 저장탱크(11~13) 중 어느 하나의 사료 저장탱크를 선택하여 해당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4와 제5의 사료통(21)(24)(25)은 제2 사료 저장탱크(112)의 사료를 공급받기 위해 그 사료 선택스위치(91)(94)(95)가 2번 다이얼에 위치하고, 제2 및 제3 사료통(22)(23)은 제3 사료 저장탱크(113)의 사료를 공급받기 위해 그 사료 선택스위치(92)(93)가 3번 다이얼에 위치하며, 제6 및 제7 사료통(26)(27)은 제1 사료 저장탱크(111)의 사료를 공급받기 위해 그 사료 선택스위치(96)(97)가 1번 다이얼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각 사료통(21~27)의 사료선택스위치(91~97)를 조작하여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11~13) 중 어느 한 저장탱크의 사료를 해당 사료통에 공급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사료 저장탱크(11~13)의 사료 이송 순서가 사전 설정되고, 사료 저장탱크(11~13)의 배출구(11a~13a)의 개폐수단(11b~13b)과 사료통(21~27)의 투입구(21a~27a)의 개폐수단(21b~27b) 및 사료이송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출구(11a~13a)의 개폐수단(11b~13b) 및 투입구(21a~27a)의 개폐수단(21b~27b)을 폐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이송파이프(30) 내측의 사료를 이송파이프(30) 기준으로 1회 순환시킬 수 있는 시간동안 상기 사료이송수단이 더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타이머(120)는 제어부(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어부(80)는 타이 머(120)를 통해 설정되는 시간 동안만 디스크 와이어(40) 및 제1 및 제2 감지센서(60)(7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사료회수부(131~133)는 사료 저장탱크(11~13)와 이송파이프(30)의 사이에서 사료 저장탱크(11~13)의 수용공간과 이송파이프(3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며, 이러한 사료회수부(131~133)를 통해 이송파이프(30) 내측의 사료가 디스크 와이어(40)에 의해 이송파이프(30)를 따라 이송되어 사료 저장탱크(11~13)로 회수된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사료회수부(131~133)는 사료 저장탱크(11~13)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사료회수부(131~133)는 사료 저장탱크(11~13)의 사료 수용공간으로 연장된 회수관(131e~133e)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133a)는 이송파이프(30)에 남아있는 잔여 사료가 사료 저장탱크(11~13)에 회수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133a)는 이송파이프(30)의 사료가 회수되는 방향의 일단과 사료 저장탱크(11~13)의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료 저장탱크(11~13)의 개방된 상부에 사료회수부(131~133)가 설치되며, 이러한 사료회수부(131~133)로부터 상기 사료 저장탱크(11~13)의 내측 방향으로 사료 회수관(131e~133e)이 연장되고, 이러한 사료 회수관(131a~133a)의 하단에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133a)가 설치된다.
그리고,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133a)는 접점스위치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즉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133a)는 사료 회수관(131e~131e)의 내측에 축(131c~133c)을 중심으로 회전 및 복원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가동단자(131b) 와, 상기 사료 회수관(131e~133e)의 외측에 가동단자(131b)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가동단자(131b)의 회전시 접촉되는 고정단자(131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사료회수 감지센서가 상기와 같이 접점 스위치의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료회수 감지센서는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광수자와 발광소자가 사료회수부의 회수관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 송신부(101~107)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와 전기적인 연결을 한 상태로 각 사료통(21~27)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무선신호 송신부(101~107)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을 입력받아 소정의 신호를 상기 무선신호 수신부(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신호 송신부(101~107)가 각 사료통(21~27)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신호 송신부(101~107)는 사료통(21~2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사료통(21~27) 중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가 설치되는 사료통(21~27)에만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 수신부(110)는 무선신호 송신부(101~107)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를 제어부(80)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80)는 사료 저장탱크(11~13)의 개폐수단(11b~13b)을 폐쇄하고, 사료이송수단을 이송파이프(3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회 순환되도록 작동시키며, 사료통(21~27)의 개폐수 단(21b~27b)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일련의 제어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로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무선신호 송신부와 무선신호 수신부에 의해 무선으로 전송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가 유선을 통해 제어부에 입력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사료 저장탱크(11~13)에 상이한 종류의 사료가 각각 저장되며, 제6 및 제7 사료통(26)(27)은 그 사료선택스위치(96)(97)가 1번 다이얼에 위치하여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사료를 공급받는 상태로 설정되고, 제1 및 제 4와 제5 사료통(21)(24)(25)은 그 사료선택스위치(91)(94)(95)가 2번 다이얼에 위치하여 제2 사료 저장탱크(12)의 사료를 공급받는 상태로 설정되며, 제2 및 제3 사료통(22)(23)은 그 사료선택스위치(92)(93)가 3번 다이얼에 위치하여 제3 사료 저장탱크(13)의 사료를 공급받는 상태로 설정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7 사료선택스위치(91~97)는 각각 제어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다이얼의 변경에 따른 해당신호를 제어부(80)에 입력한다.
