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487B1 -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 Google Patents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487B1
KR101062487B1 KR20090022434A KR20090022434A KR101062487B1 KR 101062487 B1 KR101062487 B1 KR 101062487B1 KR 20090022434 A KR20090022434 A KR 20090022434A KR 20090022434 A KR20090022434 A KR 20090022434A KR 101062487 B1 KR101062487 B1 KR 10106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e
pyrolysis
heat plate
he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22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4190A (en
Inventor
김현재
Original Assignee
김현재
(주)피이알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재, (주)피이알이엔티 filed Critical 김현재
Priority to KR2009002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487B1/en
Publication of KR2010010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1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4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배면, 양쪽 측면, 천장 및 바닥이 단열층을 포함하는 벽면으로 구축된 가열로 내부에 폐품이나 폐자재를 투입한 후 간접적인 고열에 의해서 재생원료가 열분해가 되게 한 후, 열분해가 된 증기 상태의 추출물을 응집수단에서 열교환을 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액체 상태의 재생 연료를 얻도록 구성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있어서, 가열로 내부의 공간이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게 하는 한편 중간 지점에서 양쪽의 측면을 향하여 좌측 히트 플레이트와 우측 히트 플레이트로 구분 형성이 되되 좌측 히트 플레이트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의 1 지점 이상에는 높이 차이를 갖는 낙차지점이 형성되는 가운데 좌측 히트 플레이트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에는 하나 이상의 산과 골이 있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이 된 히트 플레이트; 히트 플레이트 하측의 공간으로 가열로의 측면 측에 설치된 버너에 의해서 가열되는 히팅 챔버; 히트 플레이트 상측의 공간으로 가열로 전면 또는 배면의 상부에 설치된 재생원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재생원료가 주위에서 전달되는 고열에 의해서 열분해가 실현되는 열분해 챔버; 히팅 챔버 내로부터 유도된 화기가 가열로의 전면과 배면의 벽면 내측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흐르도록 굴절된 형태로 배관이 된 히팅 파이프 라인; 재생원료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재생원료가 고루 흩어지게 재생원료 투입구 하측의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다수의 로터리가 가로질러 설치되는 로터리 수단; 및 히트 플레이트의 골을 따라 양쪽 측면 측에서 중간 측을 향해 잔류물이 이송되게 회전 동작이 되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가 설치되고 양쪽의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를 통해서 열분해 챔버의 중간 부분 측으로 이송된 잔류물이 하강이 되어 합쳐지게 히팅 챔버의 중간 부분에 별도의 공간으로 잔류물 호퍼가 설치되는 한편 잔류물 호퍼에 쌓인 잔류물이 가열로의 외부로 배출되게 잔류물 호퍼로부터 가열로의 외부에 이르기까지 잔류물 배출 이송 스크루가 설치되되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는 좌측 히트 플레이트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낙차지점에서 1차 상향 이송 스크루 및 2차 상향 이송 스크루로 분리 형성되어 잔류물의 체류시간이 연장되게 하는 잔류물 배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022434

재생, 열분해, 재생연료, 가열, 에너지, 회수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waste or waste materials are put into a furnace having a front surface, a back surface, both sides, a ceiling, and a floor including a heat insulation layer, the recycled material is pyrolyzed by indirect high temperature, and then pyrolysis is performed.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configured to obtain a liquid regenerated fuel through a process of heat-exchanging the extracted steam state in a flocculation means, wherein the space inside the furnace is partition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while at an intermediate point.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are divided into two sides toward each side, and at least one point of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has a free fall point having a height difference. Heat play formed in a curved shape with one or more mountains and valleys Agent; A heating chamber heated by a burner provided on a side of the heating furnace to a space below the heat plate; A pyrolysis chamber in which pyrolysis is realized by high heat in which the regenerated raw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regenerated raw material inle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heating plate is transferred to the space above the heat plate; A heating pipeline in which the fire induced by the inside of the heating chamber is piped in a refracted form so that the fire flow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heating furnace; A rotary mean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a plurality of rotary units in the interior of the pyrolysis chamber under the regeneration material inlet so that the regeneration material introduced from the regeneration material inlet is evenly dispersed; And a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 which is rotated so that the residue is conveyed from both side sides to the intermediate side along the valley of the heat plate, and the residue conveyed to the middle portion side of the pyrolysis chamber through both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s. From the residue hopper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a residue hopper is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in the middle part of the heating chamber so that the water descends and merges, while the residue accumulated in the residue hopp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Residue discharge feed screw is installed, but the residue upward feed screw is separated into the first up feed screw and the second up feed screw at the free fall points formed on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so that the residence time of the residue is extended. Water discharge means; The configuration is made, including.

Figure R1020090022434

Regeneration, Pyrolysis, Renewable Fuel, Heating, Energy, Recovery

Description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Pyrolytic Energy Recovery System}Energy recovery system using pyrolysis {Pyrolytic Energy Recovery System}

본 발명은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의 열분해 챔버 내부에서 각종의 폐품 또는 폐자재로 이루어진 재생원료를 열분해 시켜 유용한 에너지가 추출되게 하는 과정에서 열분해 챔버 내부로 열이 고르게 전달되게 할 뿐만 아니라 열분해가 된 후의 잔류물들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열손실을 줄이며 잔류물들이 열분해 챔버 내에 체류하는 시간을 늘려 불완전하게 열분해가 된 잔류물의 배출이 줄도록 하기 위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nd more particularly, heat is introduced into a pyrolysis chamber in a process of pyrolyzing a recycled raw material consisting of various wastes or waste materials in a high temperature pyrolysis chamber to extract useful energy. Energy recovery using pyrolysis not only ensures even transfer, but also reduces heat loss in the process of residues after pyrolysis and increases the residence time of the residues in the pyrolysis chamber to reduce emissions of incompletely pyrolyzed residues. Relates to a device.

