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523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523B1
KR101055523B1 KR1020090100498A KR20090100498A KR101055523B1 KR 101055523 B1 KR101055523 B1 KR 101055523B1 KR 1020090100498 A KR1020090100498 A KR 1020090100498A KR 20090100498 A KR20090100498 A KR 20090100498A KR 101055523 B1 KR101055523 B1 KR 10105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module
light
reflecto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812A (ko
Inventor
김진홍
송상빈
김기훈
천우영
박정욱
김재필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0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5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1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 F21V29/71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using split or remote units thermally interconnected, e.g. by thermally conductive bars or heat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과 광원의 빛을 반사하여 배광하는 반사부의 상대 이동을 통해 배광각도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광원이 실장되는 기판을 갖는 광원모듈과, 광원모듈을 수용하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광원모듈과 반사부가 상호 상대 이동되어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배광각도 범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광원모듈과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시키는 반사부를 상호 상대 이동 시킴으로써 반사부로 배광되는 배광각도 범위를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명 효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원, 발광 다이오드, 반사부, 배광각도

Description

조명장치{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배광하는 반사부를 상대 이동시켜 배광각도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실내외에서의 암연(暗然) 상태를 극복하여 물체 또는 공간을 배광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길가의 가로등, 건물의 외관에 빛을 투광하는 투광기 및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조명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대부분 광원 자체로부터의 빛의 배광각도 범위 또는 배광거리 등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빛을 반사하여 배광하는 반사부가 구비된다.
한편, 종래의 조명장치의 반사부 형상은 광원모듈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반사된 빛의 배광각도 범위가 넓어지도록 광원모듈로부터 점점 단면적이 커지는 원뿔 형상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조명장치의 광원모듈과 반사부는 고정 지지됨으로써, 광원모듈로부터 반사되어 배광되는 배광각도의 범위가 일정한 문제점이 있다. 즉, 조명장 치의 설치 위치 및 배광 범위를 고려하여 그 배광각도의 범위가 달라져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광원모듈과 반사부를 고정 지지시켜 설치할 경우, 그 효과가 감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의 반사범위를 조정하여 배광각도 범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광원모듈과 반사부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광원이 실장되는 기판을 갖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원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반사부가 상호 상대 이동되어,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배광각도 범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모듈이 접촉 지지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광열모듈과 면 접촉되어, 상기 광원모듈로부터의 열을 전달 받는 접촉방열부와, 상기 접촉방열부로부터의 열이 발산되는 히트싱크와, 상기 접촉방열부와 상기 히트싱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방열부로부터의 열을 상기 히트싱크로 전달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는 봉(bar)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반사부에 관통되며, 상기 광원모듈에 대해 상기 반사부가 상대 이동되도록 상기 반사부의 이동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방열부는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방열부는 내부가 중공된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은 곡면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접촉방열부와 면 접촉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곡면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접촉방열부와 면 접촉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절개부로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모듈을 수용하며 둘러싸고, 상기 광원모듈로부터의 빛을 반사하여 배광하는 반사부몸체와, 상기 반사부몸체로부터 상기 열전달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반사부와 상기 광원모듈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 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에는 상기 열전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저지하는 복수개의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스토퍼와 맞물리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홈이 맞물리도록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상기 광원이 실장되는 기판을 갖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원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하는 반사부와,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반사부가 상호 상대 이동되어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배광각도 범위가 조정되도록 상기 반사부의 이동이 지지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상기 광원이 실장되는 연성회로기판을 갖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원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하는 반사부와, 상기 광원모듈과 면 접촉되는 곡면 형상의 접촉방열부와, 상기 접촉방열부로부터의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와, 상기 접촉방열부와 상기 히트싱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방열부의 열을 상기 히트싱크로 전달하고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반사부의 상대 이동 시 상기 반사부를 지지하는 열전달부를 갖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조명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광원모듈과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시키는 반사부를 상호 상대 이동 시킴으로써 반사부로 배광되는 배광각도 범위를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명 효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광원모듈과 면 접촉되어 1차적으로 광원모듈의 열을 전달 및 방열함과 더불어 2차적으로 열을 방열할 수 있는 방열유닛을 구비하여 광원모듈의 방열 성능을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구성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제1 및 제2실시 예로 구분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에서 기재되는 동일 명칭은 동일 도면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1 및 2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있어서, 광원모듈, 반사부 및 방열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대해는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생략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곡면 형상을 이루는 광원모듈의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곡면 형상을 이루는 광원모듈을 전개한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는 광원모듈(100), 반사부(300) 및 방열유닛(500)을 포함한다.
