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281B1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281B1
KR101057281B1 KR1020090090860A KR20090090860A KR101057281B1 KR 101057281 B1 KR101057281 B1 KR 101057281B1 KR 1020090090860 A KR1020090090860 A KR 1020090090860A KR 20090090860 A KR20090090860 A KR 20090090860A KR 101057281 B1 KR101057281 B1 KR 101057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ist
water supply
ultrasonic el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615A (ko
Inventor
마사시 이마데
히로유끼 스즈끼
히또시 모리따
미노루 미야지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484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84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504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7222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200)는, 초음파 진동하는 초음파 소자를 포함하는 미스트 생성기(100)를 구비하고, 공급된 액체를 초음파 소자의 초음파 진동에 따라서 피세정물에 분무한다. 당해 세탁기에서는, 초음파 소자에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가, 상기 초음파 소자의 공진 주파수로 상정되는 주파수인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로부터 저하시키도록 변경된다. 그리고, 초음파 소자에 흐르는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초음파 소자의 진동이 정지된다.
세탁기, 미스트 생성기, 미스트 밸브, 배수 모터, 급수 밸브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세정물에 미스트를 공급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세탁기에 있어서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피세정물의 감촉을 좋게 하거나, 또는 그 이전의 탈수 공정 등에 있어서 대전된 피세정물을 비대전 상태로 하기 위해, 초음파 진동자에 의한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안개상의 물(미스트)이 피세정물에 공급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3-55100호 공보)에는, 초음파 진동기가 세탁기 내의 저수부에 저류된 물에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발생시킨 미스트가, 건조 공정의 종료 몇초 전의 시점에서 드럼 내에 공급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초음파 소자는, 일반적으로, 초음파 진동자에 고주파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초음파 진동을 발생한다. 초음파 진동자의 주파수 특성은, 개개의 진동자마다 다르다. 따라서, 동일한 주파수의 전력이 공급되어도, 초음파 진동자의 개체마다 공급되는 초음파 진동의 형태가 다르고, 이에 의해 건조 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안 개화된 물의 양이 다른 사태가 생각된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의 개체마다 공진 주파수 등의 안개를 발생시키기 위한 최적의 주파수를 결정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사태는 회피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세탁기에 있어서의 신속한 건조 공정의 진행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그와 같은 결정을 하기까지도, 최적의 주파수의 결정 과정에서, 초음파 진동자가 진동함으로써 미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최적의 주파수의 결정까지의 동안에, 피세정물에 필요 이상의 미스트가 공급되어 버려, 건조 공정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피세정물을 적셔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이며, 그 목적은, 개개의 초음파 진동자의 특성에 의하지 않고, 단시간에, 적절한 양의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초음파 진동하는 초음파 소자를 포함하고, 공급된 액체를 초음파 소자의 초음파 진동에 따라서 피세정물에 분무하는 미스트 생성부와,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여 초음파 소자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초음파 소자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제1 구동부가 초음파 소자를 구동하는 전력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고, 조정부는, 제1 구동부가 초음파 소자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초음파 소자의 공진 주파수로 상정되는 주파수인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로부터 저하시키도록 변경하고,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초음파 소자의 진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초음파 진동하는 초음파 소자를 포함하고, 공급된 액체를 초음파 소자의 초음파 진동에 따라서 피세정물에 분무하는 미스트 생성부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이며, 초음파 소자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초음파 소자의 공진 주파수로 상정되는 주파수인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로부터 저하시키도록 변경하는 스텝과, 초음파 소자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검출된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초음파 소자의 진동을 정지시키는 스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개의 초음파 진동자의 특성에 의하지 않고, 단시간에 적절한 양의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부품 및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들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세탁기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세탁기(200)는, 후술하는 미스트를 생성하여 분무하는 미스트 생성기(100) 이외의 구성은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개략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상자(216)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금속 또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수조(2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수조(214) 내부에 내부 도어(230)를 갖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이 설치된다. 수조(214)와 회전 드럼은 전방면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컵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수조(214)를 외측, 회전 드럼을 내측으로 하는 형태로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수조(214) 및 회전 드럼은 전방면부(내부 도어측)보다도 후방면부가 내려가도록 배치된다. 내부 도어(230)가 폐쇄됨으로써, 수조(214)는 전방면측의 개구가 수밀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조(214)에 의해, 피세정물을 넣는 건조실이 구성되어 있다.
수조(214) 내의 공간 상부에는, 회전 드럼 내에 공급해야 할 온풍이 흐르는 송풍 덕트(2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송풍 덕트(212)는 수조(214)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242)와 연결되어 있다.
수조(214)의 하부에는 배수 유닛(206)이 설치되어 있다. 수조(214) 내에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고, 배수구는 배수 덕트(238)를 통해 배수 유닛(206)과 연결된다. 배수 유닛(206)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기적으로 개폐되는 배수 밸브가 설치되고, 수조(214)의 물을 배수 호스(202)에 배수한다. 배수 밸브는, 후술하는 배수 모터(55)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배수 유닛(206)에는, 순환 펌프(46)가 설치되어 있고, 순환 펌프(46)는 배수 덕트(238)를 통해 배수 유닛(206)에 유입하는 물을 순환 호스(204)를 통해 다시 수조(214) 내에 공급한다.
수조(214)의 저부는, 3개의 댐퍼(23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수조(214)의 상부는 지지 스프링(236)에 의해 외부 상자(216)의 상부와 연결되어 탄성 지지된다.
또한, 수조(214)의 상부에는, 수조(214) 내에 급수하는 급수 유닛(220)이 설치되고, 급수 유닛(220)과 급수 덕트(208)가 연결되고, 수조(214) 내에 물이 공급 된다.
또한, 수조(214)의 상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미스트 생성기(100)가 설치된다. 미스트 생성기(100)는 미스트 급수 호스(210)를 통해 급수 유닛(220)과 연결된다.
또한, 세탁기(200)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부(218)가 외부 상자(216)의 저부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외부 상자(216)의 상부 전방면측에는 세탁기(200)의 각종 조작 버튼이 설치된 조작 패널(37)이 설치된다. 또한, 외부 상자의 전방면측에는 외부 도어(234)가 설치된다.
외부 상자(216)의 상면측에는, 세제 케이스(222)를 수납하는 급수 유닛(220)이 설치된다.
급수 유닛(220)은 급수 밸브(42)와 연결된다. 급수 덕트(208)는 급수 유닛(220)과 연결된다.
급수 유닛(220)과 연결된 미스트용 급수 밸브(44)가 설치되고, 미스트용 급수 밸브(44)가 개방됨으로써 미스트 생성기(100)에 물 등이 공급된다.
수조(214)의 저부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수조(214) 밖으로 나온 세탁수 등은 배수 덕트(238)를 흘러 배수 유닛(206)에 유입한다. 이 배수 덕트(238)를 흐르는 물은, 배수 밸브가 개구됨으로써 배수 호스(202)로부터 배수된다. 혹은, 순환 펌프(46)에 의해 순환 호스(204)를 통해 순환 노즐(240)에 공급되고, 수조(214)의 상부측 단부에 설치된 순환 노즐(240)로부터 물이 다시 수조(214) 내에 공급된다.
수조(214)의 저부 외측에는 구동 기구(224)가 설치된다. 구동 기구(224)에는, 드럼 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드럼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회전 드럼이 회전 구동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컨트롤부(218) 및 그 주변 장치를 설명한다.
컨트롤부(218)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60)와, 진동 유닛 제어부(62)와, 타이머(64)와, 메모리(66)를 포함한다.
CPU(60)는 세탁기(200) 내의 각종 제어 부위에 대해 필요한 제어 지시를 출력한다.
메모리(66)는, CPU(60)의 연산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시에, 각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지시를 CPU로부터 지시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타이머(64)는, CPU(6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필요한 시각 정보를 출력한다.
진동 유닛 제어부(62)는, CPU(6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초음파 소자의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조정 신호를 진동 유닛(70)에 출력한다.
주변 장치로서, 여기서는, 일례로서 세탁기(200) 내에 설치된, 경보기(40)와, 급수 밸브(42)와, 미스트용 급수 밸브(44)와, 순환 펌프(46)와, 서미스터(48, 49)와, 히터(50)와, 건조 팬(52)과, 드럼 모터(54)와, 진동 유닛(70)이 설치되고, 각 주변 장치가 CPU(6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CPU(60)는 조작 패널(36)에 설치된 각종 조작 버튼의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제어 신호를 각 주변 장치에 출력한다.
CPU(60)는, 각종 주변 장치에 있어서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는, 조작 패널(36)에 에러 표시하는 동시에, 경보기(40)에 대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CPU(60)는 전자기적으로 개폐 가능한 급수 밸브(42)에 대해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지시하고, 급수 밸브(42)를 개방함으로써 급수 유닛(220)에 대해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급수 유닛(220)으로부터 급수 덕트(208)를 통해 수조(214) 내에 물 등이 공급된다.
