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789B1 - Traffic lane expression install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Traffic lane expression installation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4789B1 KR101054789B1 KR1020110000940A KR20110000940A KR101054789B1 KR 101054789 B1 KR101054789 B1 KR 101054789B1 KR 1020110000940 A KR1020110000940 A KR 1020110000940A KR 20110000940 A KR20110000940 A KR 20110000940A KR 101054789 B1 KR101054789 B1 KR 101054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w material
- shaft
- support
- lane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선표시 시설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도포형 또는 요철형태의 융착식 차선표시와 내압을 이용한 분사식 차선표시에 상관없이 장비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좁은 도로에서 장비를 진행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시키지 않고서도 좌측 또는 우측 차선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며, 이동속도가 일정해 차선의 두께 차이로 인한 불량시공의 방지는 물론 작업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without separately equipped equipment regardless of the fused lane marking of the front coating type or uneven shape and the injection lane marking using internal pressu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left or right lane without changing the equipment from the driving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on the road.The lane is designed to prevent the poor constru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lane and to simplify the operation due to the constant moving speed. It relates to the indication facility equipment.
일반적으로 노면의 차선이나 횡단보도 표시를 위한 도색은 분말 고체상태의 수지 조성물과 필요한 색상의 안료등의 원료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교반시키면서 가열하여 융융상태로 노면에 도포하여 융착시키는 융착식 도색장치과, 내압에 의해서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분사식 도색장치가 있고, 융착식 차선의 경우 요철없이 일정폭으로 전면도포하는 식으로 도색이 이루어져 왔으나, 우천시 수막현상에 의한 미끄러짐으로 차량 주행의 안전성이 결여되고, 내구성이 떨어져 차량 통행에 의해서 쉽게 마모됨으로써 조기의 수명단축과 주야간 및 우천시 수막현상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가 어려움이 있어 근래에는 문양 형태로 요철을 형성하여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통상 차선 표시에 사용되는 원료는 페인트 또는 이액형 도료, 즉 아크릴수지에 경화제를 혼합한 도료, 열가소성 수지 등이 사용되고, 원료통의 내부에 구비된 교반기에 의해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coating for marking lanes or crosswalks on the road surface includes a fusion-type coating device for applying a mixture of raw materials, such as a resin composition in a solid powder state and a pigment of a required color, into a container, heating it with agitation, and applying it to the road surface in a molten state and fusion; There is a spray coating device for spraying molten paint on the road surface by internal pressure, and in the case of fused lanes, the paint has been applied in a way that covers the entire surface without unevenness, but the safety of vehicle driving due to slippage due to water film phenomenon in rainy weather The lack of durability, wear and tear easily due to the vehicle traffic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due to the early life shortening and day and night water film phenomenon, and in recent years, the construction is made by forming irregularities in the form of patterns. In addition, as a raw material normally used for lane display, paint or a two-component paint, that is, a paint, a thermoplastic resin, etc. mixed with a curing agent in an acrylic resin, is used, and the mixing is performed by an agitator provided inside the raw material container.
이러한 차선표시를 위한 도색장치는 원료통 및 버너 등의 각종 장비가 탑재된 대형 차량을 이용한 시공과, 수동식으로 대차를 이동시켜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수동식 도색장치의 경우 좁은 도로에서 시공이 가능한 이점은 있으나, 대차의 이동속도가 일정하지 않아 차선의 두께 차이가 나타나게 되고, 대차 이동에 따른 작업의 불편성으로 작업성 저하는 물론 차선의 불량시공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형차량을 이용한 차선의 표시는 주로 내압을 이용한 분사식으로 작업성 측면에서 유리한 점은 있으나, 좁은 도로에서의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The painting device for lane marking is constructed using a large vehicle equipped with various equipment such as a raw material container and a burner, and is constructed by manually moving a truck. The advantage of the manual painting device is that it can be installed on a narrow road. However, because the moving speed of the bogie is not constant,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lane appears, and there is a problem of poor workability as well as the poor construction of the lane due to the inconvenience of work due to the bogie movement. In addition, the marking of the lane using a large vehicl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workability as a spray type using internal pressur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onstruction on a narrow road is impossib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면도포형 또는 요철형태의 융착식 차선표시와 내압을 이용한 분사식 차선표시에 상관없이 장비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좁은 도로에서 장비를 진행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시키지 않고서도 좌측 또는 우측 차선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며, 이동속도가 일정해 차선의 두께 차이로 인한 불량시공의 방지는 물론 작업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차선 표시 시설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provide separate equipments regardless of the fused lane markings of the front coating type or the uneven shape and the injection type lane markings using internal pressure. It can be installed without using,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on the left or right lane without changing the equipment in the reverse direction on the narrow road, and the movement speed is constant to prevent the poor constru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lane. To provide a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for the convenience of.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한 형태는, 후방측에 엔진룸을 갖는 차량의 전방측에 버너를 갖는 교반조가 탑재되고, 상기 교반조의 후방측 가스 공급박스 상에 좌석A,B가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차량의 앞바퀴A,B를 핸들 조작으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조향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조는 하부 양측에 원료배출구A,B,C가 형성되어 상기 원료배출구A,B,C에 토출장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차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tank having a burner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having an engine room on the rear side, the rear gas supply box of the stirring tank Seats A and B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steering device is provid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s A and B of the vehicle by steering wheel operation. The agitator tank has raw material outlets A, B, C is formed to selectively display the lanes by selectively discharging the discharge device in the raw material outlets A, B, C.
또한, 상기 핸들은 조향장치에 연결된 원동축과 핸들에 연결된 조작축 및, 상기 원동축과 조작축의 사이에 제1 유니버셜 조인트 및 제2 유니버션 조인트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전동축으로 핸들축을 구성하고, 상기 핸들축은 핸들축 고정부에 의해서 좌석A 또는 좌석B의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le may include a steering shaft connected to a steering shaft and a steering shaft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nd an electric shaft connected to the first universal joint and the second universal joint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between the driving shaft and the steering shaft. A shaft is configured, and the handle shaf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seat A or the seat B by the handle shaft fixing unit.
또한, 상기 교반조는 이중관 구조에 의해 열매체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제1 벽체와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보온재가 충진된 제2 벽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의 사이에 가스 배출구를 갖는 가스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단부 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어 내부의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교반모터 및, 상기 교반모터의 양측에 형성된 원료투입구A,B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조의 좌.우측 원료배출구A,B는 자동 개폐장치에 의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한 자동 개폐와 수동 개폐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gitator is formed of a first wall and a double wall structure to form a heat medium circulation passage by a double pipe structure and a second wall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rein, and a gas outlet between the first wall and the second wall. A gas discharge passage is formed and includes a stirring motor for rotating the inner side of the stirring blades installed vertically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raw material inlets A and 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irring moto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irring tank. The raw material outlets A and B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y the automatic operation and manual opening and closing by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can be made at the same time.
