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349B1 -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349B1
KR101061349B1 KR1020040117866A KR20040117866A KR101061349B1 KR 101061349 B1 KR101061349 B1 KR 101061349B1 KR 1020040117866 A KR1020040117866 A KR 1020040117866A KR 20040117866 A KR20040117866 A KR 20040117866A KR 101061349 B1 KR101061349 B1 KR 10106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boarding
closing device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279A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4011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34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연동식으로 개폐되는 제1 및 제2 승장 도어를 개폐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장 도어 주변의 정지 부분에 고정되어 승장 도어의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잠금 스위치, 상기 제1 승장 도어가 폐쇄완료 지점에 도달할 때 상기 잠금 스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 스위치가 상기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결합 위치와 상기 잠금 스위치와의 결합이 해제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1 승장 도어의 행거 플레이트에 설치된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회전 경로로부터 이탈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멈춤수단; 그리고 상기 제2 승장 도어가 폐쇄완료 지점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멈춤수단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엘리베이터, 승장, 도어, 폐쇄, 잠금, 가압, 와이어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AN ELEVATOR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를 갖는 승장 도어 조립체의 정면도로서, 한 쌍의 승장 도어가 완전히 닫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
도 2a 및 도 2b는 다른 종래 기술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를 갖는 승장 도어 조립체의 정면도로서, 한 쌍의 승장 도어가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a는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를 갖는 승장 도어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의 스토퍼가 인터록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의 스토퍼가 인터록의 회전경로로부터 이탈된 상태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의 변형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린텔 판넬
20: 행거 레일
30: 인터록
50: 작동부
70, 80: 스토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장 도어가 폐쇄완료 지점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가 발생할 수 없도록 하여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승장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승장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승장 도어 조립체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승장 도어(12, 14)와, 승장 도어(12, 14) 각각에 부착되어 있고 행거 레일(20)에 유지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행거 플레이트(16, 18)를 구비하고 있다.
승장 도어(12, 14)의 개폐 동작을 위해 연결판(16a)이 제1 행거 플레이트(16)와 와이어(22) 상단을 연결하고 있고, 제2 행거 플레이트(18)가 와이어(22)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와이어(22)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승장 도어(12, 1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승장 도어(12, 14)가 닫혀진 상태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그 이동을 잠그기 위해 인터록(30)과 잠금 스위치(26)로 구성되는 도어 잠금 장치가 승장 도어 조립체에 제공된다. 인터록(30)은 제2 행거 플레이트(18)에 설치되고 잠금 스위치(26)는 린텔 판넬(10)에 설치되어 있다.
인터록(30)은 행거 플레이트(18)에 힌지(3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승장 도어(14)가 폐쇄완료 지점에 도달할 때 잠금 스위치(26)의 수용홈(26a) 내부로 결합되는 결합팁(36)을 구비하여 승장 도어의 이동을 잠그는 기능을 한다. 결합팁(36)이 수용홈(26a) 내로 삽입되면 잠금 스위치(26)는 승장 도어(12, 14)의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기로 송출하게 된다.
인터록(30)이 설치된 제2 행거 플레이트 및 승장 도어(14)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구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승장 도어(14) 및 행거 플레이트(18)가 이동하면 와이어(22)가 회전하고 동시에 행거 플레이트(16) 및 승장 도어(12)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도시된 승장 도어 개폐장치에서는 구동 도어인 승장 도어(14)가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이동되어 그 폐쇄위치에 도달하더라도, 예를 들어 와이어의 절단 혹은 다른 문제점에 의해 나머지 승장 도어(12)가 도어 폐쇄위치로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승장 도어(12, 14)의 폐쇄동작이 완료되지 못한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잠금 스위치(26)가 도어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기로 송출하게 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승장 도어 개폐장치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한 쌍의 승장 도어(12, 14)는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의 상태이다.
