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077B1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077B1
KR101055077B1 KR1020090065249A KR20090065249A KR101055077B1 KR 101055077 B1 KR101055077 B1 KR 101055077B1 KR 1020090065249 A KR1020090065249 A KR 1020090065249A KR 20090065249 A KR20090065249 A KR 20090065249A KR 101055077 B1 KR101055077 B1 KR 101055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oven
curved
hot ai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969A (ko
Inventor
가즈히로 후루타
히로미 가미야
도시나리 이치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196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72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156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1391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237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14503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2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오븐고(2) 내에 수용된 식품을 열풍 오븐 가열하기 위해 열풍 히터(7) 및 열풍 팬(6)으로 구성되는 열풍 순환 유닛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열풍 순환 유닛으로부터 열풍이 분출되는 오븐고(2)의 주벽면의 적어도 하나의 주벽면을 내측이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부(S)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 열풍 순환 유닛으로부터 분출된 열풍이 오븐고 내에 균형있게 순환하여 가열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 조리기{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식품을 열풍 오븐 가열에 의해 조리 가능하게 한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의 가열 조리의 레퍼토리를 넓히기 위해 복수의 가열 수단을 구비한 가열 조리기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그 가열 수단으로서는 식품을 열풍 오븐 가열하는 열풍 순환 유닛, 식품을 마이크로파(고주파) 가열하는 마그네트론 및 그릴 조리용 평면 히터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 중, 상기 열풍 순환 유닛은 예를 들면 오븐고의 최내부의 주벽측(周壁 側)에 설치되어 열풍 히터 및 열풍 팬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열풍 순환 유닛으로부터 오븐고 내로 분출된 열풍은 각접시에 재치된 식품을 열풍 오븐 가열한 후, 열풍 순환 유닛으로 회수되고, 다시 열풍화되어 오븐고 내로 분출되는 순환을 반복 실행하는 가열 수단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열풍에 의한 가열 수단에서는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데에는 고내에 불균형이 없는 열풍 순환으로 하여 가열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유용하다.
또한, 종래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내부를 가열실로 하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 의 오븐고의 각 측면은 평탄 벽면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가열 효율을 개선하는 수단으로서 고내의 천정 벽면에 안쪽으로 볼록해지는 원추대를 형성하고, 상기 원추대에 고내로 공급된 열풍이 부딪혀 각접시상의 식품을 향하도록 만들어져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41466호 참조).
한편, 증기를 오븐고에 공급하여 식품을 가열(고온 증기에 의한 찜 조리나 데우기 조리)하도록 한 가열 조리기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4618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가열 조리기에서는 오븐고 배면판을 따라 떨어지는 물방울을 통형상의 받이 부재에 받아 저장 부재에 저장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87526호에는 증기 발생후에 팬을 일정 시간 구동시키고, 오븐고 내의 수증기를 강제적으로 배기구로부터 배기시켜 문의 투시창의 수증기나 결로를 방지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오븐고 내의 가열 불균형의 개선에는 기대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개의 각접시상의 식품에 대한 한정적인 가열 효율의 개선에 그친다. 예를 들면 각접시를 상하로 2단 배치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원추대에 부딪힌 열풍은 그 충돌 각도에 의해 반사적으로 변화되지만, 열풍 자체는 직선적인 흐름이 되고, 고내의 가열 불균형을 없애 가열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
즉, 기본적으로 열풍은 열풍 팬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비스듬하게 원심 방향으로 분출된다. 이 분출된 열풍은 고내 주벽면을 따라서 흐르고, 즉 직선적인 흐름이 주체가 된다. 이 때문에 정상적으로 직선적인 열풍 흐름은 강약이 되는 유역(流域)이 생겨 적정한 열풍의 혼합 태양을 얻는 것은 어렵고, 고내의 불균형이 없는 열풍 순환이나 균일한 가열 분포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증기 공급 수단을 구비한 가열 조리기에서는 증기가 오븐고 벽면에 부착되어 물방울이 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특히 오븐고의 천정면에 물방울이 발생하면, 물방울이 천정에서 낙하하여 식품에 부착되고, 조리 마무리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4618호의 가열 조리기에서는 오븐고 배면판의 물방울의 회수에 대해 대책은 강구하고 있지만, 천정으로부터의 물방울이 식품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87526호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문의 투시창의 수증기나 결로에 대해서는 유효하지만, 이것도 천정으로부터의 물방울이 식품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분출된 열풍이 균형있게 고내를 순환하여 가열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가열 효율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채용한 오븐고의 일측벽을 내면이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으로 하고, 이 곡면 형상부의 외면에 배치한 평면 히터를 곡면 형상부에 맞춰 밀착성 좋게 억압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증기에 의한 식품 가열(식품 조리) 시에 식품에 물방울이 낙하 부착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하우징체 내에 전면을 개방하여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오븐고와, 상기 오븐고 내에 수용된 식품을 열풍 오븐 가열하기 위해 히터 및 열풍 팬으로 구성되는 열풍 순환 유닛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열풍 순환 유닛으로부터 열풍이 분출되는 오븐고의 주벽면의 적어도 하나의 주벽면에 내측이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곡면 형상부의 외면에 평면 히터를 배치하고, 만곡이 가능한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오븐고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볼록부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 상기 평면 히터를 상기 곡면 형상부 외면으로 억압하는 히터 억압부재를 설치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열 조리기는 상기 오븐고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오븐고의 천정면에 내측이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부를 형성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내로 