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735B1 -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735B1
KR101059735B1 KR1020110011822A KR20110011822A KR101059735B1 KR 101059735 B1 KR101059735 B1 KR 101059735B1 KR 1020110011822 A KR1020110011822 A KR 1020110011822A KR 20110011822 A KR20110011822 A KR 20110011822A KR 101059735 B1 KR101059735 B1 KR 10105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ed
uneven surface
boundary stone
bur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석재산업
안동석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석재산업, 안동석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석재산업
Priority to KR102011001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to form contours, i.e. curved surfaces, irrespective of the method of working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너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의 표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면을 형성시킬 수 있는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베드(120)와, 상기 베드(120)의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더(130)와, 상기 슬라이더(130)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신축지지부(150)와,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지지부(160)와,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신축지지부(150)의 단부와 고정지지부(160)의 단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신축지지부(150)의 신축정도에 따라 상기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지지각도가 조정되며, 하방으로 통과하는 도로경계석(A)의 표면에 화염을 분사시켜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S)을 형성시키는 버너유닛(140)으로 구성된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지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나선봉(151)과, 상기 제1나선봉과 이격되게 마주하면서 상기 버너유닛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나선봉(152)과, 일단이 상기 제1나선봉의 단부에 정방향으로 나선결합되고 타단이 제2나선봉의 단부에 역방향으로 나선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제1나선봉과 제2나선봉과의 이격정도를 변화시키면서 버너유닛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너트(15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uneven surface for sliding prevention of load boundary stone for safe waking}
본 발명은 도로경계석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너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의 표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면을 형성시킬 수 있는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인도(보도)를 구분하는 경계표시로서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데, 점차적으로 수분 및 마모에 취약한 콘크리트재 대신에 원형 훼손이 거의 없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도로 미관도 살릴 수 있는 석재를 도로경계석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석재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은 자연에서 채취한 울퉁불퉁한 원석을 규격에 맞는 형태로 길이와 폭으로 절단과정을 거쳐 제작되는데,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가 빗길이나 눈길에 미끌어져 다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도로경계석의 상부 표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면(1a)을 형성시킨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1)이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끄럼방지용 요철면(1a)은 초경합금들이 부착된 에어해머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로경계석(1)의 표면을 반복적으로 타격함으로써 도로경계석(1)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을 성형시키는 방식을 통해 가공되고 있다.
따라서, 작업중에 에어헤머로부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작업자에게 지속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신체적인 부작용이 일어날 문제점이 있으며, 타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내내 에어해머를 도로경계석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들어 올려주어야 하므로 작업성 및 정밀성이 매우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로경계석의 전 표면을 일일이 타격하여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을 성형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매우 늦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타격방식을 탈피함으로써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업속도도 크게 향상되도록 한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베드와, 상기 베드의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신축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지지부와,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신축지지부의 단부와 고정지지부의 단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신축지지부의 신축정도에 따라 상기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지지각도가 조정되며, 하방으로 통과하는 도로경계석의 표면에 화염을 분사시켜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을 형성시키는 버너유닛을 구비한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지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나선봉과, 상기 제1나선봉과 이격되게 마주하면서 상기 버너유닛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나선봉과, 일단이 상기 제1나선봉의 단부에 정방향으로 나선결합되고 타단이 제2나선봉의 단부에 역방향으로 나선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제1나선봉과 제2나선봉과의 이격정도를 변화시키면서 버너유닛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버너유닛에 의한 열처리를 통해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을 형성시키므로 종래의 타격을 통한 미끄럼 방지면 형성 방식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 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종래에 비해 작업과정에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되지 않아 작업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각도조절너트를 통해 버너유닛의 경사각도를 매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정밀성도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너유닛의 각도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베드(120)와, 상기 베드(120)의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더(130)와, 상기 슬라이더(13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버너유닛(14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130)는 상기 베드(120)를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드(12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수평레일부(121)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더(13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수평레일부(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평레일부(121)를 따라 활주가 가능하도록 각각 걸림턱(13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30)가 전동방식을 통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30) 내측에는 래크(132)가 설치되고 상기 베드(120)의 내측에는 상기 래크(132)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122)는 상기 베드(120)의 내측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120)의 측단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22)에 구동력을 부여하도록 피니언기어(122)의 회전축과 연결된 정역모터(M)가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정역모터(M)를 구동시키면, 피니언기어(12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맞물린 래크(132)와 함께 슬라이더(130)가 수평레일부(121)를 따라 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로경계석(A)의 크기나 작업영역이 달라질 경우 슬라이더(130)에 설치된 버너유닛(140)의 작업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130)의 상단에는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신축지지부(150)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면에는 고정지지부(160)가 설치된다.