상기 토출장치는 좌.우측에 연결라인A,B를 가지며 유압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내장된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라인A 또는 연결라인B를 통하여 유입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에 연결되고, 체인전동에 의해서 후방측 구동바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내장된 문양천공 실린더의 회전하며, 후방측 개폐실린더에 의해서 문양을 이루는 원료가 지면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원료토출기;로 구성된 문양식 토출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device has a supply line for supplying the raw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line A or the connection line B by rotating the built-in screw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motor having a connection line A, B on the left and right; A raw material ejector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receiving power from the rear driving wheel by chain transmission to rotate the built-in perforated cylinder,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raw material forming the pattern by the rear open / close cylinder to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door-form ejection device consisting of.
또한, 상기 토출장치는 양측에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원료유입관과; 상기 원료유입관의 일측에 고정 및 설치되는 원료 유입블럭 및, 지지블럭A와; 상기 지지블록A에 일측단부의 가동블럭A가 회전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는 원료공급관과; 상기 원료공급관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가동블럭B가 회전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는 지지블럭B 및, 상기 지지블럭B 및 가동블럭B와 연통하는 원료 공급블럭과; 상기 원료 공급블럭으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하부측 노즐을 통하여 지면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건 및, 상기 도료 분사건이 지면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주행하고 가동블럭B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브라켓트에 의해서 지지되는 바퀴;로 구성된 분사식 토출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device and the hollow raw material inlet pip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ange on both sides; A raw material inflow block and a support block A fixed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aw material inflow pipe; A raw material supply pipe to which the movable block A at one end of the support block A is rotatably linked; A support block B to which the movable block 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is rotatably linked and a raw material supply block communicating with the support block B and the movable block B; A paint spray gun that sprays the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block to the ground through a lower nozzle, and a support bracket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block B while traveling while maintaining the paint spray gun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groun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jet ejection device consisting of; a wheel supported by.
또한, 상기 토출장치는 일측단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저류실의 개폐판과 연결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엘보우와; 상기 저류실의 내벽에 설치된 수직의 지지브라켓에 의해서 엘보우의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축에 연결되어 상기 엘보우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저류실의 통로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실린더와; 상기 저류실의 외측에 설치된 고정바에 일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차량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를 당기고 밀어 저류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로 구성된 이액형 도료 토출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device is an elbow having a long hole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storage chamber is provided rotatably around the rotation axis; An opening / closing cylinder connected to a slider shaft moving along the long hole of the elbow by a vertical support bracket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to rotate the elbow about the rotation shaft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of the storage chamber; One lifting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a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torage chamber,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vehicle frame, the lifting cylinder is pulled and pushed the fixed bar so that the storage chamber can be moved up and down around the rotation axi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two-component paint dispensing device configu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 차량에 탑재된 교반조에 원료 토출장치를 선택적으로 장착시켜 차선을 표시할 수 있어 좁은 도로에서 차량을 진행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시키지 않고서도 차량의 좌우측 차선 표시를 위한 시공이 가능해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에 의한 이동속도가 일정해 불량시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교반조는 2중벽 및 열매체에 의한 보온기능과 압축공기 주입에 따른 내압으로 원료를 분사시키는 기능을 겸함으로써 융착식 또는 분사식 등의 도색방식에 상관없이 장비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시공이 가능해 장비의 호환성 확보에 따른 경제성 및 작업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lanes by selectively mounting a raw material discharging device in a stirring tank mounted in a small vehicle, so that the construction for displaying the left and right lanes of the vehicle on a narrow road without switching the vehicle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ecure the simplicity and efficiency of the work, as well as the constant moving speed by the vehicle to prevent poor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stirring tank has a function of insulating the raw material by the thermal insulation function by the double wall and the heat medium and the internal pressure according to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any separate equipment regardless of the painting method such as fusion or spraying.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economics and workability by ensuring the compatibility of the equipmen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조향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핸들축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교반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b의 교반조 내부 구조를 나타낸 "A"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문양식 토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분사식 토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이액형 도료 토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of the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device of the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haft fixing portion of th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rring tank of th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irring vessel of Fig. 5B.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style discharge apparatus of th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and Figure 9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et discharge device of the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component paint discharging device of th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는, 작업자의 운전에 의해서 주행이 가능한 차량(1)으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1)은 원료가 투입되어 상측 교반모터(21)에 의해서 혼합되는 교반조(2)가 탑재되며, 후방측에는 엔진 및 콤프레셔, 유압모터, 열매체 순환펌프 등과 같은 각종 장치가 설치된 엔진룸(12)이 구비되고, 상기 교반조(2)의 후방측에 가스통이 내장된 가스공급박스(18)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공급박스(18)의 상부 좌.우 양측에 좌석A,B(11a)(11b)가 구비된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of the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1) that can be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The
상기 교반조(2)는 교반모터(21)의 좌.우측에 외부 대형차량으로부터 원료를 투입받을 수 있도록 원료투입구A,B(23a)(23b)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원료배출구A,B,C(22a)(22b)(22c)가 형성되어 상기 원료배출구A,B,C(22a)(22b)(22c)에 토출장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차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stirring