그리고,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사료가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제7 사료통(27)에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가 설치되고, 제2 사료 저장탱크(12)의 사료가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제5 사료통(25)에 다른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가 설 치되며, 제3 사료 저장탱크(13)의 사료가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제3 사료통(25)에 또 다른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 와이어(40) 및 사료 저장탱크(11~13)의 개폐수단(11b~13b)과 사료통(21~27)의 개폐수단(21b~27b)을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개시 신호를 제어부(80)에 입력하면, 제어부(80)는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개폐수단(11b)과 사료이송수단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박스(50)의 구동모터(52) 및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개폐수단(11b)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사료 저장탱크(11)에 저장된 사료가 배출구(11a)를 통해 배출되어 이송파이프(20)에 유입되는 동시에 구동기어(51)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디스크 와이어(40)에 의해 이송파이프(30)의 사료가 사료통(21~27)의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제어부(80)는 또한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사료가 공급되도록 설정된 제6 및 제7 사료통(26)(27)의 개폐수단에 그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제6 및 제7 사료통(26)(27)의 개폐수단(26b)(27b)은 제6 및 제7 사료통(26)(27)의 투입구(26a)(27a)를 개방하는 상태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제1 사료 저장탱크(11)로부터 배출되는 사료는 투입구(21a~25a)를 폐쇄한 상태의 제1 내지 제5 사료통(21~25)을 그대로 지나치면서 제6 및 제7 사료통(26~27)에 순차적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7 사료통(27)에 사료가 가득차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7 사료통(27)의 상부까지 차오른 사료가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의 가동단자(61)를 밀어 고정단자(63)에 접촉시키고, 이렇게 가동단자(61)와 고정단자(63)의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80)에 입력된다. 제어 부(80)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배출구(11a)의 개폐수단(11b)을 폐쇄하는 신호를 개폐수단(11b)에 출력하며, 이에 따라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1a)는 그에 대한 폐쇄위치로 동작하는 개폐수단(11b)에 의해 폐쇄되고,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배출구(11a)를 통한 사료 배출은 중지된다.
여기서, 제어부(80)는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배출구(11a)가 개폐수단(11b)에 의해 폐쇄된 후, 이송파이프(30) 내측의 디스크 와이어(40)가 1회 더 순환하도록 구동함체(50)의 구동모터(52)를 제어한다. 이는 이송파이프(30) 내측에 남아있는 사료를 제1 사료 저장탱크(11)에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렇게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배출구(11a)가 폐쇄된 상태에서 디스크 와이어(40)가 1회 더 순환 동작함에 따라, 이송파이프(30) 내측의 사료는 전량 제1 사료 저장탱크(11)에 회수되는 동시에 이송파이프(30) 내측은 비어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디스크 와이어(40)의 1회 순환하는 시간은 축사의 크기 등에 따른 이송파이프(30)의 전체 길이에 따라 가변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이송파이프(30)의 전체 길이를 고려하여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배출구(11a) 폐쇄 후 디스크 와이어(40)의 추가로 순환되는 시간을 사전에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회수하기 위한 사료이송수단의 1회 순환되는 시간의 경과 후 사료통의 투입구에 구비되는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또한, 제1 사료회수부(131)를 통해 사료가 회수되는 과정에서, 제1 사료회수 부(131)의 회수관(131e)을 통해 제1 사료 저장탱크(11)로 유입되는 사료가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의 가동단자(131b)를 고정단자(131d)의 방향으로 밀게되고, 이에 따라 가동단자(131b)는 축(131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단자(131d)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가동단자(131b)와 고정단자(131d)의 접촉에 의해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80)에 입력되며, 제어부(80)는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배출구(11a)를 폐쇄하는 신호를 개폐수단(11b)에 출력한다.
