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437B1 - 납땜용 와이어 홀더 - Google Patents

납땜용 와이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437B1
KR101063437B1 KR1020090125630A KR20090125630A KR101063437B1 KR 101063437 B1 KR101063437 B1 KR 101063437B1 KR 1020090125630 A KR1020090125630 A KR 1020090125630A KR 20090125630 A KR20090125630 A KR 20090125630A KR 101063437 B1 KR101063437 B1 KR 10106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late
soldering
wire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599A (ko
Inventor
장재원
김응태
성기정
이상종
이장호
김재은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4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6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parts during soldering or wel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23K3/063Solder feeding devices for wire fee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와이어 연결을 위한 납땜시 납땜을 할 와이어를 고정되게 잡아 주어 보다 쉽게 납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납땜용 와이어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 납땜용 와이어 홀더는, 집게 형상의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를 벌리거나 오므리게 상기 집게부와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압착부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일단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간격부와, 일단이 상기 간격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위치 고정부와, 상기 위치 고정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착탈식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에는 솔더를 다른 손에는 납을 잡고 와이어는 소형 바이스에 장착할 수 있는 와이어 홀더가 고정해주어 납땜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납땜 홀더, 와이어홀더, 납땜보조장치, 소형바이스, 자석

Description

납땜용 와이어 홀더 {Wire holder for soldering}
본 발명은 납땜용 와이어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자장비나 기타 와이어 하네스를 연결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납땜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하기 위한 보조장비로써 와이어를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홀더 자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홀더에 대한 것이다.
항공기에 사용되는 전자장비나 일반 전자장비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는 많은 와이어 하네스가 필요하며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는 주로 커넥터와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커넥터와 와이어를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주로 납땜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정확한 납땜은 장비의 동작의 기본이 된다. 이에 따라 소형 바이스 등 보조 장비들이 개발되어 커넥터를 고정시켜 주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납땜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납땜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여전히 불편함이 남아있다. 즉, 납땜을 수행할 때는 소형 바이스에 고정된 커넥터 외에도 솔더(solder; 인두기)와 납, 그리고 와이어라는 세 가지를 동시에 사용하여야 한다.
간혹, 납을 먼저 인두기에 녹인 후 와이어와 커넥터를 연결할 수도 있지만, 숙달자 외에는 그리 쉬운 방법은 아니다. 결국, 초보자나 일반인들은 인두기와 와이어, 납을 동시에 접촉하여야 쉽게 커넥터와 와이어를 쉽게 연결할 수 있으나 주로 오른 손잡이의 경우 오른손에 인두기 왼손에 납을 잡게 되고 와이어는 어렵게 위치에 고정시켜서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와이어를 고정하기도 어렵고 설사 고정한다 하더라도 납땜을 수행하는 동안에 와이어가 커넥터의 납땜 연결 부분에서 빠지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커넥터의 납땜 연결 부분과 와이어를 겨우 연결한 경우에도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아 차후 단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와이어 연결을 위한 납땜시 납땜을 할 와이어를 고정되게 잡아 주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납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납땜용 와이어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기계나 장치에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납땜용 와이어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납땜용 와이어 홀더를 제공한다. 이 납땜용 와이어 홀더는, 집게 형상의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를 벌리거나 오므리게 상기 집게부와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압착부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일단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간격부와, 일단이 상기 간격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위치 고정부와, 상기 위치 고정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착탈식 연결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고정부는 일정 두께의 피복이 있는 구리선, 알루미늄선 또는 연철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식 연결 수단은 자석 물질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부는 사용자의 힘이 안쪽으로 가해지면 상기 집게부를 벌어지게 하고, 힘이 기해지지 않으면 상기 집게부를 원상태로 복원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집게부, 압착부 또는 간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에는 솔더를 다른 손에는 납을 잡고 와이어는 소형 바이스에 장착할 수 있는 와이어 홀더가 고정해주어 납땜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착탈식 연결 수단이 있어 다른 기계나 장치에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홀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와이어 홀더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와이어 홀더(140)는 구성면에서 와이어 고정부(130), 자석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일반 소형 바이스(100)는 상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납땜의 대상이 되는 커넥터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 일반 소형 바이스(100) 중에서 금속재질의 제품일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홀더(140)를 쉽게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석연결부(120)이다.
만일 소형 바이스(100)가 금속재질이 아닐 경우 납땜 수행할 주변의 금속 재질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와이어 고정부(130)는 납땜할 와이어(150)를 고정해 주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힘으로는 쉽게 움직여서 와이어(150)를 납땜할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사용자가 힘을 부여하지 않으면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정 두께의 피복이 있는 구리선, 알루미늄 또는 연철선이나 이와 유사한 성질의 재료를 사용한다.
와이어 홀더(140)는 와이어(150)를 잡아 주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우선 집게를 열어 와이어를 잡게한 후 와이어(150)를 납땜을 수행할 위치로 옮기게 된다. 물론, 이때 와이어 고정부(130)도 같이 움직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땜용 와이어 홀더의 상세도이다. 즉 도 2는 납땜용 와이어 홀더(140) 중 홀더 부분만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와이어(150)는 이 와이어 홀더(140)를 이용하여 커넥터나 기타 장치에 연결된다. 이 와이어(150)에서 커넥터의 납땜 연결단자와 연결하기 위해 피복을 제거한 부분이 있게 되는데, 이것이 와이어 심(151)이다.
이 와이어 홀더(140)의 집게 부분인 집게부(141)는 제 1 집게 탑(141a)과 제 2 집게 탑(141b)으로 구성되어 핀셋과 같은 모양을 띠게 된다. 물론, 핀셋처럼 이 집게부(141)를 벌리거나 오므리기 위해서는 압착부(142)가 집게부(141)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 압착부(142)에는 제 1 플레이트(142a)와 제 2 플레이트(142b)가 간격부(16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이 간격부(160)는 횡으로 놓인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들 집게부(141), 압착부(142), 간격부(160)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품별로 만들어져 조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집게를 벌려 와이어(150)를 고정하려면 압착부(142)를 누르면 된다. 즉, 집게부(141)는 와이어(150)를 고정시키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압착부(142)를 누르면 벌어지고 이 압착부(142)의 누른 부분을 놓으면 집게부(141)가 원상태로 돌아가게 되므로 와이어(150)가 이 집게부(141)의 제 1 집게 탑(141a)과 제 2 집게 탑(141b) 사이의 끝단에서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땜용 와이어 홀더를 이용하여 납땜을 하는 적용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납땜을 할 커넥터(310)와 이 커넥터(310)에 납땜을 수행할 연결 단자(320)가 도시된다. 물론, 이와 함께 와이어 심(151)을 납땜하기 위한 솔더(340)와 이 납땜에 사용할 실납(330)이 도시된다.
부연하면, 와이어 홀더(140)로 와이어(150)를 고정하고, 이 와이어(150)의 피복을 제거한 부분으로 구리선 등과 같은 금속선인 와이어 심(151)을 연결 단자(320)에 접촉시킨다. 즉, 납땜을 위해서 우선 와이어를 집게부(141)에 고정시키고 위치 고정부(도 1의 130)를 구부려 이 집게부(141)를 커넥터(310)의 연결단자(320)까지 이동 후 고정시킨다.
이 후 오른손으로 솔더(340)를 잡고서 왼손으로 이 솔더(340)의 팁부분을 실납(330)과 같이 접촉하여 가열하면 편리하고 정확하게 납땜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많은 변형예가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와이어 홀더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땜용 와이어 홀더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땜용 와이어 홀더를 이용하여 납땜을 하는 적용예.
***** 도면의 부호 설명 *****
100: 바이스 120: 자석 연결부
130: 위치 고정부 140: 와이어 홀더
150: 와이어 141: 집게부
141a: 제 1 집게 탑 141b: 제 2 집게 탑
142: 압착부 142a: 제 1 플레이트
142b: 제 2 플레이트 151: 와이어 심
160: 간격부 310: 커넥터
320: 연결 단자 330: 실납
340: 솔더

