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692B1 -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692B1
KR101061692B1 KR1020097004632A KR20097004632A KR101061692B1 KR 101061692 B1 KR101061692 B1 KR 101061692B1 KR 1020097004632 A KR1020097004632 A KR 1020097004632A KR 20097004632 A KR20097004632 A KR 20097004632A KR 101061692 B1 KR101061692 B1 KR 10106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echanical
rotation
switching device
fastening
vibr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502A (ko
Inventor
프랭크 슈미드
Original Assignee
인오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오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오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3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on the 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 진동 소자, 연결 소자 및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를 포함하여 개시된다. 체결 소자는 회전 몸체에 회전 전환 장치를 부착시키기 위해 고안된다. 연결 소자는 체결 소자와 진동 소자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고, 진동 소자의 이동은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를 구동시킨다. 여기에서, 체결 소자와 진동 소자 사이의 연결은 표면의 주변을 나타내는 만곡된 경로를 진동 소자의 매스(mass) 중심이 따르도록 구성되고, 표면에 대한 기준과 회전축은 90°보다 작고 0°보다 큰 각도 사이에서 있다.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체결 장치, 진동 소자, 연결 소자

Description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및 방법{ELECTROMECHANICAL ROTATION CONVERTER AND A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USING AN ELECTROMECHANICAL ROTATION CONVERTER}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및 방법은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회전 전환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및 방법이다.
휠 축, 샤프트, 차량 휠, 기계 툴부 및 유사 품목 등의 회전부는 그들의 온도, 내부 압력, 팽창, 힘 등의 특정 파라미터를 판별하기 위해 종종 감시된다. 이 분류의 파라미터는 적합한 센서에 의해 계측될 수 있다. 이 적용은 상술된 바와 같이, 회전부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계측된 값이 외부로 지날 시에 어려움이 생긴다. 와이어를 따른 전달은 일부가 여러 방향으로 예측할 수 있는 국한된 거리로 이동할 수 없는 환경 하에서 특히나 불가능하다. 천천히 회전하는 부분에 대한 슬라이딩 접촉을 확실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접촉은 일정한 마찰의 결과로 닳아지게 되고, 고속 회전에서 일정 압력의 감속은 부적절한 접촉질을 야기하는 단점을 가진다. 특별히 고안된 접촉은 접촉 압력을 안전하게 실제로 제공할 수 있지 만, 그러나 이는 가격이 비싸다.
이 때문에, 회전부상의 계측 센서로부터 무선에 의한 전달 신호의 방법은 몇년동안 공지되어왔다. 그러나, 무선 기술은 전력 공급도 필요로 하고, 그리고 접촉이 없을 때는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독립적인 전력공급이 필요하다. 배터리, 축전지 또는 유사한 장치로 해결책이 명확해진다.
배터리, 축전지 또는 유사한 장치에 의한 에너지를 제공함은 올바른 경우에 대해 아주 실제적인 해결책이다. 그러나 센서와의 접근이 어려울 경우, 또는 계측된 파라미터가 회전부의 동작에 대한 상관성을 가진 경우, 배터리 및 축전지는 종종 적합하지 않다. 계측센서로부터 전달된 공급 전압, 즉, 배터리 전압의 갑작스런 하강의 발생은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는 특별한 단점을 가지는데, 이는 안전 관련 정보가 더 이상 사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독립적인 에너지 발생기 구비에 대한 아이디어는 이미 간주되어왔다. 일반적으로, 태양 전지 또는 다른 다소의 통상 발생 방법을 이용하는 해결책이 그렇다. 출원인은 개인적으로 전기기계식 진동 전환 장치의 구조를 적어도 인식하는데, 상기 진동 전환 장치는 진동 아암이 회전축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방식으로 회전 소자에 위치된 진동 아암상에 진동추(oscillating weight)가 위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진동 아암의 일측은 회전부에 고정되고, 그리고 진동매스(oscillating mass)는 타단에 위치한다. 회전 운동은 회전 축이 중력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을 때마다 상기 진동매스가 진동하도록 한다. 때문에, 회전의 결과로, 진동매스는 진동이 전개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다른 시간에서 다른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이는, 대 항력이 없는 경우 특히는 더 그러하다. 지금의 진동매스는 기계 진동 이동으로부터 전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기기계식 에너지 전환 장치를 구동한다. 그러나, 이 배치는 회전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원심력이 그 경로 외부로 진동매스를 끌어당겨 진동을 막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기계식 에너지 전환 장치가 빠르게 회전하는 시스템 또는 고 회전속도를 가진 시스템상에서도 큰 비용없이 그리고 신뢰성 있게 사용될 수 있는 배치의 제공함에 있다.
