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554B1 -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554B1
KR101056554B1 KR1020080087609A KR20080087609A KR101056554B1 KR 101056554 B1 KR101056554 B1 KR 101056554B1 KR 1020080087609 A KR1020080087609 A KR 1020080087609A KR 20080087609 A KR20080087609 A KR 20080087609A KR 101056554 B1 KR101056554 B1 KR 101056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ssage
message transmission
predetermined area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744A (ko
Inventor
안수호
김영식
최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8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5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5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은,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메시지 전송 순서에 따라,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하여 각 이동통신사의 문자 전송 장비와 관계없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각 이동통신사의 메시지 전송 장비에 발생하는 부하 및 장비 증설 비용에 따르는 부담, 그리고 다수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 인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폰, SMS, 메시지, 모바일 아이피(Mobile IP)

Description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SSAGE TRANSMISSION OF MOBILE TERMINALS IN SPECIFIC AREA}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중의 하나로 메시지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짧은 문장으로 이루어진 메시지를 사용자 간에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메시지 서비스는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도 발송 시점과 거의 동시에 내용 전달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대화식으로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는 간단히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 SMS)에서 시작되어 벨소리, 이미지, 애니메이션, 시작/종료화면, 로고 등과 같은 단순한 미디어를 송수신하도록 해주는 서비스인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로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텍스트와 함께 사운드, 사진, 동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ea Messaging Service : MMS)로 진화하였다.
이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간단한 내용을 담아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일대 일로 주고 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본질적인 기능을 넘어 다수의 사람들에게 특정한 정보를 알리고자 하는 목적으로 다수의 상대방을 착신자로 하는 메시지 전송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소위 단체 메시지 전송 기능은 현재 거의 모든 단말기에서 구현되고 있으며, 단말기가 아닌 개인용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웹 사이트 등을 통한 단체 메시지 전송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단체 메시지 전송 기능은 일반 메시지 전송 기능과 마찬가지로 각 이동통신사의 메시지 전송 장비를 통해 수행되기 마련이다. 웹 기반 메시지 전송을 예로 들어 보면, 어떤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통해 다수의 착신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이 메시지는 웹 투 폰 게이트웨이(Web to Phone Gateway)를 거쳐 이동통신사의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에 도달하고, 여기서 다시 공통 신호 방식(No.7) 라우팅을 거쳐 이동통신사의 교환기를 통해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된다.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된 메시지는 각 기지국을 통해 착신자에게 전송된다.
이처럼 종래의 메시지 전송, 특히 단체 메시지 전송 기능은 각 이동통신사의 메시지 전송 관련 장치들을 통하여 수행된다. 그런데 특정한 지역 내에서 특정한 가입자들에게만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백화점 내에서 특정 층에 있는 고객들에게 어떠한 물건에 대한 선착순 세일 정보를 전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단체 메시지 기능을 이용한다면, 한꺼번에 다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각 이동통신사의 장비에 커다란 부하를 초래하게 되고, 이에 따른 장비 증설로 인한 큰 증설 비용은 각 이동통신사에 많은 부담을 안기게 된다. 또한 단체 메시지를 발송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매번 많은 량의 메시지를 보냄으로 인하여 메시지 전송 요금에 대한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하여 각 이동통신사의 문자 전송 장비와 관계없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각 이동통신사의 메시지 전송 장비에 발생하는 부하 및 장비 증설 비용에 따르는 부담, 그리고 다수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 인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체 메시지를 전송할 때 각 단말기의 응답 속도 및 시스템의 가용 자원을 고려하여 전송함으로써 부하에 의한 장비의 고장이나 오동작 및 이로 인한 단말기 사용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환망과 이동통신사의 문자 전송 장비를 거칠 필요 없이 메시지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 주도의 메시지 서비스 개발 및 이를 응용한 개인화 서비스를 통해 웹 2.0과 같은 트렌드와 함께 메시지 서비스 시장 확대에 일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메시지 전송 순서에 따라,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확인부와,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전송 순서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메시지 전송 순서에 따라,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 전송 순서에 따라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와,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상기 소정 구역 내에서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하여 각 이동통신사의 문자 전송 장비와 관계없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각 이동통신사의 메시지 전송 장비에 발생하는 부하 및 장비 증설 비용에 따르는 부담, 그리고 다수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 인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체 메시지를 전송할 때 각 단말기의 응답 속도 및 시스템의 가용 자원을 고려하여 전송함으로써 부하에 의한 장비의 고장이나 오동작 및 이로 인한 단말기 사용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환망과 이동통신사의 문자 전송 장비를 거칠 필요 없이 메시지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 주도의 메시지 서비스 개발 및 이를 응용한 개인화 서비스를 통해 웹 2.0과 같은 트렌드와 함께 메시지 서비스 시장 확대에 일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의미의 용어이다. 아래에서는 편의상 SMS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및 장치는 다른 메시지 유형에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웹 기반 메시지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발신자는 발신 단말(100)을 통해 다수의 착신 단말(112, 114)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발신 단말(100)로는 여러 가지 종류의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으나, 도 1에서는 발신 단말(100)이 개인용 컴퓨터 등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발신자는 먼저 발신 단말(100)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하고, 착신 단말(112, 114)의 식별 번호를 입력한 후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편의상 착신 단말(112, 114, 212, 214)을 두 개만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착신 단말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면 이 메시지는 웹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웹 투 폰 게이트웨이(102)를 통해 이동통신사의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104)로 전달된다. SMSC(104)는 이 메시지의 착신지를 파악하여 이에 해당하는 교환기(106)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환기(106)는 이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108)로, 기지국 제어기(108)는 다시 해당 기지국(110)으로 전송하게 되며, 기지국(110)을 통해 이 메시지는 각 착신 단말(112, 114)에 전송된다.