분출된 열풍은 주벽면의 곡면 형상을 따라서 흘러 비틀리는 방향의 흐름이 생기고, 직선적인 흐름을 억제하여 고내에 소용돌이를 생성할 수 있고, 고내에 불균형이 없는 열풍 순환을 가능하게 하여 가열 분포의 균일 화를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식품에 대한 열풍 오븐 가열을 효율적으로, 또 마무리를 양호하게 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 억압부재를 미리 곡면 형상부를 따르는 곡면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오븐고의 측벽의 곡면 형상부에 맞춰 평면 히터를 밀착성 좋게 억압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의 저감 및 가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에 의한 식품 가열시에 오븐고 천정면에 결로된 물방울이 식품에 낙하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면의 도어를 제외한 상태의 가열 조리기의 정면도, 도 2는 도어를 제외한 대략 중앙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종단측면도 및 도 3은 마찬가지로 도어를 제외한 대략 중앙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횡단 평면도이고, 이들 도면에 기초하여 가열 조리기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외곽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체(1)의 내부에는 정면인 전면을 개방한 상자 형상을 이루는 오븐고(2)가 설치되고, 그 전면 개구부(3)를 개폐하는 도어(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븐고(2)를 형성하는 주벽(周壁)으로서는 천정 벽(2a), 바닥벽(2b), 좌측 벽(2c), 우측 벽(2d) 및 내벽(2e)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천정 벽(2a)을 제외한 각 주벽면은 일반적인 평탄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대해 천정벽(2a)에서는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으로 된 곡면 형상부(S)를 형성하고 있지만, 그 상세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오븐고(2)의 내부에 열풍 순환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열풍 순환 유닛(5)은 특히 도 2에 명시한 바와 같이, 내벽(2e)의 배면측에 배치된 열풍 팬(6) 및 그 외주위에 배치된 프레임 형상의 열풍 히터(7)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열풍 팬(6)의 회전 구동에 의해 중앙으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원심 방향으로 분출하고, 열풍 히터(7)로 가열된 열풍을 오븐고(2) 내로 분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내벽(2e)에는 열풍 팬(6)의 중앙부에 대응한 위치에 복수의 투과 구멍으로 이루어진 흡입구(8a) 및 열풍 히터(7)의 형상에 대응한 위치를 주체로 복수의 투과 구멍으로 이루어진 분출구(8b)를 복수 부분(도 1 참조)에 형성하고 있고, 열풍의 분출과 흡입에 의한 열풍 순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분출구(8b)를 포함하여 열풍 히터(7)나 열풍 팬(6)) 등을 외측으로부터 포위하도록 차열 효과를 갖는 커버 부재(9)로 덮고, 열풍 순환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곡면 형상부(S)를 갖는 천정 벽(2a)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열풍 순환 유닛(5)으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은 주로 원심 방향의 기 류에 기초하여 분출구(8b)로부터 외주 방향을 향해 방출된다(도면중, 굵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
이와 같은 경향을 갖는 분출 초기의 열풍은 고내 주벽면을 형성하는 천정 벽(2a), 좌우의 측벽(2c, 2d) 및 바닥벽(2b)에 직접 접촉하여 고내 전방으로 안내된다. 그 중, 본 실시예에서는 천정 벽(2a)을 곡면 형상으로 한 곡면 형상부(S)로 하고,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정면에서 본 천정 벽(2a)의 형상, 적어도 단면 형상이 반달형으로 솟아오른 소위 「퀀셋형」(Quonset)을 이루는 곡면 형상부(S)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세한 작용 설명은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 벽(2a)측의 고내 상부에서는 열풍 순환 유닛(5)으로부터 굵은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분출된 열풍은 천정 벽(2a)에 대해 소정 각도의 다른 법선 방향으로 접촉한 후, 그 곡면 방향을 따르면서 전방을 향해 흐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열풍에 의한 가열, 즉 열풍 오븐 가열하는 식품(도시하지 않음)은 각접시(10)에 재치하여 수용된다. 이 각접시(10)는 금속제 법랑의 직사각형 접시형상을 이루고, 오븐고(2) 내에 상하 2단으로 배치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오븐고(2)의 좌우의 측벽(2c, 2d)에는 상하 2단으로 안쪽으로 돌출되는 선반부(11)가 벽면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선반부(11)의 상면에 각접시(10)의 양 측부의 둘레 테두리부가 재치되고, 따라서 오븐고(2)에 대해 개구부(3)로부터 각접시(10)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출구(8b)의 구성에 있어서, 상하 2단의 각접시(10)로 구분되는 천정측 상부 통로 및 바닥벽측 하부 통로의 분출구(8b)는 모두 상하 각접시(10) 사이의 중앙부의 분출구(8b)보다 많은 투과 구멍군으로 구성되고, 따라서 다량의 열풍을 분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가열 조리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접시(10)가 선반부(11)를 통해 상하 2단으로 배치되고, 각접시(10)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식품이 재치되어 수용된다. 운전 조작에 기초하여 열풍 순환 유닛(5)이 통전 구동되고, 열풍 히터(7) 및 열풍 팬(6)에 의해 열풍이 생성되며, 분출구(8b)로부터 오븐고(2) 내로 분출된다.
이 오븐고(2) 내에 분출된 열풍의 기본적인 흐름은 도 1 또는 도 2에서는 고내의 상하부에서 굵은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심 작용에 의해 고내의 주벽면을 향해 방출된 후,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도 2중에 나타내는 상하부의 통로 내(고내)를 실선 화살표(B1, B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르고, 전체로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도어(4)의 배면에 이르러 반전하여 실선 화살표(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통로측에 집중하고, 내부 벽(2e)의 흡입구(8a)로부터 커버 부재(9) 내로 흡입된다. 그 동안에 각 각접시(10)상의 식품을 열풍 오븐 가열하고, 또한 온도가 저하하여 습기를 포함한 열풍은 회수되며, 열풍 순환 유닛(5)에 의해 다시 가열 열풍화되어 오븐고(2) 내로 공급되고, 즉 열풍 순환이 계속해서 실행되어 가열 조리가 촉진된다.
또한, 도 3에는 중앙부의 좌우의 측벽(2c, 2d)의 주벽을 향해 분출된 열풍(굵은 화살표(A)로 나타냄)의 흐름을 도시하고, 분출된 열풍은 평탄면 형상의 측 벽면에 접촉한 후, 상기 벽면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흘러 실선 화살표(B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한쪽 중앙의 중심부에서는 상기한 실선 화살표(C)로 나타내는 열풍이 열풍 팬(6)에 흡인되도록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본적인 열풍류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의 상기 열풍의 흐름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 분출구(8b)로부터 굵은 화살표(A) 방향으로 분출된 열풍 중, 통상의 평탄면 형상의 좌우의 측벽(2c, 2d)이나 바닥벽(2b)에 접촉한 열풍은 모두 평탄한 벽면을 따라서 주로 직선적인 흐름이 되어 고내를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2에 도시한 저부의 통로측에서는 실선 화살표(B2) 방향 및 도 3에 도시한 중앙부에서는 실선 화살표(B3)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와 같이 실선 화살표(C) 방향으로 흘러 순환한다.