또한, 상기 교반조(2)의 전방측에는 작업자의 핸들(15) 조작에 의해서 차량의 앞바퀴A,B(13a)(13b)를 좌.우측으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향장치(4)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15)과 조향장치(4)는 다관절로 이루어진 핸들축(16)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핸들축(16)은 조향장치(4)에 연결되는 원동축(16a)과 핸들(15)에 직접 연결되는 조작축(16b) 및, 상기 원동축(16a)과 조작축(16b)의 사이에 연결되는 전동축(16c)으로 이루어지고, 원동축(16a)과 전동축(16c)의 일측단부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17a)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동축(16c)의 타측단부와 조작축(16b)은 제2 유니버셜 조인트(17b)에 의해서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이로 인해 상기 핸들축(16)은 좌석A,B(11a)(11b) 측으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핸들축 고정부(3)에 의해서 그 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상기 조향장치(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동축(16a) 상에 결합된 원동기어(41)에 원동축(16a)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종동기어(42)가 치합되고, 상기 종동기어(42)는 수직의 조향축(43)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원동기어(41) 및 종동기어(42)는 워엄기어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직각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어 구조이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조향축(43)의 하단부에는 조향 플레이트(44)가 연결되어 조향축(43)과 함께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조향 플레이트(44)의 양측에는 일측단부가 차량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앞바퀴A,B(13a)(13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바퀴프레임A,B(45a)(45b)가 구비되며, 상기 바퀴프레임A(45a)와 조향 플레이트(44)는 링크A(46a)에 의해서 연동하고, 바퀴프레임B(45b)와 조향 플레이트(44)는 링크B(46b)에 의해서 연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이와같이 구성된 조향장치(4)는 작업자가 핸들(15)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15)에 직접 연결된 조작축(16b)이 함께 회전하고, 조작축(16b)의 회전력은 제2 유니버셜 조인트(17b)를 통하여 전동축(16c)으로 전달되며, 전동축(16c)에 전달된 회전력은 다시 제1 유니버셜 조인트(17a)를 통하여 원동축(16a)에 전달되어 원동기어(41)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원동기어(41)에 치합된 종동기어(42)가 회전하게 되고, 종동기어(42)의 회전에 의해서 조향축(43)의 하단부에 연결된 조향 플레이트(44)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조향 플레이트(44)에 링크A,B(46a)(46b)로 연결된 바퀴프레임A,B(45a)(45b)도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앞바퀴A,B(13a)(13b)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한편, 상기 핸들축 고정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조(2)와 좌석A,B(11a)(11b)의 사이에 양단이 하부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절곡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지지대(31)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31) 상의 좌.우 양측에 상방개구형의 단관 형태로 형성된 축고정관(32)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축고정관(32)은 후방측에 아이볼트(Eye bolt)(32a)를 포함한다. 또한, 축고정관(32)에 끼움 고정되는 축지부(33)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축지부(33)는 고무재질의 원형링 형태를 이루어 전.후방으로 핸들축(16)이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베어링(33a)이 내장되어 상기 베어링(33a)에 의해서 핸들축의 조작축(16b)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하부측에는 축고정관(32)에 삽입되는 고무재질의 삽입봉(33b)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handle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핸들축 고정부(3)는 지지대(31)의 일측 축고정관(32)에 고무재질로 형성된 축지부(33)의 삽입봉(33b)을 삽입한 후 상기 축고정관(32)의 후방측 아이볼트(32a)를 조임으로써 핸들(15)의 조작축(16b)을 좌석B(11b)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다시 아이볼트(32a)를 풀어 조임에 의한 고정력을 해제한 후 축고정관(32)으로부터 축지부(33)의 삽입봉(33b)을 빼낸 후 핸들(15)의 조작축(16b)을 좌석A(11a)의 위치로 이동시켜 타측 축고정관(32)에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축고정관(32)에 끼우고 조여 고정함으로써 이동한 핸들(15)의 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축지부(33)를 관통하는 핸들(15)의 조작축(16b)은 축지부(33)에 내장된 베어링(33a)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은 물론 축지부(33)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없이 원활하게 핸들 조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handle
이렇게 핸들축(16)을 다관절 형태로 하여 핸들(15)을 차량(1)의 좌.우측 좌석A,B(11a)(11b) 측으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은 차선을 표시하는 방향에 기인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우측에 차선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교반조(2)의 우측 원료배출구B(22b)에 토출장치(미도시됨)를 장착시킨 후 작업자가 차량(1)의 우측 좌석A(11a)에 착석하여 우측 차선을 보고 작업을 해야 하고, 차량(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측에 차선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교반조(2)의 좌측 원료배출구A(22a)에 토출장치를 장착시킨 후 작업자가 차량의 좌측 좌석B(11b)에 착석하여 좌측 차선을 보고 작업을 해야 되는 것에 기인하다.In this way, the
그리고, 상기 교반조(2)가 차량의 전방측에 위치되어야만 되는 것은 작업중에 함께 따라 다니는 대형의 원료공급 차량으로부터 호스 또는 관을 통하여 원료를 공급받을 때 작업자가 운전하면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교반조(2)에 대하여 도 5a 및 5b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tirring
상기 교반조(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어 내부의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교반모터(21)가 구비되고, 상기 교반모터(21)의 양측에는 작업중에 함께 따라 다니는 대형의 원료공급 차량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료투입구A,B(23a)(23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모터(21)의 후방측에는 차량의 엔진룸(12)에 구비된 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에어주입구(24a)와 주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배출구(24b)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주입구(24a)와 에어배출구(24b)의 사이에는 교반조(2)의 내부압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게이지(24c)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주입구(24a)와 에어배출구(24b)는 통상에서 공압 회로를 구성하여 압축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tirring
이와함께 상기 교반조(2)는 하부측에 버너(20)가 구비되어 버너(20)에 의해서 투입된 원료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관 구조에 의해 열매체 순환통로(27a)를 형성하는 제1 벽체(27)와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보온재(28a)가 충진된 제2 벽체(28)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벽체(27)와 제2 벽체(28)의 사이에 버너(20)에 의해 연소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배출통로(29) 및 가스배출구(29a)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열매체 순환통로(27a)를 통하여 열매체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교반조(2)의 일측에 열매체 주입구(25a) 및 열매체 배출구(25b)가 형성되고, 상기 열매체를 교반조(2)에 장착되는 토출장치 측으로 열매체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 순환라인(25c)도 갖는다.Along with this, the stirring
상기 교반조(2)의 타측에는 오버플로우되는 열매체를 받을 수 있도록 열매체 받이통(25e)이 구비된 열매체 오버플로우(25d)가 구비되고, 상기 열매체 오버플로우(25d)의 하부측에는 교반조(2) 내부의 원료에 대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원료 온도센서(26a)와, 열매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 온도센서(26b) 및 열매체 온도게이지(26d)가 구비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라인(25c)을 통하여 토출장치 측으로 공급되어 순환된 열매체를 다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 재순환라인(26c)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열매체의 순환은 미도시된 열매체 순환펌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The other side of the stirring
한편, 상기 교반조(2)의 원료배출구A,B(22a)(22b)는 자동개폐장치(5)에 의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한 자동 개폐와 수동 개폐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자동개폐장치(5)를 첨부된 도 7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raw material outlets A, B (22a) (22b) of the stirring tank (2) by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5)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mechanical operation at the same time,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상기 자동개폐장치(5)는 원료배출구A,B(22a)(22b)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고정블럭(5a)과, 상기 슬라이드 고정블럭(5a)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블럭(5b)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고정블럭(5a)은 후방측에 교반조(2)의 원료배출구A,B(22a)(22b)에 통상의 볼트 체결에 의해서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52)와 연통하는 원료공급관(51)이 전방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원료공급관(51)의 상측 중간에 개방부(53)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53)의 양측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지지편(54)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편(54)의 사이에 피니언(55)이 크랭크 샤프트(56)에 의해서 축설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개폐블럭(5b)은 상부측 개폐실린더(57)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고정블럭(5a)의 원료공급관(51)과 연결부(52)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전면부에 슬라이드 고정블럭(5a)의 피니언(55)에 치합되는 수직방향의 래크(58)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automatic opening and
이같이 구성된 자동개폐장치(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측 개폐실린더(57)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고정블럭(5a) 내부의 개폐블럭(5b)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고정블럭(5a)의 원료공급관(51)과 연결부(52)의 사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개폐실린더(57)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고정블럭(5a)의 크랭크 샤프트(56)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상기 크랭크 샤프트(56)에 축설된 피니언(55)에 의해서 상기 피니언(55)에 치합된 개폐블럭(5b)의 래크(58)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블럭(5b)에 의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opening and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표시 시설장비의 차량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상기 차량의 교반조에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차선을 표시하는 토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 적용되는 토출장치는 문양식 토출장치와 내압에 의한 분식 토출장치 및, 통상의 이액형 도료 토출장치를 적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조가 상기 문양식 토출장치와 내압에 의한 분사식 토출장치 및, 이액형 도료 토출장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구조, 즉 복합식 차량표시 시설장비인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The vehicl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vehicle of the vehicle display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evice mounted on the stirring tank of the vehicle to display the lane substantially. The dispensing apparatus to be applied here is to apply th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door style discharge device and internal pressure, and a conventional two-component paint discharging device, which is a stirring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rayed by the door style discharge device and internal pressure This is due to the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both the discharging device and the two-component paint discharging device, that is, the combined vehicle display facility equipment.
