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412B1 -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412B1
KR101063412B1 KR1020040032942A KR20040032942A KR101063412B1 KR 101063412 B1 KR101063412 B1 KR 101063412B1 KR 1020040032942 A KR1020040032942 A KR 1020040032942A KR 20040032942 A KR20040032942 A KR 20040032942A KR 101063412 B1 KR101063412 B1 KR 10106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host
folder
print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010A (ko
Inventor
김찬섭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412B1/ko
Priority to US11/076,916 priority patent/US8705076B2/en
Priority to CNA2005100626209A priority patent/CN1677385A/zh
Publication of KR2005010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파일 인쇄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파일 인쇄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폴더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구비하며, 폴더들 중 어느 하나를 파일 공유폴더로 설정하고, 설정된 파일 공유폴더의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호스트, 및 경로정보에 따른 파일 공유폴더를 탐색하여 파일 공유폴더 내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파일리스트를 구하고, 구해진 파일리스트에서 인쇄를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호스트에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구비하며, 호스트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요청된 파일에 대한 인쇄명령을 검색하고, 검색된 인쇄명령에 의해 요청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한다. 이러한 파일 인쇄시스템에 의하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호스트에 프린터를 접속하고, 접속된 프린터가 호스트에 설정된 파일 공유폴더에 억세스 하도록 함으로서 유저는 프린터를 통해 원하는 파일을 인쇄할 수 있으며, 이를 네트워크에 응용할 수도 있다.
파일 공유폴더, 포트 모니터, 네트워크,

Description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Printing system amd Printing method for file}
도 1은 종래의 인쇄시스템의 일 예에 따른 블록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널조작부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방법에서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파일 공유폴더를 인식시키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형성된 경로정보를 토대로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가 원하는 파일을 인쇄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스트 컴퓨터 101 : 제어부
102 : 프린터 유틸리티부 103 : 레지스트리
104 : 드라이버 프로그램부 105 : 포트 모니터부
200 : 프린터 201 : 플래시롬
202 : 버퍼 203 : 프로세서
204 : 램 210 : 패널조작부
211 : LCD
본 발명은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스트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파일리스트를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고, 표시된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유저가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레이저 및 버블젯 방식의 프린터는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되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용지에 화상으로서 구현한다. 통상, 호스트 컴퓨터와 프린터는 1:1로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호스트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린터가 접속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인쇄시스템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호스트 컴퓨터가 프린터로 인쇄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인쇄시스템의 일 예에 따른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쇄시스템은 프린터(20)와 인터페이싱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Driver)(11a), 및 호스트 컴퓨터(10)에 설치되는 문서작성 프로그램(APP)(11b)을 구비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1), 프로세서(CPU)(12a)와 램(RAM)(12b)을 구비하는 제어부(12),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input)(13), 및 문서작성 프로그램(APP)(11b)에서 처리된 파일을 디스플 레이하기 위한 모니터(14)를 구비하는 호스트 컴퓨터(10)와,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인가되는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인쇄시스템은 문서작성 프로그램(APP)(11b)에서 원하는 파일을 로드(load)하고, 로드된 파일을 모니터(14)에 출력 후, 유저가 인쇄를 원하는 경우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프린터(20)로 전송하여 인쇄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인쇄하고자 하는 파일을 처리하기 위한 문서작성 프로그램(APP)(11b)을 호스트 컴퓨터(10)에 설치하여야 하며, 설치된 문서작성 프로그램(APP)(11b)을 통해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파일에 대해 인쇄명령을 내려야 한다. 