또한, CPU(60)는, 전자기적으로 개폐 가능한 미스트용 급수 밸브(44)에 대해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지시하고,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개방함으로써 미스트 생성기(100)에 대해 급수 유닛(220)으로부터 물 등을 공급한다. 그리고, 진동 유닛(70)에 설치된 진동 소자를 구동함으로써 미스트 생성기(100)로부터 미스트가 생성되고, 생성된 미스트가 수조(214) 내에 공급된다. 또한, 급수 유닛(220)에는, 세제 케이스(222)가 설치되어 있고, 세제 케이스(222) 내를 물이 통과함으로써 세제가 용해된 물을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통해 미스트 생성기(100)에 대해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세제가 용해된 세제수의 미스트가 피세정물에 분무되므로 피세정물 전체에 구석구석까지 세제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스트 생성기(100)와 수조(214) 사이에는, 이들을 구획하는 밸브[도 3의 미스트 밸브(59)]가 설치되어 있다. 미스트 밸브가 개방 상태로 됨으로써, 미스트 생 성기(100)로부터 발생하는 미스트가 수조(214)에 공급된다. 미스트 밸브(59)의 개폐는, CPU(60)에 의해 제어된다.
CPU(60)는 배수 유닛(206)에 설치된 순환 펌프(46)를 제어하고, 순환 펌프(46)는 순환 호스(204)를 통해 순환 노즐(240)로부터 물 등을 수조(214) 내에 다시 공급한다.
CPU(60)는 서미스터(48)와 접속되어, 수조(214) 내의 온도를 검지한다. CPU(60)는 서미스터(49)와 접속되어, 미스트 생성기(100) 근방의 온도를 검지한다.
CPU(60)는 히터부(242)에 설치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0)를 제어하여, 히터(50)의 온도를 조정한다.
CPU(60)는 히터부(242)에 설치된 건조 팬(52)을 제어하여,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 팬(52)의 회전에 의해 송풍 덕트(212)를 통해 수조(214) 내에 공급한다.
CPU(60)는 드럼 모터(54)를 제어하여 회전 드럼을 회전시킨다.
CPU(60)는 진동 유닛 제어부(62)를 제어하고, 진동 유닛 제어부(62)는 CPU(6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진동 유닛(70)을 제어한다.
진동 유닛(70)은 A/D 컨버터(14)와, D/A 컨버터(16)와, V/f 컨버터(18)와, 진동자(20)와, 검출 회로(22)와, 드라이버(26)와, 제1 트랜지스터(28)와, 제2 트랜지스터(30)와, 변압 트랜스(32)와, 코일(34)을 포함한다.
진동자(20)는 제1 트랜지스터(28) 및 제2 트랜지스터(30)가 생성하는 전력의 공급을 받아 초음파 진동(주파수가 20000㎐ 이상이 되는 진동의 것)하는 소자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자(20)는 압전 세라믹 진동자로 한다.
검출 회로(22)는 검출 트랜스(51)와, 변환 회로(53)를 포함한다. 검출 트랜스(51)는, 진동자(20)에 흐르는 전류(혼 전류라고도 함)치를 검출하는 소자이다. 변환 회로(53)는 검출 트랜스(51)가 혼 전류로서 검출한 진동자(20)에 흐르는 전류치를 증폭한다.
D/A 컨버터(16)는 진동 유닛 제어부(62)로부터의 주파수 설정 지시인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V/f 컨버터(18)에 출력한다.
V/f 컨버터(18)는 D/A 컨버터(16)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전압 신호를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드라이버(26)는, V/f 컨버터(18)로부터의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PWM 신호를 제1 트랜지스터(28) 및 제2 트랜지스터(30)에 출력한다.
제1 트랜지스터(28) 및 제2 트랜지스터(30)는, 드라이버(26)가 출력한 PWM 신호를 증폭하는 소자[본 실시 형태의 경우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로 함]이다.
변압 트랜스(32)는 제1 트랜지스터(28) 및 제2 트랜지스터(30)가 증폭한 PWM 신호의 전압을 변압하는 소자이다. 코일(34)은, 진동자(20)와 코일(34)로 이루어지는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진동자(20)의 공진 주파수에 비해 작게 하는 소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진동 유닛의 전원 전압(+V), 변압 트랜스(32)의 승압비, 코일(34)의 인덕턴스는, 진동자(20)가 양호하게 동작하도록 설계시, 미리 실험을 행하여 결정한다.
A/D 컨버터(14)는, 검출 회로(22)가 출력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결과를 진동 유닛 제어부(62)에 출력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진동 유닛(70)은 미스트 생성기(10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지만, 특히 진동 유닛(70)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해, 미스트 생성기(100) 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그 외측 근방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부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배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미스트 생성기(100)의 외관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미스트 생성기(100)는, 2개의 압전체(131) 및 압전체(132)를 접합시켜 이루어지는 진동자(20)와, 그 후단부면에 접합된 후방부 초음파 혼(133)과, 진동자(20)의 전방 단부면에 접합된 전방부 초음파 혼(1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압전체(131) 및 압전체(132)에는, 각각 전극(135, 136)이 접속되고, 전극(135, 136)은 진동 유닛(70) 내의 단자(+ 및 -)와 각각 접속된다.
후방부 초음파 혼(133) 및 전방부 초음파 혼(134)은, 진동자(20)의 진동을 증폭하여 효율적으로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 전파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양쪽을 구비함으로써 초음파 혼으로서 작용한다. 이들은, 압전체(131, 132)를 볼트(137)에 의해 소정의 조임 토크로 끼우고 있다.
전방부 초음파 혼(134) 및 후방부 초음파 혼(133)의 형성 소재로서는, 알루미늄, 티탄, 스테인리스 등의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 급수되어 선단부가 초음파 진동함으로써 미스트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미스트는 미스트 생성기(100) 외의 수조(214) 내에 분무된다.
또한, 진동자(20) 이외의 진동 유닛(70)의 각 구성 부품에 대해서도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예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미스트 생성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자(20)(압전 세라믹 진동자)의 주파수 특성을 설명한다.
도 5에서는, 종축은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횡축은 진동자(20)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진동자(20)(압전 세라믹 진동자)의 주파수 특성은, 압전 세라믹 진동자에 부여하는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 f(1)인 경우(본 실시 형태의 경우, 공진 주파수의 값을 39.50㎑로 함), 압전 세라믹 진동자의 임피던스는 최소가 된다.
또한, 진동자(20)(압전 세라믹 진동자)에 부여하는 주파수가 반공진 주파수f(2)인 경우(본 실시 형태의 경우, 반공진 주파수의 값을 40.10㎑로 함), 압전 세라믹 진동자의 임피던스가 최대가 된다.
진동자(20)(압전 세라믹 진동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사양의 압전 세라믹 진동자라도 주파수 특성[공진 주파수 f(1), 반공진 주파수 f(2), 임피던스 등]이 진동자의 개체마다 불균일하게 되어 있고, 또한 압전 세라믹 진동자의 주파수 특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진동자마다 최적의 진동 제어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미스트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진동자의 제어를 설명한다.
우선, 초음파 혼에 급수한다(스텝 S1). 구체적으로는, CPU(60)는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제어하여,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개방하여 미스트 급수 호스(210)로부터 전방부 초음파 혼(34)의 선단부에 급수한다.
다음에, 혼에의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스텝 S2에 있어서, 혼에의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미스트용 급수 밸브(44)가 개방되고 나서 미스트 급수 호스(210)를 통해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 급수될 때까지의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의 처리는, 주로 진동 유닛 제어부(62)가 실행하는 처리이다.
스텝 S3에 있어서, 초기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우선 초기 설정 처리로서, 주파수를 고주파측의 상한치로 설정한다(스텝 S21).
구체적으로는, 주파수를 반공진 주파수 근방(미리 정해진 주파수)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튜닝 상태로서, 주파수를 저감하는 모드인 저감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22).
다음에, 주파수 출력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23). 구체적으로는, 설정한 고 주파측의 상한치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하도록 진동 유닛(70)을 제어한다.
그리고, 초기 설정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다음에 튜닝 전 확인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4).
도 8은 튜닝 전 확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우선 혼 전류를 검출한다(스텝 S30). 구체적으로는, 검출 회로(22)에서 검출한 혼 전류의 입력을 받는다.
다음에, 32msec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
32msec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텝 S30에 있어서의 혼 전류의 검출을 반복한다. 따라서, 32msec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복수회의 혼 전류치가 진동 유닛 제어부(62)에 입력된다. 또한, 32msec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타이머(64)를 사용하여 계측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시간의 경과를 판단하는 처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혼 전류 Ih의 평균치를 산출한다(스텝 S32).
혼 전류의 검출은, 1회당 2msec 필요하다고 한다. 따라서, 32msec의 시간 동안에는, 16회의 혼 전류의 검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16회의 혼 전류의 평균치가 산출되어, 혼 전류 Ih가 된다.
다음에,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 Ih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h#가 비교되어, 그 차분의 절대치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50㎃<Ih-Ih#≤50㎃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34).
즉,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와 전회의 산출된 혼 전류 사이의 차가 작은, 즉 변동이 거의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튜닝 전 확인 처리를 종료하여(스텝 S35), 다음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또한,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h#이 없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초기치가 설정된다.
한편, 스텝 S34에 있어서, -50㎃<Ih-Ih#≤50㎃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즉,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와 전회의 산출된 혼 전류 사이의 차가 크다(바꾸어 말하면, 변동이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혼 전류 Ih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h#으로서 설정된다(스텝 S36).
다음에, 튜닝 전 확인 처리의 개시로부터 1sec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37).