즉, 제7 사료통(27)에 설치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가 고장이나 기타 오작동을 일으켜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배출구(11a)의 개폐수단(11b)이 폐쇄 상태로 전환되지 못하더라도, 사료회수부(131)에 설치된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의 센싱 기능에 의해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배출구(11a)의 개폐수단(11b)이 폐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사료회수 감지센서(131a)의 신호에 따라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배출구(131a)의 개폐수단(13b)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동시에 디스크 와이어(40)를 1회 더 순환시키도록 구동박스(50)의 구동모터(52)를 제어한 후, 제6 사료통(26)과 제7 사료통(27)의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한다.
이어서, 제어부(80)는 제2 사료 저장탱크(12)의 배출구(12a)에 구비된 개폐수단(12b)을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제2 사료 저장탱크(12)의 사료를 공급받는 제1 및 제4와 제5의 사료통(21)(24)(25)의 개폐수단(21b)(24b)(25b)을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2 사료 저장탱크(12)의 사료가 이송 파이프(30)를 통해 이송되면서 제1 및 제3와 제5 사료통(21)(23)(25)에 사료를 공급한다. 이는 상술한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사료가 제6 및 제7 사료통(26)(27)에 공급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6 사료통(26)에 설치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80)는 제2 사료 저장탱크(12)의 배출구(12a)의 개폐수단(12b)을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제어 동작한다. 또한, 이송파이프(30)에 남아있는 사료가 제2 사료 저장탱크(12)에 회수될 수 있도록, 제어부(80)는 디스크 와이어(40)가 1회 더 순환하도록 제어박스(50)의 구동모터(52)를 제어한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는 제1 및 제4와 제5 사료통(21)(24)(25)의 개폐수단(21b)(24b)(25b)이 폐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80)는 제3 사료 저장탱크(13)의 배출구(13a)에 구비된 개폐수단(13b)을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제3 사료 저장탱크(13)의 사료를 공급받는 제2 및 제3 사료통(22)(23)의 개폐수단(22b)(23b)을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3 사료 저장탱크(13)의 사료가 이송파이프(30)를 통해 이송되면서 제2 및 제3 사료통(22)(23)에 사료를 공급한다. 이는 상술한 제1 사료 저장탱크(11)의 사료가 제6 및 제7 사료통(26)(27)에 공급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3 사료통(23)에 설치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60)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80)는 제3 사료 저장탱크(13)의 배출구(13a)의 개폐수단(13b)을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제어 동작한다. 또한, 이송파이프(30)에 남아있는 사료가 제3 사료 저장탱크(12)에 회수될 수 있도록, 제어부(80)는 디스크 와이어(40)가 1회 더 순환하도록 제어박스(50)의 구동모터(52)를 제어한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는 제2 및 제3 사료통(22)(23) 개폐수단(22b)(23b)이 폐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제1 내지 제3 사료 저장탱크(11~13)에 저장된 상이한 종류의 사료가 단일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송파이프(30)를 통해 순차적으로 배출되면서 제1 내지 제7 사료통(21~27) 중 사전에 제1 내지 제3 사료 저장탱크(11~13) 중 어느 한 사료 저장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도록 설정된 사료통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상기에 따라,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에 개별적으로 저장된 여러 종류의 사료가 단일의 공급라인을 통해 이송되면서 축사의 가축에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축사에서 다종의 사료를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가축에게 자동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가축에서 여러 종류의 사류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비교적 설치 비용을 줄이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사료이송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이송파이프와 사료통의 연결 구조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사료 이송장치의 사료회수 감지센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제1 사료 저장탱크 11a : 배출구
11b : 개폐수단 11c : 함체
12 : 제2 사료 저장탱크 12a : 배출구
12b : 개폐수단 12c : 함체
13 : 제3 사료 저장탱크 13a : 배출구
13b : 개폐수단 13c : 함체
21 : 제1 사료통 21a : 투입구
21b : 개폐수단 22 : 제2 사료통
22a : 투입구 22b : 개폐수단
23 : 제3 사료통 23a : 투입구
23b : 개폐수단 24 : 제4 사료통
23a : 투입구 24b : 개폐수단
25 : 제5 사료통 25a : 투입구
25b : 개폐수단 26 : 제6 사료통
26a : 투입구 26b : 개폐수단
27 : 제7 사료통 27a : 투입구
27b : 개폐수단 30 : 이송파이프
40 : 디스크 와이어 41 : 와이어
42 : 디스크 50 : 구동박스
51 : 구동기어 51a : 구동축
52 : 구동모터 53 : 감속기
60 :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 61 : 가동단자
61a : 축 62 : 고정단자
80 : 제어부 91~97 : 사료선택스위치
101~107 : 무선신호 송신부 110 : 무선신호 수신부
120 : 타이머 131~133 : 사료회수부
131a~133a : 사료회수 감지센서 131a : 가동단자
131b : 축 131c : 고정단자
131e : 회수관

Claims (6)

  1. 호퍼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에 사료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사료를 배출하는 하부의 배출구에 대해 개폐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출구에 대한 개폐 시간의 조정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
    사료의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의 개폐수단이 구비된 복수의 사료통;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사료통의 투입구 및 사료저장탱크의 수용공간을 차례로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료의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이송파이프;