산업기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종류의 공업 생산품들이 화석연료를 주원료로 하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고 있는 한편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 됨에 따라서 화석연료가 고갈될 시점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한편,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공업생산품이 폐기되는 과정에서 발생이 되는 많은 량의 쓰레기들로 인하여 환경오염은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범지구적인 차원에서 에너지 절약의 실천과 함께 재활용 가능한 모든 폐품에 대하여 분리 수거를 규제할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many kinds of industrial products are made of synthetic resins, mainly fossil fuels, and as the energy consumption increases, the time for fossil fuel exhaustion is approaching. On the other h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getting serious due to a larg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carding industrial products made of synthetic resins. As a result, on a global scale, energy conservation has been implemented, and segregation of all recyclables has been regulated.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에너지절약 및 폐품의 재활용 측면에서 고온의 열분해 챔버 내부에서 폐품들이 열분해가 되는 과정에서 유용한 재생유를 추출하는 장치들을 개발하는데 심혈을 기울인 결과로 그동안 여러 건의 특허를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게 되었다. 본 출원인이 개발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와 관련된 기술들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07-0047270호의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및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07-0053193호의 '폐원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등이 있다.As a result of the present applicant's devotion to developing devices for extracting recycled oil useful in the process of pyrolysis of wastes in a high temperature pyrolysis chamber in view of energy conservation and recycling of wastes, In the meantime, several patents have been filed with the Korean Patent Office. Th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the pyrolysis developed by the applicant include the 'raw material pyrolysis oil regeneration device'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047270 and the 'raw material pyrolysis oil regeneration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053193. Device '.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들에 의하면 열분해 챔버 내부로 투입된 폐품이나 폐원료 등의 재생원료들이 버너에서 가열된 고온의 열이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열분해가 이루어지고, 열분해가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 증기 상태의 추출물들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응축이 이루어지는 한편 열분해가 된 후의 잔류물들은 열분해 챔버 하측에 스크루 타입으로 설치된 잔류물 배출수단에 의해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the conventional pyrolysis as described above, the pyrolysis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indirectly transferring the high temperature heat heated in the burner to the recycled materials such as waste or waste raw materials that are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chamber. Condensation takes place while the steam extracts generated in the process are cooled, while residues after pyrolysis are discharged by means of a residue discharge means installed as a screw type under the pyrolysis chamber.

한편, 본 출원인은 전술한 예와 같은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 이외에도 더욱 개선된 형태의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를 개발하여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을 한 사실이 있다. 그 예들로는,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10-2008-27437호, 출원번호 10-2008-27438호 및 출원번호 10-2008-27439호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nt has the fact that in addition to the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the pyrolysis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developed an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a more improved form of pyrolysis and filed wit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Examples thereof includ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27437, Application No. 10-2008-27438, and Application No. 10-2008-27439.

