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821B1 -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821B1
KR101054821B1 KR1020060066457A KR20060066457A KR101054821B1 KR 101054821 B1 KR101054821 B1 KR 101054821B1 KR 1020060066457 A KR1020060066457 A KR 1020060066457A KR 20060066457 A KR20060066457 A KR 20060066457A KR 101054821 B1 KR101054821 B1 KR 101054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ta
ba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007A (ko
Inventor
김영웅
노도훈
배정은
윤광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821B1/ko
Priority to US11/827,914 priority patent/US8060061B2/en
Priority to EP07013832.6A priority patent/EP1879408B1/en
Publication of KR2008000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65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for initial activation of new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은 OTA(Over The Air)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OTA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업데이트에 성공한 경우, OTA 데이터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 및 별도의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reset) 요청이 있는 경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기본 설정값으로 반영하고,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시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변경하는 초기화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OTA, 이동통신단말기, 리셋, 백업 데이터베이스

Description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Method of initializing a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n OTA data back-up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와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OTA 데이터와 사용자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이 수행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와 백업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저장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OTA 서버 200: 이동통신단말기
280: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 290: 백업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OTA(Over The Air)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거나 조작장비를 통하지 않고 OTA 서버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OTA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일련의 데이터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OTA 서버로부터 수신한 OTA 데이터는 단순한 세팅값의 변경뿐만 아니라 펌웨어(firmware)나 기타 중요한 버그 패치(bug patch)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특정 메뉴 화면에 진입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reset)을 요청하게 되면, OTA 서버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값이 반영되지 않은 채이동통신단말기의 제품 제조시에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초기화되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품 제조시 디폴트된 데이터값이 오류가 있어서 OTA 서버를 통해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기본 설정값으로 세팅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을 요청하게 되면, 제품 제조시 디폴트된 오류를 갖는 데이터값으로 초기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OTA 서버로부터 수신한 OTA 데이터를 별도의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되는 경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기본 설정값으로 반영하여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한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은 OTA(Over The Air)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OTA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업데이트에 성공한 경우, 상기 OTA 데이터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 및 별도의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reset)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기본 설정값으로 반영하고, 상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시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변경하는 초기화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품 제조시에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초기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OTA 서버로부터 OTA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OTA 데이터를 저장하는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 및 백업 데이터베이스;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의 리셋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리셋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기본 설정값으로 반영하고, 상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시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변경하여 초기화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품 제조시에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초기화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IMT 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200)와, BTS/BSC(Basestation Tranceiver Subsystem/Base Station Controller)(10),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MSC)(20),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er Location Register:VLR)(30), OTA 서버(40), 및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HLR)(5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람이 소지하고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임의의 BTS/BSC(10)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정보는 BTS/BSC(10)를 거쳐 교환기(20)로 전송되며, 교환기(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BTS/BSC(10)를 거쳐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OTA 서버(40)로부터 교환기(20)와 BTS/BSC(10)를 거쳐 각종 OTA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OTA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통신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BTS/BSC(10)는 디지털 채널 장치(Digital Channel Unit:DCU), 시간/주파수 제어장치(Timing/Frequency Control Unit:TCU), 무선 주파수 장치(Radio Frequency Unit:RFU), 및 위치 정보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GPS) 등을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기(200)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교환기(30)는 이동전화 가입자가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호를 연결하며, 이 동통신단말기(200)와의 통화 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 처리 및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VLR(40)은 교환기(30)가 서비스하는 지역의 방문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에 위치한 이동통신단말기(200) 및 가입자의 정보를 HLR(50)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통상적으로 교환기(30)에 실장된다.
OTA 서버(4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OTA 데이터를 교환기(30)와 BTS/BSC(200)를 거쳐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OTA 서버(40)는 일반적으로 통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며, 따라서 OTA 데이터는 통신 사업자의 최신 소프트웨어 버젼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무선 송수신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오디오 처리부(230), 메모리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입력부(260), 제어부(270),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Account database)(280), 및 백업 데이터베이스(Backup database)(290)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송수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부(210)는 OTA 서버(40)와 통신하여 OTA 서버(40)로부터 각종 OTA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부(220)는 OTA 서버(40)로부터 수신한 OTA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업데이트 수행결과를 제어부(270)에 알려준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2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 다양한 메뉴화면 등을 출력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외부 디스플레이부 및 내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OTA 데이터를 이용한 업데이트에 실패했음을 알리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200)를 수행하기 위한 리셋 메뉴 화 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입력부(26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버튼 및 각종 기능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들을 포함한다. 입력부(260)는 방향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리셋 요청을 입력받아 제어부(270)로 전송한다. 또한, 입력부(260)는 사용자의 의해 설정된 데이터값을 제어부(270)로 전송한다.
