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836B1 -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836B1
KR101061836B1 KR1020090001180A KR20090001180A KR101061836B1 KR 101061836 B1 KR101061836 B1 KR 101061836B1 KR 1020090001180 A KR1020090001180 A KR 1020090001180A KR 20090001180 A KR20090001180 A KR 20090001180A KR 101061836 B1 KR101061836 B1 KR 10106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theft
controller
vehicl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781A (ko
Inventor
조성길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이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영 filed Critical 이선영
Priority to KR102009000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8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9/00Order telegraph apparatus, i.e. means for transmitting one of a finite number of different orders at the discretion of the user, e.g. bridge to engine room orders in ships
    • G08B9/14Order telegraph apparatus, i.e. means for transmitting one of a finite number of different orders at the discretion of the user, e.g. bridge to engine room orders in ships hydraulic; pneumatic
    • G08B9/20Order telegraph apparatus, i.e. means for transmitting one of a finite number of different orders at the discretion of the user, e.g. bridge to engine room orders in ships hydraulic; pneumatic by varying pressure of the flu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저장된 탱크의 유체량의 변화를 수시로 파악함으로써 유체의 도난 사고를 감시하여 유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유체의 도난 사고가 발생한 시간 및 위치를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연결되고, 유체가 채워지는 탱크와; 탱크 내의 유체량을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검출정보를 일정범위의 통신거리로 무선송출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검출정보를 기설정된 단위 시간당 유체변화량정보와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유체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 를 포함하며, 비교판단부는 유체의 도난이 확인되는 경우, 차량 소유주, 차량 운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이동통신 단말기, 도난사고 처리기관의 특정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도난사고의 발생을 알리도록 문자, 그림, 음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유체 도난 사고, 차량, 검출부, 컨트롤러, 비교판단부, 지피에스(GPS)

Description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SYSTEMS FOR MONITORING THEFT OF FLUID}
본 발명은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저장된 탱크의 유체량의 변화를 수시로 파악함으로써 유체의 도난 사고를 감시하여 유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유체의 도난 사고가 발생한 시간 및 위치를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차량에서 유체, 예를 들어 차량의 유류탱크에 채워져있는 유류나 수송 중인 물, 가스, 약품, 화학물질 등을 도난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대형 상용차량이나 건설장비의 경우 야간에는 인적이 없는 공사 현장 등에 주차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유체를 수송하는 차량, 예를 들어 유류수송차량 등의 경우 운전자가 화장실이나 식사 등을 위해 차량에서 자리를 비우기도 한다.
이러한 차량들은 잠금장치도 쉽게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절도범들의 표적 이 되고 있으며, 절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불과 몇 분 이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실질적인 단속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차량의 소유주나 운전자는 이러한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가 채워져 있는 탱크의 캡에 자물쇠를 달아 절도범이 캡을 개방하지 못하게 하거나, 심한 경우 주변에 CCTV를 설치하여 모니터링하기도 하며, 탱크의 유량계를 이용하여 유체의 입출력을 대비하여 유체의 변동을 파악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막상 도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언제, 어디서 도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는 파악하기 어려웠다. 아울러 유량계를 통하여 파악할 경우 유체의 내용물이 다른 물질로 바뀐 경우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게다가, 대부분의 도난 사건은 정차 중에 이루어지지만, 수송시에도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체 도난 감시방법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가 저장된 탱크의 유체량의 변화를 수시로 파악함으로써 유체의 도난 사고를 감시하여 유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의 도난 사고가 발생한 시간 및 위치를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연결되고, 유체가 채워지는 탱크와; 탱크 내의 유체량을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검출정보를 일정범위의 통신거리로 무선송출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검출정보를 기설정된 단위 시간당 유체변화량정보와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유체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 를 포함하며, 비교판단부는 유체의 도난이 확인되는 경우, 차량 소유주, 차량 운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이동통신 단말기, 도난사고 처리기관의 특정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도난사고의 발생을 알리 도록 문자, 그림, 음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컨트롤러는 차량의 특정 위치에 장착되고, 컨트롤러에는 특정 위치로부터 컨트롤러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분리감지장치가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분리여부에 대한 분리정보가 저장되며, 컨트롤러의 분리가 확인된 경우 차량의 소유주, 차량의 운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컨트롤러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도록 분리정보를 문자, 그림, 음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에는 일정 시간마다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지피에스(GPS)장치가 연결되어 차량의 이동경로정보가 저장되고, 비교판단부는 유체의 도난이 확인되는 경우, 검출정보와 이동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유체의 도난이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고, 차량 소유주, 차량 운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이동통신 단말기, 도난사고 처리기관의 특정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도난사고의 발생을 알리도록 추적된 위치정보를 문자, 그림, 음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판단부는 유체의 도난이 확인되는 경우 경보신호를 전송하고, 경보신호에 따라 차량의 외부에 시각적, 청각적 또는 이들이 결합되어 표시되는 경보장치가 구동되어 경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 및 상기 비교판단부는, 차량의 출발지, 기착지, 도착지 중 둘 이상의 장소에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에 의하면, 유체가 저장된 탱크의 유체량의 변화를 수시로 파악함으로써 유체의 도난 사고를 감시하여 유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의 도난 사고가 발생한 시간 및 위치를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유체 중에서 유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을 이루는 검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은 크게 유류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시스템과, 검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처리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출시스템은 차량(110)의 탱크(100)에 설치되며 검출부(200) 및 컨트롤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처리시스템은 차량과는 별도로 마련되는 수신부(600) 및 비교판단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탱크(100)는 차량(110), 예를 들어 유류를 수송하기 위한 유류수송차량에 연결되고, 유류가 채워져 저장된다.