광원모듈(100)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받아 빛을 발산하는 광원(120)과, 광원(120)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기판(140)을 포함한다. 광원모듈(100)은 반사부(300) 내부에 수용되어 반사부(300) 외부 및 반사부(300)의 내표면으로 빛을 조사한다.
광원(1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한다. 광원(120)은 기판(140) 상에 복수개로 배치되어, 반사부(300)의 내표면 둘레를 따라 빛을 조사함과 더불어 반사부(300) 외부로 직진성을 갖는 빛을 조사한다.
여기서, 광원(1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었으나, 형광등과 같이 다양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120)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형광등과 같은 광원(120)은 발광 다이오드 대비 그 광도 및 휘도 효율이 낮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광원(120)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1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20)을 지지한다. 기판(140)에는 광원(120)으로 전기 신호가 인가되도록 전기 신호의 전달 경로 역할이 되는 패턴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판(140)은 일 실시 예로서, 플렉서블(flexible) 특성을 갖는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된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은 후술할 방열유닛(500)의 형상에 대응되어 방열유닛(500)의 외표면 상에 면 접촉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기판(140)은 4개의 영역으로 절개된 제1기판(142), 제2기판(144), 제3기판(146) 및 제4기판(148)으로 구성된다.
제1기판(142), 제2기판(144), 제3기판(146) 및 제4기판(148)은 각각의 기판(140)을 연결하는 중심 영역으로부터 전개된 상태에서 각 절개면이 접촉 될 때 곡면 형상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제1기판(142), 제2기판(144), 제3기판(146) 및 제 4기판(148)의 절개면이 접촉되면 기판(140)의 전체적인 형상은 곡면을 갖는 반구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기판(140)이 곡면을 갖는 반구 형상을 가짐으로써, 기판(140)에 실장된 광원(120) 조사 방향이 입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기판(140)은 후술할 반구 형상의 접촉방열부(520)의 외표면에 면 접촉 대응되도록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이다. 한편, 제1기판(142), 제2기판(144), 제3기판(146) 및 제4기판(148)으로 절개된 기판(140)은 설계 편의 상 4개로 절개되어 있을 뿐, 설계 변경에 따라 그 숫자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반사부(300)는 반사부몸체(320) 및 이동지지부(340)를 포함한다. 반사부(300)는 광원모듈(100)을 수용하여 광원모듈(100)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빛의 배광각도 범위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사부몸체(320)는 광원모듈(100)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반사부몸체(320)는 내부에 수용된 광원모듈(100)로부터 전체 영역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도록 광원모듈(100)을 둘러싼 원통 형상을 갖는다. 물론, 반사부몸체(320)는 빛을 반사시켜 배광시키는 배광각도 범위가 증대될 수 있도록 빛의 조사방향을 따라 점점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반사부몸체(320)는 빛의 조사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빛의 조사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이동지지부(340)는 반사부몸체(320)로부터 빛의 배광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동지지부(340)에는 후술할 열전달부(560)가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이동지지부(340)는 반사부(300)와 광원모듈(100)의 상호 상대 이 동 시, 반사부(300)와 광원모듈(100)의 상대 이동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서 광원모듈(100)은 방열유닛(500)과 결합되므로,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의 상호 이동은 반사부(300)와 방열유닛(500)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구현된다. 이렇게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의 상대 이동은 반사부(300)와 방열유닛(500)의 상대 이동 지지에 따라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반사부몸체(320)는 빛의 배광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므로, 광원모듈(100)과 반사부몸체(320)가 상대 이동되면 반사부몸체(320)에 의해 반사되어 배광되는 빛의 배광각도 범위는 증가하게 된다. 즉, 광원모듈(100)과 반사부몸체(320)의 상호 상대 이동거리의 증감에 따라 반사부몸체(320)에 의해 배광되는 빛의 배광각도 범위도 증가된다. 광원모듈(100)과 반사부몸체(320)의 상호 상대 이동거리는 반사부몸체(320)에 의해 배광되는 빛의 배광각도 범위가 비례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열유닛(500)은 접촉방열부(520), 히트싱크(540) 및 열전달부(560)를 포함한다. 방열유닛(500)은 광원모듈(100)과 접촉 지지되어,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된 고열을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방열유닛(500)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구리합금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이 사용된다.