이처럼 종래에는 메시지 전송, 특히 단체 메시지를 특정 지역에 있는 다수의 착신 단말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동통신사의 메시지 전송 관련 장비들을 반드시 거쳐야만 했다. 따라서 이러한 단체 메시지 전송이 빈번하게 발생할 경우, 이동통신사 장비에는 많은 부하가 생길 수밖에 없고, 발신자 입장에서는 메시지 전송에 드는 많은 비용이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발신자는 발신 단말(200)을 통하여 소정 구역에 위치한 착신 단말(212, 214)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백화점 내에서 특정 층에 있는 고객들에게 선착순 세일 정보를 알리고자 하는 경우나, 어느 건물 내에 있는 특정 사무실 내의 직원들에게만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신 단말(200)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이동통신사의 메시지 전송 장비를 통해 착신 단말(212, 214)에 보내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202)로 전송하게 된다. 이 메시지 전송 관리 장 치(202)는 위에서 예를 든 백화점이나 회사 건물 내에 사설 SMSC와 같은 형태로 설치되어 해당 건물 내의 단체 메시지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로 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202)는 통신부(202a), 위치 정보 확인부(202b), 전송 순서 결정부(202c) 및 메시지 전송부(202d)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02a)는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즉, 발신 단말(200)로부터 착신 단말(212, 214)에 대한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위치 정보 확인부(202b)는 발신 단말(200)이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단말기들의 식별 정보를 통하여 확인되는데, 식별 정보에는 전화번호, 모바일 아이피 주소(Mobile IP Address) 또는 맥 주소(MAC Address)가 포함된다. 즉, 위치 정보 확인부(202b)는 착신 단말(212, 214)의 식별 정보인 전화번호, 모바일 아이피 주소(Mobile IP Address) 또는 맥 주소(MAC Address)를 획득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있는 착신 단말(212, 214)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할 준비를 하는 것이다.
위치 정보 확인부(202b)의 단말기 위치 확인은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성 관리 장치로서 홈 에이전트(Home Agent : HA, 204) 및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 : FA, 206)가 이용된다. 홈 에이전트(204) 및 외부 에이전트(206)는 위에서 언급한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특히 모바일 아이피 주소나 맥 주소에 관련된 것인데, 이는 모바일 아이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다.
홈 에이전트(204) 및 외부 에이전트(206)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어떤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위치하고 있는 모바일 노드(Mobile Node) 또는 단말기가 외부 망(Foreign Network 또는 Visited Network)로 이동하게 되면, 이 단말기는 이동 사실을 홈 네트워크에 있는 일종의 라우터인 홈 에이전트(204)에 등록한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외부 망에서 외부 에이전트(206)에 의해 부여받은 아이피 주소인 COA(Care-of-Address)도 함께 알리게 된다.