전술한 다수의 공개된 특허 및 다수의 출원 중인 특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인은 폐품 또는 폐자재로부터 유용한 연료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 열분해 챔버 내부로 폐품 또는 폐자재 등의 재생원료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열분해 챔버 주 변이 고온의 열에 간접적으로 노출되게 함에 따라서 열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 및 그 주변장치들의 개발 및 개선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mentioned many published patents and a number of pending patents, the applicant has pyrolyzed in a state in which recycled raw materials such as waste or waste materials are put into a pyrolysis chamber in order to efficiently obtain useful fuel from waste or waste materials. There is a great deal of investment i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energy recovery devices and their peripheral devices using pyrolysis, which allows pyrolysis to occur as the chamber surroundings are indirectly exposed to high temperature hea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고온의 열분해 챔버 내부에서 각종의 폐품 또는 폐자재들을 열분해 시켜 유용한 연료가 추출되게 하는 과정에서 폐품 또는 폐자재 등의 재생원료가 투입된 열분해 챔버 주변에 버너의 열이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of the prior art, and recycled raw materials such as waste or waste materials in the process of pyrolyzing various waste or waste materials in a high temperature pyrolysis chamber to extract useful fu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transfer heat of a burner around a pyrolysis chamber into which is injec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의 열분해 챔버 내부에서 각종의 폐품 또는 폐자재 등의 재생원료가 투입된 열분해 챔버 벽면을 따라 흐르는 버너의 열이 일정 압력 이하에서는 재순환되도록 함에 따라서 버너의 가동에 소모되는 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eat the burner along the wall of the pyrolysis chamber into which various wastes or waste materials are recycled in a high temperature pyrolysis chamber, so that the heat of the burner is recycl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less. It is to provide an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that can reduce the loss.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의 열분해 챔버 내부에서 각종의 폐품 또는 폐자재들을 열분해를 시켜 유용한 기름이 추출되게 하는 과정에서 폐품 또는 폐자재 등의 재생원료가 열분해가 된 후의 잔류물이 외부로 배출이 될 때에 열손실이 줄 뿐만 아니라 불완전하게 열분해가 된 재생원료 또는 잔류물이 열분해 챔버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줄 수 있도록 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hermally decompose various wastes or waste materials in a high-temperature pyrolysis chamber so that useful oil is extracted, and the residues after the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or waste materials such as pyrolysis are carried out to the out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that not only reduces heat loss when discharged, but also causes incompletely pyrolyzed recycled raw materials or residues to be discharged out of the pyrolysis chamb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전면, 배면, 양쪽 측면, 천장 및 바닥이 단열층을 포함하는 벽면으로 구축된 가열로 내부에 폐품이나 폐자재를 투입한 후 간접적인 고열에 의해서 재생원료가 열분해가 되게 한 후, 열분해가 된 증기 상태의 추출물을 응집수단에서 열교환을 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액체 상태의 재생 연료를 얻도록 구성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있어서, 가열로 내부의 공간이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게 하는 한편 중간 지점에서 양쪽의 측면을 향하여 좌측 히트 플레이트와 우측 히트 플레이트로 구분 형성이 되되 좌측 히트 플레이트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의 1 지점 이상에는 높이 차이를 갖는 낙차지점이 형성되는 가운데 좌측 히트 플레이트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에는 하나 이상의 산과 골이 있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이 된 히트 플레이트; 히트 플레이트 하측의 공간으로 가열로의 측면 측에 설치된 버너에 의해서 가열되는 히팅 챔버; 히트 플레이트 상측의 공간으로 가열로 전면 또는 배면의 상부에 설치된 재생원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재생원료가 주위에서 전달되는 고열에 의해서 열분해가 실현되는 열분해 챔버; 히팅 챔버 내로부터 유도된 화기가 가열로의 전면과 배면의 벽면 내측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흐르도록 굴절된 형태로 배관이 된 히팅 파이프 라인; 재생원료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재생원료가 고루 흩어지게 재생원료 투입구 하측의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다수의 로터리가 가로질러 설치되는 로터리 수단; 및 히트 플레이트의 골을 따라 양쪽 측면 측에서 중간 측을 향해 잔류물이 이송되게 회전 동작이 되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가 설치되고 양쪽의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를 통해서 열분해 챔버의 중간 부분 측으로 이송된 잔류물이 하강이 되어 합쳐지게 히팅 챔버의 중간 부분에 별도의 공간으로 잔류물 호퍼가 설치되는 한편 잔류물 호퍼에 쌓인 잔류물이 가열로의 외부로 배출되게 잔류물 호퍼로부터 가열로의 외부에 이르기까지 잔류물 배출 이송 스크루가 설치되되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는 좌측 히트 플레이트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낙차지점에서 1차 상향 이송 스크루 및 2차 상향 이송 스크루로 분리 형성되어 잔류물의 체류시간이 연장되게 하는 잔류물 배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waste or waste materials are put into the furnace, the front, back, both sides,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heating wall constructed with a heat insulating layer, the recycled material is pyrolyzed by indirect high temperature.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configured to obtain a liquid regenerated fuel through a process of heat-exchanging pyrolyzed steam extract in a flocculation means, wherein the space inside the furnace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are divided into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from the point, and at least one point of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has a free fall point having a height difference. Heat formed in a curved shape with one or more mountains and valleys in the direction Rate; A heating chamber heated by a burner provided on a side of the heating furnace to a space below the heat plate; A pyrolysis chamber in which pyrolysis is realized by high heat in which the regenerated raw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regenerated raw material inle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heating plate is transferred to the space above the heat plate; A heating pipeline in which the fire induced by the inside of the heating chamber is piped in a refracted form so that the fire flow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heating furnace; A rotary mean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a plurality of rotary units in the interior of the pyrolysis chamber under the regeneration material inlet so that the regeneration material introduced from the regeneration material inlet is evenly dispersed; And a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 which is rotated so that the residue is conveyed from both side sides to the intermediate side along the valley of the heat plate, and the residue conveyed to the middle portion side of the pyrolysis chamber through both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s. From the residue hopper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a residue hopper is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in the middle part of the heating chamber so that the water descends and merges, while the residue accumulated in the residue hopp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Residue discharge feed screw is installed, but the residue upward feed screw is separated into the first up feed screw and the second up feed screw at the free fall points formed on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so that the residence time of the residue is extended. Water discharge means; The configuration is made,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서 잔류물 배출수단의 잔류물 호퍼 내측에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에서 낙하가 되는 잔류물의 파쇄를 위한 잔류물 파쇄 로터리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sidue crushing rotary may be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residue hopper of the residue discharge means for crushing the residue falling from the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서 히팅 챔버의 내부에는 히트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서포터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heat plate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heating chamber.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서 1차 상향 이송 스크루의 상단과 2차 상향 이송 스크루의 하단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서 회전동력이 이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the pyro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upstream screw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stream screw may be configured to continue the rotational pow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서 1차 상향 이송 스크루와 2차 상향 이송 스크루는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이 되게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plink screw and the second uplink screw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by separate driving means.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서 2차 상향 이송 스크루가 구동되게 하는 구동수단의 구동모터는 히팅 챔버의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단열 챔버에 설치되는 한편 단열 챔버에는 구동모터의 열해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the pyro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otor of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second upward transfer screw is installed in a heat insulation chamber provided separately in the heating chamber, while in the heat insulation chamber to prevent thermal damage of the drive motor. Cooling means may be installed.