이에 대해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 형상으로 한 「퀀셋형」의 곡면 형상부(S)를 이루는 주벽면의 단면 형상은 소위 열풍 팬(6)의 회전 방향(R)을 따르는 원주 방향에 대해 곡률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천정 벽(2a)을 향해 분출된 열풍(굵은 화살표(A) 방향)은 천정 벽(2a)과 소정 각도의 법선 방향으로 접촉하고, 또한 주로 경사 상방으로 분출되므로(도 2 참조), 상기 천정 벽(2a)의 「퀀셋형」의 곡면에 접촉한 후, 상기 곡면 형상부(S)를 따르도록 전방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되고, 실선 화살표(B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열풍의 흐름에 비틀림 작용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고내 상부의 통로측의 열풍은 직진성을 약하게 하면서 비틀림 작용을 촉진하고, 드디어 소용돌이가 생성되게 된다. 그 결과, 열풍의 교반 효과를 높이고, 또한 고내를 충만하도록 순환하며, 이것이 고내 전체로 파급되어 고내의 가열 분포의 균일화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열풍 순환 유닛(5)으로부터 열풍이 분출되는 오븐고(2)의 주벽면 중 천정벽(2a)에 내측이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이 되고, 예를 들면 「퀀셋형」의 곡면 형상부(S)를 형성한 것에 의해 고내로 분출된 열풍은 천정 벽(2a) 내면에 접촉한 후, 그 곡면 형상부(S)를 따라서 흘러 비틀림 방향의 흐름이 생기고, 직선적인 흐름을 억제하여 고내의 소용돌이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고내에 불균형이 없는 열풍 순환을 가능하게 하여 가열 분포의 균일화를 촉진할 수 있고, 식품에 대한 열풍 오븐 가열을 효율적으로 또한 마무리가 양호한 가열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천정 벽(2a)은 열풍 순환 유닛(5)으로부터 분출된 열풍이 직접 접촉하는 주벽면중 하나이고, 또한 곡면 형상(S)을 이루는 상기 벽면의 단면 형상은 열풍 팬(6)의 회전 방향(R)을 따르는 원주 방향에 대해 곡률을 갖고 형성한 것으로 그 곡면 형상부(S)를 따라서 흐르는 열풍을 비틀리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또 확실히 인도할 수 있다.
〈변형예〉
도 4는 변형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천정 벽(2a)의 곡면 형상부(S)를 「퀀셋형」 형상으로 한 것에 대해, 이 실시예의 곡면 형상부는 예를 들면 천정 벽(2f)을 「돔형」의 곡면 형상(W)으로 한 것으로 다른 구성은 공통으로 한다.
이는 상기 「퀀셋형」에 비해 주위가 원 형상을 기본으로 하는 곡률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분출된 열풍이 접촉한 위치 등에 따라서 상기 열풍은 다른 종류의 비틀림 작용을 얻고, 열풍의 교반 효과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어 더욱 가열 분포의 균일화가 도모된다.
또한, 그 외의 곡면 형상으로서 후술하는 포물선을 그리는 파라볼라형 곡면 형상(도 10 참조), 현수선(면)(catenoid) 형상 등 여러 가지 전개 가능하다. 또한, 곡면 형상은 천정 벽에 한정되지 않고 주벽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 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상기 천정 벽(2a)이나 바닥벽(2b)을 곡면 형상으로 한 경우는 식품을 재치한 각접시(1)와 곡면 형상부가 대향하는 배치가 되고, 상기 각접시(10)의 평면 방향으로의 열풍을 확산할 수 있고, 가열 불균형을 억제한 가열 조리를 실시하는 데에 특히 유효하다.
〈다른 변형예〉
도 5는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 상당도이고, 이는 각접시(10)를 지지 고정하는 수단을 개선하여 더욱 열풍의 교반 효과의 향상을 도모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부(11)상에 각접시(10)의 둘레 테두리부가 대략 밀착 상태로 재치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선반부(11)와 각접시(10) 사이의 열풍의 유통은 실질적으로 실시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5에 도시한 변형예는 선반부(12)를 길이 방향으로 2분할하고, 또한 양 분할 선반부(12a, 12b)를 서로 이간된 위치에 형성하여 틈(13)을 확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븐고(2)의 좌우의 측벽(2g, 2h)을 바깥쪽으로 팽출된 만곡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안쪽의 오목부가 가장 큰 부위가 상기 틈(13)에 대응하도록 고려되어 있다. 따라서, 분할 선반부(12a, 12b) 사이의 틈(13)은 각 측벽(2g, 2h)의 오목부도 포함하여 큰 틈이 형성되며, 원하는 크기를 설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의 측벽(2g, 2h)에 형성된 양측의 분할 선반부(12a, 12b)에 각접시(10)가 재치된 상태에 있어서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13)이 은폐되지 않고, 이 경우 도시하는 하부의 각접시(10)에 대해 상하로 연통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하부(바닥벽측)의 분출구(8b)는 중앙부보다 다수의 투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도 1 참조), 열풍의 일부는 틈(13)을 통해 하방으로부터 상방(중앙부측)으로 유입되고(실선 화살표(B4)로 나타냄), 직선적인 열풍의 흐름(실선 화살표(B3)로 나타냄) 등과 혼합 교반이 실시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천정측의 상부 통로에서도 마찬가지로 다량의 열풍이 흐르는 상방으로부터 틈(13)을 통해 하방(중앙부측)을 향해 유입되고, 열풍의 혼합 교반이 촉진된다.
그 결과, 열풍 순환 유닛(5)으로의 통전 구동에 따른 가열 조리에서는 순환하는 열풍의 일부는 도어(4)까지 도달하지 않는 도중 부위, 즉 틈(13)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유통하여 열풍을 혼합 교반하면서 순환이 실시되는 것으로 상기 틈(13)은 열풍의 통풍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특히 각접시(10)를 2단으로 배치하여 고내의 열풍 순환이 나쁜 조건하에서도 균일 가열에 의한 가열 불균형을 억제한 가열 조리를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본적인 열풍류(도 2의 각 화살표(A, B, C)로 나타냄)를 주체로 하면서 고내의 측방으로부터 틈(13)을 거쳐 열풍의 일부가 순환하여 더 양호한 교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통로의 열풍은 도 1 등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곡면 형상부(S)에 의한 비틀림 작용을 받아 통로 내(고내)를 충만하도록 흐르기 때문에 상기 틈(13)으로부터의 열풍의 유통도 더 촉진된다.
또한, 열풍 순환 유닛(5)으로부터 분출되자마자 열량이 충분한 열풍의 일부가 틈(13)을 유통하고, 혼합 교반하면서 순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효율적으로 고내 전체의 균일 가열에 더욱 유효하고, 열풍 오븐 가열에 의한 조리를 균형있게 마무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틈(13)에 의한 통풍량을 크게 하기 위해 좌우의 측벽(2g, 2h)을 안쪽 이 패이는 만곡 형상으로 했지만, 이는 통풍량이나 선반부(12)의 형상 등에 따라서 설치하면 좋고, 또한 그 외 적절한 형상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와 같이 전체로 만곡된 형상에서는 측벽을 따라서 흐르는 열풍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측벽을 「퀀셋형」의 곡면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상기 실시예에 대해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평면 히터 및 히터 억압부재의 종단 정면 구성을 도시하고, 도 7은 문을 생략한 가열 조리기를 정면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며, 도 8은 가열 조리기(1)의 종단 측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그릴 조리하는 데에 유효한 평면 히터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평면 히터 억압부재의 사시도이다.