그리고, 버너유닛(14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상기 신축지지부(150)의 단부와 고정지지부(160)의 단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버너유닛(140)은 상기 신축지지부(150)의 신축정도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160)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면서 각도가 조절되며, 하방으로 통과하는 도로경계석(A)의 표면에 화염을 분사시켜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S)을 형성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버너유닛(14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신축지지부(150)와 고정지지부(160)의 단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힌지결합부재(141)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버너유닛(140)의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힌지결합부재(141)는 버너유닛(14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형상의 몸체부를 가지며, 이 몸체부에 관통 체결되는 고정볼트(143)를 통해 버너유닛(140)과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신축지지부(150)는 상기 슬라이더(130)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나선봉(151)과, 상기 제1나선봉(151)과 이격되게 마주하면서 상기 버너유닛(140)의 상부에 설치된 힌지결합부재(141)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나선봉(152)과, 상기 제1나선봉(151)과 제2나선봉(152)을 나선결합을 통해 상호 연결해 주는 각도조절너트(153)로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너트(153)는 일단이 상기 제1나선봉(151)의 단부에 정방향으로 나선결합되고 타단이 제2나선봉(152)의 단부에 역방향으로 나선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각도조절너트(15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나선봉(151)와 제2나선봉(152)이 각도조절너트(153)의 나사산을 타고 이격거리가 증대되도록 각도조절너트(153)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도조절너트(15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나선봉(151)와 제2나선봉(152)이 각도조절너트(153)의 나사산을 타고 이격거리가 축소되도록 각도조절너트(153)의 중앙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각도조절너트(15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나선봉(151)과 제2나선봉(152)와의 이격정도가 변화되면서 버너유닛(140)의 설치각도가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30)의 상단에는 제1나선봉(151)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1힌지브라켓(133)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면에는 버너유닛(140)의 하부에 고정된 힌지결합부재(141)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힌지브라켓(161)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버너유닛(140)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결합부재(141)와 슬라이더(130)의 전면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면에는 버너유닛(140)과의 이격거리를 축소시켜 주기 위한 별도의 지지체(162)가 설치되고, 상기 제2힌지브라켓(161)은 상기 지지체(162)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지지체(162)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상기 힌지결합부재(141)의 길이를 슬라이더(130)의 전면에 이르도록 증대시킬 수도 있으나, 이는 상기 힌지결합부재(141)의 강도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어진 본 발명은 작업자가 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각도조절너트(153)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버너유닛(140)의 상부에 인장력 또는 견인력이 부여되면서 버너유닛(140)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즉,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버너유닛(140)의 상부에 인장력이 부여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버너유닛(140)이 회전되고, 견인력이 부여될 때에는 시계방향으로 버너유닛(14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버너유닛(140)의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버너유닛(14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힌지결합부재(141)에 조임볼트(144)와 너트(145)를 체결하여 버너유닛(14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버너유닛(140)의 경사각도는 도로경계석(A) 원석의 두께나 재질 및 표면상태에 따라 가해지는 화염의 각도 및 높이를 달리하기 위해 적절히 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상기 각도조절너트(153)의 회전정도를 조절하여 버너유닛(140)의 경사각도를 조절해 가면서 대차(B)를 통해 버너유닛(140)의 아래로 통과하는 도로경계석(A) 원석의 표면에 화염을 가해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S)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각도조절너트(153)를 통해 버너유닛(140)의 경사각도를 매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열처리를 통해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S)을 형성시키는 특성상, 타격을 통한 종래의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S) 형성 방식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 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10...지주 120...베드
