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450B1 - 비행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비행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450B1
KR101058450B1 KR1020090049014A KR20090049014A KR101058450B1 KR 101058450 B1 KR101058450 B1 KR 101058450B1 KR 1020090049014 A KR1020090049014 A KR 1020090049014A KR 20090049014 A KR20090049014 A KR 20090049014A KR 101058450 B1 KR101058450 B1 KR 10105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ght
flying
flying body
wing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364A (ko
Inventor
강인석
Original Assignee
강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석 filed Critical 강인석
Priority to KR102009004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45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6Ring or disc tossing games, e.g. quoits; Throwing or tossing games, e.g. using balls; Games for manually rolling balls, e.g. mar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1Special aerodynamic features, e.g. airfoil shapes, wings or air pa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간편하게 비행놀이를 즐길 수 있고 선회비행으로 인해 흥미를 더할 수 있도록, 둥글고 납작한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비행몸체와, 비행몸체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행 놀이기구를 제공한다.
플라잉디스크, 플라잉링, 원반, 비행, 놀이, 회전, 선회, 날개깃

Description

비행 놀이기구 {Flying Playing Utensil}
본 발명은 비행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쉽고 간편하게 비행놀이를 즐길 수 있고 곡선형의 선회비행이 가능함으로 인해 호기심을 자극하고 흥미를 더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의 비행 놀이나 레포츠, 게임 등을 즐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비행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인 또는 소수의 인원이 비교적 적은 비용을 들여 간편하고 유익하게 놀이나 게임, 레포츠 등을 즐길 수 있는 기구가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공중에 날리면서 놀이나 게임, 레포츠 등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든 기구(이하 '비행 놀이기구'라고 함)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상기 비행 놀이기구 중에는 원반(disk)처럼 생긴 물체를 공중에 날리면서 놀이나 게임, 레포츠 등을 즐기는 되며, 이 때 사용하는 기구를 일명 '플라잉디스크(flyingdisk 또는 flyingdisc)'라 칭한다.
한편, 상기 플라잉디스크과 유사한 비행 놀이기구로서는 도우넛처럼 가운데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으로서 일명 '플라잉링(flyingring)'이 있다.
상기 플라잉링은 상기 플라잉디스크와는 다르게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으므 로 비교적 멀리 비행이 가능하고 새롭고 다양한 방식의 게임이나 놀이, 레포츠 등을 즐기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플라잉링은 주로 직선비행에 가깝게 비행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식상함을 느끼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보다 흥미를 더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비행 놀이기구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링형상의 몸체에 복수의 날개깃과 통풍구멍이 구비되는 것에 의하여 선회비행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흥미를 더 할 수 있으며 새로운 방식의 비행 놀이나 게임, 레포츠 등을 즐기며 개발하는 것이 가능한 비행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행 놀이기구는 둥글고 납작한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비행몸체와, 상기 비행몸체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행몸체는 내측 모서리 둘레를 이루는 한쪽 끝부분 모서리에서 상향으로 경사지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깃이 위치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서 하부쪽으로 원호형상으로 굽어지며 연장 형성되는 마감부로 구성한다.
상기 경사부의 날개깃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복수의 통풍구멍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한다.
상기 날개깃은 상기 통풍구멍의 한쪽 모서리에서 판형상을 이루며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에 의하면, 링형상의 둥글납작한 비행몸체에 복수의 날개깃과 통풍구멍이 구비되는 것에 의하여 비행시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며 회전중심축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므로 곡선형으로 둥글게 꺾이며 비행하는 선회비행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흥미를 더할 수 있으며 새롭고 다양한 방식의 비행놀이나 게임, 레포츠 등을 즐기며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둥글고 납작한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비행몸체(10)와, 복수의 날개깃(20)과, 복수의 통풍구멍(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행몸체(10)는 내측 모서리 둘레를 이루는 한쪽 끝부분 모서리에서 상향으로 경사지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이퍼형상의 경사부(12)와 상기 경사부(12)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서 하부쪽으로 원호형상으로 굽어지며 연장 형성되는 마감부(16)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부(12)에는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날개깃(20)이 형성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2)에는 상기 날개깃(20)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통풍구멍(2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날개깃(20)은 상기 통풍구멍(22)의 한쪽 모서리에서 판형상을 이루며 하향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상기 비행몸체(10)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형성된다.
상기에서 날개깃(20)은 상기 통풍구멍(2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통풍구멍(22)의 형상은 상기 날개깃(2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비행몸체(1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16) 끝부분 모서리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18)를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18)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비행몸체(10)를 꽃모양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미적 우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중을 향하여 투척하여 비행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중에서 회전(자전)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일정거리 비행한 후에는 곡선을 그리며 선회비행이 가능하게 되므로 재미와 흥미를 고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다른 실시예는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날개깃(20)이 상기 통풍구멍(22)의 한쪽 모서리에서 판형상을 이루며 상향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형상의 비행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비행 놀이를 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놀이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Claims (6)

