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178B1 - 고온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온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178B1
KR101058178B1 KR1020080137909A KR20080137909A KR101058178B1 KR 101058178 B1 KR101058178 B1 KR 101058178B1 KR 1020080137909 A KR1020080137909 A KR 1020080137909A KR 20080137909 A KR20080137909 A KR 20080137909A KR 101058178 B1 KR101058178 B1 KR 101058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omposition
resistant coating
oxidation resistant
weight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424A (ko
Inventor
김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Priority to KR102008013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1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10Anti-corrosive paints containing metal dust
    • C09D5/103Anti-corrosive paints containing metal dust containing 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은 알루미늄 입자 30 내지 60 중량%, 페녹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 실리콘 수지 5 내지 10 중량%, 금속 화합물 1 내지 5 중량%, 인산염 화합물 1 내지 5 중량% 및 여분의 유성 용제를 포함한다. 상기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은 내산화성 및 PCM 작업성이 우수하며, 방청성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 조성물, PCM, 내산화성

Description

고온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OXIDIZATION-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온에서 내산화성을 갖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철강 등에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 후처리 시 가열 공정 등을 거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막의 큰 내열성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고온 가공을 위하여 내열성이 좋은 알루미늄과 실리콘으로 구성된 도금성분을 가지는 용융 도금 강판으로 사용하였으나, 국제간 기술사용권이 없는 기업에서는 사용하기 힘들고, 생산비용이 비싸서 가격이 높은 게 단점이었다. 또한, 고온 가공 후 쇼트 블라스트 처리를 안하는 경우에는 전착 도장 후에 도장 밀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종종 대두되었다.
이에 대한 대체 방법으로 국제공개특허 WO 2006/040030 에서는 금속입자와 실란 또는 실리콘 폴리머, 윤활제, 방청제, 유성 용제로 구성된 코팅 용액이 사용되었다. 이 코팅 용액은 다양한 방법으로 코팅이 가능하고, 건조 조건이 상온에서도 가능한 조건으로 소개되었으나 국내 철강사에서 사용하기에는 상온 건조에서는 건조 조건이 너무 길거나, PMT 180~230℃의 PCM코팅 라인에서 건조하기에는 건조 직후 냉각하기 전에 이송롤이나 디플렉터롤에 닿는 것만으로도 쉽게 도막이 밀리고 벗겨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온 가공후 도막의 내식성이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실제 시험 결과, 내식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철강사의 코팅 조건에 적합한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은 알루미늄 입자 30 내지 60 중량%, 페녹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 실리콘 수지 5 내지 10 중량%, 금속 화합물 1 내지 5 중량%, 인산염 화합물 1 내지 5 중량% 및 여분의 유성 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 입자는 레진으로 표면처리되고, 전체 입자 분포도에서 99%이상 10 내지 30㎛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판상 또는 구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페녹시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0 내지 5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수지의 수지 내 실리콘 함량이 알킬 또는 페닐 치환기보다 50몰%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화합물은 몰리브덴 화합물 또는 텅스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황화 몰리브덴, 이황화 텅스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산염 화합물은 알루미늄 폴리포스페 이트,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징크 폴리포스페이트, 징크 포스페이트, 칼슘 폴리포스페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티타늄 폴리포스페이트, 티타늄 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성 용제는 알콜계 유성 용제, 케톤계 유성 용제 및 방향족 유성 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알콜계 유성 용제는 2-부톡시 에탄올, 메틸프로판올, 이소플로필 알코올, 부틸렌 디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톤계 유성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향족 유성 용제는 톨루엔, 크실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한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내산화성 및 PCM 작업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온 성형 전후 과정에서 방청성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 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은 알루미늄 금속 입자 약 30 내지 60중량%, 페녹시 수지 약 10 내지 20 중량%, 실리콘 수지 약 5 내지 10 중량%, 금속 화합물 약 1 내지 5중량%, 인산염 화합물 약 1 내지 5중량% 및 여분의 유성 용제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금속 입자는 도막의 산화를 방지하고, 금속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금속 입자는 레진 등으로 표면 처리되어 분산성과 도막에서의 배향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전체 입자 분포도에서 약 99%이상 약 10 내지 30㎛의 크기를 갖는 알루미늄 입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25㎛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입자의 크기가 25㎛이상이면, 판상의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경우, PCM도장에서 불균일한 입자 분포로 인한 얼룩과 무늬를 발생시키고 고온 성형 후, 전착과 같은 후도장 과정에서 통전의 불균일성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입자의 형상은 판상 또는 구 형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입자는 고온 성형 과정에서 용융되고 산화되면서 피막을 형성하여 강판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입자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고온 성형 과정에서 충분한 내산화막을 형성하기 힘들며, 60중량%를 초과하면 건조과정에서 도막에 부착하기 힘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 입자의 함량은 약 30 내지 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녹시 수지는 알루미늄 입자의 도막내 배향에 관여하고, 고온 산화 과정에서 도막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불완전 연소 형태의 흑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페녹시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약 10,000 내지 약 50,000일 수 있다. 