1sec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0으로 복귀되어, 상기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텝 S37에 있어서, 1sec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라도 혼 전류의 변동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혼 전류가 안정되지 않으므로 이상(異常)으로 판단되어,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38). 그리고, 후술하는 스텝 S9로 처리가 진행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튜닝 전 확인 처리가 종료된 후, 튜닝 모드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
본 예에 있어서는, 튜닝 모드 개시 처리의 일례로서, 검출된 혼 전류치에 기초하여 주파수를 조정하는 저감 모드, 상승 모드 및 미세 조정 모드 중 어느 하나 의 튜닝 모드의 처리를 실행한다.
저감 모드는, 전회의 튜닝에 의해 주파수를 낮게 하는 방향으로 튜닝한 경우의 모드이다.
상승 모드는, 전회의 튜닝에 의해 주파수를 높게 하는 방향으로 튜닝한 경우의 모드이다.
미세 조정 모드는, 전회의 튜닝에 의해 주파수를 조정할 필요가 없는, 혹은 주파수가 미세 조정된 경우의 모드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주파수의 타깃의 범위로서는, 34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인 혼 전류가 검출되도록 주파수가 튜닝된다.
(저감 모드)
도 9를 참조하여, 저감 모드의 처리에 있어서, CPU(60)는, 우선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 Ih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감산한 값을 비교하여, 금회 산출된 혼 전류 Ih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감산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혼 전류 Ia#의 초기치는, 일례로서 압전 세라믹 진동자의 임피던스가 최대인 반공진 주파수에 대응한 혼 전류치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즉, 전류치는 최소치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Ih≥Ia#-50㎃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0).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감산한 값과 비교하는 것으로 한 것은, 전류치의 변동으로서 오프셋을 고려한 것이다.
즉,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가 전회의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감산 한 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1로 진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을 비교하여, 주파수를 저감시킴으로써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치가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승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와 반공진 주파수의 범위 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 S41에 있어서, CPU(60)는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10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100㎃ 이하인 경우에는, 주파수를 350㎐ 감산한다(스텝 S42). 혼 전류의 값 Ih가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주파수가 반공진 주파수[f(2)] 근방이라 생각되므로 주파수를 크게 튜닝한다.
그리고, CPU(60)는 튜닝 상태를 저감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43).
다음에, CPU(60)는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 Ih를 전회 혼 전류 Ia#으로 설정한다(스텝 S44).
그리고, CPU(60)는 처리를 종료시킨다(종료). 이 처리에 의해, 혼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반공진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로부터, 30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인 혼 전류에 대응하는 타깃의 주파수에 근접시킬 수 있다.
스텝 S41에 있어서, 금회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100㎃보다도 큰 경우에는, 30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5).
스텝 S45에 있어서, 값 Ih가 300㎃ 이하라 판단되면, CPU(60)는 주파수를 70㎐ 감산한다(스텝 S46). 혼 전류의 값 Ih가 목표의 값보다도 조금 작은 경우에는, 현재의 주파수가 타깃의 주파수보다도 조금 크다고 생각되므로 주파수를 작게 튜닝한다.
그리고, CPU(60)는, 튜닝 상태를 저감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43), 금회 산출된 혼 전류 Ih를 전회 혼 전류 Ia#으로 설정하여(스텝 S44),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이 처리에 의해, 반공진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로부터, 30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인 혼 전류에 대응하는 타깃의 주파수에 근접시킬 수 있다.
한편, 스텝 S45에 있어서, 값 Ih가 300㎃ 이하가 아닌, 즉 300㎃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40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7).
스텝 S47에 있어서, 값 Ih가 400㎃ 이하라 판단된 경우에는, CPU(60)는 튜닝 상태를 미세 조정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48). 그리고, 금회 산출된 혼 전류 Ih를 전회 혼 전류 Ia#으로 설정하여(스텝 S44),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이 처리에 의해, 현재의 주파수가 타깃의 주파수 부근이라 판단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미세 조정 모드에 의해 주파수를 미세 조정함으로써, 반공진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로부터, 30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인 혼 전류에 대응하는 타깃의 주파수에 의해 확실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한편, 스텝 S47에 있어서, 값 Ih가 400㎃ 이하가 아닌, 즉 400㎃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금회의 저감 모드 처리에 있어서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45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9).
스텝 S49에 있어서, 값 Ih가 450㎃ 이하라 판단된 경우에는, 주파수를 70㎐ 가산한다(스텝 S50). 혼 전류의 값 Ih가 목표의 값보다도 조금 큰 경우에는, 현재의 주파수가 타깃의 주파수보다도 조금 작다고 생각되므로 주파수를 작게 튜닝한다.
그리고, 튜닝 상태를 상승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51), 금회의 혼 전류 Ih를 전회 혼 전류 Ia#으로 설정하여(스텝 S44),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이 처리에 의해, 반공진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로부터, 30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인 혼 전류에 대응하는 타깃의 주파수에 근접시킬 수 있다.
한편, 스텝 S49에 있어서, 값 Ih가 450㎃ 이하가 아닌, 즉 450㎃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57).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이 경우에는, 혼 전류로서 이상 전류가 흐르고 있어, 제어 불능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스텝 S40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이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감산한 값보다도 작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60)는 스텝 S52로 처리를 진행한다.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을 비교하여, 주파수를 저감시킴으로써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치가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혼 전류치가 내려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보다도 작아진 경우라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혼 전류치에 따라서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로부터 어느 정도 작아졌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S52에 있어서, CPU(60)는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이 25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 S52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이 250㎃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60)는 주파수를 350㎐ 가산한다(스텝 S53).
그리고, CPU(60)는 튜닝 상태를 상승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56),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 Ih를 전회 혼 전류 Ia#으로 설정하여(스텝 S44),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한편, 스텝 S52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이 250㎃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CPU(60)는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45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4).
스텝 S54에 있어서, 값 Ih가 450㎃ 이하라 판단된 경우에는, CPU(60)는 주파수를 100㎐ 가산한다(스텝 S55).
그리고, CPU(60)는 튜닝 상태를 상승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56),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 Ih를 전회 혼 전류 Ia#으로 설정하여(스텝 S44),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상기한 스텝 S52 및 스텝 S54에 있어서, 혼 전류치에 따라서 혼 전류의 값이 250㎃ 이하인 경우와, 250㎃보다도 크고 450㎃ 이하인 경우로 나누고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보다도 작은 주파수인 경우의 진동자(20)의 주파수 특성은, 공진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 쪽이 임피던스는 작고, 공진 주파수보다도 먼 주파수 쪽이 임피던스는 크다. 따라서, 혼 전류의 값이 250㎃ 이하인 경우에는, 공진 주파수로부터 먼 주파수라 생각되므로, 주파수를 비교적 크게 변화시키도록 튜닝하고, 혼 전류의 값이 250㎃보다도 크고 450㎃ 이하인 경우에는, 공진 주파수로부터 가까운 주파수라 생각되므로, 주파수를 비교적 작게 변화시키도록 튜닝하고 있다.
한편, 스텝 S54에 있어서, 값 Ih가 450㎃ 이하가 아닌, 즉 450㎃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57).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이 경우에는, 혼 전류로서 이상 전류가 흐르고 있어, 제어 불능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상승 모드)
도 10을 참조하여, 상승 모드의 처리에 있어서는, 우선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 Ih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가산한 값을 비교하여, 금회, 산출된 혼 전류 Ih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가산한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Ih≤Ia#+50㎃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가산한 값과 비교하는 것으로 한 것은, 전류치의 변동으로서 오프셋을 고려한 것이다.
즉,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가 전회의 산출된 혼 전류로부터 소정치 가산한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이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가산한 값 이하라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61로 처리를 진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을 비교하여, 주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치가 감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감소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와 반공진 주파수 의 범위 내라고 판단된다.
한편, 스텝 S60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이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으로부터 50㎃ 가산한 값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2로 처리가 진행되어,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즉,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와, 전회에 산출된 혼 전류 Ia#을 비교하여, 주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치가 감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혼 전류치가 증가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주파수가 반공진 주파수보다도 커진 경우라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주파수는 타깃의 주파수 범위로부터 크게 벗어나 있으므로,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61 내지 스텝 S71의 처리는, 도 9에서 설명한 스텝 S41 내지 스텝 S51에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즉, 혼 전류치에 기초하여 주파수를 튜닝한다.
또한, 스텝 S69에 있어서, 금회의 처리에서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450㎃보다도 큰 경우에는,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72).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이 경우에는, 혼 전류로서 이상 전류가 흐르고 있어, 제어 불능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미세 조정 모드)
도 11을 참조하여, 미세 조정 모드의 처리에 있어서는, 우선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 Ih가 10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2).
스텝 S82에 있어서, 100㎃ 이하라 판단된 경우에는,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83).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저감 모드, 상승 모드, 미세 조정 모드 중 어떠한 모드에 있어서도, 혼 전류 Ih가 100㎃보다도 크지 않으면 미세 조정 모드로 설정되지 않으므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치가 100㎃ 이하인 경우에는, 장해가 발생하였다고 생각되어,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스텝 S82에 있어서, 100㎃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즉 스텝 S82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100㎃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100㎃보다도 크고, 28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4).
스텝 S84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100㎃보다도 크고, 280㎃ 이하라 판단된 경우에는, 주파수를 170㎐ 감산한다(스텝 S85). 혼 전류의 값 Ih가 목표의 값보다도 조금 작은 경우에는, 현재의 주파수가 타깃의 주파수보다도 조금 크다고 생각되므로 주파수를 작게 튜닝한다.