본 발명에 의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따르면 화석연료가 주성분인 폐품이나 폐자재 등 재생원료에 고온의 열이 간접적으로 가열시켜 열분해가 되게 하는 과정에서 재생원료가 투입된 열분해 챔버 주변에 열이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됨에 따라서 재생원료가 열분해 되는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s further heated around the pyrolysis chamber in which the recycled raw material is input in the process of indirectly heating high temperature heat to the recycled raw material such as fossil fuel waste or waste materials to induce pyrolysis. As it is efficiently deliver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pyrolysis of recycled raw materials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따르면 고온의 열분해 챔버 내부에서 각종의 폐품 또는 폐자재들을 열분해를 시켜 유용한 재생유가 추출되게 하는 과정에서 재생원료가 열분해가 된 후의 잔류물이 외부로 배출이 될 때에 열손실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불완전 분해된 잔류물이 열분해 챔버 밖으로 배출이 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e after the pyrolysis of the recycled raw material is pyrolyzed in the process of pyrolyzing various wastes or waste materials in the high temperature pyrolysis chamber to extract useful regeneration oil. In addition to reducing the heat loss when discharged, there is an effect to reduce the discharge of the incompletely decomposed residues out of the pyrolysis chamber.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따르면 재생원료의 열분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열분해 챔버 내에 잔류물이 체류하게 되는 시간이 증대됨에 따라서 재생원료의 열분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time for the residue to stay in the pyrolysis chamber i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yrolysis of the regeneration material, there is a great advantage that the pyrolysis efficiency of the regeneration material may be improved.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3 은 도 2 에 표시된 A-A선 단면 구성도, 도 4 는 도 2 에 표시된 B-B선 단면 구성도이다.1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A shown in FIG. 2. Line cross-sectional block diagram, FIG. 4 is a BB line cross-sectional block diagram shown in FIG.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2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의 가열로를 지시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100 denoted in the drawings indicates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 numeral 200 indicates a heating furnace of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200)를 중심으로 그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조합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즉,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는 내부에 설치된 히트 플레이트(210)를 기준으로 내부 공간이 크게 히팅 챔버(220)와 열분해 챔버(230)로 분할된 가열로(200), 히팅 챔버(220) 내부의 고온의 열이 열분해 챔버(230)로 고르게 전달이 되게 열분해 챔버(230)의 전면 및 배면의 벽면을 따라 근접 설치되는 히팅 파이프 라인(300), 열분해 챔버(2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분해 챔버(230)로 투입되는 재생원료 및 잔류물이 잘리거나 흩어지게 하기 위한 로터리 수단(400), 열분해 챔버(230) 내부에서 열분해가 된 후의 잔류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열분해 챔버(230)의 하측 및 히팅 챔버(220)의 하측 상에 설치되는 잔류물 배출수단(500) 및 열분해 챔버(230)에서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가 되어 생성된 증기 상태의 추출물이 열교환 되게 하여 액체 상태의 재생 연료가 추출되게 하는 응집수단(600) 등의 구성요소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organic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heating furnace 200 as shown in the figure . That is,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pyrolysis includes a heating furnace 200 and a heating chamber in which an inner space is largely divided into a heating chamber 220 and a pyrolysis chamber 230 based on the heat plate 210 installed therein. 220 is installed inside the heating pipe line 300 and the pyrolysis chamber 230 which are installed along the wall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yrolysis chamber 230 so that the high temperature heat is evenly transferred to the pyrolysis chamber 230. Of the pyrolysis chamber 230 so that the recycled raw materials and residues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chamber 230 are cut or dispersed, and the residues after pyrolysis in the pyrolysis chamber 230 are discharged. The residue discharge means 500 and the pyrolysis chamber 23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heating chamber 220 are pyrolyzed by high temperature heat so that the extract of the vapor state generated by heat exchange is heat exchanged. extraction Components such as to condensing means 600, which is made comprises, by default.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의 가열로(200) 주변에는 전술한 응집수단(600)이 일부 구성요소인 열교환기(620)에서 사용되는 냉각수의 냉각 및 공급을 위한 워터 탱크(630), 워터 쿨러(640), 쿨링 타워(650) 등의 주변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열로(200)의 둘레 상에는 주변 장치들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 작업자들의 통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랫폼(110) 및 스텝(120) 등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bove-mentioned agglomeration means 600 is used in the heat exchanger 620, which is a component, around the heating furnace 200 of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water tank 630, a water cooler 640, and a cooling tower 650 may be installed to cool and supply the cooling water. On the other han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heating furnace 200 may be installed platform 110 and step 120, etc. to enable the passage of workers for maintenance of the peripheral devi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로(200)는 전면, 배면, 양쪽 측면, 천장 및 바닥이 두꺼운 벽면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에 노출되는 내부 공간의 열이 외부로 방열이 되는 것이 차단이 될 수 있도록 각 측의 벽면은 단열층을 포함한 다중의 벽으로 구축된다. 가열로(200)의 벽면은 내화벽돌 또는 황토 등으로 쌓인 중간의 단열층을 기준으로 단열층의 내부 및 외부를 이루는 내부층 및 외부층은 내열성이 우수한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ing furna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hick wall surface of the front, rear, both sides, the ceiling and the floor, but the heat of the internal space exposed to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ompared to the outside is blocked from being radiated to the outside The walls on each side are constructed of multiple walls, including a thermal insulation layer. The wall surface of the heating furnace 200 may be made of an iron plate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form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based on the middle heat insulating layer stacked with refractory brick or och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로(200)의 내부 공간이 히팅 챔버(220)와 열분해 챔버(230)로 구획이 되게 하는 히트 플레이트(210)는 가열로(200)의 내부 공간의 중간 높이 구간에 설치되는 내열성이 우수한 철판으로써 그 단면의 형태는 평면의 형태를 이루기보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200)의 중간 위치를 기점으로 양쪽의 측면을 향할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한편 전후방향으로는 하나 이 상의 산과 골이 있는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히트 플레이트(210)의 중간을 기점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의 골이 있는 형태로 굴곡진 예로 도시되어 있다.The heat plate 210 which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heating furnace 200 into the heating chamber 220 and the pyrolysis chamber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mediate height s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eating furnace 200. The steel plate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is installed in the cross-section of the shape rather than forming a flat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ight is lowered toward both sides from the middle position of the heating furnace 200 as show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t consists of a curved form with one or more mountains and valleys.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 curved example in the form of one each in the front and rear from the middle of the heat plate 210 as a starting point.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중간 부분을 기점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히트 플레이트(210)는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높이의 차이를 갖는 낙차지점(212)이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부연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200)의 중간을 기준으로 해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좌측 히트 플레이트(210a)와 우측 히트 플레이트(210b)가 구분 설치되는데, 좌측 히트 플레이트(210a)와 우측 히트 플레이트(210b)의 일정 위치에서는 낙차지점(212)이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plates 210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are configured to have a free fall point 212 having a difference in height at one or more points. In detai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eft heat plate 210a and the right heat plate 210b ar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based on the middle of the heating furnace 200, and the left heat plate 210a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ight heat plate 210b and the free fall point 212 is configured.