본 과제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라서 실행되는데, 본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fastening device), 진동 소자, 연결 소자 및 전자기 전환 장치를 포함하고, 체결 소자는 회전 몸체에 회전 전환 장치를 부착시키기 위해 고안된다. 연결 소자는 체결 소자와 진동 소자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연결을 구성하면서, 진동 소자의 이동은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를 구동시킨다. 여기에서 체결 소자와 진동 소자 사이의 연결은 표면의 주변을 나타내는 만곡된 경로를 진동 소자의 매스(mass) 중심이 따르도록 구성되고, 표면에 대한 기준과 회전축은 90°보다 작고 0°보다 큰 각도 사이에서 함께 속한다. 이는 체결 소자와 진동 소자 사이의 진동 소자는 회전 축에 대해 경사진 진동 아암을 포함한다. 각도 위치는 원심력이 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는 압전기 소자로서 유리하게 실행된다. 진동을 발생시키기에 필요한 바와 같이, 압전기 소자는 본래적으로 탄성을 가져서, 복원력을 제공한다.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를 보면, 사다리꼴 형태의 굴곡 전환 장치 형태는 굴곡된 경로를 따라서 편위하는 동안 힘이 전체 굴곡 전환 장치에 대해 고르게 분포되는 이점을 가진다.
전기기계식의 전환 장치로서 전자기 발생기 또는 자기변형 발생기의 사용은 매우 경제적이다.
스프링이 연결 소자로서 선택되는 경우,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본래 탄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리프스프링은 이 적용에 대해 특히나 적합한 스프링이다. 대안적으로 연결 소자는 피봇 베어링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체결 장치는 회전 전환 장치용 하우징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차량 휠의 림 등의 휠 림(wheel rim)에 체결될 시, 테이프 또는 케이블 소자의 사용이 유리하다.
모터 차량의 타이어에 적용될 시, 회전 전환 장치가 휠 림상의 밸브 체결부valve fastening)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서, 밸브로부터의 약간 이격된 2 개의 접촉점을 가진 경우, 회전 전환 장치의 하우징은 회전 중심을 향해 적당하게 정렬된다. 이는 접촉점이 밸브 또는 밸브 체결부와는 다른 거리에서 위치되는 경우에 특히나 적합하다.
게다가, 전환 장치가 진동 소자에 의해 구동되도록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개시되는데, 진동 소자는 회전 이동하는 동안 정지 위치 주위에서 진동하여 만곡된 경로를 따른다. 여기에서 만곡된 경로는 표면의 주변을 나타내고, 표면에 대한 기준과 회전축은 90°보다 작고 0°보다 큰 각도 사이에서 함께 속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의 일례로,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도면은:
도 1은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선 A-A을 따라 도 1에서 제시된 회전 전환 장치를 통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제시된 회전 전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회전 전환 장치의 원리를 제시하는 설명적인 개략도이고,
도 5는 회전 전환 장치의 하우징의 실시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동일한 소자, 또는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소자는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기호로 주어진다.