그리고, 튜닝 상태를 저감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86),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 Ih를 전회 혼 전류 Ia#으로 설정하여(스텝 S87),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한편, 스텝 S84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100㎃보다도 크고, 280㎃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즉 280㎃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280㎃보다도 크고, 34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8).
스텝 S88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280㎃보다도 크고, 340㎃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주파수를 17㎐ 감산한다(스텝 S89). 혼 전류의 값 Ih가 목표의 값보다도 아주 조금 작은 경우에는, 현재의 주파수가 타깃의 주파수보다도 아주 조금 크다고 생각되므로 주파수를 미소하게 튜닝한다.
그리고, 튜닝 상태를 미세 조정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90).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이 처리에 의해, 반공진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로부터, 34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인 혼 전류에 대응하는 타깃의 주파수에 서서히 근접시킬 수 있다.
한편, 스텝 S88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280㎃보다도 크고, 340㎃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즉 340㎃보다도 큰 경우에는,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34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1).
스텝 S91에 있어서, 금회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340㎃보다도 크고, 360㎃ 이하라 판단된 경우에는, 주파수를 가산도 감산도 하지 않고, 튜닝 상태를 미세 조정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90).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현재의 주파수가 타깃의 주파수 범위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당해 주파수 범위에 주파수가 포함되도록 튜닝한다.
한편, 스텝 S91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340㎃보다도 크고, 360㎃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즉 360㎃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360㎃보다도 크고, 40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
스텝 S92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360㎃보다도 크고, 400㎃ 이하인 경우에는, 주파수를 17㎐ 가산한다(스텝 S93). 혼 전류의 값 Ih가 목표의 값보다도 아주 조금 큰 경우에는, 현재의 주파수가 타깃의 주파수보다도 아주 조금 작다고 생각되므로 주파수를 미소하게 튜닝한다.
그리고, 튜닝 상태를 미세 조정 모드로 설정한다(스텝 S90).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이 처리에 의해, 반공진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로부터, 34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인 혼 전류에 대응하는 타깃의 주파수에 서서히 근접시킬 수 있다.
한편, 스텝 S92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360㎃보다도 크고, 400㎃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즉 400㎃보다도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금회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400㎃보다도 크고, 46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4).
스텝 S94에 있어서, 금회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400㎃보다도 크고, 460㎃ 이하라 판단된 경우에는, 주파수를 50㎐ 가산한다(스텝 S95). 혼 전류의 값 Ih가 목표의 값보다도 조금 큰 경우에는, 현재의 주파수가 타깃의 주파수보다도 조금 작다고 생각되므로 주파수를 작게 튜닝한다.
그리고, 튜닝 상태를 상승 모드로 설정하고(스텝 S96),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 Ih를 전회 혼 전류 Ia#으로 설정하여(스텝 S87),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한편, 스텝 S94에 있어서, 금회의 산출된 혼 전류의 값 Ih가 400㎃보다도 크고, 460㎃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즉 460㎃보다도 큰 경우에는,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97).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이 경우에는, 혼 전류 로서 이상 전류가 흐르고 있어, 제어 불능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스텝 S5에 있어서, 튜닝 모드인 저감 모드, 상승 모드, 미세 조정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었다고 판단된 후, 에러 처리가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
스텝 S6에 있어서, 에러 처리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로 진행한다.
그리고, 소정 횟수 에러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
스텝 S9에 있어서 아직 에러 처리가 소정 횟수 실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처리를 복귀하여, 상기한 스텝 S3 내지 스텝 S6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9에 있어서, CPU(60)는 에러 처리가 소정 횟수 실행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에러 상태가 계속되고 있으므로, 정지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 즉, CPU(60)는, 진동 유닛 제어부(62)에, 진동 유닛(70)에 진동자(20)의 초음파 진동을 정지시키도록 지시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에러 처리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튜닝이 종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8), 종료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S11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튜닝이 아직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CPU(60)는, 스텝 S4로 처리를 복귀하여, 스텝 S4 내지 스텝 S8의 처리를 튜닝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한다.
구체적으로는, CPU(60)는, 진동 유닛(70)에 있어서의 진동자(20)를 제어하고 있는 동안은, 튜닝을 계속적으로 실행하고, 그리고 진동 유닛(70)의 제어를 정지하는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튜닝 종료라 판단하여 처리를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후술하는 웨트 미스트 발생 처리 또는 드라이 미스트 발생 처리에 의해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 미스트 발생을 스텝 S12에서 미스트 발생 기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때까지 계속하고, 미스트 발생 기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처리를 종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방식에 있어서는, 저감 모드, 상승 모드, 미세 조정 모드의 3개의 모드를 실행하여, 일례로서, 34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인 혼 전류가 검출되는 타깃의 주파수로 튜닝한다.
그리고, 당해 각 모드의 튜닝시에는, 각 모드의 튜닝마다 튜닝 전 확인 처리(스텝 S4)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닝 전 확인 처리에 있어서, 32msec의 시간 동안에 있어서 16회의 혼 전류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전회의 32msec의 시간에 있어서의 혼 전류의 평균치와의 차를 산출하여, 혼 전류의 차가 작은, 즉 변동이 거의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당해 혼 전류에 기초하는 튜닝 처리를 실행한다.
이 튜닝 전 확인 처리를 튜닝 모드 개시 전에 실행함으로써, 돌발적인 전류 변동의 결과에 기초하여 튜닝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안정된 혼 전류에 기초하는 튜닝 처리가 가능해져, 정밀도 높은 튜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진동자(20)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튜닝 처리를 실행하므로 정밀도 높은 튜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튜닝 전 확인 처리에 있어서, 32msec의 시간을 일례로서 들었지만, 특별히 상기 시간은 일례이며,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혼 전류를 산출하기 위해 16회의 검출 결과의 평균을 산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특히 16회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임계치를 50㎃로 설정하였지만, 특별히 이 값에 한정되지 않고, 최적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탁기의 자동 운전)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200)에서는, 피세정물의 세탁을 위한 자동 운전이 실행된다. 이 자동 운전에는, 세탁 공정, 이 세탁 공정 후에 실행되는 헹굼 공정, 이 헹굼 공정 후에 실행되는 건조 공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세탁기(200)에서는, 세탁 공정이나 건조 공정에 있어서, 미스트 생성기(100)로부터 회전 드럼 내에 미스트가 공급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 회전 드럼 내에 미스트를 공급하기 위해 CPU(60)가 실행하는 처리를 웨트 미스트 발생 처리라 하고, 또한 건조 공정에 있어서 회전 드럼 내에 미스트를 공급하기 위해 CPU(60)가 실행하는 처리를 드라이 미스트 발생 처리라 한다. 이하, 이들 처리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웨트 미스트 발생 처리)
도 12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제어의 타이밍차트의 일례이다.
세탁 공정에는,「급수」「침투」「제1 물 보급(도 12에서는,『물 보급(1)』 이라 약기)」「제1 세탁(도 12에서는,『세탁(1)』이라 약기)」「제2 물 보급(도 12에서는『물 보급(2)』이라 약기)」「제2 세탁(도 12에서는,『세탁(2)』이라 약기)」「제3 물 보급(도 12에서는,『물 보급(3)』이라 약기)」「제3 세탁(도 12에서는,『세탁(3)』이라 약기)」「배수(도 12에서는,『배수』라 약기)」의 9개의 과정이 순서대로 실행된다.
도 12에 있어서,「메인 급수부」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급수 밸브(42)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개방 상태가「ON」에 대응하고, 폐쇄 상태가「OFF」에 대응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순환 펌프」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순환 펌프(46)의 ON/OFF를 나타내고 있다. ON 상태일 때에, 순환 펌프(46)에 의해, 배수 덕트(238)를 흐르는 물이, 순환 호스(204) 및 순환 노즐(240)을 통해 수조(214)에 다시 공급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배수 M」이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배수 모터(55)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ON 상태일 때에, 수조(214)의 물을 배수 호스(202)에 배수하는 배수 밸브가 개방 상태로 되고, OFF 상태일 때에, 이 배수 밸브가 폐쇄 상태로 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미스트」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미스트 생성기(100)에 의한 미스트의 ON/OFF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연속해서 ON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기간이, 상기한 미스트 발생 기간에 상당한다. 세탁 공정에서는, 세제 케이스(222) 내를 통과한 물이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통해 미스트 생성기(100)에 공급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모터」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드럼 모터(54)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OFF 상태는, 드럼 모터(54)가 구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L_ON」은, 드럼 모터(54)가 회전 드럼을 좌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R_ON」은, 드럼 모터(54)가 회전 드럼을 우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1에,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각 과정의 대략의 소요 시간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은, 단순히 일례이며, 각 과정의 시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2 또는 표 1에 기재된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과정의 내용에 대해서도, 일례이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58962878-pat00001
세탁 공정에서는, 우선 급수 과정에 있어서, 급수 밸브(42)가 개방 상태로 됨으로써, 회전 드럼에 세탁용 물이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는, 순환 펌프(46), 배수 모터(55), 미스트 생성기(100) 및 드럼 모터(54)는 OFF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침투 과정에서는, 회전 드럼 내의 피세정물에 세탁용 물을 침투시키기 위해, 미스트 생성기(100)가 ON 상태로 된다. 이 과정에서는, 순환 펌프(46)도 ON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급수 밸브(42)와 배수 모터(55)는 OFF 상태로 되어 있다. 드럼 모터(54)는, 최초의 10초간 L_ON 상태로 된 후, 5초간 OFF 상태로 되고, 그 후, 10초간 R_ON 상태로 된 후, OFF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회전 드럼은 10초간 좌회전하고, 5초간 회전을 정지한 후, 10초간 우회전하고, 침투 과정이 종료될 때까지 회전을 정지한다.