전술한 히트 플레이트(2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챔버(220)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플레이트 서포터(214)에 의해서 안정된 구조로 지지가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plate 210 may be supported by a stable structure by the plate supporters 214 install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ating chamber 22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이 된 히트 플레이트(210)의 골 부분에는 뒤에서 다시 설명이 이루어질 잔류물 배출수단(500)의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가 골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valley portion of the heat plate 21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sidue upward transfer screw 510 of the residue discharge means 50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lle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히팅 챔버(220)의 내부가 고온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열로(200)의 양쪽 측면의 외부에는 각각 버너(240)가 설치되고, 이 버너(240)에서 발생하게 되는 화기는 히팅 챔버(220) 내부로 유입되게 구성이 이루어진다. 한편, 히팅 챔버(2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물 배 출수단(500)의 일부 구성요소인 잔류물 호퍼(520)에 의해서 양쪽으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keep the inside of the heating chamb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high temperature, a burner 240 is installed at each outside of both sides of the heating furnace 200, and the burner 240 is provided. Fire that is generated in the configuration is made to flow into the heating chamber 220.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heating chamber 220 may have a structure separated by both sides by a residue hopper 520 which is a part of the residue discharge means 5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히팅 챔버(220)의 내측 상부 상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파이프 라인(300)의 하단이 접속이 된다. 히팅 파이프 라인(300)은 열분해 챔버(230)의 내부에 하측에서 상측을 향할수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관이 되는 한편 그 상단은 가열로(200)의 상측으로 노출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버너(240)에 의해서 히팅 챔버(220) 내에 발생이 된 화기는 히팅 파이프 라인(300)을 따라 열분해 챔버(230)에 열이 전달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팅 파이프 라인(300)을 통과한 화기는 결국 가열로(200) 외부로 배출이 된다.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chamb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heating pipeline 300 is connected as shown in the figure. Heating pipeline 300 is a pipe in a zigzag form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side the pyrolysis chamber 230 while the upper e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furnace (200). Accordingly, the fire generated in the heating chamber 220 by the burner 240 functions to transfer heat to the pyrolysis chamber 230 along the heating pipeline 300. As described above, the fire that passed through the heating pipeline 3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furnace 2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에서는 열분해 챔버(230) 내부로 폐품 또는 폐기물 등의 재생원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가열로(200)의 양쪽 상부 측에 재생원료 투입구(250)가 마련된다. 재생원료 투입구(250)의 외부 측에는 소정의 공정을 통해서 압축된 상태의 재생원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축 실린더(252) 및 피스톤(254) 등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pyrolysi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eneration raw material inlet is formed at both upper sides of the heating furnace 200 so that regeneration raw materials such as waste or waste may be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chamber 230. 25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generation raw material inlet 250 is provided with a compression cylinder 252, a piston 254, etc. to allow the regeneration raw material in a compressed state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 as shown in FIG.