이후 다른 단말기가 이 외부 망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하여 패킷을 전송하면, 홈 에이전트(204)는 이 패킷을 대신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홈 에이전트(204)와 외부 에이전트(206)간 설정된 아이피 터널(IP Tunnel)을 이용하여 외부 망에 위치한 단말기에 전달한다. 결과적으로 외부 망에 위치하고 있는 이 단말기는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바꾸지 않고도 다른 단말기가 보낸 패킷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치 정보 확인부(202b)는 이러한 홈 에이전트(204) 및 외부 에이전트(206)와의 연동을 통하여 발신 단말(200)이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착신 단말(212, 21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212, 214)이 홈 에이전트(204)의 관리 하에 있는 경우에는 홈 에이전트(204)를 통해 착신 단말(212, 214)의 모바일 아이피 주소를 알 수 있으므로 해당 착신 단말(212, 214)에 대해 바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고, 착신 단말(212, 214)이 현재 홈 에이전트(204)가 아닌 외부 에이전트(206)의 관리하에 있는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아이피 터널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위치 정보 확인부(202b)가 홈 에이전트(204) 또는 외부 에이전트(206)를 통해 착신 단말(212, 214)의 위치를 알아냈다면 착신 단말(212, 214)에 대해 메시지를 전송하면 되는데, 만약 착신 단말(212, 214)의 개수가 비교적 많은 경우라면 전체적인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단말기의 메시지 발송 순서를 정하고 이에 따라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 순서 결정부(202c)는 이처럼 시스템 부하를 줄이기 위한 목적을 위해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송 순서 결정부(202c)는 먼저 위치 정보 확인부(202b)를 통해 그 위치가 확인된 착신 단말(212, 214)에 대하여 테스트 신호를 보낸다. 이 테스트 신호는 각 착신 단말(212, 214)의 응답 속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 테스트 신호에 대하여, 각 착신 단말(212, 214)은 응답 신호를 보내거나 혹은 응답이 없을 수 있다. 전송 순서 결정부(202c)는 이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속도가 가장 빠른 단말기 순서대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한다. 여기서 응답이 없는 단말에 대해서는 일정한 횟수를 정하여 응답 신호를 받을 때까지 즉시 테스트 신호를 보낼 수도 있고, 또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들에 대해서 먼저 메시지 전송을 모두 진행한 다음에 다시 테스트 신호를 보내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송 순서 결정부(202c)가 단말기의 응답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면 이 순서대로 메시지를 보내면 되는데, 보다 효율적인 메시지 전송을 위해 메시지 전송에 이용할 채널의 가용 자원 및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크기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전송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전송 순서 결정부(202c)는 먼저 메시지 전송에 이용할 채널의 가용 자원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발신 단말(200)이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용량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서 현재 채널의 가용 자원이 128kbps이고 보내고자 하는 메시지의 용량이 32k라면 이는 동시에 4개 정도의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앞서 메시지 전송 순서를 정해놓은 단말기들을 다시 4개씩 묶어 그룹핑한다. 이렇게 그룹핑을 거친 후 각 단말기 그룹별로 메시지를 보내되, 채널의 가용 자원이 변하거나 그 이상의 가용 채널이 확인되면 이에 따라서 한 그룹당 단말기 개수를 변화시키면서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무선 채널 용량의 과부하를 피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단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송 순서 결정부(202c)에 의해 메시지 전송 순서가 결정되면, 메시지 전송부(202d)는 이 전송 순서에 따라 메시지를 차례로 전송하게 되고, 이 메시지는 홈 에이전트(204) 또는 외부 에이전트(206), 기지국 제어기(208), 기지국(210)을 거쳐 착신 단말(212, 214)에 전달된다. 홈 에이전트(204), 외부 에이전트(206), 기지국 제어기(208) 및 기지국(210)은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202)와 같이 이동통신사가 아닌 사설 장비로서 운용될 수도 있고, 이동통신사의 장비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 전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300). 즉, 앞에서 예를 든 것과 같이 백화점이나 회사 건물의 특정 층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302). 위치 정보 확인은 전화번호, 모바일 아이피 주소(Mobile IP Address) 또는 맥 주소(MAC Address)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확인되면, 효율적인 메시지 전송을 위해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한다(304). 이는 테스트 신호에 대한 각 단말기의 응답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를 보낼 채널의 가용 자원 및 메시지 용량을 통해 단말기를 그룹핑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도 있다. 이렇게 결정된 메시지 전송 순서에 따라 앞에서 확인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한다(306).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 전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400). 그 다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전화번호, 모바일 아이피 주소(Mobile IP Address) 또는 맥 주소(MAC Address)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통하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402). 단계 402에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홈 에이전트나 외부 에이전트 등의 이동성 관리 장치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각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확인되면,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각 단말기에 테스트 신호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 받는 다(404). 응답 신호를 전송 받으면, 응답 신호가 먼저 도착한 순서대로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한다(406).
