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403B1 - 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403B1
KR101055403B1 KR1020080134738A KR20080134738A KR101055403B1 KR 101055403 B1 KR101055403 B1 KR 101055403B1 KR 1020080134738 A KR1020080134738 A KR 1020080134738A KR 20080134738 A KR20080134738 A KR 20080134738A KR 101055403 B1 KR101055403 B1 KR 101055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housing
window member
coupling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625A (ko
Inventor
이주성
김찬희
Original Assignee
김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희 filed Critical 김찬희
Priority to KR102008013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4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90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10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부를 가지는 램프 장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가장자리에 결합부를 가지며 전선도입부를 구비한 램프하우징과,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 유니트와, 램프하우징의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램프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분 증발 수단과, 램프하우징의 본체의 결합부에 지지되며 개방부를 밀폐하는 투광창부재와, 램프하우징과 투광창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램프하우징과 투광창부재의 결합부 또는 전선도입부로 유입되는 수분 및 램프하우징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습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는 기온차 또는 누수로 인한 투광창부재의 내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램프 조립체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키어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투광, 수중램프, 지중램프, 결로

Description

램프 조립체{lamp assembly}
본 발명은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램프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 또는 수분의 유입으로 인하여 투광창부재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시의 경관을 위하여 대형 건축물, 기념 구조물, 공원, 각종 경기장등에 다양한 형태의 램프 조립체 즉, 투광램프, 지중램프 등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램프 조립체는 고휘도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투광램프, 공원의 산책로 등의 지중 램프, 경관 조명램프, 분수대 등의 수중에 설치되는 수중램프 등이 있다.
이러한 램프 조립체중, 지중에 설치되거나 수중에 설치되거나 주위의 환경이 좋지 않은 지역에 설치되는 램프 조립체는 누수 문제를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밀폐된 기술적 구성을 가지고 있다.
램프 조립체의 일 예로서 조경용 대양광 지중 매입등이 등록 실용신안 제 20-0389161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지중 매입등은 수용공간을 갖는 금속 케이스와, 이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유리판과, 상기 금속케이스와 결합되어 유리판을 금속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스테인레스 링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를 구비한다.
등록 실용실안 제 0268502호에는 지중등이 장착된 수목 보호판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이러한 지중매입은 외부와 내부공간과의 수밀성이 떨어지는 경우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특히 램프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유리 즉, 투광창부재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투광창부재의 결로 현상은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도를 급격히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우징 내부의 부품들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236574호는 매입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램프 조립체, 특히 지중에 매입되는 지중등, 수중에 잠긴 수중등의 투광창 내면은 평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표면에 맺힌 물방울들이 주위로 흘러내리지 못하고 맺혀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밀성의 파괴 또는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투광창부재의 표면에 결로 현상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램프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광창부재의 내면에 맺힌 물방울들이 투광창부재의 가장자리로 흘러 내리어 흡습되도록 하고, 램프 조립체 내부에 발생한 수분을 증발시켜 지속적으로 투광창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램프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는 개방부를 가지는 램프 장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결합부를 가지며 전선도입부를 구비한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 유니트와,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분 증발 수단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본체의 결합부에 지지되며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투광창부재와, 상기 램프하우징과 투광창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램프하우징과 투광창부재의 결합부, 전선도입부로 유입되는 수분 및 램프하우징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습수단은 결합부 또는 장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흡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습수단은 상기 결합부와 투광창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흡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가스켓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투광창부재의 하면은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며, 이의 내면에 친수성 코팅막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램프 유니트는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램프와, 상기 램프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물분자를 증발시키는 근적외선 램프를 구비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는 개방부를 가지는 램프 장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결합부를 가지며 전선도입부를 구비한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램프 유니트와,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물분자를 증발시키는 근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수분 증발 수단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본체의 결합부에 지지되며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는 투광창부재와, 상기 램프하우징과 투광창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투광창부재의 하면은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결로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부재의 하면의 오목부에는 친수성 코팅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는 기온차 또는 누수로 인한 투광창부재의 내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램프 조립체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키어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는 내면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램프 조립체(10)는 램프하우징(11)과, 상기 램프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 유니트(20)와, 상기 램프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램프하우징(11) 내부에 발생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분 증발 수단(21)과, 상기 램프하우징(11)의 내부에 연통되는 개방부(12)를 밀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기 발광램프 유니트(20)를 통하여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투광창부재(30)와, 램프하우징(20)과 투광창부재(3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40)과, 상기 투광창부재(30)와 램프하우징(11)의 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수단(5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10)를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램프 하우징(11)은 지중, 수중, 또는 공원 산책로의 노면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램프 장착 공간(13)이 마련된 본체(11a)를 구비하는데, 이 본체(11a)에는 상기 발광유니트(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미도시)이 도입된다. 