도 1은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R)의 측면도이다. 체결 장치(1)는 회전 몸체에 부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고안되어 구비된다. 진동 소자(2)는 제시된 실시예에서, 진동매스(2a)의 특징을 이루어 포함된다. 이 진동매스(2a)는 진동 소자로부터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 크기의 진동 소자는 다른 진동매스에 맞게 될 수 있다.
압전기 전환 장치(4)는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로서, 진동 소자(2)와 체결 장치(1) 사이에서 위치된다. 진동 소자의 진동 방향은 화살표(Z)에 의해 나타난다. 이 분류의 진동은 압전기 소자(4)가 그 종축을 따라 굴곡되도록 하고, 전 하(electrical charge)가 압전기 소자 내에서 분리되도록 하는데, 상기 압전기 소자는 진동이 일어날 시, 체결 장치 내의 압전기 소자(4)에 부착된 전극(미도시)에서 교류 전압을 발생시킨다.
도 2는 단면선 A-A를 따라 도 1 에 제시된 회전 전환 장치(R)를 통한 단면도이다. 압전기 전환 장치(4)의 모습은 이 설명에서 생략된다. 체결 장치(1) 및 진동 소자(2)가 보여질 수 있다. 2 개의 리프스프링 홀더(8a 및 8b)에 클램핑되어(clamped), 2 개의 리프스프링(leaf spring)(3)은 그들 사이에서 위치된다.
리프스프링 홀더(8a 및 8b)의 경사진 형상은 진동 소자(2)의 매스(M) 중심을 통하여 나간 선(9)에 의해 나타난 진동 아암을 일으킨다.
도 3은 도 1에서 제시된 회전 전환 장치의 사시도를 제시한다. 압전기 전환 장치(4)의 사다리꼴 형태를 제시하기 위해 특별히 의도되었다. 이 결과로서, 화살표(Z)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진동 경로를 따른 진동 소자의 편위(excursion)는 고르게 분포된 굴곡을 구현한다. 굴곡의 고른 분포는 고르게 분포된 힘에 대해 압정 결정(piezoelectric crystal)을 노출시켜서, 결과적으로 전하가 고르게 분리되어 분포되게 한다. 다음에, 이는 전하가 압정 결정 내에서 오프셋이 아닌 효과를 가진다. 그 결과, 압전기 전환 장치(4)의 효율은 최적화된다. 도 3에서도 명백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압전기 전환 장치(4)는 진동 소자(2)의 슬롯(10) 내에서 억제된다. 이는 진동 이동을 따라, 진동 소자를 가진 압전기 전환 장치(4)를 진동 소자가 어떻게 운반하는지를 제시하여, 이로써 압전기 전환 장치(4)의 편위를 일으킨다. 슬롯(1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는 능력은, 체결 장치의 일단에서 클램핑되는 압정 결정이 그 이동의 방향에 수직한 원심력의 결과로, 진동 소자에 의해 안내된 종단에서 진동 소자로부터 편향되게 노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압전기 소자 결정은 의도된 소기의 방향에서만 편향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시된 회전 전환 장치가 기능할 수 있는 방식을 제시한 것이다. 회전축(R) 주위에서 도는 회전 몸체를 제시한다. 이 원통형 몸체의 표면상의 하나의 점은 1로 표기되어, 체결 장치(1)가 여기에서 묘사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 점으로부터, 진동 아암(9)은 매스(M)의 중심을 통하여 비스듬히 간다. 지금의 매스(M)의 중심은 만곡된 경로, 즉, 연결 소자의 형태에 따른 곡선의 형상을 따라 이동된다.
회전에 의해 여기된(excited) 진동 외에, 회전 전환 장치는 회전 몸체 그 자체의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회전 몸체의 진동 이동의 구성요소는 만곡된 경로의 방향에 있을 필요가 있다.