전술한 재생원료 투입구(250)을 통한 재생원료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재생원료 저장실(700)과 재생원료 호퍼(720) 사이에는 콘베이어 등과 같은 재생원료 이송수단(710)이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input of the regenerated raw materials through the regenerated raw material inlet 250 described above, a regenerated raw material transfer means 710 such as a conveyo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generated raw material storage chamber 700 and the regenerated raw material hopper 720. Can be.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로(200)의 상부 양쪽에 설치된 재생원료 투입구(250)를 통해서 투입된 재생원료가 더욱 효율적으로 분해될 수 있게 히팅 챔버(220)의 화기 일부가 전면 및 배면의 벽면 측으로 유도되게 하기 위한 히팅 파이프 라인(300)이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firearm of the heating chamber 220 is guided to the front and rear wall sides so that the recycled raw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recycled raw material inlet 250 installed at both upper sides of the heating furnace 200 can be more efficiently disassembled. Heating pipeline 300 is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에서 재생원료 투입구(250)를 통해서 열분해 챔버(230) 내로 투입된 재생원료가 고루 흩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잘게 잘리게 하기 위한 로터리 수단(400)의 일부 구성요소로써 다수의 로터리(410)가 재생원료 투입구(250) 하측 및 히트 플레이트(210)의 상측의 열분해 챔버(230)의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이 로터리(410)들은 가열로(200)의 양쪽에 설치된 재생원료 투입구(250)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형성되는 한편 각 층은 복수로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raw material 400 for not only dispersing the finely divided regenerated raw materials into the pyrolysis chamber 230 through the regeneration raw material inlet 250 but also finely cutting them. A plurality of rotary 410 is installed across the interior of the pyrolysis chamber 23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generation raw material inlet 250 and the upper side of the heat plate 210 as some components of). The rotary 410 is formed in multiple layer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regeneration raw material inlet 25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eating furnace 200, each layer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전술한 로터리(410)의 축 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블레이드(412)가 설치되는데, 히트 플레이트(210)의 골 부분을 통해 연소 후 잔류물들이 쌓이는 구간을 지나는 일부의 로터리(420) 상에는 잔류물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 반경이 히트 플레이트(210)의 골 부분까지 이르는 블레이드(414)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On the axis of the rotary 410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blades 412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remain on a portion of the rotary 420 passing through a section in which residues are accumulated after combustion through the valleys of the heat plate 210.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water, a blade 414 having a radius of rotation reaching the valley portion of the heat plate 210 may be further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류물 배출수단(500)은 히트 플레이트(210)의 골 부분을 따라 길게 설치되되 히트 플레이트(210) 상에 쌓이는 잔류물들이 가열로(200)의 양쪽 측면 측에서 가열로(200)의 중간 부분 측을 향해 이송될 수 있는 회전 방향으로 설정이 되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 양쪽의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를 통해서 히트 플레이트(210)의 정상 측에 이송된 잔류물이 하강이 되어 합쳐질 수 있게 히팅 챔버(220)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으로 설치되는 잔류물 호퍼(520), 잔류물 호퍼(520)에 쌓인 잔류물이 가열로(200)의 외부로 배출되게 잔류물 호퍼(520)로부터 가열로(200)의 외부 측면에 이르기까지 설치되는 잔류물 배출 이송 스크루(530) 및 잔류물 배출 이송 스크루(530)를 통해서 가열로(200)의 외부로 배출이 된 잔류물이 저장되는 잔류물 저장실 등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Residue discharge mean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long the valley portion of the heat plate 210, the residues accumulated on the heat plate 210 is heated on both sides of the heating furnace 200 On the top side of the heat plate 210 through the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 510, both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 510 which is set in a rotational direction that can be conveyed toward the middle portion side of the furnace 200 The residue hopper 520, which is installed as a separate space inside the heating chamber 220, and the residue accumulated in the residue hopper 520 so that the transferred residues are combined by falling, are external to the heating furnace 200.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200 through a residue discharge transfer screw 530 and a residue discharge transfer screw 530 which are installed from the residue hopper 520 to the outer side of the furnace 200 to be discharged. Residue storage room where discharged residues are stored Etc., the configuration is ma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류물 배출수단(500)의 한 구성요소인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는 좌측 히트 플레이트(210a)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210b)의 양쪽 끝단 부분의 높이가 가열로(200)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 양쪽 끝단 부분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가 이루어진다.In the residue uptake screw 5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residue discharge means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s of both ends of the left heat plate 210a and the right heat plate 210b are heated. Installation is made lower than the position of both ends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200).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서 히트 플레이트(210)의 중앙 부분을 기점으로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는 좌측 히트 플레이트(210a)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210b)에 낙차지점(212)이 형성된 구간에서 1차 상향 이송 스크루(512) 및 2차 상향 이송 스크루(514)로 분리가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 510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heat plate 2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ee fall point on the left heat plate 210a and the right heat plate 210b. In the section in which the 212 is formed, the first uplink screw 512 and the second uplink screw 514 is separated into a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서 1차 상향 이송 스크루(512)와 2차 상향 이송 스크루(514)는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서 회전 동작이 되게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상향 이송 스크루(512)와 2차 상향 이송 스크루(514)가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될 경우, 특히 1차 상향 이송 스크루(5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동모터(514a)는 히팅 챔버(220)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단열 챔버(516) 내에 설치된다. 또한, 히팅 챔버(220)의 고온 에 의해서 단열 챔버(516)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514a)가 열에 의해 손상이 없도록 단열 챔버(516) 상에는 냉각수 파이프(516a) 등과 같은 냉각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pstream feed screw 512 and the second upstream feed screw 514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through separate dri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upward feed screw 512 and the second upward feed screw 514 are configured to be driven by separate driving means, particularly,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primary upward feed screw 514. The driving motor 514a is installed in the adiabatic chamber 516 separately installed in the heating chamber 220. In addition, cooling means such as a coolant pipe 516a may be installed on the insulation chamber 516 such that the driving motor 514a installed inside the insulation chamber 516 is not damaged by heat due to the high temperature of the heating chamber 22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서 1차 상향 이송 스크루(512)의 상단과 2차 상향 이송 스크루(514)의 하단은 체인(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서 회전동력이 연결이 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primary upstream screw 512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upstream screw 51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rotational power is connect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chain (not shown). It may b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에서는 가열로(200) 내부 중간 부분에 히트 플레이트(210)의 정상이 위치되는 한편 잔류물 배출수단(500)의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에 의해서 잔류물이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서 이송이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불완전하게 열분해가 된 상태의 재생원료 또는 잔류물이 열분해 챔버(230) 내부에 체류하게 되는 시간이 더욱 길게 된다. 특히,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가 1차 상향 이송 스크루(512) 및 2차 상향 이송 스크루(514)를 포함하여 2개 이상으로 분리 형성됨에 따라서 재생원료 및 잔류물이 열분해 챔버(230) 내부에 체류하게 되는 시간이 더욱 길어질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of the heat plate 210 is position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furnace 200, while the residue discharge means 500 remains. As the residue is convey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y the water upward conveying screw 510, the time for the regeneration raw material or the residue in the incomplete pyrolyzed state to stay inside the pyrolysis chamber 230 is increased. It becomes longer. In particular, as the residue up-conveying screw 510 is formed into two or more, including the first up-conveying screw 512 and the second up-conveying screw 514, the regeneration material and the residue are pyrolysis chamber 230. The time to stay inside can be long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에서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가 잔류물을 상향 이송시키는 구조로 설정됨과 더불어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재생원료 투입구(250)가 가열로(200)의 양쪽 측면에 치우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서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를 통해서 불완전하게 열분해가 된 재생원료 또는 잔류물이 배출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e upward transfer screw 510 is set to a structure for upwardly transferring the residue, and a recycled raw material inlet 250 into which a recycled raw material is input. As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eating furnace 2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enomenon that the incompletely pyrolyzed regenerated raw materials or residu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residue upward transfer screw 5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류물 배출수단(500)의 잔류물 호퍼(520) 내측에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 측에서부터 낙하가 되는 잔류물의 파쇄를 위한 잔류물 파쇄 로터리(522)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는 잔류물 파쇄 로터리(522)를 통해서 잘게 파쇄된 잔류물이 잔류물 배출 이송 스크루(530)를 통해서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residue hopper 520 of the residue discharge mean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idue crushing rotary 522 is installed for crushing the residue falling from the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 510 side. do. Accordingly, 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ly crushed residues may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residue discharge transfer screw 530 through the residue crushing rotary 522.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분해 챔버(230) 내부에서 폐품 또는 폐자재 등의 재생원료가 고온에 노출되어 열분해가 되는 과정에서 생성이 된 증기상태의 추출물을 공급받아 열교환을 시킨 후 액체상태의 재생 연료가 추출되게 하기 위한 응집수단(600)의 일부 구성요소인 응집기(610)가 가열로(200)의 전면 및 배면 측에 각각 설치된다. 열분해 챔버(230) 내부에서 생성된 증기상태의 추출물이 응집기(6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열분해 챔버(230)의 상측에는 증기 배출관(260)이 배관이 되는 한편 증기 배출관(260)의 상단에는 양쪽의 응집기(610)를 향해서 증기상태의 추출물이 분리 공급될 수 있게 증기 유도관(262)이 배관이 되어 응집기(610)의 상부와 접속이 된다.Then, in the pyrolysis chamber 2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ycled raw materials such as waste or waste materials are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to be supplied with an extract of a vapor sta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yrolysis, and then subjected to heat exchange to regenerate a liquid state. Agglomerator 610, which is a part of the agglomeration means 600 for allowing fuel to be extracted,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eating furnace 200, respectively. The steam discharge pipe 260 is a pipe on the upper side of the pyrolysis chamber 230 so that the steam extract generated in the pyrolysis chamber 230 can be supplied to the agglomerator 610 side, and at the top of the steam discharge pipe 260. The vapor induction pipe 262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gglomerator 610 so that the extract of the vapor state can be supplied separately to both agglomerators 6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집기(610)는 가열로(200)의 전면과 배면 양쪽에 쌍으로 형성되는 한편 가열로(200)의 용적에 맞춰 여러 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응집기(610)의 둘레에는 냉각수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620)가 설치된다.The agglomerator 6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pairs on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eating furnace 200, and several pairs may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volume of the heating furnace 200. A heat exchanger 620 is installed around each agglomerator 610 to allow heat exchange by cooling water.