오븐고(2)의 좌우 측벽(2c, 2d) 상단부에는 고리부(21a, 21b)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천정 벽(2a)의 좌우 단부에도 고리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리부(21a, 21b, 22a, 22b)를 나사(23) 및 너트(24)에 의해 접합하는 것에 의해 오븐고(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븐고(2)의 예를 들면 천정 벽(2a)은 내측이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곡면 형상부에 부호(S)를 붙이고 있다. 이 경우, 이 곡면 형상부(S)를 상기 천정 벽(2a)의 중앙으로부터 좌우 측벽(2c, 2d)에 걸쳐 만곡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곡면 형상부(S)의 중앙부, 양 단부, 이들 중앙부 및 양 단부 사이의 중간부에서 내부 길이 방향의 2군데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븐고(2)의 내부 벽(2e)에는 각각 다수의 소구멍으로 이루어진 열풍 분출구(8b) 및 열풍 흡입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벽(2e)의 배면부에는 열풍 순환 유닛(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열풍 순환 유닛(5)은 열풍 팬(6) 및 열풍 히터(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열풍 순환 유닛(5)은 열풍 팬(6)의 원심 송풍 작용에 의해 오븐고(2) 내의 공기를 열풍 흡입구(8a)로부터 흡인하여 열풍 분출구(8b)로부터 오븐고(2) 내로 분출하고, 이 때 상기 열풍 히터(7)에 의해 열풍화된다. 이 열풍 순환 유닛(5)은 오븐 조리에 적합하다.
상기 곡면 형상부(S) 외면에는 평면 히터(14)를 히터 억압부재(25)에 의해 억압 상태로 깔아 설치되어 있다. 평면 히터(14)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장이고, 상기 곡면 형상부(S) 외면의 거의 전체를 덮는 크기를 이룬다. 이 평면 히터(14)의 중앙부, 양 단부, 상기 중앙부와 양 단부의 중간부에 있고, 또한 내부 길이 방향의 2 군데에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히터 억압부재(25)는 도 6 및 도 10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금속의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오븐고(2)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볼록부(27)가 중앙부, 양 단부, 이들 중앙부 및 양 단부 사이의 중간부의 4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27)는 내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27)의 바로 앞측과 내측에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면 히터(14)의 장착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평면 히터(14)를 상기 곡면 형상부(S) 외면에 도 9와 같이 배치하고, 히터 억압부재(25)를 평면 히터(14) 외면에 그 볼록부(27)를 내부 길이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하고, 히터 억압부재(25)를 만곡시켜 그 볼록부(27)가 평면 히터(14)를 곡면 형상부(S) 외면에 접촉한다. 이 경우, 볼록부(27)는 만곡 방향과는 다른 방향인 내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만곡 변형이 저해되지 않는다.
그 후, 곡면 형상부(S)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 평면 히터(14)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26), 히터 억압부재(25)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28)을 오븐고(2)로부터 통과한 나사(29)를 너트(30)로 조이고, 이에 의해 히터 억압부재(25)의 볼록부(27)에 의해 평면 히터(14)를 곡면 형상부(S) 외면에 억압하여 장착한다. 그 결과 평면 히터(14)가 곡면 형상부(S) 외면에 밀착한다.
상기 구성에서 평면 히터(14)가 통전되는 그릴 조리 시에는 히터 억압부재(25)에 의해 평면 히터(14)가 곡면 형상부(S) 외면에 밀착 상태로 억압되어 있으므로 평면 히터(14)의 열이 오븐고(2) 내로 양호하게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히터 억압부재(25)의 볼록부(27)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31)의 공간부(32)가 단열 작용을 하므로 평면 히터(12)의 열을 오븐고(2)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븐고(2)에 상기 곡면 형상부(S)가 존재함으로써 내부 공기가 양호하게 대류하게 되어 이른바 돌가마식의 가열 형태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열풍 순환 유닛(5)의 열풍 순환 작용에 의해 오븐고(2) 내의 식품이 가열되는 경우에는 직사각형 내부 상자의 경우와는 다른 열풍 순환 형태가 얻어져 가열 효율이 좋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 오븐고(2)의 주벽, 예를 들면 천정 벽(2a)에 내측이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부(S)를 형성했기 때문에 평면 히터(14)에 의한 가열을 오븐고(2) 내에서 대류 가열 형태, 이른바 돌가마식의 가열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평면 히터(14)를 곡면 형상부(S) 외면으로 억압하기 위한 히터 억압부재(25)를 만곡이 가능한 판형상 부재로 구성하고, 오븐고(2)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볼록부(27)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27)에 의해 상기 평면 히터(14)를 상기 곡면 형상부(S) 외면으로 억압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히터 억압부재(25)의 상기 볼록부(27))를 곡면 형상부(S)의 곡면에 맞춰 상기 평면 히터(14)에 억압할 수 있고, 또한 볼록부(27)에 의해 평면 히터(14)를 곡면 형상부(S)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히터 억압부재(25)를 미리 곡면 형상부(S)를 따르는 곡면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오븐고(2)의 곡면 형상부(S)에 맞춰 평면 히터(14)를 밀착성 좋게 억압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의 저감 및 가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7)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31)의 공간부(32)가 단열재로서 작용하고, 오븐고(2) 이외로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가열 효율이 좋아진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 억압부재(25)의 볼록부(27)를 상기 곡면 형상부(S)의 곡면 방향과 다른 방향인 내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히터 억압부재(25)의 만곡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볼록부(27)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긴 범위로 평면 히터(14)를 억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면 히터(14)가 나사 삽입 통과 구멍(26)을 구비하고, 상기 히터 억압부재(25)가 나사 삽입 통과 구멍(26)을 통과한 나사(29)에 의해 상기 곡면 형상부(S)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히터 억압부재(25)를 고정하는 나사(29)에 의해 평면 히터(14)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상기 실시예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12는 그릴 조리하는 데에 유효한 평면 히터(14)를 구비한 가열 조리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중 도 11은 가열 조리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 도 12는 오븐고(2)를 위쪽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상기 평면 히터(14)는 일반적으로 천정 벽(2a)의 외벽면측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평탄한 형상으로 하기 위해, 예를 들면 평판 형상의 마 이카판(micanite)에 히터용 코일을 감고, 그 양면으로부터 마이카판으로 끼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천정 벽(2a)을 내측이 오목해지는 소위 「퀀셋형」 곡면 형상부(S)로서 형성한 가열 조리기이고, 평면 히터(14)를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있다.