리프스프링이 연결 소자로서 비스듬히 통합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다시 비스듬하게 배향된 피봇 접근을 가지는 힌지나 조인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진동 소자의 이동이 회전의 축 주위에서 억제되는 경우에서 진동 소자(2)의 매스 중심의 경로는 원이다. 완벽함을 위해서, 상술된 바와 같이 힌지 또는 조인트가 연결 소자로서 사용되고, 추가적인 스프링은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통합될 수 있는 경우에서 설명되어야 한다. 힌지는 트위스트된 바아(bar)의 형태를 구현하여, 그 자체의 복원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이 적합해질 수도 있다.
도 4를 한번 더 고려하면, 매스(M)의 중심 이동은 기준(N)을 가진 표면내에 서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기준(N)은 회전 몸체의 회전축(R)에 대해 각도(α)로 배향된다. 중요한 점은, 이 각도(α)의 크기가 특별한 구성에 따른 관련된 발명은 0 도보다 크고 90 도보다 작다는 점이다. 이 방식만으로, 원심력으로 인해 진동 이동의 전개를 중지할 수 없다.
도 5는 회전 전환 장치를 가지는 회전 몸체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본 도면은 회전 몸체가 휠 림(5)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안한다. 휠 림에 대한 밸브는 밸브 체결부가 회전 중심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전형적으로 위치되어 타이어를 균형잡히도록 한다.
추가적인 체결부가 휠 림에 대해 구현되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 산업 내의 수용을 위해, 회전 전환 장치용 하우징(6)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체결부와 함께 위치된다. 진동 소자의 매스 중심에 의해 기술된 표면에 대한 기준은 회전 축에 대해 얼마나 비스듬히 배향되어야 하는지를 도 4로 제시된다. 이는 진동 아암(9)의 돌출부가 회전 축을 따라 정지하여 정렬되는 것을 의미한다. 밸브 또는 밸브 체결부가 회전 축상에서 수직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밸브 체결부와 함께 하우징(6)을 조립할 시, 회전 전환 장치는 밸브에 의해 오프셋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도 5는 밸브용 개구 뿐만 아니라 진동 소자(2) 및 압전기 전환 장치(4)를 개략적으로 제시한 것인데, 이러한 것들은 회전의 중심에 다시 배열되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하우징은 하우징(6)이 휠 림(5)의 원주에 대해 유지되는 2 개의 접촉점 또는 피트(A)를 가진다. 이는 하우징이 밸브 고정기의 체결점에서 위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 하우징(6)을 가진 회전 전환 장치는 휠 림의 회전 축에 정렬될 수도 있다. 이는 A의 적합한 선택을 통해 또는 밸브의 체결점으로부터의 피트(A) 사이의 거리의 적합한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화살표(X)의 방향으로 체결점(B)으로부터 피트(A)의 거리가 다른 림 직경에 대해 높은 굴곡성(flexibility)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균등하게, 피트(A)는 다른 길이 또는 예를 들면, 나사의 빠짐 및 잠김에 의해 실행되는,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6)이 테이프나 케이블 소자(7)에 의해 휠 림(5)에 고정되는 변화를 최종적으로 제시한다. 이로써, 하우징(6)은 밸브나 밸브 체결부상에서 밀려지게 되고, 이 케이블 소자(7)에 의해 고정된다.