접촉방열부(520)는 광원모듈(100)과 접촉 지지되며 광원모듈(100)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한다. 접촉방열부(520)는 광원모듈(100)과 면 접촉되어 광원모듈(100)로부터의 열을 전달 받는다. 접촉방열부(520)로 전달된 광원모듈(100) 열의 일부는 직접적으로 공기와 접촉하여 방열되고, 광원모듈(100) 열의 나머지는 히트싱크(54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접촉방열부(520)는 반구 형상의 광원모듈(100)이 면 접촉 대응되도록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상으로 마련된다. 접촉방열부(520)는 반구 형상의 광원모듈(100)에 대응되어 반구 형상을 가지며, 내부로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중공 형성된다. 즉, 접촉방열부(5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진 반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다.
히트싱크(540)는 접촉방열부(520)에 전달된 광원모듈(100)의 열을 전달 받아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히트싱크(540)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판상으로 마련된다. 히트싱크(540)는 후술할 열전달부(560)에 의해 접촉방열부(520)와 연결된다.
열전달부(560)는 접촉방열부(520)와 히트싱크(540)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방열부(520)로부터의 열을 히트싱크(54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열전달부(560)는 봉(bar) 형상으로 마련되어 반사부(300)에 관통되며, 광원모듈(100)에 대해 반사부(300)가 상대 이동되도록 반사부(300)의 이동을 지지한다. 봉 형상의 열전달부(560)는 일 실시 예일 뿐, 사각봉과 같은 다각형 형상의 봉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열전달부(560)는 이동지지부(340)를 관통하여 접촉방열부(520)의 배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열전달부(560)의 양단에는 나사산 형성되어 접촉방열부(520) 및 히트싱크(540)와 나사 결합된다. 물론, 접촉방열부(520) 및 히트싱크(540)를 상호 연결하는 열전달부(560)는 나사 결합 이외에도 끼워맞춤 또는 용접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촉방열부(520)와 히트싱크(54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동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Ⅸ-Ⅸ 선의 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는 광원모듈(100), 반사부(300) 및 방열유닛(5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반사부(300)는 반사부몸체(320), 이동지지부(340), 가이드부(360) 및 가이드홈(380)을 포함한다.
가이드부(360)는 이동지지부(340)로부터 열전달부(560)를 향해 연장되어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의 상대 이동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반사부(300)에서는 이동지지부(340)의 두께에 의해 열전달부(560)가 지지됨으로써,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의 상대 이동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조명장치(10)는 가이드부(360)가 마련되어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의 상대 이동 안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홈(380)은 가이드부(360)에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스토퍼(570)와 맞물린다. 가이드홈(380)은 일 실시 예로서, 가이드부(3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된다.
방열유닛(500)은 접촉방열부(520), 히트싱크(540), 열전달부(560), 스토퍼(570) 및 탄성부재(590)를 포함한다.