제1 물 보급 과정에서는, 다시 공급 밸브(42)가 개방 상태로 된다. 이 과정에서는, 순환 펌프(46), 배수 모터(55) 및 미스트 생성기(100)는 OFF 상태로 된다. 드럼 모터(54)는 침투 과정과 마찬가지로, 회전 드럼을 10초간 좌회전시키고 5초간 회전을 정지시키고 10초간 우회전시킨 후,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동된다. 세탁 공정의 각 과정에 있어서, 드럼 모터(54)는, 이와 같이 10초간 회전 드럼을 좌회전시키고, 5초간 회전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10초간 회전 드럼을 우회전시킨 후, 회전 드럼을 정지시키도록 구동된다.
제1 세탁 과정에서는, 급수 밸브(42)와 배수 모터(55)는 OFF 상태로 되고, 순환 펌프(46)와 미스트 생성기(100)는 ON 상태로 된다.
제2 물 보급 과정에서는, 급수 밸브(42)는 ON 상태로 된다. 순환 펌프(46)와 배수 모터(55)와 미스트 생성기(100)는 OFF 상태로 된다.
제2 세탁 과정에서는, 순환 펌프(46)와 미스트 생성기(100)가 ON 상태로 되고, 급수 밸브(42)와 배수 모터(55)는 OFF 상태로 된다.
제3 물 보급 과정에서는, 제1 및 제2 물 보급 과정과 마찬가지로, 급수 밸브(452)가 ON 상태로 되고, 순환 펌프(46)와 배수 모터(55)와 미스트 생성기(100)가 OFF 상태로 된다.
제3 세탁 과정에서는, 순환 펌프(46)는 10분간 ON 상태로 된 후 22분간 OFF 상태로 되는 제어가 반복된다. 미스트 생성기(100)는, 계속적으로 ON 상태로 된다. 급수 밸브(42)와 배수 모터(55)는 OFF 상태로 된다.
배수 과정에서는, 배수 모터(55)는 ON 상태로 되고, 급수 밸브(42)와 순환 펌프(46)와 미스트 생성기(100)는 OFF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세탁 행정에서는, 미스트 생성기(100)는, 침투 과정과 제1 세탁 과정과 제2 세탁 과정과 제3 세탁 과정에 있어서, 계속적으로 ON 상태로 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각 과정에 있어서의, 미스트 생성기(100)에 대한 제어 내용을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미스트용 급수 밸브는, 미스트용 급수 밸브(44)의 개폐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ON 상태는, 미스트용 급수 밸브(44)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OFF 상태는, 미스트용 급수 밸브(44)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미스트 밸브라 함은, 미스트 밸브(59)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다. ON 상태는, 미스트 밸브(59)가 개방 상태로 되어 미스트 생성기(100)로부터 발생하는 미스트가 수조(214)에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OFF 상태는, 미스트 밸브(59)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초음파는 미스트 생성기(100)에 있어서 진동자(20)가 초음파를 발진하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ON 상태는, 드라이버(26)가 PWM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진동자(20)에 고주파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OFF 상태라 함은, 그와 같은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Twm이라 함은, 도 12에 있어서 설명한, 미스트 생성기(100)가 계속해서 ON 상태로 되는 각 과정(침투 과정, 제1 세탁 과정 등)의 전체 기간을 의미하고, 미스트 발생 기간의 일례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미스트 발생 기간에서는, 우선 초기 조정 기간(예를 들어, 2초간)으로서, 미스트용 급수 밸브(44)와 미스트 밸브(59)가 ON 상태로 되고, 진동자(20)로의 고주파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 상태로 제어된다. 다음에, 주파수 조정 제어로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미스트 생성기(100)의 튜닝을 위한 제어가 실행된다. 그리고, 고주파 발생용 제어로서, 드라이버(26)에 상기한 타깃의 주파수 신호에 기초한 PWM 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Twm 종료까지 계속적으로 진동자(20)에 고주파의 전력이 공급되는 제어가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웨트 미스트 발생 처리의 미스트 발생 기간에서는, 초기 조정 기간과 주파수 조정 제어가 실행된 후는, 계속적으로 진동자(20)에 고주파의 전력이 공급된다.
(드라이 미스트 발생 처리)
도 14는, 건조 행정에 있어서의 제어의 타이밍차트의 일례이다.
건조 행정에는,「풀기」「제1 건조(도 14에서는,『건조(1)』라 약기)」「제2 건조(도 14에서는,『건조(2)』라 약기)」「제3 건조(도 14에서는,『건조(3)』라 약기)」「드라이 미스트」「송풍」의 6개의 과정이 순서대로 실행된다.
도 14에 있어서,「모터」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드럼 모터(54)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OFF 상태일 때는, 드럼 모터(54)가 구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L_ON」은, 드럼 모터(54)가 회전 드럼을 좌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R_ON」은, 드럼 모터(54)가 회전 드럼을 우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있어서「배수 M」이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배수 모터(55)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ON 상태일 때에, 수조(214)의 물을 배수 호스(202)에 배수하는 배수 밸브가 개방 상태로 되고, OFF 상태일 때에, 이 배수 밸브가 폐쇄 상태로 된다.
도 14에 있어서「히터」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히터(50)에의 통전이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있어서「미스트」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미스트 생성기(100)에 의한 미스트의 발생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4에 있어서「팬」이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건조 팬(52)의 구동이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있어서「미스트용 급수 밸브」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미스트용 급수 밸브(44)가 개방 상태(ON)인지 폐쇄 상태(OFF 상태)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표 2에, 건조 행정에 있어서의 각 과정의 대략의 소요 시간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들 시간은 단순히 일례이며, 각 과정의 시간의 길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 또는 표 2에 기재된 건조 행정을 구성하는 과정의 내용에 대해서도, 일례이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58962878-pat00002
건조 공정에서는, 드럼 모터(54)는, 전체 과정에 있어서, 우선 5초간 회전을 정지하고, 다음에 10초간 L_ON 상태로 되고, 다음에 5초간 회전을 정지하고, 10초간 R_ON 상태로 된 후, OFF 상태로 된다.
배수 모터(55) 및 건조 팬(52)은, 전체 과정에 있어서 계속해서 ON 상태로 된다.
히터(50)는, 풀기 과정부터 제3 건조 과정까지 ON 상태로 된 후, 송풍 과정에서는 OFF 상태로 된다.
미스트 생성기(100)는,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서만 ON 상태로 된다.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는, 제1 건조 과정부터 송풍 과정까지 ON 상태로 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도 14의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 있어서의 미스트 생성기(100)에 대한 제어 내용을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미스트용 급수 밸브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미스트용 급수 밸브(44)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다. 드라이 미스트 과정(건조 공정)에서는, 세제 케이스(222) 내를 통과하지 않고 급수 덕트(208)에 공급된 물이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통해 미스트 생성기(100)에 공급된다.
도 15에 있어서, 초음파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미스트 생성기(100)에 있어서 진동자(20)가 초음파를 발진하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도 15에 있어서, 미스트 밸브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미스트 밸브(59)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에 있어서, Tdm은, 도 14의 드라이 미스트 과정이 실행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미스트 발생 기간의 일례이다.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서는,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는, 계속적으로 ON 상태로 되어 있다.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서는, 진동자(20)에의 고주파 전력의 공급이 Ts_OFF(예를 들어, 9초) OFF 상태로 된 후 Ts_ON(예를 들어, 11초) ON 상태로 되는 제어가 반복된다.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서는, 미스트 밸브(59)는, 상기한 Ts_OFF만큼 OFF 상태로 되고, 또한 Tdelay(예를 들어, 1초)만큼 OFF 상태로 된 후, Tv_ON(예를 들어, 11초)만큼 ON 상태로 된 후 OFF 상태로 되는 제어가 반복된다.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 있어서, 진동자(20)에 대한 제어와 미스트 밸브(59)에 대한 제어는 동기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도 13과 도 1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세탁 공정 쪽이, 건조 공정보다도, 미스트 발생 기간에 있어서 미스트 생성기(100)(미스트 발생부)가 단위 시간당 공급하는 미스트의 양이 많아지는 제어가 실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스트 생성기(100)에 미스트를 공급시키는 단위 시간당 시간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공급되는 미스트의 양이 조정되고 있다. 또한, 미스트 생성기(100)에 미스트가 공급되는 시간이라 함은, 미스트 생성기(100)에 있어서 진동자(20)가 초음파를 발진하는 상태로 되고, 또한 미스트 밸브(59)가 개방 상태로 되는 상태에 있는 시간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단위 시간당 시간의 길이」라 함은, 미스트 발생 기간 중의 단위 시간당 시간의 길이를 말한다.
세탁기(200)에 있어서, 미스트 생성기(100)가 미스트 발생량을 다르게 하기 위해, 크기 또는 수량이 다른 복수의 세트의 진동자를 구비하고, 초음파 전력에 의해 진동시키는 진동자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단위 시간당 공급하는 미스트의 양이 변경되어도 된다.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 있어서의 진동 유닛의 제어 내용)
도 16을 참조하여,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 있어서의, 진동 유닛(70)에 대한 제어 내용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01에서는, 초음파 혼에의 급수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CPU(60)는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개방하여 미스트 급수 호스(210)로부터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 급수한다.