즉, 종래의 인쇄시스템에 의한 인쇄방법은 파일의 인쇄를 위해 여러 단계의 과정을 필요로 하며, 유저는 호스트 컴퓨터(10)를 통해서만 원하는 파일에 대해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가 원하는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선택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선택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호스트에 요청하도록 함으로서 유저가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원하는 파일을 쉽게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시스템 및 인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개의 호스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호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대한 파일리스트를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 후, 유저가 표시된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인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시스템 및 인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폴더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구비하며, 상기 폴더들 중 어느 하나를 파일 공유폴더로 설정하고, 설정된 파일 공유폴더의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호스트, 및 상기 경로정보에 따른 파일 공유폴더를 탐색하여 상기 파일 공유폴더 내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파일리스트를 구하고, 구해진 상기 파일리스트에서 인쇄를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에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호스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요청된 파일에 대한 인쇄명령을 검색하고, 검색된 인쇄명령에 의해 상기 요청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파일 인쇄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호스트는, 상기 파일 공유폴더에 저장된 파일들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명령에 대한을 구비하는 레지스트리를 구비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인쇄하고자 하는 파일에 대한 인쇄명령을 상기 레지스트리에서 검색하여 상기 파일을 인쇄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복수개의 호스트에 설정된 IP주소 및 호스트 명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호스트 중 원하는 호스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폴더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구비하는 호스트, 상기 호스트와 접속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파일 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에 마련되는 상기 폴더들 중 어느 하나를 파일 공유폴더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파일 공유폴더에 구비되는 파일들에 대한 파일리스트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다운받아 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소정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상기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에 요청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트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호스트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호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인쇄시스템은 프로세서(CPU)(101a) 및 램(RAM)(101b)을 구비하는 제어부(101), 이미지파일, 문서파일, 및 기타 다양한 포멧의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폴더(F1 ∼ Fn), 프린터 유틸리티부(App)(102), 폴더(F1 ∼ Fn)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인쇄 프로그램이나 인쇄명령을 등록해두는 레지스트리(Reg : Registry)(103), 드라이버 프로그램부(driver)(104), 및 제어부(101)와 프린터(200) 사이에 마련되며, 양자를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포트 모니터부(105)를 구비하는 호스트(100)와, 버퍼(202), 프로세서(203), 램(RAM)(204), 플래시롬(Flash)(201), 및 패널조작부(OPE)(210)를 구비하는 프린터(200)를 구비한다. 여기서, 레지스트리(Reg)(102), 프린터 유틸리티부(App)(102), 드라이버 프로그램부(driver)(104), 및 포트 모니터부(105)등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나 플래시롬(Flash rom)과 같은 저장매체에 소프트웨어의 형태로서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이들을 별도의 로직(예컨데 ASIC)으로 구현하여 호스트의 처리속도를 증가시킬수도 있다. 이외에도, 프린터 유틸리티부(App)(102), 드라이버 프로그램부(driver)(104), 레지스트리(Reg)(102), 및 포트 모니터부(105)등은 플래시롬(Flash rom), EEP ROM, 및 ROM등에 펌웨어(firmware)의 형태로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소형 경량의 모바일폰, PDA등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호스트는 통상적인 퍼스널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모바일폰, 및 기타 프로세서와 메모리(예컨데 램(RAM))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호스트(100)의 제어부(101)는 프로세서(CPU)(101a)와 램(RAM)(101b)을 구비하며, 호스트(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호스트(100)에는 마우스, 키보드, 및 스타일러스펜과 같은 입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출력장치로서 모니터(예컨데 LCD)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입출력장치는 통상적인 호스트에는 대부분 구비되는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이들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는 불필요하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였다.
제어부(101)는 폴더(F1 ∼ Fn)를 억세스 할 수 있으며, 폴더(F1 ∼ Fn)에 파 일을 기록하거나 폴더(F1 ∼ Fn)에 기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여 이를 램(RAM)(101b)으로 로드할 수 있다. 램(RAM)(101b)에 로드된 파일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편집 및 수정 가능하며, 문서작성 프로그램에서 인쇄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인쇄명령 또는 인쇄 프로그램은 호스트(100)에 설치된 윈도우즈 계열의 운영체제(예컨데 windows 98, windows me, windows 2000, windows xp등)의 경우 네트워크에에 등록된다. 레지스트리(Reg)(103)는 윈도우즈 계열의 운영체제인 경우, 운영체제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예컨데 문서작성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명령, 인쇄명령, 및 기타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에 필요한 파일이나 명령어등이 등록된다. 여기서, 인쇄명령 또는 인쇄프로그램의 등록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이 호스트(100)에 설치될때 네트워크에에 등록된다.