열전달부(56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스토퍼(570)를 수용하는 수용홈(562)이 형성된다. 스토퍼(570)는 가이드홈(380)과 맞물려서 가이드홈(380) 외부로 돌출 된다. 즉, 복수개로 배치된 스토퍼(570)는 열전달부(560)를 따라 가이드부(360)가 이동될 때 가이드홈(380)과 맞물리는 스토퍼(570)는 수용홈(562)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이드부(360)의 내표면에 접촉되는 스토퍼(570)는 수용홈(562)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스토퍼(570)의 돌출 및 수용홈(562) 내부로의 수용은 스토퍼(570)와 수용홈(562)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59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590)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스토퍼(570)가 수용홈(562) 외부로 돌출되도록 스토퍼(57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590)에 의해 스토퍼(570)는 가이드부(360)와 미접촉 또는 가이드홈(380)과 맞물릴 때 수용홈(562) 외부로 돌출되고, 가이드부(360)의 내표면과 접촉되어 가압될 때 수용홈(562) 내부로 수용된다. 가이드부(360)가 열전달부(560)를 따라 이동되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스토퍼(570)는 수용홈(562)에 수용 또는 수용홈(562)으로부터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는 가이드부(360), 가이드홈(380), 열전달부(56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스토퍼(570)를 이용하여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의 상대 이동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의 상대 이동은 가이드홈(380)과 스토퍼(570)의 맞물림에 의해 지지력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물론, 스토퍼(570)의 개수는 3개 미만이너가 초과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스토퍼(570)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배광각도 범위의 단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의 작동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의 광원모듈(100)은 반사부(300)의 이동지지부(340)에 밀착 지지된다.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광원모듈(100)은 빛을 조사하고, 광원모듈(100)의 작동에 의한 발열은 방열유닛(500)을 통해 방열된다.
광원모듈(100)로부터 조사된 빛의 일부는 반사부(300) 외부로 배광되고, 일부는 반사부(300)의 내표면에 반사되어 배광된다. 이때, 주위 환경의 배광 범위를 고려하여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를 상대 이동 시킨다.
반사부(300)는 방열유닛(500)의 열전달부(560)에 의해 지지되고, 광원모듈(100)은 반사부(300)의 이동지지부(340)로부터 일정 거리 이동된다. 그러면, 광원모듈(100)로부터 조사된 빛은 반사부(300)에 반사되어 그 배광각도 범위가 증가됨으로써, 주위 환경의 배광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의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를 상대 이동 시킨다. 반사부(300)의 가이드부(360)는 열전달부(560)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부(360)에는 가이드홈(380)이 형성되고 열전달부(560)에는 복수개의 스토퍼(57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를 상대 이동 시키면 복수개의 스토퍼(570) 중 어느 하나와 가이드홈(380)이 맞물려서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의 상대 이동은 저지된다.
여기서, 스토퍼(570)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요구되는 배광각도 범위에 따라 광원모듈(100)과 반사부(300)의 상대 이동이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광원모듈과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시키는 반사부를 상호 상대 이동 시킴으로써 반사부로 배광되는 배광각도 범위를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과 면 접촉되어 1차적으로 광원모듈의 열을 전달 및 방열함과 더불어 2차적으로 열을 방열할 수 있는 방열유닛을 구비하여 광원모듈의 방열 성능을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곡면 형상을 이루는 광원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곡면 형상을 이루는 광원모듈을 전개한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동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Ⅸ-Ⅸ 선의 단면도,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명장치 100: 광원모듈
120: 기판 140: 기판
142: 제1기판 144: 제2기판
146: 제3기판 148: 제4기판
300: 반사부 320: 반사부몸체
340: 이동지지부 360: 가이드부
380: 가이드홈 500: 방열유닛
520: 접촉방열부 540: 히트싱크
560: 열전달부 570: 스토퍼
590: 탄성부재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광원이 실장되는 기판을 갖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원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하는 반사부; 및
    상기 광원모듈이 접촉 지지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반사부가 상호 상대 이동되어,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배광각도 범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광원모듈과 면 접촉되어, 상기 광원모듈로부터의 열을 전달받는 접촉방열부와;
    상기 접촉방열부로부터의 열이 발산되는 히트싱크와;