검출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 중 검출부(200)는 탱크(100) 내의 유류량을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검출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유류 수면의 높낮이 변화를 측정하여 유류량을 측정할 수도 있고, 유류가 저장된 탱크(100)의 무게나 전체 차량(110)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유류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그런데, 유류가 저장된 탱크(100)의 내부에는 수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이 포함되는 이유로는 탱크(100)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탱크(100) 내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탱크(100)의 벽면에 응축되어 물방울이 형성되는 이슬현상이나, 유류에 용해되어 있는 용해수분(Dissolved Water)이 온도가 내려갈 때 포화용해도를 넘어가면서 분산수분(Dispersed Water), 자유수분(Free Water)으로 변화되어 수분이 형성되는 용해도차에 의한 수분형성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탱크(100)에 유류를 채워넣을 때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빗물이나 지하수의 침투 등에 의한 누수 침투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탱크(100) 내에 수분이 포함되게 되면 검출부(200)를 통해 정확한 유류량을 검출하기 어려워질 수 있고,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탱크(100) 내의 유류 대신 물 등을 채워넣을 경우 검출부(200)를 통해서는 유류의 변동을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검출부(200)로서 유류와 물의 밀도차를 이용한 이중 검출장치를 사용하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하기로 한다.
컨트롤러(300)는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된 검출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검출정보를 일정범위의 통신거리로 무선송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컨트롤러(300)는 검출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310)와, 저장된 검출정보를 통신기술, 예를 들어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대신 소량의 정보를 소통시킬 수 있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무선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모뎀(320), 차량 또는 별도로 마련되어 전원을 인가시켜주는 전원인가수단(33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340), 예를 들어 MCU(microcontroller unit)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컨트롤러(300)는 차량(110)의 정해진 위치, 즉 특정 위치에 장착되는데 유류절도범 등이 유류 절도시 방해받지 않기 위해서 컨트롤러(300)를 분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300)가 허가없이 강제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분리감지장치(400)가 연결되어 컨트롤러(300)의 분리여부에 대한 분리정보가 저장될 뿐만 아니라 지그비와 같은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차량(110)의 운전자가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에 컨트롤러(300)가 분리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즉, 컨트롤러(300)의 분리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문자나 그림, 음성을 이용하여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110)의 외부에 마련된 경보장치(경고등, 경고벨) 등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 청각적으로 경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등을 구축하여 여기에 등록된 사람, 예를 들어 차량(110)의 운전자와 차량(110)의 소유주 또는 탱크(100) 내에 저장된 유류의 소유주가 다를 경우 이들 모두를 사용자로 등록함으로써 컨트롤러(300)의 분리정보를 송출할 수도 있고, 선택되어 있는 사람에게만 분리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300)에는 일정 시간마다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지피에스(GPS)장치(500)가 연결되어 차량(110)의 이동경로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지피에스장치(500)는 지피에스 위성과 연결되어 계속적으로 신호를 전송받으며, 차량(110)의 이동에 따른 좌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차량(110)의 위치를 계속 추적하여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컨트롤러(300)는 정보 전송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메모리(310)에 검출정보와 차량의 이동경로정보를 정해진 주기마다 저장시켜 오프라인(Offline)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검출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처리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 중 수신부(600)는 컨트롤러(300)로부터 송출되는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컨트롤러(300)가 지그비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검출정보를 수신받으려면 차량(110)이 특정 장소를 지나도록 하고, 해당 특정 장소에 수신부(6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신부(600)를 차량(110)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마련하게 되며, 차량(110) 운전자가 화장실이나 식사 등을 위해 휴게소 등에 정차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휴게소, 즉 기착지에도 수신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착지는 특정 휴게소를 기착지로 선정하고, 해당 특정 휴게소에 수신부(600)를 마련한 후 차량(110) 운전자와의 협의를 통해 차량(110) 운전자가 휴식을 취할 경우 해당 특정 휴게소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착지는 수송 거리나 날씨 등에 따라 다 수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비교판단부(700)는 처리시스템의 주 구성요소로써 통상 수신부(600)와 같은 장소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출발지와 기착지, 도착지 등에 마련된 다수의 수신부(600)에 수신된 정보를 취합하는 중앙센터의 개념으로써 다른 장소에 마련될 수도 있다. 