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923B1 -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923B1
KR101057923B1 KR1020080121337A KR20080121337A KR101057923B1 KR 101057923 B1 KR101057923 B1 KR 101057923B1 KR 1020080121337 A KR1020080121337 A KR 1020080121337A KR 20080121337 A KR20080121337 A KR 20080121337A KR 101057923 B1 KR101057923 B1 KR 101057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oller
parking brake
cable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618A (ko
Inventor
김태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9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잡아당기는 레버(200)와; 상기 레버(200)의 회전중심으로 작용하는 레버회전축(120)과; 상기 레버회전축(120)이 고착되는 레버브래킷(220)과; 상기 레버브래킷(220)에 마련되는 케이블고정부재(420)와; 상기 레버회전축(120)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보다 전방에 위치된 롤러(510)가 하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310, 320)와;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에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롤러(510)를 통과하여 다시 후방의 차륜 방향으로 연결되는 케이블(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운전자가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레버(200)를 당기면 레버회전축(120)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부재(310, 320)가 회전되고, 연결부재(310, 320)에 마련된 상기 롤러(510)도 상기 레버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롤러(5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길이의 2 배 만큼 상기 케이블(400)은 당겨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가 당겨지는 길이가 종래의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주위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증대시켜 콘솔 암레스트의 길이를 전방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파킹, 브레이크, 레버, 롤러, 연결부재

Description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Parking Brake Lever Device}
본 발명은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10)는 운전자가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잡아당기는 레버(20)와, 상기 레버(20)가 회전되는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레버힌지축(12)과, 상기 레버힌지축(12)과 연결되고 하부가 차체에 고정된 브래킷(22)과, 상기 레버힌지축(12)과 차륜(미도시)과 연결된 케이블(40)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0)의 일단은 상기 레버힌지축(12)에 고착되어 있고, 연결부재(30)의 타단은 케이블(40)의 끝단에 고착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힌지축(12)이 회전되어 연결부재(30)가 레버힌지축(12)을 축으로 회전되면 상기 케이블(40)은 그 만큼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10)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킨 후에 상기 레버(20)를 당기면 레버(20)는 레버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블(40)을 앞으로 당기고, 이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는 작 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10)는 브레이크 작동을 위해 레버(20)가 후방으로 당겨지는 거리인 스트로크 양이 필요하고 상기 스트로크 양은 레버 장치(10) 주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데 많은 제약을 주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버 장치(10)의 후방에는 콘솔 암레스트(50)가 마련되는데, 상기 암레스트(50)의 길이가 증가되면 운전자의 팔 지지성이 향상되는 점이 있으나, 상기 레버(20)의 스트로크 양에 의해서 암레스트(50)의 길이를 전방으로 증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레버의 스트로크 양을 작게 하면서도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주변의 레이아웃 공간을 좀 더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는 운전자가 잡아당기는 레버(200)와; 상기 레버(200)의 회전중심으로 작용하는 레버회전축(120)과; 상기 레버회전축(120)이 고착되는 레버브래킷(220)과; 상기 레버브래킷(220)에 마련되는 케이블고정부재(420)와; 상기 레버회전축(120)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보다 전방에 위치된 롤러(510)가 하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310, 320)와;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에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롤러(510)를 통과하여 다시 후방의 차륜 방향으로 연결되는 케이블(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운전자가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레버(200)를 당기면 레버회전축(120)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부재(310, 320)가 회전되고, 연결부재(310, 320)에 마련된 상기 롤러(510)도 상기 레버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롤러(5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길이의 2 배 만큼 상기 케이블(400)은 당겨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10, 320)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연결부재(310)와 제 2 연결부재(320)가 나란히 배열되는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 1 연결부재(310)와 제 2 연결부재(320) 사이에는 롤러회전축(332, 33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10, 320)에는 상기 롤러(510)와 인접하게 다른 롤러(5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가 당겨지는 길이가 종래의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주위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증대시켜 콘솔 암레스트의 길이를 전방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스트로크 양이 작기 때문에 운전자의 레버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도이 고, 도 3은 도 2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본 발명인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100)는 운전자가 잡아당기는 레버(200)와, 상기 레버(200)의 회전중심으로 작용하는 레버회전축(120)과, 상기 레버회전축(120)이 고착되어 있고 하부가 차체에 고정되는 레버브래킷(220)과, 상기 레버브래킷(220)에 마련되는 케이블고정부재(420)와, 상기 레버회전축(120)이 관통하는 회전축관통공(312, 322)이 상부에 마련되고 2개의 롤러회전축(332, 334)이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부에 마련되는 2개의 연결부재(310, 320)와, 상기 2개의 연결부재(310, 320) 사이에 마련된 2개의 롤러회전축(332, 334)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롤러(510, 520)와,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에 일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롤러(510, 520) 사이를 통과하여 다시 후방의 차륜 방향으로 연결되는 케이블(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연결부재(310, 320)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연결부재(310)와 제 2 연결부재(320)가 나란히 배열되는 형태이고, 상기 제 1 연결부재(310)에는 상기 레버회전축(120)이 관통하는 제 1 회전축관통공(312)이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재(320)는 상기 제 1 회전축관통공(312)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진 제 2 회전축관통공(322)이 상부에 마련된다.
상기 레버회전축(120)은 제 1 회전축관통공(312) 및 제 2 회전축관통공(322)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2개의 롤러회전축(332, 334)인 제 1 롤러회전축(332)과 제 2 롤 러회전축(334)은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보다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 1 연결부재(310)와 제 2 연결부재(320)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2개의 롤러(510, 520) 중 제 1 롤러(510)는 그 중심에 마련된 제 1 롤러회전축관통공(512)이 상기 제 1 롤러회전축(332)에 위치되어 제 1 롤러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 1 롤러(510)의 전방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 2 롤러(520)는 그 중심에 마련된 제 2 롤러회전축관통공(522)이 상기 제 2 롤러회전축(334)에 위치되어 제 2 롤러회전축(33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운전자가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레버(200)를 당기면 레버회전축(120)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2개의 연결부재(310, 320)가 회전되면서 연결부재(310, 320)에 마련된 상기 2개의 롤러(510, 520)도 회전된다.
이 때, 상기 2개의 롤러(510, 520) 중 제 1 롤러(510)는 상기 레버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롤러(5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양의 2 배 만큼의 길이로 상기 케이블(400)은 당겨지게 된다.
왜냐하면, 도 5와 같이 상기 제 1 롤러(510)의 위치가 케이블(400)의 양끝단을 기준으로 중간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롤러(51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길이만큼 제 1 롤러(510)와 양끝단 사이의 거리도 각각 벌어지게 되어 길이가 일정한 케이블(400)은 제 1 롤러(510)가 이동되는 길이의 2배 만큼의 길이로 당겨지게 된 다.
따라서, 위치가 고정된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를 기준으로 차륜에 연결된 케이블(400)이 제 1 롤러(510)가 이동되는 길이의 2배 만큼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가 당겨지는 길이가 종래의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주위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증대시켜 콘솔 암레스트의 길이를 전방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스트로크 양이 작기 때문에 운전자의 레버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 롤러(520)는 제 1 롤러(510)와 함께 상기 케이블(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레버 장치 120: 레버회전축
200: 레버 220: 레버브래킷
310: 제 1 연결부재 320: 제 2 연결부재
420: 케이블고정부재 510: 제 1 롤러
520: 제 2 롤러

