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739B1 -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 Google Patents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739B1
KR101058739B1 KR1020100125373A KR20100125373A KR101058739B1 KR 101058739 B1 KR101058739 B1 KR 101058739B1 KR 1020100125373 A KR1020100125373 A KR 1020100125373A KR 20100125373 A KR20100125373 A KR 20100125373A KR 101058739 B1 KR101058739 B1 KR 10105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impeller
compressed air
housing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원
류승협
정건화
이준호
최성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02Gas passages between engine outlet and pump drive, e.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냉각기를 지난 일부 압축공기를 임펠러 및 터빈의 후면과 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를 향해 공급하여 줌으로서 임펠러와 터빈뿐만 아니라 하우징과 임펠러 및 터빈 사이에 개재되는 각종 지지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급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터빈실로 도입된 기관의 배기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압축실의 임펠러를 구동시켜 급기를 압축시키고, 압축공기를 기관으로 보급하기 전 냉각기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기관으로 보급시키는 과급기에 있어서; 임펠러의 후면 공간부 및 터빈의 후면 공간부를 향해 냉각기를 지난 일부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시키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한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Turbocharger having high yield stress of components}
본 발명은 디젤엔진용 과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펠러를 포함한 압축실 내부 부품 및 터빈 블레이드를 포함한 터빈실 내부 부품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고 높은 열로 인한 베어링의 손상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과급기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발전 장치 등과 같이 고출력이 요구되는 디젤 기관(엔진)에서는 구심(방사형) 터빈을 이용한 과급기 및 축류 터빈을 이용한 배기 터빈 과급기(이하 '과급기'라 칭함) 2종류를 출력별로 채용되고 있다.(엔진출력이 약 5,000kW급 이하인 낮은 출력에서는 구심(방사형) 터빈을 적용하고, 엔진출력이 약 5,000kW급 이상인 높은 출력에서는 축류터빈을 적용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과급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과급기의 압축실 및 터빈실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과급기는, 기관(E)으로부터 배출된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터빈실(2)의 입구로 이동하여 터빈(21)을 회전시키며 이와 동시 터빈(21)과 동일 회전축(3)으로 연결된 압축실(1)의 임펠러(11)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결국 임펠러(11)를 지나 디퓨져(12)를 거침으로서 기관(E)측을 향해 고밀도로 압축된 압축공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 이러한 과급기를 통해 압축된 압축공기는 고온이기 때문에 밀도가 내려가므로, 별도의 냉각기(5:inter cooler)를 통해 고온의 압축공기를 냉각시키고 압축공기 탱크(6)에 저장단계를 거친 다음 기관(E)으로 보급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냉각기(5)를 거치며 고온의 압축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 보다 고밀도의 압축공기를 형성하여 기관(E)의 출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과급기는 압축실을 향하는 급기는 임펠러(11)를 지나며 압축되고 임펠러(11) 출구(13)에서 디퓨져(12)를 지나는 과정에서 일부 압축공기가 임펠러(11)의 출구(13)측 둘레를 지지하는 미케니컬 실(101)을 통하여 임펠러(11)의 후면 공간부(A)로 배출되어 대기로 빠져나가는 손실이 발생된다.
이렇게 임펠러(11)의 후면 공간부(A)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임펠러(11)의 후면 공간부(A)와 접하는 임펠러의 후면(11a)의 온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임펠러(11)의 재료적인 항복응력을 저하시켜 결국 고압축비 실현에 필요한 회전수증가의 장애요소로 작용하였다.
또, 이렇게 임펠러(11)의 후면 공간부(A)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대기로 빠져나가는 이동 중 임펠러(11)의 출구(13)측 둘레에 설치되는 미케니컬 실(101)과, 터빈(21)과 연결되는 회전축(3), 및 이 회전축(3)에 설치되는 미케니컬 실(103)에 접촉하게 되어 이러한 부품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되었다.