드라이버 프로그램부(driver)(104)는 호스트(100)와 프린터(200)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호스트(100)에 설치되며, 문서작성 프로그램은 드라이버 프로그램부(driver)(104)를 통해 파일을 프린터(200)에서 이해 가능한 인쇄데이터(윈도우즈 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통상 prn의 확장자를 갖는다)로 변환한다. 유틸리티부(App)(102)는 폴더(F1 ∼ Fn)중 유저가 원하는 폴더(예컨데 F1폴더)를 파일 공유폴더로 설정하고, 파일 공유폴더로 설정된 폴더(F2)에 대한 경로정보를 포트 모니터부(105)로 전송한다. 포트 모니터부(105)는 프린터 유틸리티부(App)(102)에서 전송된 경로정보를 프린터(200)로 전송한다. 포트 모니터부(105)는 프린터 유틸리티부(App)(102)에서 전송된 경로정보를 프린터(200)로 전송하거나, 프린터(200)에서 전송되는 이벤트(예컨데 인쇄데이터 요청)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검사한다. 포트 모니터부(105)는 호스트(100)내에 하드웨어로 구현하거나 프로그램, 및 펌웨어로서 구현 가능하다. 포트 모니터부(105)를 프로그램으로 구현시, 포트 모니터부(105)는 호스트(100)에 설치되는 운영체제(예컨데 WINDOWS 2000, WINDOWS XP등)의 일부로서 설치되거나, 유저에 의해 구동되는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경로정보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폴더(예컨데 F2)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위치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폴더(F2)의 경로는 C:\F2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린터(200)는 버퍼(202), 프로세서(203), 램(RAM)(204). 플래시롬(Flash)(201), 및 패널조작부(OPE)(210)를 구비한다. 버퍼(202)는 포트 모니터부(105)나 드라이버 프로그램부(driver)(104)을 통해 인가되는 경로정보 및 인쇄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버퍼링한다. 프로세서(203)는 프린터(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패널조작부(OPE)(210)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입력에 응답하여 프린터(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프린터(200)가 전자사진방식인 경우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플래시롬(Flash)(201)은 프린터(200)를 구동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비하며, 프린터(200)에 구비되는 각종 구동장치에 대한 초기값을 구비한다. 만일 프린터(200)가 전자사진방식의 프린터인 경우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더 포함된다. 또한, 플래시롬(Flash)(201)은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파일 공유폴더에 대한 경로정보를 저장한다.
플래시롬(Flash)(201)에 저장된 경로정보에 의해 프린터(200)는 호스트(100) 의 파일 공유폴더(예컨데 F2)에 저장된 파일에 억세스 할 수 있다. 램(RAM)(204)은 프로세서(203)가 프린터(200)를 제어시 생성하는 제어데이터나 임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호스트(100)에서 프린터(200)로 인가되는 인쇄데이터를 프린터(200)에서 인쇄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통상, 프린터(200)가 잉크젯 방식인 경우 인쇄데이터를 수십 ∼ 수백개의 노즐(nozzle)을 구동하기 위한 펄스신호로 변환하여야 하며, 프린터(200)가 전자사진 방식인 경우 비트맵 형식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이러한 변환은 프로세서(203)가 플래시롬(Flash)(201)에 저장된 변환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서 이루어지며, 램(RAM)(204)은 변환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임시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호스트(100)에서 생성된 경로정보는 플래시롬(Flash)(201) 이외에 램(RAM)(204)에도 저장 가능하나, 이 경우 프린터(200)가 리셋(reset)되어 초기화되는 경우 경로정보가 소실된다.
패널조작부(OPE)(210)는 LCD(211)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프린터(200)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한다. 유저는 LCD(211)에 표시된 메뉴를 통해 프린터(200)를 조작할 수 있으며, LCD(211)는 호스트(100)로부터 파일리스트가 전송되면 이를 표시한다. 유저는 LCD(211)에 표시된 파일리스트를 보고 원하는 파일을 선택 후, 이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호스트(100)에 요청함으로서 인쇄할 수 있다. 즉, 유저는 호스트(100)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를 조작하여 원하는 파일을 인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널조작부(OPE)(210)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패널조작부(OPE)(210)는, LCD(211), 방향키(212), 메뉴키(213), 인쇄키(214), 및 섬네일 선택키(215)를 구비한다.