즉, 평면 히터(14)를 1장 판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양 단부만큼 곡률이 커지거나 천정 벽(2a)의 곡면 형상부(S)를 따르도록 적절히 다른 곡률에 따라서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1장의 평면 히터(14)의 복수 군데에 다른 굴곡부가 생기고, 또한 거기에 응력이 집중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천정 벽(2a)에 밀착된 장착 작업을 신중히 실시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히터용 코일이나 마이카판의 손상 등 수명으로의 영향도 염려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 히터(14)를 곡면 형상부(S)의 곡면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하고,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분할하여 곡면 형상부(S)의 꼭대기부에 위치하는 중앙부 히터(14a), 그 주위부인 양측의 주위부 히터(14b, 14c)를 각각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퀀셋형」 곡면 형상부(S)가 좌우 대칭인 경우, 통상 주위부 히터(14b, 14c)는 실질적으로 동일 형태가 된다.
그리고, 중앙부 히터(14a)는 곡면 형상부(S)의 꼭대기부를 중심으로 한 완만한 곡면(곡률이 작음)에 대응하면 좋고, 주위부 히터(14b, 14c)는 중앙부에 비해 곡률을 크게 하는 좌우 양측의 곡면에 대응한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 경우,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중앙부 히터(14a)의 길이(F)를 주위부 히터(14b, 14c)의 각 길 이(G1, G2)보다 길게 하여(F 〉G1=G2), 각각 다른 곡률의 천정 벽(2a)으로의 장착을 고려하고 있다.
한편, 중앙부 히터(14a)의 출력을 주위부 히터(14b, 14c)에 비해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 출력 설정은 출력 밀도를 바꿔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히터용 코일의 권선 밀도를 변경하여 상기 히터 길이의 장단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면 히터(14)를 복수의 분할 구성으로 하여 1장판 구성과 같이 큰 곡률이나 다른 곡률에 의한 과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3개로 분할한 히터(14a, 14b, 14c)는 각각 1군데의 구부림 또는 단순한 구부림 형상에 대응하는 것만으로 해결되고, 또한 각 곡률도 작게 할 수 있는 상태로 천정 벽(2a)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굴곡부에 가하는 응력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균열 등에 대한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밀착성이 우수하여 가열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장착도 간단하다는 등의 점에서 유효하며, 곡면 형상부(S)를 구비한 오븐고(2)의 구성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주위부 히터(14b, 14c)에 비해 중앙부 히터(14a)의 출력을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통상 안쪽으로 오목해지는 중앙부측에 가열 집중이 생기는 것을 해소할 수 있고, 식품에 대한 가열 불균형을 없애 고내 전체의 균일 가열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도 13에 도시한 히터 억압부재(33)는 각 히터(14a, 14b, 14c)의 상기 곡면 방향에 대응하여 볼록부(34)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34)에 각 히터(14a, 14b, 14c)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 삽입 통과 구멍에 대응하여 나사 삽입 통과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단, 히터 억압부재(33)의 양 단부에는 플랜지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36)에는 오븐고 접합용의 상기 나사(23)를 통과시키기 위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히터 억압부재(33)의 오목부(38)에는 단열재(39)가 배치되고, 이 경우 각 오목부(38)의 높이 크기(H)(도 13 참조)에 대해 각 단열재(39)의 자유 상태로의 두께 크기가 커져 있다.
상기 평면 히터(14)를 곡면 형상부(S) 외면에 깔아 설치하는 경우에는 평면 히터(14)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 형상부(S) 외면에 곡면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단열재(39)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히터(14)의 각 히터(14a, 14b, 14c)상에 배치하고(또는 히터 억압부재(33)의 각 오목부(38)에 단열재(39)를 수용한 상태로 하고), 곡면 형상부(S)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 삽입 통과 구멍, 평면 히터(14)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 삽입 통과 구멍, 히터 억압부재(33)의 각 나사 삽입 통과 구멍(35, 37)을 통과한 나사(40, 41)를 각각 너트(42, 43)로 고정한다.
이에 의해 평면 히터의 각 히터(14a, 14b, 14c)가 히터 억압부재(23)에 의해 단열재(39)를 통해 곡면 형상부(6) 외면에 억압된 상태로 깔아 설치된다.
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 억압부재(33)의 볼록부(34)에 대해 상대적으 로 오목해지는 오목부(38)에 단열재(39)를 수용 배치하고, 상기 볼록부(34) 및 단열재(39)에 의해 평면 히터(14)를 억압하도록 했기 때문에 가열실 이외로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평면 히터(14)가 곡면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고, 이들 평면 히터의 각 히터(14a, 14b, 14c)의 곡면 방향의 단부가 단열재(39)로 억압되어 있으므로 평면 히터(14)의 단부의 부상(浮上)을 단열재(39)를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 억압부재(33)의 오목부(38)의 높이 크기(H)에 대해 단열재(39)의 자유 상태로의 두께 크기를 크게 했기 때문에 단열재(39)가 히터 억압부재(33)와 평면 히터(14) 사이에서 압축되고, 그 결과 각 히터(14a, 14b, 14c)를 곡면 형상부(S) 외면에 더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평면 히터(14)의 중앙부의 부상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 억압부재(33)가 평면 히터의 각 히터(14a, 14b, 14c)의 곡면 방향의 중간부에 볼록부(34)를 구비하고, 히터 억압부재(33)는 볼록부(34)에서 나사 삽입 구멍(35)을 통과한 나사(40)에 의해 곡면 형상부(S)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평면 히터(14)의 오차 고정과 중앙부의 부상 방지 양쪽을 볼록부(34) 부분에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곡면 형상부로서는 상기 「퀀셋형」을 대신하여 구형상이나 파라볼라 형상 등의 이차 곡면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차 곡면의 중앙부(꼭대기부)에서는 곡률이 커지므로 평면 히터의 곡면 형상부(S)로의 밀착된 장착 구성 이 더 어려워진다.