    상기 이송파이프의 내측에서 사료를 이송시키는 사료이송수단;
    상기 사료저장탱크와 이송파이프의 사이에서 사료저장탱크의 수용공간과 이송파이프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와 대응되는 수로 설치되는 사료회수부;
    상기 복수의 사료통에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통 별로 하나씩 설치되되, 동일 종류의 사료를 공급받는 사료통 중 상기 이송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사료통에 설치되며, 사료통 내의 투입된 사료의 량이 임계 량을 초과하면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
    상기 복수의 사료통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사료 저장탱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료선택스위치;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 이송 순서가 사전 설정되고,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의 개폐수단과 사료통의 투입구의 개폐수단 및 사료이송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출구의 개폐수단 및 투입구의 개폐수단을 폐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이송파이프 기준으로 1회 순환시킬 수 있는 시간동안 상기 사료이송수단이 더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회수부를 통해 회수되는 사료의 동선 상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 저장탱크의 수용공간으로 회수되는 사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사료회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이송수단은, 상기 이송파이프의 내측에 구비되며, 이송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디스크가 형성되되, 그 디스크를 통해 사료를 밀어 이송시키는 디스크 와이어와, 상기 이송파이프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구동함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 와이어의 디스크에 순차적으로 맞물리면서 상기 디스크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통해 사전 설정되는 시간 내에서만 상기 사료이송수단,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의 개폐수단, 사료통의 투입구의 개폐수단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료통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 감지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신호 송신부와, 상기 무선신호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해당 신호를 입력하는 무선신호 수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6.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이한 종류의 사료가 각각 수용되고 사료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개폐수단이 각각 구비되는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에 사료 공급시의 공급순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와 순환형의 이송파이프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이송파이프의 내부와 통하는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의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상태로 축사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n 사료통의 사료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 중 어느 한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가 공급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과 제1 사료 저장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도록 설정된 사료통의 개폐수단 및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이송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가 이송되면서 사료통에 공급되는 단계;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도록 설정된 사료통 중 이송파이프를 기준으로 제1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사료통에 설치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사료이송수단을 상기 이송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회 더 순환시켜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에 회수되도록 하며,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회수하기 위한 상기 사료이송수단의 1회 순환되는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료통의 투입구에 대한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n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과 제n 사료 저장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도록 설정된 사료통의 개폐수단 및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이송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제n 사료 저장탱크의 사료가 이송되면서 사료통에 공급되는 단계;
    상기 제n 사료 저장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도록 설정된 사료통 중 이송파이프를 기준으로 제n 사료 저장탱크의 배출구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사료통에 설치된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사료이송수단을 상기 이송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회 더 순환시켜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상기 제1 사료 저장탱크에 회수되도록 하며, 상기 이송파이프 내측의 사료를 회수하기 위한 상기 사료이송수단의 1회 순환되는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료통의 투입구에 대한 개폐수단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의 상기 사료이송수단,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의 개폐수단, 제1 내지 제n 사료통의 개폐수단, 사료 공급중지 감지센서에 대한 제어신호의 출력이 정지되면서 제1 내지 제n 사료 저장탱크로부터의 제1 내지 제n 사료통에 대한 사료 공급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방법.