Claims (15)

  1.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1), 진동 소자(2), 연결 소자(3) 및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4)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소자(1)는 상기 회전 전환 장치를 회전 몸체에 고정하기 위해 고안되고, 상기 연결 소자(3)는 상기 체결 소자(1)와 상기 진동 소자(2) 사이의 이동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진동 소자의 이동은 상기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4)를 구동하고,
    상기 체결 소자(1)와 상기 진동 소자(2) 사이의 연결은 상기 진동 소자(2)의 매스(M) 중심이 표면의 주변에서 나타나는 만곡된 경로를 따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면에 대한 기준(N)은 회전축(R)에 대해 90°보다 작고 0°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4)는 압전기 소자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4)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진 굴곡 전환 장치의 형 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4)는 전자기 발생기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는 자기변형 발생기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자(3)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리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자(3)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1)는 상기 회전 전환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6)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림(rim) 주위에서 진행되는 테이프 또는 케이블 소자(7)에 의해 상기 림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은 밸브 체결부(B)에 의해 휠 림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휠 림(5)의 방향성에 맞는 위치에 의해 적어도 2 개의 접촉점(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A)은 상기 밸브 체결부(B)와는 다른 거리에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13. 전기기계식 전환 장치(4)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진동 소자(2)에 의해 구동되고, 그리고 상기 진동 소자는 회전 이동에 의해 정지점(rest point) 주위에서 진동하기 위해 구현되고, 이때 회전 이동은 표면의 주변을 나타내는 만곡된 경로를 따라 안내되고, 상기 표면에 대한 기준(N)은 회전축에 대해 90°보다 작고 0°보다 큰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장치에 의한 전기에너지의 발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소자는 회전 몸체의 회전 이동에 의해 진동하기 위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장치에 의한 전기에너지의 발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 그 자체는 회전 이동의 방향에 있는 그 움직임의 구성요소와 함께 진동하고, 이 구성요소는 상기 진동 소자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장치에 의한 전기에너지의 발생 방법.
KR1020097004632A 2006-08-25 2007-08-09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061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9936.6 2006-08-25
DE102006039936A DE102006039936B4 (de) 2006-08-25 2006-08-25 Elektromechanischer Rotationswandler und Verfahren zum Erzeugen elektrischer Energie mittels eines elektromechanischen Rotationswandlers
PCT/EP2007/058287 WO2008022931A1 (en) 2006-08-25 2007-08-09 Electromechanical rotation converter and a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using an electromechanical rotation conve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502A KR20090037502A (ko) 2009-04-15
KR101061692B1 true KR101061692B1 (ko) 2011-09-01

Family

ID=3852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632A KR101061692B1 (ko) 2006-08-25 2007-08-09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0072B2 (ko)
EP (1) EP2054954B1 (ko)
JP (1) JP5054771B2 (ko)
KR (1) KR101061692B1 (ko)
CN (1) CN101507008B (ko)
DE (2) DE102006039936B4 (ko)
WO (1) WO20080229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108A (ko) 2021-09-25 2023-04-03 최연석 자가발전 IoT를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4563B4 (de) 2006-09-21 2019-02-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adelektronikanordnung mit Energiegenerator
US9680324B2 (en) 2015-03-06 2017-06-13 Ruskin Company Energy harvesting damper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on
US10317099B2 (en) 2015-04-16 2019-06-11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Variable air volume diffuser and method of operation
US10132553B2 (en) 2016-07-05 2018-11-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Drain pan removable without the use of tools
US10704800B2 (en) 2016-09-28 2020-07-07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Tethered control for direct drive motor integrated into damper bla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8419A1 (de) 1997-07-03 1999-02-04 Continental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Umdrehungszahl eines sich um eine Drehachse drehenden Körpers und Körper, der um eine Drehachse drehbar gelagert ist