스텝 S102에서는, CPU(60)는, 초음파 혼에의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예를 들어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개방 상태로 하고 나서 소정 시간[미스트 급수 호스(210)를 통해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 급수가 완료될 때까지의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초음파 혼에의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CPU(60)는 스텝 S1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03에서는, CPU(60)는 드라이버(26)가 출력하는 PWM 신호의 주파수를 세탁기(200)에 있어서 미리 정해져 있는 고주파측 상한치로 설정하여, 스텝 S10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04에서는, CPU(60)는, 스텝 S103에서 설정한 고주파측 상한치의 진동 주파수로 진동하도록 진동 유닛(70)을 제어하여, 스텝 S1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05에서는, CPU(60)는 현재 진동 유닛(70)의 진동 주파수에서의 제어의 계속 시간이 10msec를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 S1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06에서는, CPU(60)는 그 시점에서의 혼 전류 Id를 검지하여, S107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07에서는, CPU(60)는 스텝 S106에서 검지한 혼 전류 Id가 350㎃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다고 판단하면 스텝 S109로 처리를 진행하고, Id가 350㎃ 미만이라 판단하면 스텝 S108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08에서는, CPU(60)는 진동 유닛(70)에 대한 제어 주파수를 35㎐ 저감시키도록 갱신하여, 스텝 S105로 처리를 복귀한다.
스텝 S105 내지 스텝 S108의 처리에 의해, 진동 유닛(70)에 대한 제어 주파수가 10msec마다 35㎐씩 저감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 유닛(70)에 대한 제어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와 반공진 주파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상한치로부터, 서서히 타깃의 주파수에 근접되어 가게 된다.
혼 전류 Id가 350㎃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CPU(60)는 스텝 S109에서 진동 유닛(70)에 대한 제어 주파수를 500㎐ 증가시켜, 스텝 S11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0에서는, CPU(60)는 진동 유닛(70)에 대한 제어 주파수가 고주파측의 상한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아직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 S111로 처리를 진행하고,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S112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1에서는, CPU(60)는 50msec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 스텝 S109로 처리를 복귀한다.
이상, 스텝 S109 내지 스텝 S111의 처리에 의해, 진동 유닛(70)의 제어 주파수가, 혼 전류 Id가 350㎃가 되는 값으로 된 후, 50msec마다 500㎐씩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진동 유닛(70)에 대한 제어 주파수가 고주파측 상한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스텝 S110에서 '예'), CPU(60)는, 스텝 S112에서 100msec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 스텝 S101로 처리를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서는, 진동 유닛(70)에 대한 제어 주파수는, 고주파측의 상한치로부터 35㎐씩 저감되고, 그리고 혼 전류 Id가 350㎃가 되면, 고주파측의 상한치를 향해 50msec마다 500㎐씩 상승되고, 그리고 제어 주파수가 고주파측의 상한치에 도달하면, 100msec 대기된 후, 또한 스텝 S101 내지 스텝 S108에 있어서, 서서히 제어 주파수가 고주파측의 상한치로부터 저주파수측으로 35㎐씩 저감된다.
즉,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서는, 혼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제1 전류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350㎃)로 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어 주파수가 높아진다. 이에 의해, 미스트 생성기(100)는 혼 전류가 제1 전류치로 됨으로써 진동자(20)의 고주파 진동에 의해 미스트를 공급하기 시작한 상태로 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어 주파수가 높아져, 실질적으로 진동자(20)로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되는 상태로 제어된다.
이에 의해, 진동자(20)마다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최적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공정을 마련하지 않고, 미스트 생성기(100)에 어느 정도 일정한 양의 미스트를 공급시키는 제어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드라이 미스트 과정을 장기화시키지 않고, 미스트 생성기(100)에 적절한 양의 미스트를 공급시킬 수 있다.
또한, 혼 전류가 제1 전류치로 된 후, 제어 주파수를 상승시키는 대신에,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msec 등), 진동 유닛(70)에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혼 전류가 제1 전류치로 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바로 제어 주파수를 상승시키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제1 전류치로 된 후,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0msec 등)만큼 그 상태에서 제어 주파수가 유지된 후, 제어 주파수를 상승시키도록 제어가 이루어져도 된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히터 제어)
상기한 바와 같이, CPU(60)가 히터(50)의 구동을 제어하고, 그리고 건조 팬(52)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 팬(52)의 회전에 의해 송풍 덕트(212)를 통해 수조(214) 내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세탁기(200)에서는, 수조(214) 내의 피세정물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이 실행되게 된다.
상기 건조 공정에서는, 진동자(20)에 대해 적절한 진동 제어가 실행됨으로써, 수조(214) 내에 있어서, 미스트를 공급하면서 피세정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피세정물에 부드러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조(214) 내에 가열된 공기가 보내짐으로써, 수조(214)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미스트 생성기(100)의 온도도 상승하는 자체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200)에서는, 상기 건조 공정에서는, 서미스터(49)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50)의 구동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서미스터(49)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진동자(20)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미스트 생성기(100)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히터(50)의 구동 제어 처리의 내용을 설명한다.
스텝 SA10에서는, CPU(60)는 서미스터(49)의 검출 온도(T)가 미리 정해진 제1 온도(TX1)(예를 들어, 70℃)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 SA2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검출 온도(T)가 TX1 이하라고 판단하면 스텝 SA4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A20에서는, CPU(60)는 히터(50)의 구동을 정지시켜, 스텝 SA3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A30에서는, CPU(60)는 특정한 표시 내용을 표시시키는 등에 의해 히터(5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를 통지하여, 스텝 SA10으로 처리를 복귀한다. 이와 같은 표시는, 예를 들어 조작 패널(36)에 있어서 행할 수 있다.
스텝 SA40에서는, CPU(60)는 검출 온도(T)가 제2 온도(TX2)(예를 들어, 60℃) 이하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온도(TX2) 이하로 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A5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검출 온도(T)가 제2 온도(TX2)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CPU(60)는 스텝 SA10으로 처리를 복귀한다.
스텝 SA50에서는, CPU(60)는, [히터(5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히터(50)의 구동을 재개시켜, 스텝 SA6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A60에서는, CPU(60)는, 특정한 표시 내용을 표시시키는 등에 의해 히터(50)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통지하여, 스텝 SA10으로 처리를 복귀한다. 또한, 이와 같은 표시는, 예를 들어 조작 패널(36)에 있어서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히터 제어에서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서미스터(49)의 검출 온도(T)가 제1 온도(TX1)를 초과한 경우에는 히터(50)의 구동이 정지되고, 또한 서미스터(49)의 검출 온도(T)가 제1 온도보다도 낮은 제2 온도(TX2) 이하로 된 경우에는 히터(50)의 구동이 재개된다.
히터 제어는, 서미스터(49) 대신에, 서미스터(48)의 검출 온도에 의해 간접적으로 진동자(20)의 온도가 검출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즉, 서미스터(49)의 검출 온도 대신에, 서미스터(48)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서미스터(49)를 생략하여, 세탁기(200)의 구성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히터 제어에서는, 히터의 구동의 정지 및 재개의 양쪽이 통지(표시)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지만 또는 구동의 재개(또는, 구동이 행해지고 있는 것)만이 통지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초음파 소자에 일정한 전류가 흐른 것을 조건으로 하여, 당해 초음파 소자의 진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초음파 소자가 일정한 진동 상태에 도달한 시점에서, 초음파 소자의 진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기에 있어서, 개개의 초음파 소자에 대한 공진 주파수 등의 최적의 주파수의 결정에 장시간이 걸리지 않고, 또한 개개의 초음파 소자의 특성에 의하지 않고, 적절한 양의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200A)는,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의 세탁기(200)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세탁기(200A)에서는, 순환 펌프(46)가 ON되어 있는 기간에 미스트용 급수 밸브(44)가 개방됨으로써, 순환 호스(204)를 통해 퍼 올려진 물이 미스트 생성기(100)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수조(214) 내의 물이, 반복하여 미스트로서 피세정물에 분무된다.
도 18 및 도 19에는, 세탁에 사용되는 급수 경로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세탁기(200A)에는 건조용 급수 경로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건조용 급수 경로는, 세제 케이스(222)를 내장하는 급수 유닛(220)을 통과하지 않고, 수돗물이 직접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로 유입하는 경로이다. 이로 인해, 세탁기(200A)는, 건조용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와, 이 건조용 급수 밸브와 미스트용 급수 밸브(44) 사이에 설치되는 건조용 급수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한다.
세탁기(200A)는, 건조용 급수 유닛(도시하지 않음) 내의 물이, 급수 덕트(208)를 통해 직접 수조(214)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세탁기(200A)는, 급수 덕트(208)와는 다른 급수 덕트(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조(214)에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세탁기(200A)에서는, 급수 유닛(220)과 순환 노즐(240) 사이에 순환용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 순환 펌프(46)가 OFF되어 있는 기간에는, 급수 유닛(220) 내의 물이 순환 호스(204)로 역류하지 않도록 당해 밸브가 폐쇄 상태로 된다.