122...피니언기어 130...슬라이더
132...래크 140...버너유닛
150...신축지지부 160...고정지지부
151...제1나선봉 152...제2나선봉
153...각도조절너트 A...도로경계석
M...정역모터

Claims (3)

  1.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베드와, 상기 베드의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신축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지지부와,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신축지지부의 단부와 고정지지부의 단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신축지지부의 신축정도에 따라 상기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지지각도가 조정되며, 하방으로 통과하는 도로경계석의 표면에 화염을 분사시켜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을 형성시키는 버너유닛을 구비한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지지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나선봉과, 상기 제1나선봉과 이격되게 마주하면서 상기 버너유닛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나선봉과, 일단이 상기 제1나선봉의 단부에 정방향으로 나선결합되고 타단이 제2나선봉의 단부에 역방향으로 나선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제1나선봉과 제2나선봉과의 이격정도를 변화시키면서 버너유닛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에 설치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상기 베드의 내측을 가로질러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정역모터를 통해 상기 베드를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KR1020110011822A 2011-02-10 2011-02-10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KR10105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22A KR101059735B1 (ko) 2011-02-10 2011-02-10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22A KR101059735B1 (ko) 2011-02-10 2011-02-10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735B1 true KR101059735B1 (ko) 2011-08-26

Family

ID=4493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22A KR101059735B1 (ko) 2011-02-10 2011-02-10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934B1 (ko) 2019-07-08 2020-01-29 김민아 슬라이딩 방지 구조를 형성하는 연석 가공 시스템
CN112677352A (zh) * 2021-01-26 2021-04-20 泉州市丰泽诗秦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材喷烧的输送设备及工作流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34B1 (ko) 2001-06-19 2004-05-27 남광토건 주식회사 바닥절단기
KR100680824B1 (ko) 2005-04-21 2007-02-15 황동선 도로경계석 절삭방법과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0719880B1 (ko) 2006-04-25 2007-05-18 신영덕 입체적 형상의 석재물 표면 가공장치
KR100947069B1 (ko) * 2009-07-20 2010-03-23 김인순 석판재용 요철형성장치의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34B1 (ko) 2001-06-19 2004-05-27 남광토건 주식회사 바닥절단기
KR100680824B1 (ko) 2005-04-21 2007-02-15 황동선 도로경계석 절삭방법과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0719880B1 (ko) 2006-04-25 2007-05-18 신영덕 입체적 형상의 석재물 표면 가공장치
KR100947069B1 (ko) * 2009-07-20 2010-03-23 김인순 석판재용 요철형성장치의 분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934B1 (ko) 2019-07-08 2020-01-29 김민아 슬라이딩 방지 구조를 형성하는 연석 가공 시스템
CN112677352A (zh) * 2021-01-26 2021-04-20 泉州市丰泽诗秦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材喷烧的输送设备及工作流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731B1 (ko) 이형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KR101059735B1 (ko)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KR101262235B1 (ko) 천연석재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도로경계석의 절단가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621016B1 (ko) 수리가 용이한 가로등 및 신호등 지주
KR100794379B1 (ko) 보도블럭 절단장치
US3450011A (en) Concrete finishing machine
CN108374309A (zh) 一种具有后置模具机构的滑模摊铺机
CN213439146U (zh) 一种用于铝型材弧面的喷砂装置
KR200476057Y1 (ko) 자동 미장장치
KR101059734B1 (ko) 도로경계석 제작용 경사절단기
KR101304679B1 (ko) 선박 건조용 반목 파쇄장치
JP6820187B2 (ja) 切断装置
CN104929130A (zh) 高陡坡轨道牵引式混凝土滑模调整装置
KR100780296B1 (ko) 석재가공방법 및 장치
CN203695826U (zh) 竖向钢筋切割机
CN100588490C (zh) 一种钢板弧直两用坡口加工切割机
CN218970656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的模板支护结构
CN219547700U (zh) 一种简易连续切缝机
CN213951788U (zh) Crtsⅲ型轨道板自动精调机的导向装置及自动精调机
CN221094797U (zh) 一种具有方便携带的道路裂缝辅助装置
CN218436516U (zh) 一种道路路缘石靠背施工装置
CN204530201U (zh) 一种烧毛机用高精度烧毛机火口调节装置
CN114393717B (zh) 一种天然岩石切割装置
CN216379175U (zh) 一种用于拱桥拱肋的自行爬升脚手架装置
CN218989835U (zh) 一种路面裂缝修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