LCD(211)는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파일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도면에는 표시된 파일들 중 "보고서.DOC"에 커서(211a)가 위치해 있으며 방향키(212)를 통해 커서(211a)의 위치를 이동시켜 원하는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메뉴키(213)는 프린터(200)를 조작하기 위한 메뉴(미도시)를 LCD(211)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마련된다. 유저가 메뉴키(213)를 누르면 프린터(200)의 인쇄옵션이나 용지옵션등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LCD(211)에 표시된다. 인쇄키(214)는 유저가 방향키(212)를 이용하여 LCD(211)에서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키(select)(215)를 눌러 파일을 선택후, 누르면 선택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호스트(100)에 요청하기 위해 마련된다.
공유폴더키(215)는 LCD(211)에 파일리스트를 표시하고자 할때 사용된다.
예컨데, 유저가 공유폴더키(215)를 누르면 LCD(211)에는 프린터(200)에 의해 선택된 파일 공유폴더로부터의 파일리스트를 바로 표시하게 된다. 즉, 유저가 메뉴키(213)를 눌러 파일 공유폴더로부터 파일리스트를 얻는 과정이 생략되며, 프린터(200)는 파일 공유폴더에 직접 억세스하여 파일리스트를 얻어오게 된다. 이때, LCD(211)에는 파일의 명칭, 파일의 확장자(예컨데 gul, hwp, 및 doc등)등이 표시되며,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파일의 크기 및 인쇄이력등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른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호스트(100a ∼ 100n)와 프린터(2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인쇄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호스트(100a ∼ 100n)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각 호스트(100a ∼ 100n)의 유저는 자신의 호스트(100a ∼ 100n 중 어느 하나)에 파일 공유폴더를 설정해 둔다. 프린터(200)는 복수개의 호스트(100a ∼ 100n)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호스트의 파일 공유폴더를 억세스한다. 이때, 유저가 공유폴더키(216)를 누르면 프린터(200)에 의해 기 선택된 호스트(100a ∼ 100n 중 어느 하나)는 프린터(200)에 의해 설정된 파일 공유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대한 파일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포트 모니터부(105)를 통해 프린터(200)로 전송한다.
프린터(200)는 호스트(100a ∼ 100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파일리스트를 LCD(211)에 디스플레이 하고, 프린터(200)의 유저가 디스플레이된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선택키(select)(215)를 누르면 이에 응답하여 해당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작성하여 프린터(200)로 전송한다. 이때, 호스트(100)는 프린터(200)측에서 선택한 파일의 확장자에 대응되는 인쇄명령 또는 인쇄 프로그램을 네트워크에에서 찾아 이를 실행시킴으로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작성한다. 이때, 유저가 인쇄키(214)를 누르면 프린터(200)는 이를 호스트(100a ∼ 100n 중 어느 하나)에 인쇄키(214)가 선택되었다는 이벤트(event)를 알린다. 호스트(100a ∼ 100n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프린터 유틸리티부(App)(102)는 유저에 의해 인쇄키(214)가 눌러지는 이벤트가 발생시, 이에 응답하여 파일 공유폴더(105 ∼ 105n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파일들 중 프린터(200) 측에서 선택한 파일에 대응되는 인 쇄데이터를 프린터(200)로 전송한다. 한편, 프린터(200)는 각 호스트(100a ∼ 100n)에 할당된 IP주소를 통해 원하는 호스트(100a ∼ 100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각 호스트(100a ∼ 100n)에 부여된 호스트(100a ∼ 100n)의 명칭을 통해 원하는 호스트(100a ∼ 100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통상 네트워크에 호스트(100a ∼ 100n)가 접속시, 각 호스트(100a ∼ 100n)를 식별하기 위한 IP가 할당되며, 각 호스트(100a ∼ 100n)를 식별하기 위한 명칭이 부여된다. 각 호스트(100a ∼ 100n)에 할당된 IP는 프린터(200)에서 IP검색을 통해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결과를 플래시롬(Flash)(201)이나 램(RAM)(204)에 저장해 두고, 이를 LCD(211)에 표시 후, 유저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프린터(200)에 마련되는 플래시롬(Flash)(201)에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을 펌웨어로서 구현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호스트(100a ∼ 100n)를 프린터(200)를 통해 선택하고, 선택된 호스트(100a ∼ 100n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파일 공유폴더(105a ∼ 105n 중 어느 하나)에 억세스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방법에서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파일 공유폴더를 인식시키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유저는 자신의 호스트(100)에 파일 공유폴더를 설정한다(S310). 파일 공유폴더는 호스트(100)에 구비되는 여러 폴더중 유저가 원하는 폴더를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프린터 유틸리티부(App)(102)는 유저가 파일 공유폴더로 설정한 폴더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한다. 프린터 유틸리티부(App)(102)는 유저가 선택한 폴더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포트 모니터부(105)로 전송하는 기능, 및 프린터(200)에서 선택키(select)(215)가 눌러지면 이에 응답하여 파일 공유폴더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파일리스트를 프린터(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으로, 포트 모니터부(105)는 프린터 유틸리티부(App)(102)에서 생성된 경로정보를 프린터(200)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한다(S320). 