열교환기(6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집기(610)의 둘레에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층에 설치된 열교환기(620)에는 냉각수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흐르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응집기(610)의 하측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그 하측 부분에는 액체상태의 재생연료가 배출되는 재생연료 배출구(612)가 마련된다.The heat exchanger 620 may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around the agglomerator 61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heat exchanger 620 installed in each lay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cooling water flow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The lower side of the agglomerator 6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unnel, the upper portion is wider and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ycled fuel outlet 61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fuel in the liquid stat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에서는 특히 열분해 챔버(230) 내부의 잔류물이 배출되는 과정이 종전의 장치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열분해 챔버(230)의 열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완전 열분해가 된 상태의 잔류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the pyrolys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residues inside the pyrolysis chamber 230 is perform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conventional apparatuses. In addition to significantly reducing the heat loss of the 230,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duce the discharge of the residue in the incomplete pyrolysis state to the outside.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는 열분해 챔버(2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510)가 1차 상향 이송 스크루(512)와 2차 상향 이송 스크루(514)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잔류물이 열분해 챔버(230) 내부에 머물게 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에 따라서 더욱 효율적인 열분해가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100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e upward transfer screw 510 installed inside the pyrolysis chamber 230 is a first upward transfer screw 512 and a second upward upward movement. As the structure includes the transfer screw 514, the time for the residue to stay inside the pyrolysis chamber 230 may be longer,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pyrolysis.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의 정면 구성도.1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의 단면 구성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2 에 표시된 A-A선 단면 구성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4 는 도 2 에 표시된 B-B선 단면구성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Code for Major Parts of Drawing]

100.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100. Energy recovery system using pyrolysis

200. 가열로 210. 히트 플레이트200. Furnace 210. Heat Plate

210a. 좌측 히트 플레이트 210b. 우측 히트 플레이트210a. Left heat plate 210b. Right heat plate

212. 낙차지점 214. 플레이트 서포터212. Free fall point 214. Plate supporter

220. 히팅 챔버 230. 열분해 챔버220. Heating chamber 230. Pyrolysis chamber

240. 버너 250. 재생원료 투입구240. Burner 250. Recycled material input port

300. 히팅 파이프 라인 400. 로터리 수단300. Heating pipeline 400. Rotary means

410. 로터리 500. 잔류물 배출수단410. Rotary 500. Residual discharge means

510.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 512. 1차 상향 이송 스크루510. Residue Upstream Screw 512. First Upward Screw

514. 2차 상향 이송 스크루 520. 잔류물 호퍼514. Secondary upward feed screw 520. Residue hopper

522. 잔류물 파쇄 로터리 530. 잔류물 배출 이송 스크루522. Residue Crushing Rotary 530. Residue Discharge Transfer Screw

600. 응집수단 610. 응집기600. Agglomeration means 610. Agglomerator

620. 열교환기 700. 재생원료 저장실620. Heat Exchanger 700. Recyclable Material Storage Room

710. 재생원료 이송수단 720. 재생원료 호퍼710. Recycling Material Feeding Method 720. Recycling Material Hopper

Claims (6)