세탁기(200A)에서는, 순환 노즐(240)이 급수 유닛(220)에 접속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순환 노즐(240)은 직접 미스트 급수 호스(210)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순환 펌프(46)가 ON의 타이밍에서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개방하는 제어는 필수가 아니게 된다.
세탁기(200A)에서는, 순환 펌프(46)는 수조(214) 내의 물을, 순환 호스(204)를 통해 급수 유닛(220) 내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세탁기(200A)에서는, 순환 펌프(46)의 구동 제어시에는,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개방하고, 또한 급수 밸브(42)를 폐쇄한다.
<미스트 제어 시퀀스>
도 20을 참조하여, 세탁기(200A)에서 실행되는 세탁 공정에서의 제어 내용을 설명한다.
표준 코스의 세탁 공정(세탁 기간)에서는,「급수」,「침투」,「물 보급(1)」,「세탁(1)」,「물 보급(2)」,「세탁(2)」,「물 보급(3)」,「세탁(3)」,「배수」가 순차 실행된다. 그 후, 헹굼 공정으로 이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코스」라 함은, 유저에 의해 투입된 피세정물에 대해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의 과정을 말한다.
도 20에 있어서,「메인 급수부」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급수 밸브(42)의 개폐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개방 상태가「ON」에 대응하고, 폐쇄 상태가「OFF」에 대응한다.
「순환 펌프」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순환 펌프(46)의 ON/OFF를 나타내고 있다. ON 상태일 때에, 순환 펌프(46)에 의해 배수 덕트(238)를 흐르는 물이, 순환 호스(204) 및 순환 노즐(240)을 통해 수조(214)에 다시 공급된다.
「웨트 미스트 제어」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후술하는 웨트 미스트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모터」라 기재되어 있는 것은, 드럼 모터(54)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OFF 상태는, 드럼 모터(54)가 구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L_ON」은, 드럼 모터(54)가 회전 드럼을 좌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R_ON」은, 드럼 모터(54)가 회전 드럼을 우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침투, 및 각 세탁의 공정(이와 같은 공정의 기간을「세정 기간」이라 함)에서, 순환 펌프(46)가 ON된다. 순환 펌프(46)가 ON 기간 중에, 웨트 미스트 제어가 실행된다.
이 세정 기간에 있어서 미스트 생성기(100)에 의해 발생된 미스트를 피세정물의 광범위에 분무하기 위해, 급수 공정에서는, 수조(214)에는 피세정물의 일부분이 잠기는 정도만 급수된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세탁(3)」에서는, 순환 펌프(46)의 ON/OFF를 소정 기간마다 절환해도 된다. 「세탁(3)」의 공정이 실행되는 시점에서는, 이미 피세정물이 충분히 젖어 있다고 생각되어, 이 공정에서는 미스트화된 물(세제가 녹은 물)을 항상 피세정물에 분무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표준 코스에서는,「세탁(3)」의 기간 중, ON의 기간 "j1"을 14분, OFF의 기간 "j2"를 22분으로 하여, 이를 반복한다.
도 21을 참조하여, 도 20에 있어서 웨트 미스트 제어가 ON의 기간에 있어서의, 주파수 조정 제어의 타이밍을 설명한다.
순환 펌프(46)가 ON되면, 웨트 미스트 제어가 개시된다. 도 21에서는, 웨트 미스트 제어의 기간이 "Twm"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기간 Twm은, 코스(표준, 불림 등) 및 각 코스에 포함되는 공정[세탁(1), 세탁(2) 등]마다 미리 정해진 기간이다. 예를 들어, 표준 코스의「세탁(1)」공정에서는, 기간 Twm은 5분이다.
도 21에서는, 진동자(20)의 주파수 조정 제어(튜닝)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TA"로 나타내어진다. 당해 제어에서는, 진동자(20)의 구동 주파수의 최적치가 취득된다. 도 21에서는, 최적치에 의한 제어 기간이 "TB"로 나타내어져 있다.
제어 기간(TB) 중, 진동자(20)가 최적치로 구동되므로, 미스트가 양호하게(충분히) 발생한다. 단, 제어 기간(TB)에 있어서, 세제수의 양의 변화 등에 의해 부하가 변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에러 감시 제어가 병행하여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러 감시 제어는 주파수 조정 제어와 같은 튜닝 처리라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기간 Twm은 고정이므로, 조정 시간 TA가 짧을수록, 최적 제어 기간(TB)은 길어진다. 즉, 조기에 최적 주파수가 탐색되면, 미스트가 적절하게 발생되는 기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피세정물의 세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기에 주파수 조정 제어를 끝나게 하는 것이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즉,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웨트 미스트 제어 개시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이 경과할 때까지, 주파수 조정 제어를 개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파수 조정 제어는, 웨트 미스트 제어의 개시와 동시에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시간 경과하고 나서 실행된다. 이 소정 시간은, 순환 펌프(46)가 구동되고 나서, 진동자(20)의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 물이 공급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진동자(20)에의 부하를 대략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주파수 조정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주파수 조정 제어를 조기에 종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진동자(20)의 최적의 주파수를 단기간에 탐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는, 주파수 조정 제어 개시와 함께, 진동자(20)의 구동이 개시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진동자(20)의 구동은 웨트 미스트 제어 개시 시로부터 행해져도 된다.
세탁기(200A)에서는, 웨트 미스트 제어의 기간 Twm은 코스 및 공정의 조합마다 고정이지만, 에러 처리를 소정 횟수 실행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경과 시간이 리셋되어, 웨트 미스트 제어가 처음부터 다시 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탁기(200A)는, 도 20에 나타낸「급수」의 기간 중, 미스트 급수 제어(후술)를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급수 중에 미스트를 제어하고, 통상의 급수에 부가하여, 미스트에 의한 급수도 행해도 된다.
도 22를 참조하여, 미스트 급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건조용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개방되는 동시에,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도 개방되어, 미스트 급수 제어가 실행된다. 미스트 급수 제어에서도, 상술한 웨트 미스트 제어와 마찬가지로, 바로 주파수 조정 제어를 개시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경과하고 나서 개시한다. 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진동자(20)에의 부하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주파수 조정 제어를 개시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조정 제어를 조기에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스에 있어서의 최초의 급수시에 미스트 급수도 병행하여 행함으로써, 코스의 초기 단계에서 피세정물을 전체적으로 적실 수 있다. 그 결과, 피세정물의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기(200A)에서는, 도 20에 나타낸 세탁 공정 후에 행해지는 헹굼 공정에 있어서도,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다음에, 도 23을 참조하여, 세탁기(200A)에 있어서 실행되는 미스트 제어에 있어서의 진동자의 제어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웨트 미스트 제어(각 세정 기간에 있어서의 미스트 제어)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특필하지 않는 한, 도 22에 나타낸 미스트 급수 제어에도 적합한 것으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여, 우선 초음파 혼에 급수한다(스텝 SB1). 구체적으로는, CPU(60)는, 순환 펌프(46)의 구동을 개시하는 동시에,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수조(214) 내의 물이 순환 호스(204)를 통해 급수 유닛(220)에 공급된다. 그리고, 세제가 녹은 물이 미스트 급수 호스(210)로부터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 급수된다. 이와 같이, 웨트 미스트 제어시, 순환 펌프(46), 순환 호스(204), 급수 유닛(220), 급수 밸브(44) 등에 의해, 미스트 생성기(100)에 물이 공급된다.
또한, CPU(60)는 스텝 SB1에서 타이머(64)의 계시 동작을 개시시킨다.
도 22에 나타낸 미스트 급수 제어의 경우에는, CPU(60)는 건조용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 및 미스트용 급수 밸브(44)를 제어하여 양자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수돗물이 미스트 급수 호스(210)로부터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 급수된다. 이와 같이, 급수 미스트 제어시에는, 건조용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 건조용 급수 유닛(도시하지 않음), 미스트용 급수 밸브(44) 등에 의해, 미스트 생성기(100)에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다음에 혼에의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검출)한다(스텝 SB2). 스텝 SB2에 있어서, 혼에의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음에 스텝 SB3으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미스트용 급수 밸브(44)가 개방하고 나서 미스트 급수 호스(210)를 통해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 급수될 때까지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즉, 세탁기(200A)에서는,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의해, 혼에의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진동자(20)[구체적으로는 전방부 초음파 혼(134)의 선단부]에의 급수가 이루어진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면, 판단의 근거는 시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스트 급수 호스(210)에 수량계(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고, 미스트 생성기(100)에 공급된 수량을 검출함으로써, 또는 미스트 생성기(100) 내의 소정의 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혼에의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의 처리는, 주로, 진동 유닛 제어부(62)에 있어서의 처리이다.
스텝 SB3에 있어서, 초기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초기 설정 처리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 내용으로 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다음에, 튜닝 전 확인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B4).
튜닝 전 확인 처리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같은 처리로 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다음에, 튜닝 모드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B5).
스텝 SB5에 있어서, 튜닝 모드인 저감 모드, 상승 모드, 미세 조정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된 후, 에러 처리가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B6).
스텝 SB6에 있어서, 에러 처리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B9로 처리가 진행되고, 에러 처리가 소정 횟수 실행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B9).
스텝 SB9에 있어서, 에러 처리가 아직 소정 횟수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B3으로 처리가 복귀되고, 상기한 스텝 SB3 내지 스텝 SB6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B9에 있어서 에러 처리가 소정 횟수 실행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에러 상태가 계속되고 있으므로, 정지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B10). 즉, CPU(60)는, 진동 유닛 제어부(62)에, 진동 유닛(70)에 진동자(20)의 초음파 진동을 정지시키도록 지시한다.