비교판단부(700)는 수신부(600)에 수신된 정보, 예를 들어 검출정보를 기설정된 단위 시간당 유체변화량정보와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유류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정보를 비교, 분석 및 판단하기 위한 콘솔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판단부(700)에서 유류의 도난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차량(110)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도난사고 처리기관의 특정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미도시)에 도난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10)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경찰서의 전화번호 즉, "112"로 전화를 걸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난 사고 발생의 알림은 전화를 거는 것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나 경찰서의 홈페이지 등에 문자나 그림 등을 이용하여 알릴 수도 있다. 또한, 동시에 차량(110)의 외부에 마련된 경보장치(경고등, 경고벨)를 동작시켜 도난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컨트롤러(30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등을 구축하여 차량(110)의 운전자와 차량(110)의 소유주 또는 탱크(100) 내에 저장된 유류의 소유주, 도난사고 처리기관 등을 사용자로써 등록해놓게 되면 등록해놓은 전화번호들로 도난 사고가 발생했음을 일괄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10)의 운전자와 차량(110)의 소유주 또는 탱크(100) 내에 저장된 유류의 소유주가 다를 경우 이들 모두에게 도난 사건이 발생했음을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비교판단부(700)에 지피에스장치(500)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저장되어 있는 차량(110)의 이동경로정보와 검출정보를 이용하여 유류의 도난이 발생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추적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차량(110) 소유주나 차량(110) 운전자, 경찰서 등의 도난사고 처리기관에 알릴 수 있다.
비교판단부(700)는 컨트롤러(300)의 분리가 확인된 경우 차량(110)의 소유주, 차량(110)의 운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컨트롤러(300)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도록 분리정보를 문자, 그림, 음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출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검출부(200)는 유류와 물의 밀도차를 이용한 이중 검출장치, 즉 유류의 양을 검출하는 유류검출플로트(220)와 물의 양을 검출하는 물검출플로트(230)를 사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검출부(200)는 측정봉(210)과, 측정봉의 상측에 유류의 높이를 검출하는 유류검출플로트(220) 및 유류검출플로트(220)의 하측에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물검출플로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류와 물은 서로 상이한 밀도를 갖게 되므로, 유류검출플로트(220)의 밀도는 유류의 밀도보다 더 적은 값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면 되고, 물검출플로트(230) 는 유류의 밀도와 물의 밀도 사이의 밀도값을 갖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유류검출플로트(220)는 유류의 표면상에 부양되고, 물검출플로트(230)는 물의 표면상에 부양되어 각각 유류층(O)과 수분층(W)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류검출플로트(220)와 물검출플로트(230)를 이용하여 유류층(O)과 수분층(W)의 높이를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검출하여 저장함으로써 정확한 유류량을 검출함과 동시에 유류의 도난 여부를 쉽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유류가 저장된 탱크(100)를 수송하는 유류수송차량(110)에 검출부(200)와 컨트롤러(300)로 이루어져 유류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시스템이 설치되고, 유류수송차량이 출발하는 출발지와 도착하는 도착지에 검출시스템에서 검출된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 처리하도록 수신부(600)와 비교판단부(700)로 이루어지는 처리시스템이 마련된다. 물론 이러한 처리시스템은 기착하는 기착지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300)와 수신부(600) 사이의 송출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기술 중 하나인 지그비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유류수송차량(110)이 자연스럽게 처리시스템에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출발지나 도착지의 입구 또는 기착지의 경우 입구나 출구에 수신부(60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류수송차량(110)에 유류를 저장하게 되면 검출부(200)에 의해 일정 시간마다 유류량의 변화가 검출되고, 검출된 정보는 컨트롤러(300)에 저장된다. 그리고 출발지와 도착지 또는 기착지의 처리시스템에서 정보의 송출을 명령하게 되면 저장하고 있던 정보를 수신부(600)로 송출하게 되며, 이때 분리감지장치(400)나 지피에스장치(500)가 컨트롤러(3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송출하게 된다.