상기 문양식 토출장치(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조(2)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이 원료토출기(6b) 측으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6a)와, 상기 원료공급부(6a)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지면에 물방울 모양으로 원료를 토출하는 원료토출기(6b)와, 상기 원료토출기(6b)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바퀴지지부(7) 및 비드건(74)과, 상기 바퀴지지부(7)를 승강시키는 바퀴 승강부(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door
상기 원료공급부(6a)는 교반조(2)의 좌.우측 원료배출구A(22a) 또는 원료배출구B(22b)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측에 연결라인A,B(62a)(62b)를 가지며 유압모터(61)의 작동에 의해서 내장된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라인A(62a) 또는 연결라인B(62b)를 통하여 유입된 원료를 원료토출기(6b) 측으로 정량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유압모터(61)와 함께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63)는 콘트롤부(14)의 작동에 의해서 스크류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다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유압모터(61)를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aw
상기 원료토출기(6b)는 원료공급부(6a)에 연결되어 원료유입구(64)를 통하여 원료를 공급받고, 체인전동에 의해서 후방측 구동바퀴(6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내장된 문양천공 실린더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문양천공 실린더는 좌.우측 상.하조절부(65)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방측 개폐실린더(57)에 의해서 문양을 이루는 원료가 지면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는 본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특허 제700038호(2007.03.26 등록공고)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aw material discharger (6b)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6a) is supplied with raw materials through the raw material inlet (64), by th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상기 바퀴지지부(7)는 원료토출기(6b)의 후방 양측에 "ㄷ"자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토출기 지지프레임(71)의 후방측으로 수평의 측면 지지프레임(72)의 일측단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단부에 직상부로 절곡된 비드건 지지부(72a)를 갖는 것으로, 상기 비드건 지지부(72a)의 사이에 횡방향의 지지바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에 비드건(74)이 통상의 볼트 체결에 의해서 결합 및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비드건(74)은 원료토출기(6b)로부터 지면에 토출된 원료에 공기압에 의해서 비드를 지면의 원료에 분사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측면 지지프레임(72)의 후방측에 구동바퀴(6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 지지프레임(73)이 일체로 형성된다.The
상기 바퀴 승강부(8)는 차량에 고정된 상.하부 고정판(81)(82)의 사이에 수직의 이송축(84)을 중앙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송축(84)의 양측에 수직의 가이드봉(83)을 함께 설치한 것으로, 상기 이송축(84)에 승강판(85)이 나선결합되어 이송축(84)의 상단부 승강조작핸들(86)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이송축(84)을 따라 가이드봉(83)의 안내를 받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판(85)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걸쇠(87)가 바퀴 지지프레임(73)에 설치된 구동바퀴(67) 사이의 바퀴축(67a)을 걸어 들어 올리고 내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바퀴축(67a)을 승강시키는 것은 원료토출기(6b)를 이용하여 차선 표시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면과 맞닿아 주행하는 구동바퀴(67)를 들어올려 구동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원료토출기(6b)를 이용한 차선 표시를 하는 경우에는 구동바퀴(67)를 지면에 맞닿게 하여 주행함으로써 체인 전동에 의한 원료토출기(6b)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The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측에 물방울 모양의 요철형 차선(L)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교반조(2)의 좌측 원료배출구A(22a)에 원료공급부(6a) 및 원료토출기(6b)를 갖는 문양식 토출장치(6)의 우측 연결라인B(62b)를 플랜지 결합시켜 장착한 후 작업자가 차량(1)의 좌측 좌석B(11b)에 착석함은 물론 다관절 형태로 된 핸들(15)을 좌측 좌석B(11b) 측으로 이동시켜 핸들축 고정부(3)에 고정한 다음, 좌측 차선(L)을 보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우측에 차선(L)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교반조(2)의 우측 원료배출구B(22b)에 문양식 토출장치(6)의 좌측 연결라인A(62a)를 플랜지 결합시켜 장착한 후 작업자가 차량의 우측 좌석A(11a)에 착석함은 물론 다관절 형태로 된 핸들(15)을 우측 좌석A(11a) 측으로 이동시켜 핸들축 고정부(3)에 고정한 다음, 우측 차선(L)을 보고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렇게 작업중에도 교반조(2)의 원료투입구A(23a) 또는 원료투입구B(23b)를 통하여 함께 따라 다니는 대형 원료 공급차량(1)으로부터 호스 또는 관을 통하여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9A and 9B are plan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A, a concave-convex lane L having a drop shape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분사식 토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사식 토출장치(9)는 교반조(2)의 원료배출구A,B(22a)(22b)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플랜지(91a)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원료유입관(91) 및, 상기 원료유입관(91)과 연통하게 원료유입관(91)의 일측에 고정 및 설치되는 원료 유입블럭(92)과 지지블럭A(9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A(93)에 원료공급관(51)이 링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료공급관(51)은 양단에 원료 유입블럭(92)과 연통하는 가동블럭A(94a)와 가동블럭B(94b)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블럭B(94b)는 지지블럭B(96)와 링크 결합되며, 상기 지지블럭B(96)에 지지블럭B(96)와 가동블럭B(94b)와 연통하는 원료 공급블럭(97)이 구비되어 하부측에 노즐(98a)을 갖는 도료 분사건(98)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료 분사건(98)의 일측에는 가동블럭B(94b)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브라켓트(95)에 의해서 지지되는 바퀴(95e)가 구비되어 도료 분사건(98)이 지면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et discharging device for a lane m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the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트(95)의 일측에 수직의 나선축(95a)이 결합된 고정블럭(95a)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축(95a)의 하단부는 상부측에 커버(95d)를 갖는 바퀴(95e)의 축과 연결되어 나선축(95a) 상단부의 바퀴승강용 조작핸들(95c)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고정블럭(95a)을 포함한 도료 분사건(9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이같이 구성된 분사식 토출장치(9)는 교반조(2)의 에어주입구(24a)를 통하여 주입된 압축공기에 의한 내부압에 의해서 교반조(2) 내부의 원료가 원료유입관(91)을 통하여 유입된 후, 연통하는 원료 유입블럭(92)과 지지블럭A(93) 및 가동블럭A(94a), 원료공급관(51)과 가동블럭B(94b) 및 지지블럭B(96), 원료 공급블럭(97)을 통해서 도료 분사건(98) 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지면에 원료를 분사식으로 토출시켜 차선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injec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의 이액형 도료 토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통상의 이액형 도료 토출장치와 마찬가지로 교반조(2)의 원료배출구C(22c)로부터 원료를 받아 지면에 차선을 표시하게 된다. 즉 일측단부에 장공(104a)이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저류실(101)의 개폐판(102)과 연결되어 회동축(10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엘보우(104)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저류실(101)의 내벽에 설치된 수직의 지지브라켓트(105)에 의해서 수직 하방으로 지지되고 엘보우(104)의 장공(104a)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축(107)에 연결되어 상기 엘보우(104)를 회동축(10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저류실(101)의 통로(101a)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실린더(10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류실(101)의 외측에 설치된 고정바(108)에 일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차량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108)를 당기고 밀어 저류실(101)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109)가 구비되어 자동 개폐 및 저류실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component paint discharging device for a lane m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eives a raw material from the raw