상기 페녹시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이면 도막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알루미늄 입자의 도막내 고정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50,000을 초과하면 높은 점도로 인한 평활성이 떨어져 PCM도장이 어렵고, 이에 따라 점도를 낮추기 위한 방향족 과 케톤계의 유성 용제의 함량이 높아져, 건조 과정에서 알루미늄 입자의 일정한 배향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0이상 30,000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페녹시 수지는 알루미늄 입자의 배향을 조정하여 전체적으로 도막 내에서 균일한 분포를 갖게 하여 고온에서의 탄화시, 알루미늄입자의 균일한 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지탱하여 주며, 짧은 시간의 탄화 과정에서 일부 불연소로 인한 흑연화 과정으로 전도성 탄소를 도막에 남기게 된다. 상기 전도성 탄소는 고온 성형 후 도막의 전도성을 증가시키고, 윤활성을 향상시키며, 도막의 표면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페녹시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알루미늄 입자를 강판에 고정하기 힘들게 되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불연소 탄화물이 많이 발생하여 도막이 강판과 융화되지 못하고 파우더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페녹시 수지의 함량은 약 10 내지 약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도막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도막의 초기 건조시, 알루미늄 입자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도막에 윤활성을 부여할 수 있다. 고온성형과정에서, 실리콘 수지의 유기 부분은 탄화되면서 페녹시 수지와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금속부분인 실리콘 원소는 알루미늄 금속 입자와 융합하여 알루미늄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 수지의 수지 내 실리콘 함량이 알킬 또는 페닐기 치환기보다 약 50몰%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지 내 실리콘 함량이 알킬 또는 페닐기 치환기보다 약 50 몰%이상이고 알킬기와 페닐기의 치환기가 약1:1의 몰비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실리콘 수지 내 실리콘 함량이 알킬 또는 페닐기 치환기보다 약 50 몰%이상이 아닌 경우, 알루미늄 입자에 내열성을 부여하는 기능이 떨어져 안정한 내산화막을 얻기 힘들며, 실리콘 수지 내 치환기인 알킬기가 많아지면 탄화성분이 많아지게 되어 산화막의 파우더링이 발생하기 쉽고, 페닐기가 많아지면 고온 산화전의 건조 도막에서 초기 윤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알루미늄 입자의 내열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없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막이 너무 딱딱해져 롤링이나 절단 과정에서 피도물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은 약 5 내지 약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고온 성형 전 또는 성형 후 도막에서 프레스 가공을 거치면서 발생하는 금형틀과의 부착을 방지하고, 프레스 가공으로 인한 표면 스크래치와 도막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고온 성형 공정을 고려하여, 상기 금속 화합물은 쉽게 탄화되거나 승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몰리브덴 화합물 또는 텅스텐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황화 몰리브덴이나 이황화 텅스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고온 성형과정에서 프레스 가공의 성형성이 저하되어 내산화층에 마모와 균열을 일으키게 되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이형성이 증가하여 내산화층의 박리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금속 화합물의 함량은 약 1 내지 약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염 화합물은 강판의 고온 성형 전후에 발생할 수 있는 대기 분위기에서 도막에 일시적으로 방청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고온 성형 후 형성되는 표면 내산화층에 포함되는 강판의 철성분에 대하여 효과적인 내식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 화합물의 함량이 약 1 중량% 미만이면 도막이 방청성을 갖기 어렵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알루미늄 입자의 분산성과 저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산염 화합물의 함량은 약 1 내지 약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인산염 화합물로는 알루미늄 폴리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포 스페이트,징크 폴리포스페이트, 징크 포스페이트, 칼슘 폴리포스페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티타늄 폴리포스페이트, 티타늄 포스페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성 용제는 상기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PCM(pre-coated metal)도장이 가능하도록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도막의 초기 가소성을 부여하기 위한 희석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유성 용제는 상기 페녹시 수지, 실리콘 수지, 및 상기 알루미늄 입자의 분산에 용이하고, 도막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여러 성분의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콜계, 케톤계 및 방향족 용제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콜계 용제로는 2-부톡시 에탄올, 메틸프로판올, 이소플로필 알코올, 부틸렌 디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케톤계 용제로는 메틸에틸케톤이나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향족 용제는 톨루엔, 크실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의 안정성, 도막 건조성, 점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약 0.5ℓ의 스테인레스 용기에 2-부톡시에탄올 약 5g, 메틸에틸케톤 약 5g, 톨루엔 약 7g을 투입후 교반하면서 STAPA METALLUX 612/R672(알루미늄 65%, 제품명, 에카르트사, 독일) 약 50g을 넣고 교반하면서, 페녹시 수지인 노루폭시 0300(고형분 50%, 제품명, (주)노루페인트, 한국) 약 20g, 실리콘 수지인 노루스터 4375(고형분 50%, 제품명, (주)노루페인트, 한국) 약 10g을 차례로 투입하면서 교반하였다. 여기에 Aldrich사의 이황화 몰리브덴(235mesh) 약 2g과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약 2g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은 고온 내산화성 조성물은 고형분이 약 50.5%이었으며, 점도가 포드컵#4로 25℃에서 55초였다.