이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평면 히터를 곡면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할 뿐만 아니라 중앙부의 히터의 길이를 짧게 하고, 주위부의 히터 길이를 길게 하여 각각의 곡률에 대응한 길이의 분할 구성으로 하여 평면 히터를 무리없이 장착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상기 제 3 실시예와 다르다. 즉, 오븐고(2)의 곡면 형상부(S)에 상기 주위부 히터(14b)의 우단부, 평면 히터(14)의 중앙부 히터(14a)의 양 단부, 주위부 히터(14c)의 좌단부에 위치하여 곡면 형상부(S) 외면이 오목해지는(오븐고(2)의 내부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오목 형상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주위부 히터(14b)의 우단부, 중앙부 히터(14a)의 양단부, 주위부 히터(14c)의 좌단부가 단열재(39)에 의해 오목 형상부(42) 외면으로 억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면 히터(14)를 곡면 형상부(S) 외면으로 부상하지 않도록 더 밀착시킬 수 있고, 상기 주위부 히터(14b)의 우단부, 중앙부 히터(14a)의 양단부, 주위부 히터(14c)의 좌단부의 부상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제 3 실시예와 다르다. 즉, 상기 히터 억압부재(33)의 오목부(38)의 상기 주위부 히터(14b)의 우단부, 중앙부 히터(14a)의 양 단부, 주위부 히터(14c)의 좌단 부의 대응부에 오븐고(2)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볼록 형상부(43)를 형성했으므로 상기 주위부 히터(14b)의 우단부, 중앙부 히터(14a)의 양 단부, 주위부 히터(14c)의 좌단부에 대해 단열재(39)의 억압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각 단부의 부상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평면 히터(14)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부 히터(14a)와, 상기 중앙부 히터(14a)의 양측에 배치되는 주위부 히터(14b, 14c)의 길이를 다르게 했지만, 상기 곡면 형상부(S) 외면에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 각 히터를 거의 균등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제 6 실시형태)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 도 17은 도 11 상당도, 도 18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도 1 상당도이다.
이 실시예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븐고(2)의 하방으로부터 마그네트론(15)으로부터의 마이크로파를 고내로 조사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 마그네트론(15)으로부터의 마이크로파의 조사 방향은 천정 벽(2a)의 곡면 형상부(S) 방향으로 향해져 있고, 그 외 오븐 순환 유닛 등은 제 1 실시예와 공통된 구성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열 수단으로서의 마그네트론(15)은 고외에 설치되고, 도파관(16)을 통해 오븐고(2)의 바닥벽(2b)에 개구와 연통되어 있다. 이 바닥벽(2b)의 상면측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다른 부재로 이루어진 바닥판(17)이 재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바닥판(17)은 마이크로파를 투과하는 재료, 예를 들면 내열성 유리로 평 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7)과 바닥벽(2b)의 공간에는 마이크로파를 반사 교반하기 위한 반사체(1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모터(19)로 회전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 조리를 실시하는 경우, 통상은 마이크로파를 투과하는 유리제 등의 전용 각접시를 적절한 선반부(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배치하고, 각접시상에 식품을 재치하여 운전을 스타트한다. 마그네트론(15)이 구동되고, 발생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16)을 거쳐 오븐고(2) 내에 조사 공급된다.
이 경우, 반사체(18)의 회전에 의해 마이크로파는 반사 교반되고, 바닥판(17)을 거쳐 고내로 널리 균등하게 공급되며, 식품에 대해 마이크로파를 유효하게 조사하여 가열 조리를 실행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천정 벽(2a)을 제 1 실시예와 공통으로 하는 「퀀셋형」의 곡면 형상부(S)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좌우 방향에서 천정 벽(2a)의 벽면에 이르는 마이크로파를 반사시키고, 내측으로 지향시키는 것이 용이하다(후술하는 전파 궤적(D) 참조).
따라서, 도 18에서는 바닥판(17)의 대략 중앙부에 반사된 마이크로파를 집중시키도록 곡면 형상부(S)의 곡률을 구한 구성으로 하고, 도면중에는 고내에 공급된 마이크로파 중 특히 좌우 방향의 마이크로파의 복수의 전파 궤적(D)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체의 마이크로파를 바닥판(17)상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중앙 영역(Y)에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중앙부의 가열 작용을 강하게 할 수 있고, 통상 중앙 배치로 하는 식품의 가열 작용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천정 벽(2a)의 곡면 형상부(S)는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 순환 유닛(5)에 의한 열풍 오븐 가열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데에 유용하게 하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고, 마그네트론(15)에 의한 가열 수단을 탑재한 가열 조리기로서 그 편리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변형예〉
도 19는 상기 제 6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8 상당도이고, 천정 벽(2i)에 예를 들면 포물선을 그리는 「파라볼라형」을 이루는 이차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면 형상의 곡면 형상부(Z)를 설치한 것으로 그 외는 상기 제 6 실시예와 공통이다.
그리고, 도면중에 도시한 마이크로파 전파 궤적(E)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좌우의 대략 전체 둘레에서 마이크로파를 바닥판(17)의 중앙 영역(Y)에 더 많이 집중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고, 더욱 중앙부에 대한 집중 가열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곡면 형상부(Z)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돔형」으로도 전용 가능하다. 또한, 곡면 형상부(Z)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천정 벽(2i)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좌측의 측벽(2c)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대향하는 우측의 측벽(2d)측에 마이크로파의 조사구를 설치하면 좋고, 또한 마이크로파의 집중 영역도 고내의 적절한 위치에 설정 가능하다.
(제 7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에는 문을 생략한 가열 조리기(1)의 전체 구성이고, 또한 식품 배치 상태를 정면으로부터의 사시 상태로 도시하고, 도 21에는 마찬가지로 문을 생략한 가열 조리기(1)의 전체 구성을 정면에서 보고 도시하고, 도 22에는 가열 조리기(1)의 종단 측면 구성을 도시하며, 도 23에는 증기 발생기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오븐고(2)의 바닥벽(2b)에는 좌우 측벽(2c, 2d)의 하단에 위치하여 홈부(2m)가 설치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븐고(2)의 외측에는 증기 공급 수단인 증기 공급 장치(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증기 공급 장치(46)는 물 탱크(47), 물 공급 펌프(48) 및 증기 발생기(4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물 탱크(47) 및 물 공급 펌프(48)는 오븐고(2)의 외부 예를 들면 바닥벽(2b)의 하방부에 배치되어 있고, 증기 발생기(49)는 오븐고(2)의 외부 예를 들면 좌측 벽(2c)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증기 발생기(49)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알루미다이캐스트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49a)에 스팀 히터(49b)를 매설하여 구성되어 있고, 용기 본체(49a)에는 증기 토출구(4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증기 토출구(49c)는 내부 길이 방향으로 3개 형성(한개만 도시)되어 있고, 각 증기 토출구(49c)에 대응하여 상기 오븐고(2)의 좌측 벽(2c)의 3군데에 증기 공급구(50)(한개만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기 토출구(49c)는 소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증기가 강하게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각 증기 토출구(49c)에 대향하는 상기 증기 공급구(50)는 상기 증기 토출구(49c) 보다도 직경이 크고, 상기 좌측 벽(2c) 내면에 설치된 커버 부재(44)에 의해 덮혀 있다. 이 커버 부재(44)에는 각 증기 공급구(50)에 연속되는 통형상의 개구(44a)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44)는 상기 각 증기 공급구(50) 부분에서 오븐고(2)의 좌측 벽(2c)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44)는 그 상면이 하강 경사져 있고, 상면 부분에 물방울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오븐고(2)의 좌우 측벽(2c, 2d)에는 선반부(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선반부(11)는 좌우 측벽(2c, 2d)에 흘러 떨어지는 물방울을 하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면이 하강 경사 형태를 이루고 있다. 선반부(11)는 측벽(2c, 2d)을 도드라지게 하여 형성해도 좋다.