스텝 SB6에 있어서, 에러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다음에 튜닝 종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B8).
튜닝이 아직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스텝 SB4로 복귀되고, 스텝 SB4 내지 스텝 SB8의 처리를 튜닝이 종료할 때까지 반복한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유닛 제어부(62)는, 진동 유닛(70)에 있어서의 진동자(20)를 제어하고 있는 동안은, 튜닝을 계속적으로 실행하고 있고, CPU(6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진동 유닛(70)의 제어를 정지하는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튜닝 종료인지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종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방식에 있어서는, 저감 모드, 상승 모드, 미세 조정 모드의 3개의 모드를 실행하여, 일례로서, 340㎃보다도 크고, 360㎃ 이하의 혼 전류가 검출되는 타깃의 주파수로 튜닝한다.
그리고, 당해 각 모드의 튜닝시에는, 각 모드의 튜닝마다 튜닝 전 확인 처리(스텝 SB4)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닝 전 확인 처리에 있어서, 32msec의 시간 동안에 있어서, 16회의 혼 전류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전회의 32msec의 시간에 있어서의 혼 전류의 평균치와의 차를 산출하여, 혼 전류의 차가 작은, 즉 변동이 거의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이 혼 전류에 기초하는 튜닝 처리를 실행한다.
이 튜닝 전 확인 처리를 튜닝 모드 개시 전에 실행함으로써, 돌발적인 전류 변동의 결과에 기초하여 튜닝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안정된 혼 전류에 기초하는 튜닝 처리가 가능해져, 정밀도 높은 튜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진동자(20)의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튜닝 처리를 실행하므로, 정밀도 높은 튜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튜닝 전 확인 처리에 있어서, 32msec의 시간을 일례로서 들었지만, 특히 상기 시간은 일례이며,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혼 전류를 산출하기 위해 16회의 검출 결과의 평균을 산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특히 16회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임계치를 50㎃로 설정하였지만, 특별히 이 값에 한정되지 않고, 최적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탁기(200)는, 건조 공정에서 드라이 미스트 제어를 행해도 된다. 드라이 미스트 제어는, 건조 처리의 후반에, 피세정물의 주름을 저감시키기 위해 행해진다. 즉, 드라이 미스트 제어라 함은, 일단 건조된 의류 등에 미스트를 분무하기 위한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드라이 미스트 제어에 있어서도, 상기 웨트 미스트 제어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초음파 소자의 주파수의 조정 제어는, 초음파 소자에 급수된 것이 검출되고 나서 개시된다. 이에 의해, 이 조정 제어의 기간 중, 초음파 소자에의 부하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적의 주파수의 탐색을 조기에 종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미스트를 양호하게 발생할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나타냈지만, 이는 예시를 위해서일 뿐이며, 한정으로 해서는 안 되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는 것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세탁기의 전방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측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컨트롤부 및 주변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미스트 생성기의 외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세탁기의 진동자(압전 세라믹 진동자)의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미스트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진동자의 제어의 흐름도.
도 7은, 도 6의 초기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6의 튜닝 전 확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튜닝 모드가 저감 모드인 경우의, 도 6의 튜닝 모드 개시 처리의 흐름도.
도 10은, 튜닝 모드가 상승 모드인 경우의, 도 6의 튜닝 모드 개시 처리의 흐름도.
도 11은, 튜닝 모드가 미세 조정 모드인 경우의, 도 6의 튜닝 모드 개시 처리의 흐름도.
도 12는, 도 1의 세탁기의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제어의 타이밍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세탁 공정의 각 과정에 있어서의, 미스트 생성기에 대한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의 세탁기의 건조 행정에 있어서의 제어의 타이밍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건조 공정의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 있어서의, 미스트 생성기에 대한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4의 드라이 미스트 과정에 있어서의, 진동 유닛(70)에 대한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도 1의 세탁기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실행되는 히터 제어 처리의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세탁기의 전방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8의 세탁기의 측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도 18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미스트 제어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도 18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웨트 미스트 제어의 타이밍차트.
도 22는, 도 18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미스트 급수 제어의 타이밍차트.
도 23은, 도 18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미스트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진동자의 제어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미스트 생성기
200 : 세탁기
202 : 배수 호스
206 : 배수 유닛
214 : 수조

Claims (10)

  1. 초음파 진동하는 초음파 소자를 포함하고, 공급된 액체를 상기 초음파 소자의 초음파 진동에 따라서 피세정물에 분무하는 미스트 생성부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초음파 소자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초음파 소자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초음파 소자를 구동하는 전력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초음파 소자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상기 초음파 소자의 공진 주파수로 상정되는 주파수인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로부터 저하시키도록 변경하고,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초음파 소자의 진동을 정지시키는,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는 전류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전류치로 된 후,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초음파 소자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상승시켜, 상기 제2 주파수에 도달하면, 상기 초음파 소자의 진동을 정지시키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1 구동부에 상기 초음파 소자에의 전 력의 공급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초음파 소자의 진동을 정지시키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검출부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전류치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1 구동부에, 상기 초음파 소자로의 전력 공급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시킨 후, 상기 초음파 소자의 진동을 정지시키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생성부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에 의한 상기 미스트 생성부로의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1 구동부에, 상기 초음파 소자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처리를 개시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에 의한 급수 개시로부터의 시간을 계시하는 계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계시부가 소정 시간 경과한 것을 검지한 것을 조건으로, 상기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세탁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피세정물을 투입하기 위한 수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미스트 생성부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와,
    상기 순환 펌프를 구동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순환 펌프의 구동의 개시와 동시에,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을 개시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세정물의 세탁을 위해 기간은,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간과, 상기 수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세정 기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순환 펌프를 구동하는,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세제를 포함한 물을 저수하기 위한 급수 유닛과,
    상기 순환 펌프와 접속되어,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급수 유닛에 반환하기 위한 순환 호스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0. 초음파 진동하는 초음파 소자를 포함하고, 공급된 액체를 상기 초음파 소자의 초음파 진동에 따라서 피세정물에 분무하는 미스트 생성부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초음파 소자에 공급하는 전력의 주파수를, 상기 초음파 소자의 공진 주파수로 상정되는 주파수인 제1 주파수보다 높은 제2 주파수로부터 저하시키도록 변경하는 스텝과,
    상기 초음파 소자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된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초음파 소자의 진동을 정지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90860A 2008-09-26 2009-09-25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057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8401 2008-09-26
JP2008248401A JP4628458B2 (ja) 2008-09-26 2008-09-26 洗濯機および噴霧方法
JP2008250456A JP4637222B2 (ja) 2008-09-29 2008-09-29 洗濯機およびミスト生成方法
JPJP-P-2008-250456 2008-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615A KR20100035615A (ko) 2010-04-05
KR101057281B1 true KR101057281B1 (ko) 2011-08-16

Family

ID=4204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860A KR101057281B1 (ko) 2008-09-26 2009-09-25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7281B1 (ko)
CN (1) CN1016846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7062A (zh) * 2012-06-25 2012-11-07 海尔集团公司 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CN109306604A (zh) * 2017-07-27 2019-02-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水雾形成方法、家用电器用水雾形成装置及家用电器
WO2020029695A1 (zh) * 2018-08-07 2020-02-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超声波振子的驱动控制方法、装置
CN109706696A (zh) * 2019-01-24 2019-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干烧的滚筒洗衣机及其超声波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705A (ja) 2006-11-20 2008-06-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ミスト発生装置とそれを用いた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2292A1 (en) * 2000-08-16 2002-0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cleaning and refreshing fabrics with an improved ultrasonic nebulizer, and improved ultrasonic nebulizer
CN1990941B (zh) * 2005-12-31 2010-08-25 海尔集团公司 一种具有高位提升定向喷雾系统的洗衣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705A (ja) 2006-11-20 2008-06-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ミスト発生装置とそれを用いた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4600B (zh) 2011-09-21
CN101684600A (zh) 2010-03-31
KR20100035615A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281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RU22912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управления парогенерирующим узлом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RU2180275C2 (ru) Способ возбуждения электроакустическ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KR20100035614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4997123B2 (ja) 超音波洗浄装置
JP4993766B2 (ja) 洗濯機
JP4637222B2 (ja) 洗濯機およびミスト生成方法
WO2006028356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0088476A (ja) 洗濯機
KR20150048204A (ko) 세척기
JP4628458B2 (ja) 洗濯機および噴霧方法
JP2010082361A (ja) 洗濯機
JP2011067545A (ja) 超音波洗浄装置
JP2010088470A (ja) 洗濯機
JP2010088700A (ja) 乾燥機
JP2004290505A (ja) 食器洗い機
JP2010264159A (ja) 洗濯乾燥機
JP7309082B2 (ja) 手乾燥装置
RU58393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очистки
JP2004022256A (ja) 電磁誘導加熱装置
JP7265675B6 (ja) 超音波洗浄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WO2023005554A1 (zh) 一种冰箱及其超声辅助处理装置的过热保护方法
JP2007209548A (ja) 食器洗浄機及び食器洗浄乾燥機
JPH0497777A (ja) 電気洗濯機
JP2517070B2 (ja) 電気洗濯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