또, 임펠러(11) 후면 공간부(A)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임펠러(11)를 지나는 과정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상태(3.5bar)를 이루게 됨으로서, 상대적으로 저압의 급기가 유입되는 임펠러(11)의 전면 쪽을 향하여 강한 추력(도 2의 'B'방향)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터빈(21)과 회전축(3) 연결된 임펠러(11)의 강한 추력발생으로 인하여 내부 부품의 내구성을 더욱 더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마찬가지 고온의 배기가스를 다루는 터빈실(2)의 경우에도 터빈(21)의 후면 공간부(B)로 배출되는 일부 고온의 배기가스로 인하여 터빈(21)의 후면(21a) 온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터빈(21)의 재료적인 항복응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 이렇게 터빈(21)의 후면 공간부(B)로 유입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는 대기로 빠져나가는 이동 중 터빈(21) 및 회전축(3) 상에 설치되는 각종 베어링에 접촉하게 되어 이러한 부품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터빈실(2)을 지나는 고온의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고압 상태의 배기가스가 터빈의 후면 공간부(B)로 유입되고 터빈(21)을 지난 전면 쪽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저압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터빈(21)의 전면 쪽을 향하여 강한 추력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추력발생으로 인하여 회전축을 지지하는 내부 부품의 내구성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기를 지난 일부 압축공기를 임펠러 및 터빈 각 후면과 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를 향해 공급하여 줌으로서, 압축실의 임펠러, 터빈실의 터빈(블레이드, 디스크)에 대한 재료항복응력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임펠러 혹은 터빈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각종 지지부품의 재료항복응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과급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빈실로 도입된 기관의 배기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압축실의 임펠러를 구동시켜 급기를 압축시키고, 압축공기를 기관으로 보급하기 전 냉각기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기관으로 보급시키는 과급기에 있어서,
압축실의 하우징과 하우징을 대향하는 임펠러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A)와, 터빈실의 하우징과 하우징을 대향하는 터빈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B)를 향하여 상기 냉각기를 지난 일부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시키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급관의 출구는 하우징으로부터 임펠러 및 터빈의 후면 끝단 둘레를 각각 지지하는 미케니컬 실(mechanical seal)의 일측에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상기 냉각기의 출구와 미케니컬 실의 둘레 일측을 연결하는 주관과; 상기 주관과 연결되어 미케니컬 실의 둘레를 따라 이어지는 링형 공급통로; 및 상기 링형 공급통로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균등 결합되어 미케니컬 실의 안쪽을 향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분배구들;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은, 홀(hole)가공에 의하여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임펠러 및 터빈의 후면 공간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냉각기의 출구 전체량(100%)에 대하여 1% 이내를 유지하도록 함을 권장한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냉각기를 지나 일정온도로 냉각된 압축공기를 임펠러 및 터빈의 후면 공간부로 공급하여 줌으로서, 후면 공간부를 접하고 있는 임펠러 및 터빈의 후면에 대한 재료의 항복응력을 높일 수 있어 임펠러 및 터빈의 회전수를 증대시킬 수 있어 고 압축비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이는 종래와 동일 사양의 과급기에 설치 구성될 경우에는 종래 과급기에 비하여 보다 높은 고 압축비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고, 종래의 임펠러보다 작은 사양의 임펠러를 이용하더라도 종래 과급기와 동일한 압축비를 구현할 수 있어 부품의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함께 가진다.
또, 본 발명은 냉각된 압축공기가 미케니컬 실과, 후면 공간부 및 회전축을 따라 대기로 빠져나가는 흐름구조를 이룸으로서, 임펠러 및 터빈뿐만 아니라 냉각된 압축공기의 흐름상에 위치하는 지지부품 재료의 항복응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냉각기를 통하여 비교적 저압으로 낮아진 압축공기를 임펠러 및 터빈의 후면 공간부로 공급하여 줌으로서, 임펠러 혹은 터빈을 중심으로 그 전, 후면부에 작용하는 압력차를 줄일 수 있어, 임펠러 및 터빈의 전면 쪽을 향하는 추력 저하로 인하여 회전축을 포함한 지지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과급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압축실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종래 터빈실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과급기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과급기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의 설치 상태를 보이기 위한 압축실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의 설치 상태를 보이기 위한 터빈실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급관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과급기(축류터빈 적용)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과급기(구심터빈 적용)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축실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빈실(구심터빈)의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제시된 터빈의 종류(축류터빈, 구심터빈)와는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적용되는 터빈의 종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빈실(2)로 도입된 기관(E)의 배기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압축실(1)의 임펠러(11)를 구동시켜 급기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공기를 기관(E)으로 보급하기 전 냉각기(5)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일정온도로 냉각시켜 보급시키는 공지의 