이같이 본 발명은 소형 차량에 탑재된 교반조에 원료 토출장치를 선택적으로 장착시켜 차선을 표시할 수 있어 좁은 도로에서 차량을 진행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시키지 않고서도 차량의 좌우측 차선 표시를 위한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 의한 이동속도가 일정해 불량시공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조는 2중벽 및 열매체에 의한 보온기능과 압축공기 주입에 따른 내압으로 원료를 분사시키는 기능을 겸함으로써 융착식 또는 분사식 등의 도색방식에 상관없이 장비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시공이 가능해 장비의 호환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lanes by selectively mounting a raw material discharging device in a stirring tank mounted in a small vehicle, thereby enabling construction for displaying left and right lanes of a vehicle on a narrow road without switching the vehicle from a traveling direction to a reverse direction. Rather, the speed of movement by the vehicle is to be able to prevent poor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stirring tank has a function of insulating the raw material by the thermal insulation function by the double wall and the heat medium and the internal pressure according to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any separate equipment regardless of the painting method such as fusion or spraying. The equipment will be compatible.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차선표시 시설장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is is only for describ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thereof is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Become limited. In addi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will be apparent that this is also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차량
10: 차량 프레임 11a,11b: 좌석A,B
12: 엔진룸 13a,13b: 앞바퀴A,B
14: 콘트롤부 15: 핸들
16: 핸들축 16a: 원동축
16b: 조작축 16c: 전동축
17a,17b: 제1 유니버셜 조인트 18: 기스공급박스
2: 교반조
20: 버너 21: 교반모터
22a,22b,22c: 원료배출구A,B,C 23a,23b: 원료투입구A,B
24a: 에어주입구 24b: 에어배출구
24c: 압력게이지 25a: 열매체 주입구
25b: 열매체 배출구 25c: 열매체 순환라인
25d: 열매체 오버플로우 25e: 열매체 받이통
26a: 원료 온도센서 26b: 열매체 온도센서
26c: 열매체 재순환라인 26d: 열매체 온도게이지
27: 제1 벽체 27a: 열매체 순환통로
28: 제2 벽체 28a: 보온재
29: 가스 배출통로 29a: 가스 배출구
3: 핸들축 고정부
31: 지지대 32: 축고정관
32a: 아이볼트 33: 축지부
33a: 베어링 33b: 삽입봉
4: 조향장치
41: 원동기어 42: 종동기어
43: 조향축 44: 조향 플레이트
45a,45b: 바퀴프레임A,B 46a,46b: 링크A,B
5: 자동 개폐장치 5a: 슬라이드 고정블럭
5b: 개폐블럭
51: 원료공급관 52: 연결부
53: 개방부 54: 지지편
55: 피니언 56: 크랭크 샤프트
57: 개폐실린더 58: 래크
6: 문양식 토출장치 6a: 원료공급부
6b: 원료토출기
61: 유압모터 62a,62b: 연결라인A,B
63: 솔레노이드 밸브 64: 원료유입구
65: 상.하조절부 66: 개폐실린더
67: 구동바퀴 68: 체인
7: 바퀴지지부
71: 토출기 지지프레임 72: 측면 지지프레임
73: 바퀴 지지프레임 74: 비드건
8: 바퀴 승강부
81,82: 상.하부 고정판 83: 가이드봉
84: 이송축 85: 승강판
86: 승강조작핸들 87: 걸쇠
9: 분사식 토출장치
91: 원료유입관 92: 원료 유입블럭
93,96: 지지블럭A,B 94: 원료공급관
94a,94b: 가동블럭A,B 95: 지지브라켓트
95a: 고정블럭 95b: 나선축
95c: 바퀴승강용 조작핸들 95e: 바퀴
97: 원료 공급블럭 98: 도료 분사건
100: 이액형 도료 토출장치
101: 저류실 101a: 통로
102: 개폐판 103: 회동축
104: 엘보우 104a: 장공
105: 지지브라켓트 106: 개폐실린더
107: 슬라이더축 108: 고정바
109: 승강실린더1: vehicle
10:
12:
14: control unit 15: handle
16: Handle
16b:
17a, 17b: first universal joint 18: gas supply box
2: stirring tank
20: burner 21: stirring motor
22a, 22b, 22c: Raw material outlet A, B,
24a:
24c:
25b:
25d: Thermal
26a: raw
26c: Heat
27:
28:
29:
3: handle shaft fixing part
31: support 32: shaft fixing tube
32a: eye bolt 33: shaft
33a: bearing 33b: insertion rod
4: steering system
41: prime mover 42: driven gear
43: steering shaft 44: steering plate
45a, 45b: Wheel frame A,
5:
5b: open / close block
51: raw material supply pipe 52: connection
53: opening 54: support piece
55: pinion 56: crankshaft
57: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58: rack
6: door
6b: raw material dispenser
61:
63: solenoid valve 64: raw material inlet
65: upper and lower control part 66: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67: drive wheel 68: chain
7: wheel support
71: ejector support frame 72: side support frame
73: wheel support frame 74: bead gun
8: wheel lift
81,82: upper and lower fixing plate 83: guide rod
84: feed shaft 85: lifting plate
86: lifting handle 87: latch
9: jet ejection device
91: raw material inlet tube 92: raw material inlet block
93, 96: support blocks A, B 94: raw material supply pipe
94a and 94b: movable blocks A and B 95: support bracket
95a: fixed
95c:
97: raw material supply block 98: paint spray gun
100: two-component paint discharging device
101:
102: opening and closing plate 103: rotating shaft
104:
105: support bracket 106: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107: slider axis 108: fixed bar
109: lifting cylinder
Claims (15)
A stirring tank 2 having a burner 20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1 having the engine room 12 at the rear side, and on the rear gas supply box 18 of the stirring tank 2. A steering device provided with seats A and B (11a) and (11b)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s A and B (13a) and (13b) of the vehicle (1) by the steering wheel (15). (4) is provided, and the stirring vessel (2) has raw material outlets A, B, and C (22a) (22b, 22c)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and thus, the material outlets A, B, and C (22a) (22b).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ane is displayed by selectively mounting the discharge device to (22c).
