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얇은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판을 소형화하면서도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과는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한 출사면을 갖는 광 유도부재; 및 상기 광 유도부재의 출사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출사면은 상기 입사면의 측방향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유도부재는 상기 입사면과 대향되고,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이 상기 출사면을 향하도록 태양광을 안내하는 제1광학적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저면을 포함한다. 제1광학적 패턴은 광 유도부재의 상면 또는 저면과 상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적 패턴은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입사면에 대하여 상승하는 제1경사면과, 하강하는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프리즘들을 포함한다. 상기 광유도부재의 상면에도 저면과 조합하여 동일한 제1광학적 패턴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에는 반사용 프리즘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들은 상기 태양전지판 또는 상기 출사면에 수직하게 광이 모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유도부재는 다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리즘들은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의 꼭지점 또는 상기 태양전지판 상의 임의 중심을 동심원으로 하는 원호들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유도부재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사면은 다각형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의 꼭지점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유도부재의 저면을 이루는 프리즘들은 각 프리즘의 정점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곡률반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유도부재의 저면을 이루는 프리즘들은 각 프리즘의 정점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상기 입사면에 대해 경사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은 상기 광 유도부재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광 유도부재의 저면을 통과한 태양광을 상기 광 유도부재를 향해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재는 상기 광 유도부재의 저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제2광학적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재는 태양광의 전부를 반사시키 며, 윈도우 창으로 사용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은 상기 광 유도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2반사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과는 수직한 출사면 그리고 상기 입사면과 대향되고,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이 상기 출사면을 향하도록 태양광을 안내하는 제1광학적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저면을 갖는 광 유도부재; 상기 광 유도부재의 출사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태양전지판; 및 상기 광 유도부재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광 유도부재의 저면을 통과한 태양광을 상기 광 유도부재를 향해 반사시키는 제2광학적 패턴을 갖는 제1반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은 상기 광 유도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2반사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은 상기 출사면과 마주보도록 제공되고, 상기 출사면을 통과한 태양광이 상기 태양전지판으로 집광되도록 하는 집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형의 광 유도부재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집광함으로써 모듈 두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집적도를 향상시켜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모바일기기(핸드폰,PDA, PMP, 전자책) 또는 리모콘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이나 디스플레이유닛상에 접목이 가능한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은 휴대용 모바일기기와 같은 전자디바이스에 접목하여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 자체가 외부 하우징으로써 기존 전자디바이스의 하우징을 대체할 수 있고, 특히 전자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접목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확인이 가능하면서도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 유도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1)은 다수개의 태양전지를 구비한 태양전지판(100), 태양광이 태양전지 판(100)으로 제공되도록 태양광을 안내하는 광 유도부재(200), 그리고 광 유도부재(200)의 저면과 측면에 설치되는 제1,2반사부재(300,400)를 포함한다.
광 유도부재(200)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10)과, 태양광이 출사되는 출사면(220) 그리고 제1광학적 패턴(250)들이 형성된 저면(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광학적 패턴(250)이 저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광학적 패턴(250)은 광 유도부재(200)의 상면 또는 상면과 저면에 모두 형성될 수 이다. 광 유도부재(200)는 입사면(210)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굴절 및 반사시켜 태양광을 측방향에 위치되는 태양전지판(100)으로 제공하는 광학적 기능을 갖는다. 광 유도부재(200)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 또는 출사면(220)과 가까울수록 두꺼운 쐐기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쐐기 형태가 바람직하다.
광 유도부재(200)는 투명한 글라스 또는 아크릴 소재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경사진 저면에 다수의 프리즘들과 상면에 평탄면을 갖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형에 역상을 형성시켜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광 유도부재(200)는 광학용 투명수지와는 별도로 분리된 프리즘 유닛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출사면(220)은 광 유도부재(200)의 꼭지점(모서리)에 제공된다. 출사면(220)은 광 유도부재(200)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도 9에서 도 12b 참조).
광 유도부재(200)의 제1광학적 패턴(250)은 입사면(210)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이 태양전지판(100)을 향하도록 태양광을 출사면(220) 방향으로 안내하는 프리즘 형태의 패턴들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와 같이, 제1광학적 패턴(250)들은 출사 면(220) 또는 태양전지판(100) 상의 임의 중심을 동심원으로 하는 원호들상에 형성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제1광학적 패턴(250)들은 출사면(또는 태양전지판)(220)과 평행한 평행선들상에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 편의상 제1광학적 패턴(250)의 프리즘 크기를 과장해서 표현하였으나, 프리즘 패턴들의 간격은 30-500미크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250미크론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1광학적 패턴(250)들은 광 유도부재(200)의 저면(230)을 가공처리함으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광학 시트 형태로 저면에 부착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 유도부재(200)는 제1반사부재(300)로부터 반사되는 태양광이 입사면(210)을 통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학시트 및 반사층이 포함될 수 있다.