이 전선의 도입되는 부위는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실링수단을 구비하는데, 이 실링수단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패킹 또는 양측에서 가압하여 실링 하는 실링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a)의 상부 즉, 개방부(12)의 가장자리에는 내측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 1결합홈(14)와, 상기 제 1결합홈(14)의 내측에 환형으로 단차진 제 2결합홈(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a)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투광창부재(30)와의 결합을 위하여 평활한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발광유니트(20)는 투광창부재(30)를 통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발광할 수 있는 램프를 포함하는데, 이 램프는 발광다이오드, 할로겐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램프는 풀 칼라의 구현이 가능한 적, 녹, 청색의 발광다이오드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수분 증발 수단(21)은 근적외선 파장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22)를 구비한다. 근적외선 발광다이오드(22)는 램프하우징(11)의 내부의 배선을 간략화할 수 있도록 발광유니트(2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한다. 근적외선 발광다이오드(22)는 1050nm, 1070nm, 1200nm, 1300nm, 1450nm, 1550nm의 파장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적외선 발광다이오드(22)는 램프 하우징(11) 내부에 발생한 수분에 열을 가하여 수분을 증발시킨다. 증발된 수분은 흡습수단(50)에 의해 흡수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실시 예와는 다르게 근적외선 발광다이오드(22)는 램프하우징(11) 내부의 바닥면이나 측면에 설치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광창부재(30)는 그 가장자리가 제 1결합홈(14)에 지지되는 패킹부재(16)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패킹부재(16)는 오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링을 위해 사용되는 오링은 실링을 위하여 단면이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투광창부재(30)의 외면은 평활한 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으로 단면이 다양한 형태를 갖는데, 산책로 또는 노면에 설치되는 경우 평활한 평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광창부재(30)의 내면은 중심측으로 만곡된 곡면부(31) 즉,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결로가 발생되는 경우 물방울들이 흘러 상기 투광창부재(30)의 가장자리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투광창부재(30)의 내면에는 친수성 코팅막(32) 즉, 수분의 부착 시 표면장력에 의해 수분이 부착되는 경우 물방울이 흐르지 않고 확산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광창부재(30)의 내면 즉, 만곡된 내면에는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재귀반사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재귀 반사부는 중앙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 투광창부재(30)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져 노면에 설치 시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코팅막(32)은 실란 화합물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또는 TMOS(tetramethyl orthosilicate); 초친수화 화학반응이 가능한 실란화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액상에서 혼합 반응시킨 실리카 코팅용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광창부재(30)와 램프 하우징(11)을 결합하는 결합수단(40)은 상기 투광창부재(3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링(41)과, 상기 지지링(41)과 투광창부재의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본체(11a)의 상면에 결합되는 스크류(42)들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링(41)의 최측 가장자리는 가능한 한 본체(11a)의 상면 가장자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습수단(50)은 상기 하우징 본체(11a)와 투광창부재(3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램프 장착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 2결합홈(15)와 투광창부재(30)의 가장자리 사이에 고흡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가스켓(51)이 설치된다. 이 가스켓(5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연속되는 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스켓(51)은 수분을 흡습하여 팽창되는 것을 고려하여 투광창부재의 가장자리 하면과 제 2결합홈(15)과의 사이에 유격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51)은 단면이 직사각형이 아니라 원형으로 형성된 원형 가스켓(52)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흡수성 고분자수지(SAP; super absorbent polymer)는 물, 체액 또는 염수용액 등의 수성물질을 지기 중량의 100 내지 수천 배 흡수하고, 팽윤하여 하이드로 겔을 형성하고 일단 흡수한 수성물질을 다시 방출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기능성 고분자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은 면사등으로 이루어지 매쉬 코어부재가 상기 고흡수성 고분자수지에 매립하여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램프 하우징(11)의 램프 장착공간(13)의 내부 즉, 상기 투광창부재의 가장자리와 인접되는 내주면에는 보조 수분흡수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다.(도 2참조) 이 보조 흡습부재(60)는 상술한 고흡수성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 장착공간(13)의 바닥면에도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보조 흡습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10)의 결로현상 방지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램프 조립체(10)의 조립 시에 램프 장착 공간(13)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중의 수분은 보조 흡수부재(60)에 흡수되어, 램프 장착 공간(13)의 내부의 공기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를 유지한다. 램프 장착 공간(13) 내부에 수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램프 조립체(10)의 외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진다하여도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투광창부재(30)와 제 2결합홈(15)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면, 이 수분은 고흡수성 고분자 폴리머로 이루어진 가스켓(51)에 의해 1차 흡수된다. 따라서, 램프 장착 공간(13)의 내부의 수분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온도차에 의해 투광창표면에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습수단(50)의 손상으로 인하여 램프 장착 공간(13)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면 수분 증발 수단(21)의 근적외선 발광다이오드는 램프 장차 공간(13)의 내부로 침투한 수분에 열을 가열하여 증발시킨다. 증발된 수분은 흡습수단(50) 또는 보조 흡습부재(60)를 통해 흡수되어 제거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립체의 투광창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랜프 조립체의 흡습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Claims (6)