메시지 전송 순서 결정 후 보다 효율적인 메시지 전송을 위해 단말기를 그룹핑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먼저 메시지 전송에 이용할 채널의 가용 자원을 확인하고(408),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한다(410). 그리고 나서 이 채널의 가용 자원 및 메시지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그룹핑한다(412).
이렇게 해서 그룹핑이 완료되면, 그룹핑에 의해 생성된 단말기의 그룹별로 메시지를 전송한다(414). 단말기 그룹은 채널 가용 자원의 변화 또는 메시지 크기의 변화에 따라 각 그룹에 속하는 단말기 개수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404 및 406에서 만약 테스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도착하지 않은 단말기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단말기에 대해서는 따로 관리를 하여 재전송을 실시한다. 즉, 메시지 전송 전 또는 후에 테스트 신호를 일정 횟수 동안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릴 수도 있고, 응답 신호를 보낸 단말기들에 대한 메시지 전송이 끝난 후 응답 신호를 보내지 않은 단말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 곧바로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 웹 기반 메시지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 전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 전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13)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메시지 전송 순서에 따라,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전화번호, 모바일 아이피 주소(Mobile IP Address) 또는 맥 주소(MAC Address)를 포함하는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테스트 신호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받는 단계와,
    상기 응답 신호가 먼저 도착한 순서대로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전송에 이용할 채널의 가용 자원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상기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의 가용 자원과 상기 메시지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를 그룹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그룹핑에 의해 생성된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그룹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가 상기 테스트 신호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상기 테스트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방법.
  6.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확인부와,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전송 순서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메시지 전송 순서에 따라,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는
    전화번호, 모바일 아이피 주소(Mobile IP Address) 또는 맥 주소(MAC Address)를 포함하는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통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순서 결정부는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테스트 신호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받으며, 상기 응답 신호가 먼저 도착한 순서대로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순서 결정부는
    상기 메시지 전송에 이용할 채널의 가용 자원을 확인하고,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상기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하며, 상기 채널의 가용 자원과 상기 메시지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를 그룹핑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그룹핑에 의해 생성된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그룹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순서 결정부는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가 상기 테스트 신호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상기 테스트 신호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
  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 전송 순서에 따라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관리 장치와,
    상기 소정 구역 내의 단말기의 상기 소정 구역 내에서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는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의 홈 에이전트(Home Agent) 또는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관리 시스템.
  13. 삭제
KR1020080087609A 2008-09-05 2008-09-05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56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09A KR101056554B1 (ko) 2008-09-05 2008-09-05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09A KR101056554B1 (ko) 2008-09-05 2008-09-05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44A KR20100028744A (ko) 2010-03-15
KR101056554B1 true KR101056554B1 (ko) 2011-08-11

Family

ID=4217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609A KR101056554B1 (ko) 2008-09-05 2008-09-05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5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254A (ko) * 1996-03-11 1997-10-13 구자홍 다수 gsm 단말기로의 sms 전송 방법
KR100282956B1 (ko) * 1998-12-30 2001-03-02 윤종용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50024938A (ko) * 2003-09-05 200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70009862A (ko) * 2005-07-14 2007-0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254A (ko) * 1996-03-11 1997-10-13 구자홍 다수 gsm 단말기로의 sms 전송 방법
KR100282956B1 (ko) * 1998-12-30 2001-03-02 윤종용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50024938A (ko) * 2003-09-05 200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70009862A (ko) * 2005-07-14 2007-0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44A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739B1 (ko) 개방형 api를 이용한 메시지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CN101330639B (zh) 移动交换中心池中实现寻呼的方法及装置
JP2005520368A5 (ko)
JP2010507300A5 (ko)
JP5739158B2 (ja) 通信ルータ
JP2010541394A (ja) 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から送信された、束にされたメッセージの選択的レビュー
CN101542989A (zh) 群组通信
CN101998313A (zh) 短消息处理方法和系统、短消息网关以及交互功能实体
CN106028266A (zh)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0812396B1 (ko)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JP2012530984A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
JP4368885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再送システム、ショートメッセージ再送方法
KR100521033B1 (ko) 메시지 릴레이 전송 방법
JP4911222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中継装置
KR1014163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548514B (zh) 在一个移动无线电系统中交换消息的方法和设备
KR1007544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 부가 서비스를변경하는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서버 및시스템
KR101056554B1 (ko) 특정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405615B (zh) 一种通信数据的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458452B1 (ko) 단말 저장 방식을 이용한 인스턴스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674065B1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5880015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KR100805056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0992009B1 (ko) 대량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1582B1 (ko) 로밍 중인 단말기로의 장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