Claims (4)

  1. 운전자가 잡아당기는 레버(200)와;
    상기 레버(200)의 회전중심으로 작용하는 레버회전축(120)과;
    상기 레버회전축(120)이 고착되는 레버브래킷(220)과;
    상기 레버브래킷(220)에 마련되는 케이블고정부재(420)와;
    상기 레버회전축(120)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보다 전방에 위치된 롤러(510, 520)가 하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310, 320)와;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20)에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롤러(510)를 통과하여 다시 후방의 차륜 방향으로 연결되는 케이블(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10, 320)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연결부재(310)와 제 2 연결부재(320)가 나란히 배열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310)와 제 2 연결부재(320) 사이에는 롤러회전축(332, 33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10, 320)에는 상기 롤러(510)와 인접하게 다른 롤러(52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KR1020080121337A 2008-12-02 2008-12-02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KR101057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337A KR101057923B1 (ko) 2008-12-02 2008-12-02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337A KR101057923B1 (ko) 2008-12-02 2008-12-02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18A KR20100062618A (ko) 2010-06-10
KR101057923B1 true KR101057923B1 (ko) 2011-08-19

Family

ID=4236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337A KR101057923B1 (ko) 2008-12-02 2008-12-02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9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923U (ja) 1983-08-12 1985-03-06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車椅子の制動装置
JPS6099163U (ja) 1983-12-14 1985-07-06 スズキ株式会社 パ−キングブレ−キレバ−の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923U (ja) 1983-08-12 1985-03-06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車椅子の制動装置
JPS6099163U (ja) 1983-12-14 1985-07-06 スズキ株式会社 パ−キングブレ−キレバ−の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18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933B2 (en) Lumbar support device of seat for vehicles
US7828384B2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automobile seat
US8469380B2 (en)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and vehicle step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042821B2 (en)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and vehicle step apparatus with the same
CN105452045A (zh) 具有能够下降的显示屏的机动车
JP2007126136A (ja) 特に自動車に用いられる旋回可能な表示装置
CN113511255A (zh) 折叠式方向盘组件及包括折叠式方向盘组件的转向装置
KR101057923B1 (ko) 파킹 브레이크 레버 장치
TWI749117B (zh) 具有兩個前轉向輪及具有可變轉向傳動比之駕駛手把的機車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113579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6243272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4269327B2 (ja) 自動車の補助ブレーキ装置
CN114132232A (zh) 用于车辆的滑动单元
JP6916052B2 (ja) 電動車両
JP2005014645A (ja) ワイパ装置
JP2020075638A (ja) 操舵装置
JP2019163032A (ja) 自動車両用の関節アーム・アセンブリ
JP2007106349A (ja) ブレーキペダル後退防止装置
JPH03178864A (ja) 車両の電動チルト・テレス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6243271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07083807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CN104057855A (zh) 车辆座椅用腿脚支撑装置
KR20060058803A (ko) 자동차의 휠체어 겸용 운전석 시트의 바퀴 폴딩구조
JP2007307966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