상기 증기 공급 장치(46)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여 증기를 생성하여 오븐고(2) 내로 고온 증기를 공급한다. 즉, 상기 증기 발생기(46)의 용기 본체(49a)를 스팀 히터(49b)에 의해 가열하고, 물 공급 펌프(48)를 구동하여 물 탱크(47)의 물을 상기 용기 본체(49a)에 소정량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면 물이 고온도의 용기 본체(49a) 내에서 증기화하여 증기 토출구(49c)로부터 분출되고, 증기 공급구(50) 및 개구(44a)를 통해 오븐고(2) 내로 공급된다. 또한, 이 증기 토출구(49c)로부터 분출된 증기는 증기 공급구(50) 주변에서는 그 분출 속도는 높지만, 개구(44a)의 출구 부분에서는 토출 속도가 완화되어 있고, 오븐고(2) 내에 강하게 토출되지 않는다.
이 증기 공급 장치(46)는 찜 조리 등에서 사용된다. 이 찜 조리 시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선반부(11)에 각접시(10)를 배치하고, 이 각접시(10)에 망 선반(45)을 배치하며, 이 망 선반(45)에 찜 조리 대상의 식품(F)을 얹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증기 공급 장치(464)를 작동시켜 증기를 오븐고(2) 내로 공급한다. 이 찜 조리 시에 오븐고(2) 내면에 증기가 결로되어 물방울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증기는 상승하여 천정판(2a)에 결로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천정판(2a)의 내면(천정면)이 내측이 오목해지고, 또한 중앙으로부터 양 측벽에 걸쳐 만곡되는 형상의 곡면 형상부(S)로 되어 있으므로 천정면에 발생한 물방울은 곡면 형상부(S)를 타고, 양 측벽(2c, 2d)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식품(F)으로의 물방울의 낙하 부착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좌우 측벽(2c, 2d)을 흐르는 물방울이 증기 공급구(50)에 가해지는 것이 염려되지만, 커버 부재(44)에 의해 상기 증기 공급구(50) 부분으로의 물방울의 떨어짐이 저지된다. 또한, 좌우의 측벽(2c, 2d)을 흐르는 물방울은 바닥벽(2b)에 설치된 홈부(2m)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제 7 실시예에 의하면 오븐고(2)의 천정면에 내측이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부(S)를 형성했으므로 곡면 형상부(S) 내면에 발생한 물방울은 곡면 형상부(S) 내면을 주변측으로 전달되고, 오븐고(2) 내의 식품에 낙하 부착되지 않아 조리 마무리가 나빠지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곡면 형상부(S)를 천정면의 중앙으로부터 양 측벽(2c, 2d)에 걸쳐 만곡되는 형상으로 했으므로 천정면에 발생한 물방울을 곡면형상부(S)로부터 좌우 측벽(2c, 2d)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식품(F)으로의 물방울 부착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증기 공급 장치(46)를 상기 오븐고(2)의 외측에 설치했으므로 물방울의 벽면 이동이 상기 증기 공급 장치(46)에 저해되지 않고, 증기 공급 장치(46) 부분에서 물방울이 낙하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 공급 장치(46)를 오븐고(2)의 측벽(2c) 외부에 설치하고, 오븐고(2)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구(50)를 덮는 커버(44)를 오븐고(2)의 측벽(2c) 내면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증기 공급 장치(46)가 오븐고(2) 내에 없으므로 오븐고(2) 내를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증기 공급구(50)로부터 오븐고(2) 내로 증기를 공급하게 되지만, 이 증기 공급구(50) 부분이나 오븐고(2)의 측벽(2c) 내면을 흐르는 물방울이 증기 토출구(49c)에 가해지면, 증기 분출의 세기가 강하므로 증기와 함께 오븐고(2) 내로 복귀되는 것이 염려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증기 공급구(50)를 덮는 커버(4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물방울이 상기 증기 공급구(50) 부분에 흐르지 않고, 또한 개구(44a) 출구 부분이 물방울이 가해진다고 해도 증기의 토출 속도가 완화되므로 물방울이 오븐고(2) 내로 비산되지 않아 상기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오븐고(2)의 바닥벽(2b)에 좌우의 측벽(2c, 2d) 하단에 위치하여 홈부(2m)를 형성했으므로 오븐고(2) 측벽을 흐른 물방울을 홈부(2m)에 저장할 수 있고, 제거도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도면에 도시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좋다. 또한, 구체적으로 곡면 형상부로서는 예를 들면 전체에 「퀀셋형」의 곡면 형상으로 하면서 곡면을 다수의 다각형(면)으로 구성하여 잔류 응력을 감소하여 가열시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또는 곡면 형상에 접촉한 열풍의 비틀림 방향을 따라서 홈을 형성하고, 비틀림 방향의 흐름을 강화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 곡면 형상은 이차 곡면이나 현수(懸垂) 곡면의 일부를 채용하는 등 실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열 조리기의 도어를 제외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어를 제외한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횡단 평면도,
도 4는 변형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
도 5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 3 상당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히터 및 히터 억압부재의 종단 정면도,
도 7은 가열 조리기 전체의 개략 종단 정면도,
도 8은 상기 개략 종단 측면도,
도 9는 평면 히터를 배치한 상태의 오븐고의 사시도,
도 10은 히터 억압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
도 12는 오븐고의 외관 사시도,
도 13은 도 10 상당도,
도 14는 도 6 상당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 상당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나태는 도 1 상당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6 상당도,
도 18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 상당도,
도 19는 변형예를 도시한 도 18 상당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열 조리기 전체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21은 가열 조리기의 종단 측면도,
도 22는 문을 생략한 가열 조리기의 정면도, 및
도 23은 증기 발생기 및 커버 부재 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체 2 : 오븐고
2a, 2f, 2i : 천정 벽 2b : 바닥벽
2c, 2g : 좌측 벽 2d, 2h :우측 벽
4 : 도어 5 : 열풍 순환 유닛
6 : 열풍 팬 7 : 열풍 히터
8a : 흡입구 8b : 분출구
10 : 각접시 11, 12 : 선반부
13 : 틈(통풍부) 14 : 평면 히터
14a : 중앙부 히터 14b, 14c : 주위부 히터
15 : 마그네트론 17 : 바닥판
18 : 반사체 25 : 히터 억압부재
27 : 볼록부 31 : 오목부
32 : 공간부 33 : 히터 억압부재
34 : 볼록부 39 : 단열재
42 : 오목 형상부 44 : 커버 부재
44a : 개구 46 : 증기 공급 장치
47 : 물 탱크 48 : 물 공급 펌프
49 : 증기 발생기 49a : 용기 본체
49b : 스팀 히터 49c :증기 토출구
50 : 증기 공급구

Claims (20)

  1. 하우징체 내에 전면을 개방하여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오븐고,
    상기 오븐고 내에 수용된 식품을 열풍 오븐 가열하기 위해 히터 및 열풍 팬으로 구성되는 열풍 순환 유닛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열풍 순환 유닛으로부터 열풍이 분출되는 오븐고중 적어도 하나의 주벽면에 내측이 오목해지는 곡면 형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곡면 형상부의 외면에 평면 히터를 배치하고,