과급기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5)를 지난 일부 압축공기를 임펠러(11) 및 터빈(21)의 후면(회전축과 연결되는 일면) 공간부(A)(B)를 향해 각각 공급함으로서, 공간부(A)(B)를 공동으로 하는 임펠러(11), 터빈(21)뿐만 아니라, 냉각된 압축공기에 노출되는 미케니컬 실(101)(102),(103)(104) 등과 같은 회전축(3)의 각종 지지부품에 대한 재료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1)의 후면 공간부(A) 및 터빈(21)의 후면 공간부(B)를 행해 냉각기(5)를 지난 일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5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공급관(50)은, 임펠러(11)를 지지하는 하우징(9)과 이 하우징(9)을 대향하는 임펠러(11)의 후면(11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A)를 향해 냉각기(5)를 지난 일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급관(51)과; 터빈(21)을 지지하는 하우징(9)과 이 하우징(9)을 대향하는 터빈(21)의 후면(21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B)를 향해 상기 냉각기(5)를 지난 일부 압축공기를 공급시키는 제2공급관(5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임펠러(11) 후면 공간부(A)를 향해 냉각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실에 관하여 살펴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1)의 후면 공간부(A)는, 임펠러(11)의 후면(11a) 끝단과 하우징(9) 사이에 개재되는 미케니컬 실(mechanical seal)(101)을 통하여 급기를 압축시키는 임펠러(11)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기(5)의 출구로부터 임펠러(11)의 후면 공간부(A)를 향해 이어지는 제1공급관(51)의 출구(503)는 미케니컬 실(101)에 설치 구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공급관(51)을 통하여 임펠러(11)의 후면 공간부(A)를 향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냉각기(5)를 거쳐 일정온도로 냉각된 압축공기인 것으로, 제1공급관(51)의 입구는 냉각기(5)의 출구 혹은 냉각기(5)와 기관(E)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공기 탱크(6)에 결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 터빈(21) 후면 공간부(B)를 향해 냉각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터빈실(터빈 종류는 무시)에 관하여 살펴보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21)의 후면 공간부(B)는, 터빈(21)의 후면(21a) 끝단과 하우징(9) 사이에 개재되는 미케니컬 실(mechanical seal)(102)을 통하여 터빈(21)의 전면 배기가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전술한 제1공급관과 마찬가지, 상기 냉각기(5)의 출구로부터 터빈(21)의 후면 공간부(B)를 향해 이어지는 제2공급관(52)의 출구(503)는 미케니컬 실(102)에 설치 구성하도록 한다.
전술한 제1공급관과 마찬가지, 여기서 제2공급관(52)을 통하여 터빈(21)의 후면 공간부(B)를 향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냉각기(5)를 거쳐 일정온도로 냉각된 압축공기인 것으로, 제2공급관(51)의 입구는 냉각기(5)의 출구 혹은 냉각기(5)와 기관(E)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공기 탱크(6)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공급관(51) 및 제2공급관(52)은 도시된 바와 달리 상호 독립적으로 설치 구성될 수 있으며, 혹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기(5)의 출구 혹은 냉각기(5)와 기관(E)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공기 탱크(6)에 결합되는 공급관(50)에서 제1공급관(51)과 제2공급관(52)으로 분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일반적으로 상기 미케니컬 실(101)(102)은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패킹장치의 하나로서, 기본적으로 회전체(임펠러(11))에 결합되는 플롯시트(float seat)와, 고정체(하우징(9))에 탄성 지지되는 실링(sealing)을 포함하며, 상기 플롯시트의 돌출부가 실링과 상대 접촉되어 미끄럼 마찰운동을 구현하는 동시 기밀성과 액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플롯시트와 실링을 다수로 적층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미케니컬 실(101)(102)은 작동 중에 미끄럼마찰이 발생하므로 플롯시트의 돌출부와 실링과의 마찰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고 미케니컬 실(101)(102)의 안쪽(공기)과 바깥쪽(오일)의 온도차에 의해 열 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열 변형 거동에 의해 특정 부분에 접촉 응력을 집중시켜 마멸이 발생되므로 결국 미케니컬 실(101)(102)의 밀봉성능을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공급관(50)의 출구(503)를 이러한 미케니컬 실(101)(102)에 설치 구성함으로서, 냉각된 압축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미케니컬 실의 항복응력을 높이고 이로부터 전술한 미케니컬 실의 성능저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급관(50)의 출구(503)의 분사방향은 상기 미케니컬 실(101)(102)의 플롯시트와 실링의 접촉부를 향하도록 함이 좋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급관의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급관(50)은 냉각기(5)의 출구와 미케니컬 실(101)(102)의 둘레 일측을 연결하는 주관(501)과; 이 주관(501)으로부터 연장되어 미케니컬 실(101)(102)의 둘레를 따라 이어지는 링형 공급통로(502); 및 이 링형 공급통로(502)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균등 결합되어 미케니컬 실(101)(102)의 안쪽 접촉부를 향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분배구(503")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서 미케니컬 실(101)(102)의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균등 배치된 분배구(503")을 통하여 미케니컬 실(101)(102)의 안쪽 접촉부를 향해 냉각된 압축공기를 신속하고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한 공급관(50)은, 홀(hole)가공에 의하여 하우징(9)에 일체로 가공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과급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각기(5)를 지난 압축공기는 3.0bar 정도의 압력을 형성하며, 이에 반해 임펠러 출구(13)를 지나는 압축공기는 3.5bar 정도로 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게 되는 바, 제1공급관(51)을 통하여 미케니컬 실(101)의 안쪽으로 공급되는 냉각된 압축공기는 임펠러 출구(13)를 향해 압축실로 역류됨이 없이 임펠러(11)의 후면 공간부(A)를 채우고, 이후 회전축(3)과 하우징(9) 사이에 개재된 미케니컬 실(103)을 지나 대기로 빠져나가는 흐름을 보이게 된다.