WO2005062443A1 (de) 2003-12-19 2005-07-07 Enocean Gmbh Auf rotierenden elementen angeordneter energiewandler zur umwandlung von mechanischer in elektrische energi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81336B (it) * 1984-04-03 1987-09-23 Mario Coppola Dispositivo atto a rivelare le variazioni di inclinazione
CN1137194A (zh) * 1995-02-01 1996-12-0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压电体发电装置和具有该发电装置的便携式供电装置及便携式电子仪器
JPH09205781A (ja) * 1995-02-01 1997-08-05 Seiko Epson Corp 圧電体発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電力供給装置、携帯型電子機器
DE19739877C2 (de) * 1997-09-11 2003-04-17 Eurocopter Deutschland Mechanischer Resonator mit variabler Resonanzfrequenz
DE19929341A1 (de) * 1999-06-26 2000-12-28 Abb Research Ltd Anordnung zur drahtlosen Versorgung einer Vielzahl Sensoren und/oder Aktoren mit elektrischer Energie, Sensor oder Aktor hierzu sowie System für eine eine Vielzahl von Sensoren und/oder Aktoren aufweisende Maschine
AU2001260201A1 (en) * 2000-04-18 2001-10-30 Pirelli Pneumatici S.P.A. Piezoelectric generator for sensors inside vehicle tyres
DE10259056A1 (de) * 2002-12-17 2004-09-02 Enocean Gmbh Verfahren der Energieerzeugung für rotierende Teile und damit betriebener Funksensor
US7345372B2 (en) * 2006-03-08 2008-03-18 Perpetuum Ltd.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and method of,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7538445B2 (en) * 2006-05-05 2009-05-26 Sri International Wave powered generation
US7439657B2 (en) * 2006-10-20 2008-10-21 The Boeing Company Broadband energy harve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0817319B1 (ko) * 2006-11-01 2008-03-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동형 기기의 전력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자가발전시스템
KR100837926B1 (ko) * 2006-12-06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전체를 이용하는 전원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8419A1 (de) 1997-07-03 1999-02-04 Continental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Umdrehungszahl eines sich um eine Drehachse drehenden Körpers und Körper, der um eine Drehachse drehbar gelagert ist
WO2005062443A1 (de) 2003-12-19 2005-07-07 Enocean Gmbh Auf rotierenden elementen angeordneter energiewandler zur umwandlung von mechanischer in elektrische energ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108A (ko) 2021-09-25 2023-04-03 최연석 자가발전 IoT를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39936B4 (de) 2011-07-28
CN101507008A (zh) 2009-08-12
EP2054954A1 (en) 2009-05-06
DE602007006207D1 (de) 2010-06-10
WO2008022931A1 (en) 2008-02-28
JP2009545943A (ja) 2009-12-24
KR20090037502A (ko) 2009-04-15
US7830072B2 (en) 2010-11-09
JP5054771B2 (ja) 2012-10-24
CN101507008B (zh) 2012-08-29
DE102006039936A1 (de) 2008-02-28
US20090218915A1 (en) 2009-09-03
EP2054954B1 (en)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692B1 (ko)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기계식 회전 전환 장치 및 방법
US8410667B2 (en) Electrical generators for low-frequency and time-varying rocking and rotary motions
US7504764B2 (en)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for movement type equipment and self-gene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7667376B2 (en) Energy converter arranged on rotating elements and used to convert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 energy
JP4934201B2 (ja) タイヤセンサモジュールのためのエネルギー発生装置
EP2845304B1 (en) Power generation device
CN101310433B (zh) 超声波马达
CN103248269B (zh) 一种基于夹持限位的轮式压电梁发电机
US20090121586A1 (en) Apparatus for transforming inverse piezoelectric effect into rotary mo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forementioned apparatus
CN101297470A (zh) 机电波动装置
JP2015534453A (ja) 機械振動エネルギー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電気機械発電機および方法
JP2020536484A (ja) 圧電駆動ユニット
US20200200215A1 (en) Fractal structure for power-generation of bearing rotating vibration
Hoshina et al. Development of spherical ultrasonic motor as a camera actuator for pipe inspection robot
JPS59188381A (ja) 超音波モータ
CN103493357B (zh) 能量采集器及其矩阵、矩阵系统和模块、轮胎和鞋类
US20200251974A1 (en) Power generating device and tire
KR101854590B1 (ko) 집전 구조체 및 방법
KR101295797B1 (ko) 회전체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JP2003116289A5 (ko)
KR0178735B1 (ko) 2이상의 회전수를 갖는 초음파모터
RU21593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линейного колеб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во вращательное
JP7068680B2 (ja) 発電装置
GB2578321A (en) Apparatus for connection to a load
KR200149142Y1 (ko) 2중구조의 초음파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