Claims (5)

  1. 집게 형상의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를 벌리거나 오므리게 상기 집게부와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압착부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일단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간격부와,
    일단이 상기 간격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위치 고정부와,
    상기 위치 고정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착탈식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납땜용 와이어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일정 두께의 피복이 있는 구리선, 알루미늄선 또는 연철선 중 어느 하나인 납땜용 와이어 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연결 수단은 자석 물질인 납땜용 와이어 홀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사용자의 힘이 안쪽으로 가해지면 상기 집게부를 벌어지게 하고,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집게부를 원상태로 복원하는 납땜용 와이어 홀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 압착부 및 간격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납땜용 와이어 홀더.
KR1020090125630A 2009-12-16 2009-12-16 납땜용 와이어 홀더 KR10106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630A KR101063437B1 (ko) 2009-12-16 2009-12-16 납땜용 와이어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630A KR101063437B1 (ko) 2009-12-16 2009-12-16 납땜용 와이어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599A KR20110068599A (ko) 2011-06-22
KR101063437B1 true KR101063437B1 (ko) 2011-09-08

Family

ID=4440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630A KR101063437B1 (ko) 2009-12-16 2009-12-16 납땜용 와이어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20B1 (ko) * 2013-02-22 2014-04-30 주식회사 이노렉스테크놀러지 기판의 와이어 접합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599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025396T3 (en) CLAMP TO CONTACT AN ELECTRIC WIRE
JP4580445B2 (ja) 端子とそれを用いたコイル装置
US3291476A (en) Soldering tool for electrical connections
JP5400676B2 (ja) 超音波溶接方法
WO2009081508A1 (ja) 押付け部材を使用した端子板回路
EP3425738B1 (en) Connector
US20190123462A1 (en) Plug contact
KR102316920B1 (ko) 측면 엑세스 종결 패드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
JP2014093299A (ja) ロケーター及びワイヤー停止装置、手動圧着工具、コネクターを配置し且つ保持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063437B1 (ko) 납땜용 와이어 홀더
JP2009146840A (ja) 端子圧着装置
US20150145633A1 (en) Contacting device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KR101566385B1 (ko) 전선집게를 구비한 납땜지그
JP6813671B2 (ja) 部品をはんだ付けにより固定する方法
US8657636B2 (en) Metal clamp
JP2007171061A (ja) 固定子の検査装置
JP2020068590A (ja) 芯線変形治具及び芯線変形方法
JP5792407B1 (ja) 線状導体接続用コネクタ
CN106605460B (zh) 用于在电机中将smd部件安装至接触弹簧上的方法
JP262314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圧接治具
WO2016073042A1 (en) Solderless test fixture
JP2012190617A (ja) 平型ケーブルの折り曲げ方法
JP3665640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への電子部品の実装方法及び実装構造
JP2015049076A (ja) 接触子、測定装置
KR100766452B1 (ko) 배선용 납땜단자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