KR1020090025391A 2009-03-25 2009-03-25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 KR10106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391A KR101063444B1 (ko) 2009-03-25 2009-03-25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391A KR101063444B1 (ko) 2009-03-25 2009-03-25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216A KR20100107216A (ko) 2010-10-05
KR101063444B1 true KR101063444B1 (ko) 2011-09-07

Family

ID=4312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391A KR101063444B1 (ko) 2009-03-25 2009-03-25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4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837B1 (ko) 2013-09-03 2013-10-17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사료공급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49279B1 (ko) 2013-05-08 2014-10-08 주식회사 포스코 도료의 유출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499073B1 (ko) * 2013-09-02 2015-03-06 (주)삼우 가축사료 급이기의 리미트 센서
KR20160113420A (ko) 2015-03-19 2016-09-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비육종 가축 사료 공급장치용 디스크 와이어
KR20200051249A (ko)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다운 사료량 확인이 가능한 사료저장탱크
KR102543895B1 (ko) 2022-12-14 2023-06-15 주식회사 조은축산이엔지 이송라인 소음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4357A (zh) * 2019-05-13 2019-07-09 牧原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管道密闭式大行程饲料运输预混综合管理系统
CN110810257A (zh) * 2019-12-02 2020-02-21 青岛大牧人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养猪饲料输送系统及输送方法
CN115176579B (zh) * 2022-08-09 2023-12-15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一种可控喷洒肥料的农业施肥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571A (ja) 1996-09-30 1998-04-28 Roxell Nv 飼料供給設備及び該設備に使用するためのバルブ
KR200199236Y1 (ko) 2000-05-12 2000-10-02 광승교역주식회사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JP2007124935A (ja) 2005-11-02 2007-05-24 Yoshimoto Pole Co Ltd 動物用給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571A (ja) 1996-09-30 1998-04-28 Roxell Nv 飼料供給設備及び該設備に使用するためのバルブ
KR200199236Y1 (ko) 2000-05-12 2000-10-02 광승교역주식회사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JP2007124935A (ja) 2005-11-02 2007-05-24 Yoshimoto Pole Co Ltd 動物用給餌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279B1 (ko) 2013-05-08 2014-10-08 주식회사 포스코 도료의 유출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499073B1 (ko) * 2013-09-02 2015-03-06 (주)삼우 가축사료 급이기의 리미트 센서
KR101319837B1 (ko) 2013-09-03 2013-10-17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사료공급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13420A (ko) 2015-03-19 2016-09-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비육종 가축 사료 공급장치용 디스크 와이어
KR20200051249A (ko)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다운 사료량 확인이 가능한 사료저장탱크
KR102114173B1 (ko) * 2018-11-05 2020-05-25 주식회사 다운 사료량 확인이 가능한 사료저장탱크
KR102543895B1 (ko) 2022-12-14 2023-06-15 주식회사 조은축산이엔지 이송라인 소음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216A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444B1 (ko) 단일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는 다종 사료 이송장치 및 그 방법
CN103416316B (zh) 宠物喂食器、喂食系统及喂食器控制方法
KR101573826B1 (ko)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CN101982067B (zh) 哺乳期种猪自动精细饲喂装置
CN109258493B (zh) 一种兔笼喂料装置及其自动化控制系统
CN111345248A (zh) 一种育肥猪精确饲喂系统
CN110810257A (zh) 一种养猪饲料输送系统及输送方法
CN110100751A (zh) 智能喂料与清洗系统
CN104221898A (zh) 自动定量喂料输送装置
CN213719330U (zh) 马房自动化定量喂料系统
CN211407222U (zh) 一种自动投料装置及猪舍
Shaari et al. Aerial fish feeding system
CN210143541U (zh) 一种自动喂料系统
CN110934078B (zh) 一种自动投料装置及猪舍
CN110622876A (zh) 一种用于实验室的大小鼠自动喂料系统及其使用方法
CN105519449A (zh) 一种自动化畜牧业饮水喂料装置
CN204811445U (zh) 一种肉牛养殖用饲喂装置
CN110482255B (zh) 一种塞盘线集中供料系统及供料方法
CN210869308U (zh) 一种用于实验室的大小鼠自动喂料系统
CN207185581U (zh) 一种畜牧养殖业精准投料喂养设备
CN115715535B (zh) 用于池塘圈养和循环水养殖的投饵装置及精准投饵方法
KR20160075043A (ko) 웹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돈용 tmr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급이 방법
US6182606B1 (en) Automated livestock feeder
CN215123158U (zh) 一种自动牲畜投食装置
CN217487285U (zh) 一种鸽子养殖用仿生态螺旋式喂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