    상기 접촉방열부와 상기 히트싱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방열부로부터의 열을 상기 히트싱크로 전달하는 열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는 봉(bar)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반사부에 관통되며, 상기 광원모듈에 대해 상기 반사부가 상대 이동되도록 상기 반사부의 이동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방열부는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방열부는 내부가 중공된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곡면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접촉방열부와 면 접촉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곡면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접촉방열부와 면 접촉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절개부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모듈을 수용하며 둘러싸고, 상기 광원모듈로부터의 빛을 반사하여 배광하는 반사부몸체와;
    상기 반사부몸체로부터 상기 열전달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반사부와 상기 광원모듈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에는 상기 열전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저지하는 복수개의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스토퍼와 맞물리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홈이 맞물리도록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되는 기판을 갖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원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하는 반사부와;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반사부가 상호 상대 이동되어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배광각도 범위가 조정되도록 상기 반사부의 이동이 지지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의 발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5.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되는 연성회로기판을 갖는 광원모듈과;
    상기 광원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배광하는 반사부와;
    상기 광원모듈과 면 접촉되는 곡면 형상의 접촉방열부와, 상기 접촉방열부로부터의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와, 상기 접촉방열부와 상기 히트싱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방열부의 열을 상기 히트싱크로 전달하고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반사부의 상대 이동 시 상기 반사부를 지지하는 열전달부를 갖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090100498A 2009-10-22 2009-10-22 조명장치 KR101055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98A KR101055523B1 (ko) 2009-10-22 2009-10-22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498A KR101055523B1 (ko) 2009-10-22 2009-10-22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812A KR20110043812A (ko) 2011-04-28
KR101055523B1 true KR101055523B1 (ko) 2011-08-08

Family

ID=4404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498A KR101055523B1 (ko) 2009-10-22 2009-10-22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261B1 (ko) * 2020-06-24 2021-11-24 에코라이팅주식회사 Led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4355A (zh) * 2013-08-08 2015-02-11 欧司朗股份有限公司 具有变焦功能的发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510A (ja) * 2000-04-25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埋込型照明器具
KR200425781Y1 (ko) * 2006-06-29 2006-09-0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초점 조절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 손전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510A (ja) * 2000-04-25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埋込型照明器具
KR200425781Y1 (ko) * 2006-06-29 2006-09-0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초점 조절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 손전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261B1 (ko) * 2020-06-24 2021-11-24 에코라이팅주식회사 Led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812A (ko)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798B1 (en) LED lighting fixture
KR101227527B1 (ko) 조명 장치
JP2015537354A (ja) 平坦な照明装置
JP2010205553A (ja) 照明装置
KR101349843B1 (ko) 조명 장치
US10247392B2 (en) Luminous system
RU2604660C2 (ru) Светодиод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нижней теплорассеивающей конструкцией
KR100945862B1 (ko) 확산 광매체 및 반사판이 구비된 발광다이오드램프
JP5577209B2 (ja) 照明装置
KR101256865B1 (ko) 조명용 엘이디 램프
JP6425066B2 (ja) 照明器具
KR101834743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55523B1 (ko) 조명장치
KR101059519B1 (ko) 엘이디 조명장치
JP6094618B2 (ja) ランプ
US9206975B2 (en) Non-glare reflective LED lighting apparatus with heat sink mounting
JP2014232660A (ja) 照明器具
KR20170088054A (ko) Led 투광등용 사각 방열 히트싱크
KR101167043B1 (ko) 다중 리플렉터를 구비한 엘이디 전구
JP2008300207A (ja) 照明装置
KR101389979B1 (ko) 엘이디 램프
KR101059084B1 (ko) 방열장치가 구비된 고휘도 엘이디조명기구
JPWO2017138538A1 (ja) 照明器具
KR200461296Y1 (ko) 반매입형 천장용 led 조명기구
KR101029877B1 (ko) 광량 조절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