상기 핸들(15)은 조향장치(4)에 연결된 원동축(16a)과 핸들(15)에 연결된 조작축(16b) 및, 상기 원동축(16a)과 조작축(16b)의 사이에 제1 유니버셜 조인트(17a) 및 제2 유니버셜 조인트(17b)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전동축(16c)으로 핸들축(16)을 구성하고, 상기 핸들축(16)은 핸들축 고정부(3)에 의해서 좌석A(11a) 또는 좌석B(11b)의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15 has a first universal shaft between the driving shaft 16a connected to the steering apparatus 4 and the operating shaft 16b connected to the handle 15 and between the driving shaft 16a and the operating shaft 16b. The handle shaft 16 is constituted by an electric shaft 16c connected to the joint 17a and the second universal joint 17b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and the handle shaft 16 is the handle shaft fixing part 3.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position of the seat A (11a) or seat B (11b) by.
상기 핸들축 고정부(3)는 교반조(2)와 좌석A,B(11a)(11b)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31)와;
상기 지지대(31)의 양측에 상방개구형의 단관 형태로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측에 후방측에 아이볼트(32a)를 갖는 축고정관(32)과;
상기 핸들축(16)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핸들축(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33a)이 내장되고, 하부측에 지지대(31)의 축고정관(32)에 끼워지는 삽입봉(33b)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축지부(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2,
The handle shaft fixing part 3 includes a support 31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stirring tank 2 and the seats A and B (11a) (11b);
Shaft fixing tube 32 is formed integrally in the form of an upper opening type single tub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31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n eye bolt 32a on the rear side;
A bearing 33a is built in the front and rear to allow the handle shaft 16 to penetrate therethrough and rotatably support the handle shaft 16, and the shaft fixing tube of the support 3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ereof. 32. The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rod (33b) to be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33) of the rubber material integrally formed.
상기 조향장치(4)는 핸들축(16)을 구성하는 원동축(16a)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동기어(41) 및, 상기 원동기어(41)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치합되는 종동기어(42)와;
상기 종동기어(42)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조향 플레이트(44)가 연결되어 종동기어(42)에 의해서 조향 플레이트(4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수직의 조향축(43)과;
상기 조향 플레이트(44)의 양측에, 링크A,B(46a)(46b)에 의해서 일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차량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앞바퀴A,B(13a)(13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바퀴프레임A,B(45a)(4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teering apparatus 4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6a constituting the handle shaft 16 and rotates together, and the driven gear mesh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gear 41 ( 42);
A vertical steering shaft 43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driven gear 42, and a steering plate 44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reof such that the steering plate 44 can be rotated by the driven gear 42;
On both sides of the steering plate 44,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by links A and B 46a and 46b,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ehicle frame 10 as well as front wheels A and B. (13a) (13b) is a lane frame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otatable wheel frame A, B (45a) (45b) :.
상기 교반조(2)는 이중관 구조에 의해 열매체 순환통로(27a)를 형성하는 제1 벽체(27)와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보온재(28a)가 충진된 제2 벽체(28)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벽체(27)와 제2 벽체(28)의 사이에 가스배출구(29a)를 갖는 가스 배출통로(29)가 형성되며, 상단부 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어 내부의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교반모터(21) 및, 상기 교반모터(21)의 양측에 형성된 원료투입구A,B(23a)(2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stirring tank 2 is formed of a first wall 27 forming a heat medium circulation passage 27a by a double pipe structure and a second wall 28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28a inside the double wall structure. A gas discharge passage 29 having a gas discharge port 29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wall 27 and the second wall 28, and is installed vertically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to rotate the stirring blades therein.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comprising a stirring motor (21), and the raw material inlet A, B (23a) (23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irring motor (21).
상기 교반조(2)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에어주입구(24a)와 에어배출구(24b) 및, 압력게이지(24c)와;
상기 교반조(2)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매체 주입구(25a)와 열매체 배출구(25b) 및, 열매체 순환라인(25c)과;
상기 교반조(2)의 타측에 구비되는 열매체 오버플로우(25d)와 열매체 받이통(25e) 및, 원료 온도센서(26a), 열매체 온도센서(26b), 열매체 재순환라인(26c), 열매체 온도게이지(26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5,
The stirring tank 2 includes an air inlet 24a and an air outlet 24b and a pressure gauge 24c installed at an upper end thereof;
A heat medium injection port 25a and a heat medium discharge port 25b formed on one side of the stirring tank 2, and a heat medium circulation line 25c;
The thermal medium overflow 25d and the thermal medium container 25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irring tank 2, the raw material temperature sensor 26a, the thermal medium temperature sensor 26b, the thermal medium recirculation line 26c, and the thermal medium temperature gaug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further comprises (26d).