    만곡이 가능한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오븐고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복수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 상기 평면 히터를 상기 곡면 형상부 외면으로 누르는 히터 억압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억압부재의 볼록부는 상기 곡면 형상부의 곡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억압부재의 볼록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에 단열재를 수용 배치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단열재에 의해 상기 평면 히터를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히터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히터 억압부재는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통과한 나사에 의해 상기 곡면 형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히터는 곡면 방향의 적어도 중앙부에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히터 억압부재는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통과한 나사에 의해 상기 곡면 형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억압부재는 상기 평면 히터의 곡면 방향의 적어도 중앙부에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 부분에서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통과한 나사에 의해 상기 곡면 형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억압부재의 오목부의 높이 크기에 대해 단열재의 자유 상태에서의 두께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형상부를 형성한 주벽면의 외면에는 곡면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한 평면 히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여 구성한 평면 히터의 히터 출력을 상기 곡면 형상부의 주위부에 배치한 히터에 비해 중앙부에 배치한 히터의 출력을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형상부를 이차 곡면으로 할 때, 상기 분할한 평면 히터의 길이를 주위부에 배치한 히터에 비해 중앙부측에 배치한 히터의 길이를 짧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고 내에 수용된 식품을 마이크로파 가열하는 마그네트론을 구비하고, 이 마이크로파의 고내 조사구를 상기 곡면 형상부를 갖는 주벽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고 내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곡면 형상부를 상기 오븐고의 천정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형상부는 상기 천정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오븐고의 양 측벽에 걸쳐 만곡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 수단은 상기 오븐고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 수단은 상기 오븐고의 측벽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븐고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구를 덮는 커버를 상기 오븐고의 측벽 내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고의 바닥벽에는 측벽 하단에 위치하여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KR1020090065249A 2008-08-28 2009-07-17 가열 조리기 KR101055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9611A JP5197236B2 (ja) 2008-08-28 2008-08-28 加熱調理器
JPJP-P-2008-219611 2008-08-28
JPJP-P-2008-315635 2008-12-11
JP2008315635A JP2010139154A (ja) 2008-12-11 2008-12-11 加熱調理器
JP2008323777A JP2010145031A (ja) 2008-12-19 2008-12-19 加熱調理器
JPJP-P-2008-323777 2008-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969A KR20100026969A (ko) 2010-03-10
KR101055077B1 true KR101055077B1 (ko) 2011-08-05

Family

ID=4217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249A KR101055077B1 (ko) 2008-08-28 2009-07-17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519B1 (ko) 2015-07-08 2016-05-04 장길재 열전달 구조체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WO2017007253A1 (ko) * 2015-07-08 2017-01-12 장길재 열전달 구조체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14Y1 (ko) * 2013-07-23 2014-11-07 최문영 결로에 의한 낙수를 방지할 수 있는 색 발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898U (ko) * 1996-07-29 1998-04-30 이영서 가스오븐레인지
KR19990062539A (ko) * 1997-12-03 1999-07-26 니시무로 타이죠 가열조리기
KR200309307Y1 (ko) * 2002-12-31 2003-04-03 이장범 전기오븐
KR100572601B1 (ko) * 2003-12-30 2006-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898U (ko) * 1996-07-29 1998-04-30 이영서 가스오븐레인지
KR19990062539A (ko) * 1997-12-03 1999-07-26 니시무로 타이죠 가열조리기
KR200309307Y1 (ko) * 2002-12-31 2003-04-03 이장범 전기오븐
KR100572601B1 (ko) * 2003-12-30 2006-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519B1 (ko) 2015-07-08 2016-05-04 장길재 열전달 구조체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WO2017007253A1 (ko) * 2015-07-08 2017-01-12 장길재 열전달 구조체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969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0777B (zh) 加热烹调器
US8946604B2 (en) Cooking oven with at least one convection heating device
EP2015610B1 (en)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JP5140178B2 (ja) 加熱調理器
US20020063125A1 (en) Heating apparatus of microwave oven
US20010032840A1 (en) Microwave oven
CN103884030A (zh) 加热烹调器
CN102478262A (zh) 多功能微波炉
KR101055077B1 (ko) 가열 조리기
US6689991B2 (en) Electronic range
JP2012122678A (ja) 加熱調理器
US8258436B2 (en) Heating device
WO2005090861A1 (ja) 蒸気発生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蒸気調理器
US7820953B2 (en) Microwave oven and radiating structure of microwave in microwave oven
CN211260896U (zh) 双变频加热炉
EP3770511B1 (en) Electric convection cooking oven
JP5284220B2 (ja) 加熱調理器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KR0122800Y1 (ko) 전자렌지 스터러팬의 설치구조
JP2010276300A (ja) 蒸気調理器
WO2010076149A1 (en) An oven comprising a fan covering plate
KR200191586Y1 (ko) 전자렌지의 열풍분산용 내부저면판 및 트레이구조
KR950009707Y1 (ko) 전자레인지의 스티러/컨벡션 겸용장치
JP2000048947A (ja) 電子レンジ
CN102037284A (zh) 带加热器的高频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