마찬가지, 냉각기(5)를 지난 압축공기가 제2공급관(52)을 통하여 미케니컬 실(102)의 안쪽으로 공급되는 냉각된 압축공기는 터빈실로 역류됨이 없이 터빈(21)의 후면 공간부(B)를 채우고, 이후 회전축(3)과 하우징(9) 사이에 개재된 미케니컬 실(104)을 지나 대기로 빠져나가는 흐름을 보이게 된다.
이렇게 냉각된 압축공기가 대기로 빠져나감에 따라 기관(E)으로 보급되는 압축공기의 절대량의 감소로 여겨질 수 있으나, 종래와 같이 임펠러 및 터빈을 지난 압축공기나 배기가스가 미케니컬 실(101)(102)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기관(E)으로 보급되는 압축공기의 전체 절대량 측면을 고려하면 종래 보다 높은 효율을 만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기관(E)으로 보급되는 압축공기의 절대량 측면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1 및 제2공급관(51)(52)을 통하여 임펠러(11) 및 터빈(21)의 후면 공간부(A)(B)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냉각기(5)의 출구를 지나는 전체량(100%)에 대하여 1% 이내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기(5)를 지나 일정온도로 냉각된 압축공기를 임펠러(11) 및 터빈(21)의 후면 공간부(A)(B)로 공급하여 줌으로서, 공간부(A)(B)를 접하고 있는 임펠러(11) 및 터빈(21)의 후면(11a)(21a)에 대한 재료의 항복응력을 높일 수 있어 임펠러(11) 및 터빈(21)의 회전수를 증대시켜 고 압축비 구현이 가능하다.
이는 종래와 동일 사양의 과급기에 설치 구성될 경우에는 종래 임펠러 및 터빈에 비하여 보다 높은 고 압축비의 구현이 가능하고, 한편으로 종래의 임펠러 및 터빈보다 작은 사양의 임펠러 혹은 터빈을 이용하더라도 결과적으로 동일한 압축비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공급관(51)(52)을 통하여 냉각된 압축공기의 공급 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미케니컬 실(101)(102)과, 이후 후면 공간부(A)(B)에 채워진 냉각된 압축공기와 후면(11a)(21a)이 밀착되는 임펠러(11)와 터빈(21), 이후 냉각된 압축공기가 빠져나가는 라인 상에 배치된 회전축(3) 및 미케니컬 실(103)(104)에 대한 부품의 재료항복응력을 모두 높일 수 있어 전반적인 과급기의 기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종래는 임펠러 출구를 지나는 비교적 고온(200℃), 고압(3.5bar)의 압축공기가 미케니컬 실(101)을 지나 후면 공간부(A)로 유입되어 공간부(A)에도 동일한 압력(3.5bar)상태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냉각기를 지나온 비교적 저온(45℃), 저압(3.0bar)의 냉각된 압축공기를 후면 공간부(A)에 공급함으로서, 임펠러(11)을 중심으로 전면(압력일정)과 후면(종래:3.5bar/본 발명:3.0bar)에 작용하는 압력차를 줄일 수 있어, 임펠러(11)의 전면을 향하는 추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찬가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터빈(21)의 전면을 향하는 추력도 함께 줄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임펠러(11) 및 터빈(21)의 축 방향 추력저하는 임펠러(11), 터빈(21) 및 회전축(3)을 지지하는 각종 부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압축실 (2) : 터빈실
(3) : 회전축 (5) : 냉각기
(6) : 압축공기 탱크 (9) : 하우징
(11) : 임펠러 (11a) : (임펠러) 후면
(21) : 터빈 (21a) : (터빈) 후면
(50) : 공급관 (51) : 제1공급관
(52) :제2공급관 (501) : 주관
(502) : 링형 공급통로 (503) :(공급관) 출구
(503") : 분배구 (A),(B) : 공간부
(101),(102),(103),(104) : 미케니컬 실

Claims (4)

  1. 터빈실로 도입된 기관의 배기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압축실의 임펠러를 구동시켜 급기를 압축시키고, 압축공기를 기관으로 보급하기 전 냉각기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기관으로 보급시키는 과급기에 있어서,
    압축실의 하우징(9)과 하우징을 대향하는 임펠러(11)의 후면(11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A)와, 터빈실의 하우징(9)과 하우징을 대향하는 터빈(21)의 후면(21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B)를 향하여 상기 냉각기(5)를 지난 일부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시키는 공급관(50)을 구성하되,