제어부(270)는 본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상술한 데이터 처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70)는 OTA 서버로부터 수신한 OTA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가 수행되면, 상기 OTA 데이터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 및 백업 데이터베이스(290)에 각각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입력부(26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한다.
입력부(2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리셋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백업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 그대로 반영하고,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만 저장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제품 제조시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변경하여 초기화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200)가 무선 송수신부(210)를 통해 OTA 서버(40)로부터 OTA 데이터를 수신하면(S210), 데이터 처리부(270)는 수신한 OTA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S220).
OTA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에 실패한 경우(S230:N), 데이터 처리부(220)는 이를 제어부(270)에 알리고, 제어부(270)는 업데이트에 실패했음을 알리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70).
OTA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에 성공한 경우(S230:Y), 데이터 처리부(220)는 OTA 데이터를 제어부(270)로 전송하고, 제어부(270)는 OTA 데이터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 및 별도의 백업 데이터베이스(290)에 각각 저장한다(S340).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OTA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기본 설정값으로 세팅된다.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는 OTA 데이터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데이터값은 사용자의 리셋 요청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초기화되기 전까지 이동통신단말기(200)의 기본 설정값으로 세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와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OTA 데이터와 사용자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OTA 서버(40)로부터 수신한 OTA 데이터 #1, OTA 데이터 #2, OTA 데이터 #3은 각각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 및 백업 데이터베이 스(290)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인 User 데이터 #1, User 데이터 #2, User 데이터 #3은 백업 데이터베이스(290)에는 저장되지 않고,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만 저장된다.
이 때,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데이터값은 이동통신단말기(200)의 기본 설정값으로 세팅된다.
이와 같이, 어카운트 데이터 베이스(280) 및 백업 데이터베이스(290)에 OTA 데이터와 사용자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26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리셋을 요청하면(S350:Y), 제어부(270)는 백업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기본 설정값으로 반영하여 초기화를 수행한다(S360).
도 5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이 수행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와 백업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저장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초기화가 수행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리셋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제조시 설정된 디폴트 데이터값으로 초기화하지 않고, 백업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280)에 그대로 반영하여 초기화를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리셋 요청에 의해 초기화가 수행되어도 어카운트 데이터베 이스(280) 및 백업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된 OTA 데이터는 변경되지 않고, 리셋 이전과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통신사업자에 의해 OTA 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OTA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이 있더라도 지워지지 않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최신 버젼의 OTA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설정 데이터인 User 데이터 #1, User 데이터 #2, User 데이터 #3은 백업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되지 않으므로,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리셋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설정 데이터인 User 데이터 #1, User 데이터 #2, User 데이터 #3을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제조시 설정된 디폴트 데이터값인 디폴트 데이터 #1, 디폴트 데이터 #2, 디폴트 데이터 #3으로 변경하여 초기화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OTA 서버로부터 수신한 OTA 데이터를 별도의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시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기본 설정값으로 반영하여 초기화 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가 수행되더라도 OTA 데이터를 통해서 받은 통신 사업자의 최신 정보가 그대로 반영되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에 의한 다운 그레이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OTA(Over The Air)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OTA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업데이트에 성공한 경우, 상기 OTA 데이터를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 및 별도의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reset)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기본 설정값으로 반영하고, 상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시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변경하는 초기화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품 제조시에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 방법.