도시된 종래 기술의 장치는 도 1의 개폐장치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수용홈(28a)을 갖는 제2 잠금 스위치(28)와, 제2 잠금 스위치(28)의 수용홈(28a)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팁(16b)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결합팁(16b)은 행거 플레이트(16)에 부착되어 있고, 승장 도어(12)가 도어 폐쇄지점에 도착할 때 수용홈(28a) 내부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스위치(26)의 수용홈(26a)과 제2 잠금 스위치(28)의 수용홈(28a)에 각각의 결합팁(36, 16a)이 모두 결합된 경우에만 닫힌 회로가 형성되어 비로소 승장 도어(12, 14)의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가 송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장 도어(12) 혹은 승장 도어(14)가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가 송출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설명한 종래 기술의 장치는 고가의 잠금 스위치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생산비가 증가하고 두 개의 잠금 스위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면서 승장 도어의 폐쇄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에서 발생하는 폐쇄동작 완료 신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 연동식으로 개폐되는 제1 및 제2 승장 도어를 개폐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장 도어 주변의 정지 부분에 고정되어 승장 도어의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잠금 스위치, 상기 제1 승장 도어가 폐쇄완료 지점에 도달할 때 상기 잠금 스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 스위치가 상기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결합 위치와 상기 잠금 스위치와의 결합이 해제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1 승장 도어의 행거 플레이트에 설치된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회전 경로로부터 이탈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멈춤수단; 그리고 상기 제2 승장 도어가 폐쇄완료 지점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멈춤수단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승장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대한 보다 명료한 이해를 위해 린텔 판넬(10)로부터 승장 도어(12, 14) 및 행거 플레이트(16, 18), 와이어(22) 등의 부분을 이격시켜 도시하였다.
도시된 승장 도어 조립체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승장 도어(12, 14)와, 승장 도어(12, 14) 각각에 부착되어 있고 행거 레일(20)에 유지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행거 플레이트(16, 1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승장 도어(12, 14)의 개방 및 폐쇄동작은 도시되지 않은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른 바 “와이어 연동식”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와이어의 회전에 따라 일측 승장 도어(14)가 타측 승장 도어(12)를 향해 접근하면 타측 승장 도어(12)도 동시에 일측 승장 도어(14)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승장 도어(14)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승장 도어(12)도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와이어(22)는 일정한 장력을 형성한 채로 한 쌍의 와이어 풀리(24) 주위에 무한궤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와이어 풀리(24)는 린텔 판넬(10)에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2)의 상단 보다 와이어(22)의 하단 부분이 린텔 판넬(10)로부터 보다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승장 도어(12, 14)의 개폐 동작을 위해 연결판(16a)이 제1 행거 플레이트(16)와 와이어(22) 상단을 연결하고 있고, 제2 행거 플레이트(18)가 와이어(22)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와이어(22)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승장 도어(12, 1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승장 도어(12, 14)가 닫혀진 상태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그 이동을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가 또한 승장 도어 조립체에 제공된다. 도어 잠금 장치는 제2 행거 플레이트(18)에 설치된 인터록(30)과 린텔 판넬(10)에 고정된 잠금 스위치 (26)로 구성된다.
인터록(30)은 행거 플레이트(18)에 힌지(3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웨이트(31)의 자중으로 실선 곡선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부착된 연동바(37)가 인터록(30)의 롤러(33)를 실선 직선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가압할 때 실선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18) 및 승장 도어(14)가 이동하여 승장 도어(14)가 도어 폐쇄완료 지점에 도달하면 인터록(30)의 래치(36)는 잠금 스위치(26)의 수용홈(26a) 내부로 삽입 가능하며, 이 때 잠금 스위치(26)는 도어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기로 송출한다.