    상기 공급관(50)은, 상기 냉각기의 출구와 하우징(9)으로부터 임펠러(11) 및 터빈(21)의 후면 끝단 둘레를 각각 지지하는 미케니컬 실(101)(102)의 둘레 일측을 연결하는 주관(501)과, 상기 주관과 연결되어 미케니컬 실(101)(102)의 둘레를 따라 이어지는 링형 공급통로(502), 및 상기 링형 공급통로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균등 결합되어 미케니컬 실(101)(102)의 안쪽을 향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분배구(503")들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50)은, 홀(hole)가공에 의하여 하우징(9)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50)을 통하여 임펠러(11) 및 터빈(21)의 후면 공간부(A)(B)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냉각기(5)의 출구 전체량(100%)에 대하여 1% 이내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KR1020100125373A 2010-12-09 2010-12-09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KR10105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373A KR101058739B1 (ko) 2010-12-09 2010-12-09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373A KR101058739B1 (ko) 2010-12-09 2010-12-09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739B1 true KR101058739B1 (ko) 2011-08-22

Family

ID=4493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373A KR101058739B1 (ko) 2010-12-09 2010-12-09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73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8240B2 (ja) 羽根車およびターボチャージャー
JP6746335B2 (ja) ターボ機械のためのヒートパイプ温度管理システム
US8172512B2 (en) Accessory gearbox system with compressor driven seal air supply
JP5016682B2 (ja) 流体フロー機関
US8152450B1 (en) Floating air seal for a turbine
RU2579428C2 (ru) Эллиптическое уплотнение
US8215645B1 (en) Floating air seal for a turbo machine
JP5411233B2 (ja) 軸流コンプレッサおよびそれに関連した作動方法
WO2014087966A1 (ja) 遠心圧縮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過給機ならびに遠心圧縮機の運転方法
KR100607424B1 (ko) 터보기계의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형성된 방사상간극에서의 유동을 간접냉각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243299A (ja) ターボチャージャ
JP2016196885A (ja) ターボ機械のホイール及びバケットのためのヒートパイプ温度管理システム
KR101382309B1 (ko) 터보 차저용 베어링
JP2005163641A (ja) ターボチャージャ
JP2013253519A (ja) 可変ノズルユニット及び可変容量型過給機
US7037067B2 (en) Gas turbine engine
KR101058739B1 (ko) 부품의 항복응력을 향상시킨 과급기
JP5747403B2 (ja) ターボ回転機械及びその運転方法
CN1258648C (zh) 涡轮增压器压缩机转子和定子间的径向隙缝中气流的冷却方法和装置
JP4909113B2 (ja) 蒸気タービン車室構造
RU2664750C2 (ru) Турбомашина с уплотнением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рабочей среды и охлаждающей среды турбомашины и применение турбомашины
JPS5970830A (ja) タ−ボ過給機
CN115370591A (zh) 增压抽吸冷却式气浮离心空压机及工作方法
KR100923186B1 (ko) 전동기 부착 과급기
JP2016148344A (ja) 可変ノズルユニット及び可変容量型過給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