상기 교반조(2)의 좌.우측 원료배출구A,B(22a)(22b)는 자동개폐장치(5)에 의해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한 자동 개폐와 수동 개폐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left and right raw material outlets A, B (22a) and (22b) of the stirring tank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y the automatic operation device 5 and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can be made at the same tim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상기 자동개폐장치(5)는 후방측에 교반조(2)의 원료배출구A,B(22a)(22b)에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52)와 연통하는 원료공급관(51)이 전방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원료공급관(51)의 상측 중간에 개방부(53)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53)의 양측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지지편(54)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편(54)의 사이에 피니언(55)이 크랭크 샤프트(56)에 의해서 축설된 슬라이드 고정블럭(5a)과;
상기 슬라이드 고정블럭(5a)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라이드 고정블럭(5a)의 원료공급관(51)과 연결부(52)의 사이를 개폐하고, 전면부에 슬라이드 고정블럭(5a)의 피니언(55)에 치합되는 수직방향의 래크(5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부는 수직하방의 개폐실린더(57)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실린더(57)에 의해서 자동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블럭(5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5 has a hollow connection portion 52 which is coupled to the raw material outlets A, B 22a, 22b of the stirring vessel 2 at the rear side, and the raw material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portion 52. The supply pipe 51 is integrally formed at the front side, and an opening 53 is formed at the upper middle of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51, and a pair of support pieces 54 protrude toward both front sides of the opening 53. A slide fixing block (5a) having a pinion (55) arrang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54) by the crankshaft (56);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inside the slide fixing block (5a)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51 and the connecting portion 52 of the slide fixing block (5a), the slide fixing block (5a) in the front part The rack 58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55 of the integrally formed,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ly open and closed cylinder 57 to be moved up and down automatically by the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57). Lane opening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토출장치는 교반조(2)의 좌.우측 원료배출구A(22a) 또는 원료배출구B(22b)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측에 연결라인A,B(62a)(62b)를 가지며 유압모터(61)의 작동에 의해서 내장된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라인A(62a) 또는 연결라인B(62b)를 통하여 유입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6a)와;
상기 원료공급부(6a)에 연결되어 원료유입구(64)를 통하여 원료를 공급받고, 체인전동에 의해서 후방측 구동바퀴(6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내장된 문양천공 실린더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문양천공 실린더는 좌.우측 상.하조절부(65)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방측 개폐실린더(57)에 의해서 문양을 이루는 원료가 지면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원료토출기(6b);로 구성된 문양식 토출장치(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device has connecting lines A and B 62a and 62b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raw material outlet A 22a or the raw material outlet B 22b of the stirring tank 2. A raw material supply part 6a for supplying raw materials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line A 62a or the connection line B 62b by rotating the screw embedded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motor 61;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6a) is supplied so that the raw material through the raw material inlet 64, the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rear drive wheel 67 by the chain transmission is configured to rotate the built-in pattern drilling cylinder, The pattern perforated cylinder is provid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control unit 65, and the raw material discharg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material forming the pattern by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57 to the ground.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door style discharge device (6) consisting of.
상기 문양식 토출장치(6)는 원료토출기(6b)의 후방측에 바퀴지지부(7)와 바퀴 승강부(8) 및 비드건(7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oor style ejection apparatus (6) further comprises a wheel support (7), a wheel lifter (8), and a bead gun (74) on the rear side of the raw material ejector (6b).
상기 바퀴지지부(7)는 원료토출기(6b)의 후방 양측에 수직의 절곡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토출기 지지프레임(71)과;
상기 토출기 지지프레임(71)에 일측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직상부로 절곡된 비드건 지지부(72a)를 갖는 한 쌍의 측면 지지프레임(72)과;
상기 측면 지지프레임(72)의 각 비드건 지지부(72a)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바에 결합되는 비드건()과;
상기 측면 지지프레임(72)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바퀴(6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 지지프레임(7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10,
The wheel support 7 includes an ejector support frame 71 which is integrally formed in a vertical bending form on both rear sides of the raw material ejector 6b;
A pair of side support frames 72 having one side end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jector support frame 71 and the other end portion having a bead gun support portion 72a bent upward;
A bead gun () coupled to a support bar instal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each bead gun support portion (72a) of the side support frame (72);
Lane suppor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wheel support frame (73)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support frame (72)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driving wheel (67).
상기 바퀴 승강부(8)는 상.하부 고정판(81)(82) 사이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이송축(84) 및, 가이드봉(83)과;
상기 이송축(84)에 나선 결합되어 이송축(84)의 상단부 승강조작핸들(86)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이송축(84)을 따라 가이드봉(83)의 안내를 받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판(85)과;
상기 승강판(85)에 일측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단은 구동바퀴(67) 사이의 바퀴축(67a)에 걸어진 걸쇠(8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wheel lifting unit (8) comprises a feed shaft (84) and a guide rod (83) which ar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cent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81, 82);
Spirally coupled to the feed shaft 84 is guided by the guide rod 83 along the feed shaft 84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lifting handle 86 of the upper end of the feed shaft 84 to move up and down A lifting plate 85 provided;
One e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elevating plate (85), the other end is a latch (87) hooked to the wheel shaft (67a) between the drive wheels 67;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토출장치는 교반조(2)의 원료배출구A,B(22a)(22b)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플랜지(91a)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원료유입관(91)과;
상기 원료유입관(91)과 연통하게 원료유입관(91)의 일측에 고정 및 설치되는 원료 유입블럭(92) 및, 지지블럭A(93)와;
상기 지지블럭A(93)에 일측단부의 가동블럭A(94a)가 회전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고 상기 원료 유입블럭(92)과 연통하는 원료공급관(51)과;
상기 원료공급관(51)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가동블럭B(94b)가 회전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는 지지블럭B(96) 및, 상기 지지블럭B(96) 및 가동블럭B(94b)와 연통하는 원료 공급블럭(97)과;
상기 원료 공급블럭(97)으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하부측 노즐(98a)을 통하여 지면에 분사하는 도료 분사건(98)과;
상기 도료 분사건(98)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료 분사건(98)이 지면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주행하고 가동블럭B(94b)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브라켓트(95)에 의해서 지지되는 바퀴(95e);로 구성된 분사식 토출장치(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device includes a hollow raw material inlet pipe 91 having flanges 91a integrally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raw material discharge ports A and B 22a and 22b of the stirring tank 2;
A raw material inflow block 92 and a support block A 93 fixed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aw material inflow pipe 9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aw material inflow pipe 91;
A raw material supply pipe 51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A 93 at one end of the movable block A 94a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raw material inflow block 92;
A support block B 96 on which the movable block B 94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51 is rotatably linked, and a raw material in communication with the support block B 96 and the movable block B 94b; A supply block 97;
A paint spray gun (98) for spraying the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block (97) to the ground through a lower side nozzle (98a);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int spray gun (98)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95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block B (94b) to run while maintaining the paint spray gun (98)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ground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jetted discharge device (9) consisting of a wheel (95e).