마지막으로, 프린터(200)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포트 모니터부(105)로부터 전송된 경로정보를 플래시롬(Flash)(201) 또는 램(RAM)(204)과 같은 저장매체에 기록하여 둔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형성된 경로정보를 토대로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가 원하는 파일을 인쇄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포트 모니터부(105)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폴링(polling)하여 프린터(200)로부터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S410). 프린터(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는 유저가 프린터(200)의 패널조작부(210)에 마련되는 공유폴더키(216)나 선택키(select)(215)를 누를때 발생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유저가 프린터(200)의 패널조작부(OPE)(210)에 마련되는 공유폴더키(216)를 누르는 경우, 프린터(200)는 플래시롬(Flash)(201)이나 램(RAM)(204)에 저장된 경로정보를 토대로 호스트(100)에 마련되는 파일 공유폴더에 억세스한다(S420). 다음으로, 프린터(200) 측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파일 공유키(216)에 의해 발생된 것이면, 호스트(100)의 포트 모니터부(105)는 파일 공유폴더로 설정된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구하고 이를 포트 모니터부를 통해 프린터(200)로 전송한다(S430). 다음으로, 프린터(200)는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파일리스트를 토대로 LCD(211)에 파일리스트를 표시하며, 유저가 방향키(212)를 통해 표시된 파일들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선택키(215)를 누르면(S440) 프린터(200)는 선택키(215)가 눌러진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호스트(100)에 요청한다. 다음으로, 호스트(100)는 프린터(200)로부터 요청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작성하여 다시 프린터(200)로 전송한다. 이때, 호스트(100)는 프린터(200)가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요청시, 해당 파일의 확장자를 참조하여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명령 또는 인쇄 프로그램을 네트워크에에서 검색하고(S450), 네트워크에검색된 인쇄명령 또는 인쇄 프로그램을 파일에 적용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인쇄데이터를 프린터(200)의 특성에 맞게 최종 생성하는 것은 드라이버 프로그램부(driver)(104)가 되며, 드라이버 프로그램부(driver)(104)에서 최종 생성된 인쇄데이터는 프린터(200)로 전송되어 인쇄된다(S460). 여기서, 호스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호스트(100)와 프린터(200)가 직접 접속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호스트(100a ∼ 100n)와 프린터(200)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프린터(200)와 복수개의 호스트(100a ∼ 100n)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경우, 프린터(200)는 각 호스트(100a ∼ 100n)에 설정되는 IP정보를 통해 원하는 호스트를 선택하고, 선택한 호스트에 설정된 파일 공유폴더를 억세스 할 수 있으며, 각 호스트(100a ∼ 100n)에 설정된 명칭을 통해 호스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호스트(100 또는 100a ∼ 100n)를 통하지 않고도 프린터(200)에서 원하는 파일을 인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호스트에 프린터를 접속하고, 접속된 프린터가 호스트에 설정된 파일 공유폴더에 억세스 하도록 함으로서 유저는 프린터를 통해 원하는 파일을 인쇄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프린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파일리스트를 통해 호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선택함으로서 파일의 선택 및 인쇄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프린터가 복수개의 호스트에 마련되는 파일 공유폴더를 억세스 하고 파일 공유폴더에 기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인쇄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Claims (10)

  1. 화상 형상 장치와 상호 통신하는 파일 인쇄 시스템의 호스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폴더를 포함하는 저장매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더들 중 어느 하나를 파일 공유폴더로 설정하고, 설정된 파일 공유폴더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유틸리티부;
    상기 공유 폴더에 저장된 파일들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명령이 등록되는 레지스트리; 및
    상기 유틸리티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요청된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상기 레지스트리에서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인쇄 명령에 대응되는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포트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파일 인쇄 시스템의 호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명령의 등록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이 상기 호스트에 설치될 때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쇄 시스템의 호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하고자 하는 파일에 대한 인쇄명령을 상기 레지스트리에서 검색하여 상기 파일을 상기 인쇄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쇄 시스템의 호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쇄 시스템의 호스트.