  1. 개방부를 가지는 램프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가장자리에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 대해 상기 램프 장착공간의 중심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결합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전선도입부를 구비한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 유니트와;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분 증발 수단과;
    상기 본체의 제1결합홈에 지지되어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고, 하면이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면부를 구비하며, 친수성 코팅막이 형성된 투광창부재와;
    상기 램프하우징과 상기 투광창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램프하우징과 투광창부재의 결합부 또는 전선도입부로 유입되는 수분 및 램프하우징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분 증발 수단은 근적외선 파장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흡습수단은 상기 제2결합홈과 상기 투광창부재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투광창부재의 하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곡면부의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고흡수성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134738A 2008-12-26 2008-12-26 램프 조립체 KR10105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738A KR101055403B1 (ko) 2008-12-26 2008-12-26 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738A KR101055403B1 (ko) 2008-12-26 2008-12-26 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625A KR20100076625A (ko) 2010-07-06
KR101055403B1 true KR101055403B1 (ko) 2011-08-08

Family

ID=4263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738A KR101055403B1 (ko) 2008-12-26 2008-12-26 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884A (ko) 2013-05-02 2014-11-12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JP6539950B2 (ja) * 2014-06-17 2019-07-1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006U (ja) * 1992-02-21 1993-09-1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H10162640A (ja) * 1996-11-29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KR20080059358A (ko) * 2008-06-04 2008-06-27 공배성 열풍 및 열원을 이용한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006U (ja) * 1992-02-21 1993-09-1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H10162640A (ja) * 1996-11-29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KR20080059358A (ko) * 2008-06-04 2008-06-27 공배성 열풍 및 열원을 이용한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625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9287A (ko) 램프 조립체
RU250763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го диода
RU2451139C2 (ru) Труба зенитного фонаря с инфракрасной теплопередачей
US7578597B2 (en) Outdoor lighting fixture
ES2257237T3 (es) Capsula permeable al aire y lampara exterior, faro de automovil y componente electrico de automovil que la comprende.
KR101044799B1 (ko) 지중매립용 경관조명등
KR101055403B1 (ko) 램프 조립체
KR100909475B1 (ko) 분수용 수중 조명등기구
JP4214747B2 (ja) 防雨型照明器具
CN108591886A (zh) 一种防水型led埋地灯结构
JP4113214B2 (ja) 地中埋設型照明器具
CN201425248Y (zh) 一种灯具
JP5433435B2 (ja) 屋外設置型照明器具
US10479705B2 (en) Illuminated ventilation ring for a UV-light water sanitizer
KR100589609B1 (ko) 분수용 조명등
KR102062662B1 (ko) 태양광 보도블럭 매립등 및 이를 포함하는 보도블럭
KR102088815B1 (ko)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갖는 가로등 장치
KR101874964B1 (ko) 엘이디 등기구
CN207935991U (zh) 一种新型防水汽车灯罩
KR200429837Y1 (ko) 정원등
KR101620473B1 (ko) 결로 제거효율을 높인 led 조명등기구
KR200364524Y1 (ko) 가로등의 점등장치
CN220601314U (zh) 一种户外埋地灯
KR100909019B1 (ko) 망상 마감부재를 가지는 열주형 등기구
CN216243768U (zh) 一种防水性能好的智能led地埋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