수신된 정보는 비교판단부(700)에서 기설정된 단위 시간당 유체변화량정보와 비교되어 유류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만약 유류의 도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이를 차량(110)의 운전자, 차량(110)의 소유주, 도난사고 처리기관에 연락하여 알리게 된다. 이때, 지피에스장치(500)가 연결되어 차량(110)의 이동경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언제, 어디서, 어떻게 상황이 벌어졌는지를 추적하여 추적된 정보를 포함하여 알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을 이루는 검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출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탱크 110: 차량
200: 검출부 210: 측정봉
220: 유류검출플로트 230: 물검출플로트
300: 컨트롤러 310: 메모리
320: 모뎀 330: 전원인가수단
340: 제어장치 400: 분리감지장치
500: GPS장치 600: 수신부
700: 비교판단부 O: 유류층
W: 수분층

Claims (9)

  1.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연결되고, 유체가 채워지는 탱크와;
    상기 탱크 내의 유체량을 기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상기 검출정보를 일정범위의 통신거리로 무선송출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검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검출정보를 기설정된 단위 시간당 유체변화량정보와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유체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판단부는 상기 유체의 도난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 소유주, 상기 차량 운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이동통신 단말기, 도난사고 처리기관의 특정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도난사고의 발생을 알리도록 문자, 그림, 음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전송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특정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특정 위치로부터 상기 컨트롤러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분리감지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분리여부에 대한 분리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분리가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의 소유주, 상기 차량의 운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컨트롤러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도록 분리정보를 문자, 그림, 음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01180A 2009-01-07 2009-01-07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KR101061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180A KR101061836B1 (ko) 2009-01-07 2009-01-07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180A KR101061836B1 (ko) 2009-01-07 2009-01-07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355A Division KR100997311B1 (ko) 2010-10-04 2010-10-04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KR1020100096407A Division KR20100113470A (ko) 2010-10-04 2010-10-04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781A KR20100081781A (ko) 2010-07-15
KR101061836B1 true KR101061836B1 (ko) 2011-09-02

Family

ID=4264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180A KR101061836B1 (ko) 2009-01-07 2009-01-07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305B1 (ko) * 2010-10-08 2011-03-07 주식회사 지에스아이티엠 탱크화물차의 배송물품도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4491B1 (ko) * 2014-10-22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229A (ja) * 2002-06-18 2004-04-22 Showa Kiki Kogyo Co Ltd 液量伝送システム
JP2005022852A (ja) 2003-07-02 2005-01-27 Secom Co Ltd 廃棄物監視システム及び廃棄物監視方法
JP2007058698A (ja) 2005-08-26 2007-03-08 Shirai Group Kk 廃棄物運搬車両の位置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229A (ja) * 2002-06-18 2004-04-22 Showa Kiki Kogyo Co Ltd 液量伝送システム
JP2005022852A (ja) 2003-07-02 2005-01-27 Secom Co Ltd 廃棄物監視システム及び廃棄物監視方法
JP2007058698A (ja) 2005-08-26 2007-03-08 Shirai Group Kk 廃棄物運搬車両の位置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781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144B2 (en) Vehicle monitoring
CN105894810A (zh) 用于监视在停车场上行驶的车辆的方法和设备
GB2501679A (en) Fuel theft surveillance system
CN102436761A (zh) 进入路检测装置
KR101061836B1 (ko)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EP2161168B1 (en) Fuel anti-theft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ehicular application
KR101757750B1 (ko)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KR100997311B1 (ko)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CN105761324A (zh) 一种现代物流监控系统
CN111347873A (zh) 一种载货汽车外置油箱偷油报警装置
JP4862467B2 (ja) 警報装置及び車両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208588442U (zh) 油位异常的报警装置
CN109398073A (zh) 一种防止物流运输过程中燃油失窃的系统
US20090322535A1 (en) Car security system
KR20100113470A (ko) 유체 도난 감시시스템
JP490922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20150456A1 (en) System for preventing and detecting fuel theft
CN201646646U (zh) 汽车防盗报警装置
CN108001382A (zh) 车辆牌照安装状态检测和提醒的方法
CN207433263U (zh) 一种防止物流运输过程中燃油失窃的系统
CN109204226A (zh) 车辆报警方法和装置
US98307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ealing sensors in urban and industrial environments
KR101019305B1 (ko) 탱크화물차의 배송물품도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053823A (ja) 車両監視システム、車両監視装置および車両監視方法
CN206470912U (zh) 一种危险品运输车辆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