  1. 둥글고 납작한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비행몸체와,
    상기 비행몸체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깃을 포함하는 비행 놀이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행몸체의 상기 날개깃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통풍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깃은 상기 통풍구멍의 한쪽 모서리에서 판형상을 이루며 하향 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여 형성하는 비행 놀이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깃은 상기 통풍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비행 놀이기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몸체는 내측 모서리 둘레를 이루는 한쪽 끝부분 모서리에서 상향으로 경사지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이퍼형상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서 하부쪽으로 원호형상으로 굽어지며 연장 형성되는 마감부로 구성하는 비행 놀이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행몸체의 마감부 끝부분 모서리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록하게 돌출되며 연장되는 돌기부를 더 형성하는 비행 놀이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행몸체는 내측 모서리 둘레를 이루는 한쪽 끝부분 모서리에서 상향으로 경사지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이퍼형상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서 하부쪽으로 원호형상으로 굽어지며 연장 형성되는 마감부로 구성하고,
    상기 비행몸체의 상기 날개깃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통풍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깃은 상기 통풍구멍의 한쪽 모서리에서 상기 통풍구멍에 대응하는 판형상을 이루며 하향 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하는 비행 놀이기구.
KR1020090049014A 2009-06-03 2009-06-03 비행 놀이기구 KR10105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014A KR101058450B1 (ko) 2009-06-03 2009-06-03 비행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014A KR101058450B1 (ko) 2009-06-03 2009-06-03 비행 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364A KR20100130364A (ko) 2010-12-13
KR101058450B1 true KR101058450B1 (ko) 2011-08-24

Family

ID=4350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014A KR101058450B1 (ko) 2009-06-03 2009-06-03 비행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388A (ko) 2014-12-22 2016-06-30 박세원 비행 원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0776U (ko) 1981-04-22 1982-10-27
US5816879A (en) 1995-06-08 1998-10-06 Kyame; Joseph J. Flingable flying disc toy with a central opening with inwardly directed va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0776U (ko) 1981-04-22 1982-10-27
US5816879A (en) 1995-06-08 1998-10-06 Kyame; Joseph J. Flingable flying disc toy with a central opening with inwardly directed va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388A (ko) 2014-12-22 2016-06-30 박세원 비행 원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364A (ko) 201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6048A1 (zh) 一种旋转玩具游戏装置
KR101058450B1 (ko) 비행 놀이기구
AU745257B3 (en) Game and tile set
CN206881115U (zh) 指尖陀螺
EP2781243B1 (en) Board game instrument for learning
US7207909B2 (en) Dimpled air hockey puck
CN205360581U (zh) 一种空间对战的游戏盘
CN204319755U (zh) 不倒翁玩具
KR101302472B1 (ko) 놀이용 비행원반
CN203577273U (zh) 一种旋转飞镖
JP6369819B2 (ja) りん型独楽
CN207532788U (zh) 一种dizzy玩具
JP6240302B1 (ja) フットゴルフ用カップ、そ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フットゴルフキット
KR200388332Y1 (ko) 새털방울제기
CN208193643U (zh) 一种转动持久型陀螺
CN105056532B (zh) 一种空间对战的游戏盘
KR200404194Y1 (ko) 팽이 완구
CN204734953U (zh) 一种改进结构的不倒翁
CN202569485U (zh) 陀螺转动玩具
CN206121163U (zh) 一种户外游乐设施上的游戏盘
TWM433890U (en) Nylon badminton shuttlecock and head structure thereof
CN210125163U (zh) 一阶陀螺魔方
EP3535036A1 (en) Throw toy
KR200256698Y1 (ko) 보조놀이구를 가진 팽이
JP3148758U (ja) 飛行機型ダーツ遊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