연동바(37)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으로 이동하여 카 도어가 승장 도어(12, 14)에 정렬될 때 인터록(30)의 롤러(33)와 행거 플레이트(18)의 또 다른 롤러(18a)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카 도어가 구동될 때 롤러(33 혹은 18a)에 접촉하여 제2 승장 도어(14)가 카 도어와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어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인터록(30)이 회전하여 인터록의 래치(36)가 잠금 스위치(26)의 래치 수용부(26a)내로 수용 및 접촉됨으로써 승장 도어(12, 14)의 폐쇄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과정을 기계적으로(mechanically)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는 인터록(30)의 회전을 방해하여 래치(36)가 수용부(26a) 내부로 삽입되 는 것을 막고 승장 도어(12, 14)가 폐쇄완료 지점에 도달할 때 이와 같은 방해 동작을 해제하여 인터록(30)의 래치(36)가 잠금 스위치(26)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100)는 작동부(50)와 스토퍼(70)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부(50)는 와이어(22) 상단 부분에 예를 들면 코킹공정 등에 고정되어 와이어(22)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1 승장 도어(12)가 정해진 폐쇄동작 완료지점에 도달할 때 와이어(22)에 고정된 작동부(50)는 스토퍼(70)를 가압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스토퍼(70)는 추후에 설명할 인터록(30)의 일 부분과 접촉 가능한 위치의 린텔 판넬(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스토퍼(70)의 회전은 탄성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항상 일정한 각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작동부(50)와 스토퍼(7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작동부(50)는 연결부재(52), 볼트(54), 너트(58, 6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52)는 작동부(50)를 와이어(22)에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주 몸체(52c)와, 주 몸체(52c) 양 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하방 연장된 두 개의 날개(52b)와, 주 몸체(52c)의 일 측연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판을 예를 들면 코킹(calking)가공 등에 의해 와이어(22)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되는 고정부(52a)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날개(52b)에는 볼트 수용공(52d)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54)는 볼트 헤드가 두 개의 날개(52b) 사이에 위치되도록 볼트 수용공(52d)을 관통하여 유지되며, 볼트 헤드의 반대쪽에 가압팁(56)을 구비하고 있다. 가압팁(56)은 스토퍼(70)를 가압하는 부분이다. 연결부재(52)와 가압팁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볼트(54)에는 두 개의 너트(58, 60)가 결합되어 있다. 제1 너트(58)는 두 개의 날개(52b)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제2 너트(60)는 날개(52b)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너트(58, 60)의 위치를 조절하여 날개(52b)에 대한 볼트(54)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연결부재(52)로부터 가압팁(56)의 거리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압팁(56)은 고무로 제작되어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팁(56)과 제2 너트(60) 사이에 가압팁(56)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제3 너트(62)를 위치시켜 가압팁(56)이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토퍼(70)는 린텔 판넬(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축부재(72)와, 축부재(72) 하단에 고정된 레버(76)와, 회전된 축부재(72)와 레버(76)를 원래의 각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74)를 포함한다.
축부재(72)는 직경이 작고 린텔 판넬(10)에 고정되는 제1 부분(72a)과 제1 부분(72a) 보다 큰 직경을 갖고 레버(76)에 압입되는 제2 부분(7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76)는 길이가 길고 측면에 가압팁(56)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접촉면을 갖는 피압부(76a)와 피압부(76a)에 비해 길이가 짧고 하면에 인터록(30)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을 갖는 멈춤부(76b)로 구성되어 있다. 피압부(76a)와 멈춤부(76a)는 180도 형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임의의 각도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탄 성부재(74)는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과 같이 외력에 의해 회전변형이 가능하면서도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각 위치로 복귀하는 성질을 가지며 회전된 축부재(72)를 원래의 각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토퍼(70)는 멈춤부(76b)가 인터록(30)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인터록(30)의 회전운동을 방해하는 제1 위치와, 작동부(50)의 가압팁(56)과 피압부(76a) 사이의 접촉에 의해 레버(72)가 회전되어 멈춤부(76b)가 인터록(30)의 상술한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즉, 제1 위치는 승장 도어(12, 14)가 폐쇄완료지점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서 레버(72)는 가압팁(56)과 이격되어 있고 린텔 판넬(10)과 대략 수직으로 만나는 자세를 취한다.