제1광학적 패턴(250)들 각각은 출사면(220)(또는 태양전지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입사면(210)에 대하여 위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제1경사면(252)과, 출사면(220)(또는 태양전지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입사면(210)에 대하여 아래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2경사면(25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경사면(252)과 제2경사면(254)은 서로 접하여 산형상의 프리즘을 형성하며, 이 프리즘이 복수개 반복 배열되어 광 유도부재(200)의 저면(230)을 이루는 다수의 제1광학적 패턴(250)들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5는 광 유도부재와 제1반사부재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제1광학적 패턴(250)의 제1경사면(252)의 각(a1)은 입사 면(210)에 대해서 30-60도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태양광은 제1경사면(252)에서 반사되어 수평방향(태양전지판이 위치한 방향)으로 제공된다. 즉, 제1경사면(252)은 입사면(210)에 대해서 30-60도 정도의 경사를 갖기 때문에 입사면(210)을 통해 수직하게 진행하는 태양광은 제1경사면(252)에서 반사되어 거의 수평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광학적 패턴(250)의 제2경사면(254)의 각(a2)은 입사면에 대해서 15도 미만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경사면(254)으로 제공되는 태양광은 제2경사면(254)을 통과하여 제1반사부재(300)에 의해 반사되어 태양전지판(100)쪽으로 제공된다. 한편, 제2광학적 패턴의 경사면 각(a3)는 20-40도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광학적 패턴(250)의 제1,2경사면(252,254) 그리고 제2광학적 패턴(320)의 경사면(322)의 각도에 따라 태양광의 집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 6은 반사용 프리즘들이 형성된 제2경사면을 갖는 광 유도부재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제2경사면(254)에는 태양광의 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용 프리즘(28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면(254)에 형성되는 반사용 프리즘(280)들의 각도(a4)는 태양광을 태양전지판(100)을 향하여 반사되도록 40-60도 정도의 범위(바람직하게는 45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물론, 반사용 프리즘들은 평면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제1반사부재(300)는 광 유도부 재(200)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제1반사부재(300)는 광 유도부재(200)의 저면을 통과한 태양광을 광 유도부재(200) 및 태양전지판(100)을 향해 반사시키는 광학적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반사부재(300)는 제2광학적 패턴(320)들이 형성된 상면(310)을 갖는다.
제1반사부재(300)는 광 유도부재(200)를 통과한 태양광을 전부 반사시키는 반사층(330)을 갖는다. 반사층(330)은 제1반사부재(300)의 저면에 막 형태로 코팅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광학 시트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1)이 휴대기기의 표시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윈도우 기능(투명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반사층 없이 광유도부재로만 집광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1)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를 적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반사부재(400)는 광 유도부재(200)의 측면들에 부착되어 측면들을 통한 태양광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광 유도부재의 곡면진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제1광학적 패턴(250)들의 프리즘 형상에서 정점(259)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290)을 형성하도록 프리즘들을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형상의 프리즘들로도 전체 길이가 증가하게 되어 집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다양한 형상의 광 유도부재를 갖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의 (가),(나),(다)에서와 같이, 광 유도부 재(200)는 사각형, 마름모, 5각형 등의 다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광 유도부재(200)에는 태양전지판(100)이 출사면(220)과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광 유도부재(200)는 출사면(220)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을 통한 태양광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제2반사부재(400)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도 10의 (라), (마), (바)에서와 같이, 광 유도부재(200)는 복합 포물면 집광기(CPC ;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 방식을 적용하여 타원형 구조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0의 (라), (마), (바)에서 화살표는 광 유도부재(200) 상에서의 태양광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11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4개의 태양전지판(100)이 광 유도부재(200)의 중앙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4개의 태양전지판(100)이 광 유도부재(200)의 가장자리(4개의 측면)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2b에서와 같이, 광 유도부재(200)는 제1광학적 패턴(250)들이 광 유도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4개의 삼각형 모양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 형성된 패턴들은 해당되는 측면 방향으로 태양광이 굴절되도록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광 유도부재(200) 상에서의 태양광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1)은 평판형의 광 유도부재(200)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집광함으로써 모듈 두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집적도를 향상시켜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은 태양전지판으로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부재(집광렌즈)가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모듈 두께가 두껍지만,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1)은 태양광을 집광하는 기능을 평판 형태의 광 유도부재(200)가 수행하기 때문에 모듈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1)은 휴대용 모바일기기(핸드폰,PDA, PMP, 전자책) 또는 리모콘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이나 디스플레이유닛상에 접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집광형 태양광 발전 모듈(1)은 제1반사부재를 적용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접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