  3. OTA 서버로부터 OTA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OTA 데이터를 저장하는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 및 백업 데이터베이스;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의 리셋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리셋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OTA 데이터를 기본 설정값으로 반영하고, 상기 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시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변경하여 초기화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셋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카운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품 제조시에 디폴트된 데이터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60066457A 2006-07-14 2006-07-14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1054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457A KR101054821B1 (ko) 2006-07-14 2006-07-14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US11/827,914 US8060061B2 (en) 2006-07-14 2007-07-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itializ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over-the-air (OTA) data backup
EP07013832.6A EP1879408B1 (en) 2006-07-14 2007-07-1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itializ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over-the-air (ota) data back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457A KR101054821B1 (ko) 2006-07-14 2006-07-14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007A KR20080007007A (ko) 2008-01-17
KR101054821B1 true KR101054821B1 (ko) 2011-08-05

Family

ID=3862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457A KR101054821B1 (ko) 2006-07-14 2006-07-14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60061B2 (ko)
EP (1) EP1879408B1 (ko)
KR (1) KR101054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9690B1 (en) * 2006-02-15 2010-06-01 Trend Micro, Inc. Backup and restore of user data for mobile telephone
US8640226B2 (en) * 2008-06-27 2014-01-28 Novell, Inc. Mechanisms to secure data on hard reset of device
US20140373184A1 (en) * 2013-06-12 2014-12-18 Lookout, Inc. Mobile device persistent security mechanism
US10084603B2 (en) * 2013-06-12 2018-09-25 Lookout, Inc.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a stol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inoperative
WO2016072833A1 (en) * 2014-11-05 2016-05-12 Mimos Berhad System and method to disable factory reset
CN111399940A (zh) * 2020-03-12 2020-07-1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系统的数据处理方法、存储介质及智能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6086A1 (en) 1996-07-15 2004-09-09 At&T Wireless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gistration notification for over-the-air activation
US20040203941A1 (en) 2002-04-11 2004-10-14 Diego Kapla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nfiguration
KR20050119035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이너리 데이터 업그레이드 방법
WO2006018874A1 (ja) 2004-08-19 2006-0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管理サービス装置、バックアップサービス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7250A (en) * 1996-07-12 1999-03-2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station having lock code based on secure value
US6047071A (en) * 1997-04-15 2000-04-04 Nokia Mobile Phones Network-initiated change of mobile phone parameters
JP2001356925A (ja) * 2000-06-12 2001-12-26 Nec Corp 携帯電話機
US7565141B2 (en) * 2003-10-08 2009-07-21 Macaluso Anthony G Over the air provisioning of mobile device settings
FI122213B (fi) * 2004-09-28 2011-10-14 Capricode Oy Menetelmä ja laitejärjestely päätelaitteen käyttöprofiilin hallitsemiseksi
JP4375197B2 (ja) * 2004-10-25 2009-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無線端末、無線基地局、無線端末の通信設定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6086A1 (en) 1996-07-15 2004-09-09 At&T Wireless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gistration notification for over-the-air activation
US20040203941A1 (en) 2002-04-11 2004-10-14 Diego Kapla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nfiguration
KR20050119035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이너리 데이터 업그레이드 방법
WO2006018874A1 (ja) 2004-08-19 2006-0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管理サービス装置、バックアップサービス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60061B2 (en) 2011-11-15
EP1879408A3 (en) 2012-05-30
EP1879408B1 (en) 2016-11-16
US20080014914A1 (en) 2008-01-17
EP1879408A2 (en) 2008-01-16
KR20080007007A (ko)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9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ta-based over-the-air software upgrades for a wireless mobile station
US20080065816A1 (en) Firmware update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TWI419532B (zh) 通信系統、用戶識別卡及其操作方法
KR101054821B1 (ko) Ota 데이터의 백업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화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1521309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873499B (zh) 传输配置方法及装置
JPH11136755A (ja) 時刻補正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携帯電話端末装置
KR101337105B1 (ko) Cdma 무선 통신 장치 간의 사용자 아이덴티티의 이동방법
US1164742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temperature for user equipment
CN107508715B (zh) 配置信息获取、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10839073A (zh) 获取推送信息的方法、发送推送信息的方法及装置
CN110383891B (zh) 网络切换资源确定方法和网络切换资源配置方法
CN115633343A (zh) 跟踪区更新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JP2006279160A (ja) 無線通信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7512107B2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ime according to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using the same
CN112866984B (zh) 通话记录的同步方法、云平台和终端
CN112584547A (zh) 建立数据连接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06445825B (zh) 一种调试方法及装置
CN105657691B (zh) 移动终端及其双芯片系统的数据共享方法
KR100606757B1 (ko) 무선망을 이용한 단말기의 실행코드 업데이트 방법
US20060172751A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use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KR100703485B1 (ko)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비동기식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72199A (ko) 로밍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번호 입력 방법
JP4774017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101250240B1 (ko) 정보공유 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