승장 도어(12, 14)가 이동하여 완전한 폐쇄지점에 도달할 때 가압팁(56)은 레버(76)의 피압부(76a)에 접촉하여 스토퍼(70)를 제2 위치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피압부(76a)는 와이어(22)의 이동에 의해 가압팁(56)이 피압부(76a)의 접촉면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2 위치의 스토퍼(70)는 제1 위치로부터 대략 90도 정도 회전한 상태가 되며, 멈춤부(76b)가 인터록(30)의 회전경로에서 이탈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록(30)은 그 회전경로를 따라 회전하여 잠금 스위치(26) 내부로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는 스토퍼(70)가 인터록(30)의 회전을 방해하는 위치에 있는 본 발명 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상태는 작동부(50)가 스토퍼(70)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서, 잠금 스위치(26)를 향한 인터록(30)의 회전이 멈춤부(76b)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멈춤부(76b)는 인터록(30)의 접촉면(38)과 접촉한 상태로 인터록(3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인터록(30)의 래치(36)가 잠금 스위치(26)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잠금 스위치(26)내부의 접점이 서로 연결될 수 없고 잠금 스위치(26)로부터 승장 도어의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가 발생될 수 없다.
도 5에는 승장 도어(12, 14)가 완전한 폐쇄 지점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와이어(22)도 상응하는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와이어(22)에 고정된 작동부(50)의 가압팁(56)이 레버(76)의 피압부(76a)를 가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멈춤부(76b)가 인터록(30)의 회전 경로에서 이탈됨으로써 인터록(30)은 웨이트(31)의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 스위치(26)에 결합하게 된다. 잠금 스위치(26)는 인터록(30)의 래치가 수용되었을 때 승장 도어의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승장 도어가 완전하게 폐쇄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기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를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명령을 내리게 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다른 층으로 이동하면서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연동바(37)가 닫혀진 상태의 승장 도어(12, 14)를 남겨두고 롤러(18a, 33) 사이에서 탈출하게 된다.
승장 도어(12, 14)를 다시 개방하는 과정은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으로 이동 하여 승장 도어(12, 14)에 정렬될 때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연동바(37)가 인터록(30)의 롤러(33) 및 행거 플레이트(18)의 롤러(18a) 사이에 진입하면서 시작된다. 연동바(37)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개방되기 시작하면(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연동바(37)가 직선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롤러(33)와 접촉함으로써 인터록(30)은 웨이트(31)의 자중을 이기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36)가 잠금 스위치(26)의 수용홈(26a)으로부터 분리된다. 계속된 연동바(37)와 롤러(33)의 접촉에 의해 승장 도어(14)가 우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와이어(22)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 와이어(22) 상단에 고정된 작동부(50)가 스토퍼(70)로부터 후퇴함으로써 레버(76)는 제 1 위치로 복귀한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는 회전형 스토퍼(70) 대신 슬라이드형 스토퍼(80)가 사용된다. 스토퍼(80)는 예를 들면 사각형 단면과 같은 폐다각형 단면을 갖는 슬라이더(84)와, 슬라이더(84)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 인터록(30)의 접촉면(38)과 접촉하는 대응 접촉면을 갖는 접촉블록(82)과, 슬라이더(84)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및 안내하는 기능을 하며 린텔 판넬(10)에 고정되는 가이드(86)와, 가압되어 이동된 슬라이더(84)로부터 가압력이 사라지면 슬라이더(8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수단(88)을 포함한다.
도 6a에는 접촉블록(82)에 의해 인터록(30)의 회전이 방해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에는 가압팁(56)과 접촉블록(82)이 아직 접촉하지 않은 즉, 승장 도어(12, 14)가 완전한 폐쇄 지점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 해당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장 도어(12)가 완전한 폐쇄 지점에 도달하면 가압팁(56)은 접촉블록(82)을 가압하고 접촉블록(82)은 전진하여 인터록(30)의 회전경로로부터 이탈한다. 그 결과 인터록(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 스위치(26)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승장 도어 폐쇄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제어기로 송출된다.