실시예 2
약 0.5ℓ의 스테인레스 용기에 2-부톡시에탄올 약 5g, 메틸에틸케톤 약 5g, 톨루엔 약 7g을 투입후 교반하면서 STAPA METALLUX 9157/R9757(알루미늄 65%, 제품명, 에카르트사, 독일) 약 50g을 넣고 교반하면서, 페녹시 수지인 노루폭시 0300(고형분 50%, 제품명, (주)노루페인트, 한국) 약 20g, 실리콘 수지인 KR311(고형분 50%, 제품명, 신에츠실리콘, 일본) 약 10g을 차례로 투입하면서 교반하였다. 여기에 Aldrich사의 이황화 몰리브덴(235mesh) 약 2g과 칼슘 포스페이트 약 1g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은 고온 내산화성 조성물은 고형분이 약 50.5%이었으며, 점도가 포드컵#4로 25℃에서 50초였다.
실시예 3
약 0.5ℓ의 스테인레스 용기에 2-부톡시에탄올 약 2g, 메틸이소부틸케톤 약 7g, 크실렌 약 8g을 투입후 교반하면서 STAPA METALLUX 612/R672(알루미늄 65%, 제품명, 에카르트사, 독일) 약 50g을 넣고 교반하면서, 페녹시 수지인 노루폭시 0400(고형분 50%, 제품명, (주)노루페인트, 한국) 약 20g, 실리콘 수지인 DC805(고형분 50%, 제품명, 다우코팅, 미국) 약 10g을 차례로 투입하면서 교반하였다. 여기에 Aldrich사의 이황화 몰리브덴(235mesh) 약 1g과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약 3g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은 고온 내산화성 조성물은 고형분이 약 50.5%이었으며, 점도가 포드컵#4로 25℃에서 62초였다.
비교예 1
약 0.5ℓ의 스테인레스 용기에 2-부톡시에탄올 약 5g, 메틸에틸케톤 약 5g, 톨루엔 약 7g을 투입후 교반하면서 STAPA METALLUX 612/R672(알루미늄 65%, 제품명, 에카르트사, 독일) 약 50g을 넣고 교반하면서, 페녹시 수지인 KR5203(고형분 50%, 제품명, 신에츠, 일본) 약 20g, 실리콘 수지인 노루스터 4375(고형분 50%, 제품명, (주)노루페인트, 한국) 약 10g을 차례로 투입하면서 교반하였다. 여기에 Aldrich사의 이황화 몰리브덴(235mesh) 약 2g과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약 2g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은 고온 내산화성 조성물은 고형분이 약 50.5%이었으며, 점도가 포드컵#4로 25℃에서 47초였다.
비교예 2
이황화 몰리브덴과 알루미늄 포스페이트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이 약 46.5%이었으며, 점도가 포드컵#4로 25℃에서 55초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코팅 조성물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온 성형용 1.6T 강판(10X25cm)에 파이롯트 롤코터 CH-8156(제품명, 메티스, 스위스)를 이용하여 Reverse 코팅 방식으로(Pick Up Roll 15%, Application Roll 25%), Line Speed 24m/s)로 도막을 도포하고, PSIH-50(제품명, 피에스텍, 대한민국) 인덕션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후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후,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는 매우 양호, ○는 양호, △는 보통 그리고 X는 불량을 의미한다.
상기 준비된 시편의 내산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시편을 950℃에서 약 6분간 유지한 후, 도막의 내산화막이 균일한지 검사하고 박리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부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온 산화 전후로 커터칼날을 이용하여 약 1mm간격으로 가로세로 100개의 모눈을 만든 후 3M 투명 스카치 테잎을 균일하게 붙인후 약 45도의 경사로 떼어내어 모눈의 이탈 여부를 관찰하였다.