전면, 배면, 양쪽 측면, 천장 및 바닥이 단열층을 포함하는 벽면으로 구축된 가열로 내부에 폐품이나 폐자재를 투입한 후 간접적인 고열에 의해서 재생원료가 열분해가 되게 한 후, 열분해가 된 증기 상태의 추출물을 응집수단에서 열교환을 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액체 상태의 재생 연료를 얻도록 구성된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에 있어서,After the waste or waste materials are put into the furnace, the front, back, both sides, the ceiling and the floor are constructed with the wall including the insulation layer, the raw materials are pyrolyzed by indirect high temperature, and then pyrolyzed. In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configured to obtain a liquid renewable fuel through a process of heat exchange in the flocculation means of the extract of 상기 가열로 내부의 공간이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게 하는 한편 중간 지점에서 양쪽의 측면을 향하여 좌측 히트 플레이트와 우측 히트 플레이트로 구분 형성이 되되 상기 좌측 히트 플레이트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의 1 지점 이상에는 높이 차이를 갖는 낙차지점이 형성되는 가운데 상기 좌측 히트 플레이트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에는 하나 이상의 산과 골이 있게 굴곡진 형태로 형성이 된 히트 플레이트;The inner space of the heating furnace is partitioned into upper and lower sides, while the middle point is divided into a left heat plate and a right heat plate toward both sides from each other, but the height difference is greater than one point of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A heat plate formed in a curved shape with one or more hills and valley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in the middle of which a drop point is formed; 상기 히트 플레이트 하측의 공간으로 상기 가열로의 측면 측에 설치된 버너에 의해서 가열되는 히팅 챔버;A heating chamber heated by a burner provided on a side of the heating furnace to a space below the heat plate; 상기 히트 플레이트 상측의 공간으로 상기 가열로 전면 또는 배면의 상부에 설치된 재생원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재생원료가 주위에서 전달되는 고열에 의해서 열분해가 실현되는 열분해 챔버;A pyrolysis chamber in which pyrolysis is realized by high heat in which the recycled raw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recycled raw material inlet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heating furnace is transferred to the space above the heat plate; 상기 히팅 챔버 내로부터 유도된 화기가 상기 가열로의 전면과 배면의 벽면 내측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흐르도록 굴절된 형태로 배관이 된 히팅 파이프 라인;A heating pipeline in which the fire induced by the inside of the heating chamber is piped in a refracted form so that the fire flow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heating furnace; 상기 재생원료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재생원료가 고루 흩어지게 재생원료 투입구 하측의 열분해 챔버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다수의 로터리가 가로질러 설치되는 로터리 수단; 및Rotary mean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unit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pyrolysis chamber below the regeneration material inlet so that the regeneration material introduced from the regeneration material inlet is evenly dispersed; And 상기 히트 플레이트의 골을 따라 양쪽 측면 측에서 중간 측을 향해 잔류물이 이송되게 회전 동작이 되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가 설치되고 상기 양쪽의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를 통해서 열분해 챔버의 중간 부분 측으로 이송된 잔류물이 하강이 되어 합쳐지게 상기 히팅 챔버의 중간 부분에 별도의 공간으로 잔류물 호퍼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잔류물 호퍼에 쌓인 잔류물이 상기 가열로의 외부로 배출되게 상기 잔류물 호퍼로부터 상기 가열로의 외부에 이르기까지 잔류물 배출 이송 스크루가 설치되되 상기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는 상기 좌측 히트 플레이트 및 우측 히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낙차지점에서 1차 상향 이송 스크루 및 2차 상향 이송 스크루로 분리 형성되어 잔류물의 체류시간이 연장되게 하는 잔류물 배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Residual up-conveying screws are installed which are rotated so that residues are transported from both side sides to the intermediate side along the valleys of the heat plate, and are transferred to the middle portion side of the pyrolysis chamber through the residue up-conveying screws on both sides. The residue hopper is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eating chamber so that the residue is lowered and merged, while the residue accumulated in the residue hopp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furnace from the heating hopper. A residue discharge feed screw is installed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and the residue upward feed screw is separated and formed as a first up feed screw and a second up feed screw at a free fall point formed on the left heat plate and the right heat plate. Residue discharge means for prolonging the residence time of water;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물 배출수단의 잔류물 호퍼 내측에는 잔류물 상향 이송 스크루에서 낙하가 되는 잔류물의 파쇄를 위한 잔류물 파쇄 로터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sidue crushing rotary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residue hopper of the residue discharge means for crushing the residue falling from the residue upward conveying scre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챔버의 내부에는 히트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 한 플레이트 서포터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ate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heat plat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eating chamb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상향 이송 스크루의 상단과 2차 상향 이송 스크루의 하단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서 회전동력이 이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The energy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first upward conveying screw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upward conveying screw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with rotational power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ans. Recovery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상향 이송 스크루와 2차 상향 이송 스크루는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이 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upstream screw and the second upstream screw are configured to be driven by separate driving mea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상향 이송 스크루가 구동되게 하는 구동수단의 구동모터는 상기 히팅 챔버의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단열 챔버에 설치되는 한편 단열 챔버에는 구동모터의 열해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ive motor of the drive means for driving the second upward feed screw is installed in a heat insulation chamber provided separately in the heating chamber while the heat insulation chamber is provided with cooling means for preventing thermal damage of the drive motor. Energy recovery apparatus using pyrolys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KR20090022434A 2009-03-17 2009-03-17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KR1010624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2434A KR101062487B1 (en) 2009-03-17 2009-03-17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2434A KR101062487B1 (en) 2009-03-17 2009-03-17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190A KR20100104190A (en) 2010-09-29
KR101062487B1 true KR101062487B1 (en) 2011-09-06

Family

ID=4300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22434A KR101062487B1 (en) 2009-03-17 2009-03-17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48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561A (en) 1998-02-23 1999-08-31 Takes:Kk Continuous plastic liquefaction device
KR100768690B1 (en) 2006-07-24 2007-10-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ludge feeding apparatus and pyrolysis system having the same
KR100853464B1 (en) 2007-04-19 2008-08-21 박연룡 Provide device refri-genating transactin of high polymer was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561A (en) 1998-02-23 1999-08-31 Takes:Kk Continuous plastic liquefaction device
KR100768690B1 (en) 2006-07-24 2007-10-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ludge feeding apparatus and pyrolysis system having the same
KR100853464B1 (en) 2007-04-19 2008-08-21 박연룡 Provide device refri-genating transactin of high polymer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190A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390B1 (en) Pyrolytic Energy Recovery
CN109477010B (en) System and process for converting waste plastics into fuel
KR101817728B1 (en) Continuous Operation Type Liquefaction Facility Using Waste of Synthetic Resins
CN104017594B (en) Coal low-temperature cracking process
CN103708702A (en) Energy-saving sludge drying device by utilizing recovery waste heat of vapor compression
JP2018505256A (en) Furnace
CN205635485U (en) Developments serialization is coproduction gas carbon oil device useless admittedly organically
CN214767749U (en) Microwave thermal analysis device and oily solid waste treatment system
CN104964572B (en) A kind of pellet calcination rotary kiln product waste heat annular dividing wall type recovery system and method
KR101062487B1 (en)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CN108787694A (en) Energy-efficient oil-containing equipment for treating materials
CN103307616A (en) Boiler cold slag broken coke dry discharging aggregate unit (machine)
US8328992B1 (en) Retort
CN102827622A (en) Process and device for refining oil through dry distillation of oil sand
CN106661470A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thermal processing of used or otherwise degraded tyres
CN205175060U (en) Rubbish drying equipment
CN102134498A (en) Process and device for dry distillation of oil shale with low gas content
CN101684410A (en) New technology and equipment for continuous oil refining from liquid raw materials and discarded plastics and tires
PL221831B1 (en) Method for processing plastic waste, especially polyolefin, and a device for processing plastic waste, especially polyolefin
KR101095626B1 (en) The Foods Wastes Decomposing Apparatus Using the Pyrolytic Recovery System
CN208390637U (en) A kind of energy-efficient oil-containing equipment for treating materials
CN201695000U (en) Sludge treatment system
EP2818257A1 (en) Equipment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organic material and gas production used to generate heat and electricity
KR101525910B1 (en) Pyrolysis oil recovery apparatus with sludge cooling device using waste material
KR101063014B1 (en) Energy recovery device using pyrolysis of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