본 발명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에 따르면, 와이어 연동식 승장 도어 조립체에서 인터록이 설치되지 않은 승장 도어가 도어 폐쇄 완료 지점까지 도달하지 않은 상황에서 도어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생산비로 구현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6)

  1. 와이어 연동식으로 개폐되는 제1 및 제2 승장 도어를 개폐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장 도어 주변의 정지 부분에 고정되어 승장 도어의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잠금 스위치,
    상기 제1 승장 도어가 폐쇄완료 지점에 도달할 때 상기 잠금 스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 스위치가 상기 폐쇄동작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결합 위치와 상기 잠금 스위치와의 결합이 해제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1 승장 도어의 행거 플레이트에 설치된 잠금 부재,
    상기 잠금 부재의 회전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회전 경로로부터 이탈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멈춤수단; 그리고
    상기 제2 승장 도어가 폐쇄완료 지점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멈춤수단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승장 도어 주변의 정지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재,
    상기 축부재에 고정된 피압부,
    상기 피압부와 일정한 각 위치를 유지하며 상기 축부재에 고정된 멈춤부, 그 리고
    상기 멈춤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회전 경로에 위치하도록 상기 축부재의 각 위치를 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일 단에 고정된 피압부,
    상기 승장 도어 주변의 정지 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피압부가 상기 잠금 부재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회전경로로부터 이탈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 및 안내하는 가이드,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수단
    을 포함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가압 단부를 갖는 가압부재,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승장 도어가 상기 폐쇄완료 지점에 도달할 때 상기 가압 단부가 상기 피압부를 가압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에 고정된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대한 상기 가압 단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코킹가공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장 도어 개폐장치.
KR1020040117866A 2004-12-31 2004-12-31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 KR10106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66A KR101061349B1 (ko) 2004-12-31 2004-12-31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866A KR101061349B1 (ko) 2004-12-31 2004-12-31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279A KR20060078279A (ko) 2006-07-05
KR101061349B1 true KR101061349B1 (ko) 2011-08-31

Family

ID=3717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866A KR101061349B1 (ko) 2004-12-31 2004-12-31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8442A1 (de) * 2008-06-25 2009-12-30 Inventio Ag Aufzugtürsystem mit Kabinentürverriegel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43Y1 (ko) 2002-06-14 2002-10-04 지상열 엘리베이터 인터록 스위치
KR200303308Y1 (ko) 2002-11-21 2003-02-07 지상열 엘리베이터 인터록 스위치
JP2003312968A (ja) 2002-04-17 2003-11-06 Hitachi Ltd かご側ドアーの施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968A (ja) 2002-04-17 2003-11-06 Hitachi Ltd かご側ドアーの施錠装置
KR200290743Y1 (ko) 2002-06-14 2002-10-04 지상열 엘리베이터 인터록 스위치
KR200303308Y1 (ko) 2002-11-21 2003-02-07 지상열 엘리베이터 인터록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279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588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US7252179B2 (en) Elevator-door latching and opening device
RU23731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и блокировки дверей лифта
JP4644125B2 (ja) 伸縮式敷居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アセンブリー
EP1863733B1 (en) Safety lock for elevator landing door detecting intrusion in the shaft through the landing door and elevator thus equipped
US20050218661A1 (en) Motor vehicle lock
KR20100110280A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WO2001048773A1 (fr) Actionneur de commutateur de securite
JP5312449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US6863001B2 (en) Side sliding door apparatus for electric railcar
US20090301821A1 (en) Elevator entrance apparatus
US6659514B2 (en) Swinging elevator hatchway door interlock
CA1268190A (en) Mechanism for opening, closing and locking two leaved doors for cable cars
KR101192049B1 (ko) 록킹 장치
US10501983B2 (en) Electromagnetic door opener
KR101061349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
CN102782236B (zh) 解锁装置
JP3699006B2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6666618B2 (ja) 辷り出し窓の開度設定装置
US4512443A (en) Lift door control apparatus
CN211366632U (zh) 一种三角锁联动装置及电梯
US3991858A (en) Locking device for a door
KR200426905Y1 (ko)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
JP2007076781A (ja) エレベータドアのインターロック解除機構
US5373122A (en) Dual actuator mechanical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