  5. 파일 인쇄 시스템의 호스트와 상호 통신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폴더들 중 어느 하나가 파일 공유 폴더로 설정된 파일 공유 폴더의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버퍼; 및
    상기 버퍼에 의해 수신된 상기 경로 정보에 따른 파일 공유 폴더를 탐색하여 상기 파일 공유 폴더 내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버퍼는 상기 파일 리스트에서 인쇄를 원하는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하는 패널 조작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파일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공유 폴더키; 및
    상기 파일 리스트에서 인쇄를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적어도 하나의 폴더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구비하는 호스트, 상기 호스트와 접속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파일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더들 중 어느 하나가 파일 공유 폴더로 설정된 파일 공유 폴더에 구비되는 파일들에 대한 파일리스트를 다운받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파일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호스트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호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쇄 방법.
KR1020040032942A 2004-04-02 2004-05-11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 KR101063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942A KR101063412B1 (ko) 2004-05-11 2004-05-11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
US11/076,916 US8705076B2 (en) 2004-04-02 2005-03-11 Prin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A2005100626209A CN1677385A (zh) 2004-04-02 2005-04-01 打印系统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942A KR101063412B1 (ko) 2004-05-11 2004-05-11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010A KR20050108010A (ko) 2005-11-16
KR101063412B1 true KR101063412B1 (ko) 2011-09-07

Family

ID=3728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942A KR101063412B1 (ko) 2004-04-02 2004-05-11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4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044B1 (ko) * 1995-07-31 1999-06-15 미따라이 하지메 화상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044B1 (ko) * 1995-07-31 1999-06-15 미따라이 하지메 화상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010A (ko)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5076B2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5955041B2 (ja)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212297B2 (en) Universal printing system
US8171190B2 (en) Direct image 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80068655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20110069341A1 (en) Print 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104643A1 (en) Method of printing content shared between applications and computing apparatus to perform the method
CN107545534B (zh)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CN109976681B (zh) 信息处理装置、图像形成装置和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US96067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utput process and method for the same
US8081338B2 (en) Form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5387360B2 (ja) 情報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063412B1 (ko) 파일 인쇄시스템 및 파일 인쇄방법
US200600446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JP5017543B2 (ja) 周辺機器利用システム
US20110157622A1 (en) Data downloading and transferring method of e-book read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20050122022A (ko) 프린터 드라이버를 구비한 인쇄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인쇄옵션 제어방법
JP6214369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100612201B1 (ko) 이미지파일 인쇄시스템 및 이미지파일 인쇄방법
JP4903064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5869228B2 (ja) 周辺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6163993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60114486A1 (en) Print image generating method of print dri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o record printer driver thereon
US20120044508A1 (en) E-book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printing contents thereof
KR100594723B1 (ko) 인쇄장치를 통해 재인쇄를 요청할 수 있는 인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