연필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미쓰비시 연필을 이용하여 도막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로 일정한 힘으로 밀어 연필자국의 흠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5회 실시하여 3회 미만의 연필자국 흠이 나는 가장 높은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마찰 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고온 산화 전후로 미국 알텍사의 마찰계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적정 범위 : 0.10 ~ 0.15)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온 산화 전후로 ASTM B117의 규격으로 72시간 동안 시험하여 발청이상 유무를 확인하였다.
내알카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온산화 후, CL-N364S(제품명, 파카라이징, 일본) 2%용액에 약 60℃에서 약 2분동안 침적 후, 외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였다.
전착도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내알카리성 시험 후, 일반적인 자동차 전착도장 라인과 같은 용액과 방법으로 표면조정과 인산염을 도포한 다음 자동차 바디용 전착도장을 실시 후, 외관을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08090901629-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도막이 비교예 1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도막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강판 등의 코팅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알루미늄 입자 30 내지 60 중량%;
    페녹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
    실리콘 수지 5 내지 10 중량%;
    금속 화합물 1 내지 5 중량%;
    인산염 화합물 1 내지 5 중량%; 및
    여분의 유성 용제를 포함하는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입자는 레진으로 표면처리되고, 전체 입자 분포도에서 99%이상 10 내지 30㎛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판상 또는 구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녹시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0 내지 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의 수지 내 실리콘 함량이 알킬 또는 페닐 치환기보다 50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화합물은 몰리브덴 화합물 및 텅스텐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화합물은 이황화 몰리브덴 및 이황화 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화합물은 알루미늄 폴리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징크 폴리포스페이트, 징크 포스페이트, 칼슘 폴리포스페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티타늄 폴리포스페이트 및 티타늄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용제는 알콜계 유성 용제, 케톤계 유성 용제 및 방향족 유성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계 유성 용제는 2-부톡시 에탄올, 메틸프로판올, 이소플로필 알코올, 부틸렌 디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에틸렌 글리콜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케톤계 유성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족 유성 용제는 톨루엔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KR1020080137909A 2008-12-31 2008-12-31 고온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KR101058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909A KR101058178B1 (ko) 2008-12-31 2008-12-31 고온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909A KR101058178B1 (ko) 2008-12-31 2008-12-31 고온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424A KR20100079424A (ko) 2010-07-08
KR101058178B1 true KR101058178B1 (ko) 2011-08-22

Family

ID=4264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909A KR101058178B1 (ko) 2008-12-31 2008-12-31 고온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1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132A (ja) 1998-10-14 2000-04-25 Konica Corp 画像形成材料
WO2006040030A1 (de) 2004-10-08 2006-04-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metallischen oberfläch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132A (ja) 1998-10-14 2000-04-25 Konica Corp 画像形成材料
WO2006040030A1 (de) 2004-10-08 2006-04-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metallischen oberflä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424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628B1 (ko) 내식성 도포막을 갖는 부재,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제조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
ES2428913T3 (es) Procedimiento para el ajuste del coeficiente de fricción de una pieza de trabajo metálica
CN106232737B (zh) 耐腐蚀性涂料组合物
JP6502905B2 (ja) 腐食防止コーティング
JP5172526B2 (ja) 防錆処理された金属部材およびコート塗料
KR101391044B1 (ko) 친환경 금속 표면처리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가공품
KR102611925B1 (ko) 내열도료 조성물, 내열도막, 내열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7071762A (ja) 錆止め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09078263A5 (ko)
KR20090020843A (ko) 방열특성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KR100787737B1 (ko) 내식성 및 분체 도장성 등이 우수한 환경 친화형 합금화용융아연도금 강판 제조 방법 및 그 표면처리 조성물
KR101058178B1 (ko) 고온 내산화성 코팅 조성물
CN113993638B (zh) 耐热涂料组合物、耐热涂膜、附有耐热涂膜的基材及其制造方法
JP4641563B1 (ja) 防汚塗料組成物及び防汚塗膜の形成方法
KR102238492B1 (ko) 분체도료 조성물
TWI694108B (zh) 底漆組成物、底漆塗膜及其形成方法、以及塗膜的形成方法
TWI764677B (zh) 抗高溫氧化塗料用潤滑添加劑及其使用方法
JP4290173B2 (ja) 水性塗料組成物
KR20090131727A (ko) 고내열 부식방지 탄소강 코팅제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
JP2016030777A (ja) シリカ質皮膜形成用処理液
CN116057134B (zh) 表面处理组合物、经表面处理的三元系热浸镀锌合金钢板及其制造方法
JP5949707B2 (ja) 通紙部材用鋼板
KR20090103803A (ko) 롤 성형시 우수한 내필름박리성을 갖는 수지-코팅된 금속 시트
CN108841269A (zh) 不含铬、磷和氟化物的钝化和有机薄膜涂料
US20210253880A1 (en) Composition for steel sheet surface coating and steel sheet surface-coated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