상기 분사식 토출장치(9)는 지지브라켓트(95)의 일측에 수직의 나선축(95a)이 결합된 고정블럭(95a)을 형성하고, 상기 나선축(95a)의 하단부는 상부측에 커버(95d)를 갖는 바퀴(95e)의 축과 연결되어 나선축(95a) 상단부의 바퀴승강용 조작핸들(95c)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고정블럭(95a)을 포함한 도료 분사건(9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13,
The jet ejection apparatus 9 forms a fixed block 95a in which a vertical spiral shaft 95a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95, and a lower end of the spiral shaft 95a covers a cover 95d. The height of the paint spray gun 98 including the fixed block 95a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wheel lifting operation handle 95c of the upper end of the spiral shaft 95a by being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wheel 95e having the Lane marking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상기 토출장치는 일측단부에 장공(104a)이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저류실(101)의 개폐판(102)과 연결되어 회동축(10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엘보우(104)와;
상기 저류실(101)의 내벽에 설치된 수직의 지지브라켓(105)에 의해서 수직 하방으로 지지되고 엘보우(104)의 장공(104a)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축(107)에 연결되어 상기 엘보우(104)를 회동축(10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저류실(101)의 통로(101a)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실린더(106)와;
상기 저류실(101)의 외측에 설치된 고정바(108)에 일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차량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108)를 당기고 밀어 저류실(101)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실린더(109);로 구성된 이액형 도료 토출장치(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차선표시 시설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device includes an elbow 104 formed with a long hole 104a at one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2 of the storage chamber 101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pivot shaft 103;
The elbow 104 is connected to the slider shaft 107 which is vertically supported by the vertical support bracket 105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hamber 101 and moves along the long hole 104a of the elbow 104. An opening / closing cylinder 106 which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103 so that the passage 101a of the storage chamber 101 can be opened and close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ar 108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torage chamber 10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vehicle frame 10 to pull and push the fixed bar 108 to the storage chamber 101. Lane display facilit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wo-component paint discharging device 100 consisting of; elevating cylinder (109) to be moved up and down about the rotating shaft (1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0940A KR101054789B1 (en) | 2011-01-05 | 2011-01-05 | Traffic lane expression installation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0940A KR101054789B1 (en) | 2011-01-05 | 2011-01-05 | Traffic lane expression installation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4789B1 true KR101054789B1 (en) | 2011-08-05 |
Family
ID=4493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0940A KR101054789B1 (en) | 2011-01-05 | 2011-01-05 | Traffic lane expression installation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478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3438B1 (en) * | 2011-07-22 | 2013-06-11 | 주식회사 진산기계 | Zebra crossing lane obscene system |
KR101557044B1 (en) * | 2014-07-07 | 2015-10-13 | (주)하이에코트래픽 | apparatus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method for painting traffic lane |
KR20160059331A (en) * | 2014-11-18 | 2016-05-26 |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 Road sweeping apparatus having interchangeable bag |
KR102133983B1 (en) * | 2020-03-13 | 2020-07-15 | 동병길 | Heater device apparatus for used a sprayer of antitack agent |
CN114606846A (en) * | 2022-03-18 | 2022-06-10 | 中海外交通建设有限公司 | Filling device for highway hol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5467A (en) * | 1982-12-24 | 1986-01-21 | Ludwig Eigenman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laying road marking strips onto roadway surfaces |
KR20000018185U (en) * | 1999-03-15 | 2000-10-16 | 이대우 | Lane painting apparatus easy to paint lane |
KR100706100B1 (en) | 2005-08-05 | 2007-04-12 | 김경진 | road line-marking vehicle |
KR101002255B1 (en) | 2010-07-07 | 2010-12-21 | (주)중앙건설 | The vehicle installation type road-marking equipment |
-
2011
- 2011-01-05 KR KR1020110000940A patent/KR10105478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5467A (en) * | 1982-12-24 | 1986-01-21 | Ludwig Eigenman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laying road marking strips onto roadway surfaces |
KR20000018185U (en) * | 1999-03-15 | 2000-10-16 | 이대우 | Lane painting apparatus easy to paint lane |
KR100706100B1 (en) | 2005-08-05 | 2007-04-12 | 김경진 | road line-marking vehicle |
KR101002255B1 (en) | 2010-07-07 | 2010-12-21 | (주)중앙건설 | The vehicle installation type road-marking equipment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3438B1 (en) * | 2011-07-22 | 2013-06-11 | 주식회사 진산기계 | Zebra crossing lane obscene system |
KR101557044B1 (en) * | 2014-07-07 | 2015-10-13 | (주)하이에코트래픽 | apparatus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method for painting traffic lane |
KR20160059331A (en) * | 2014-11-18 | 2016-05-26 |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 Road sweeping apparatus having interchangeable bag |
WO2016080643A1 (en) * | 2014-11-18 | 2016-05-26 |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 Road cleaning apparatus having replaceable bag installed therein |
KR101654866B1 (en) * | 2014-11-18 | 2016-09-06 |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 Road sweeping apparatus having interchangeable bag |
KR102133983B1 (en) * | 2020-03-13 | 2020-07-15 | 동병길 | Heater device apparatus for used a sprayer of antitack agent |
CN114606846A (en) * | 2022-03-18 | 2022-06-10 | 中海外交通建设有限公司 | Filling device for highway holes |
CN114606846B (en) * | 2022-03-18 | 2024-05-10 | 中海外交通建设有限公司 | Filling device for highway ho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4789B1 (en) | Traffic lane expression installation equipment | |
CN107075819B (en) | Hollow reconditioned vehicle | |
KR101565002B1 (en) | Complex Type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 |
KR101443857B1 (en) | Appararus and Process for painting lane of the road with two liquid type | |
CA2511390C (en) | A modular device for simultaneously spreading cut fibers and binders and a spreading machine | |
WO2007018362A1 (en) | Road line-marking vehicle | |
JP2020070918A (en) | Wheel-type pipe detection robot and its use method | |
KR100501992B1 (en) | vehicle for painting traffic lane | |
KR100700037B1 (en) | The painting device of power driven for a concavo convex type the road surface mark | |
KR101477750B1 (en) | Paint composition for painting lane of the road with two liquid type | |
JP2020070917A (en) | Wheel type pipe detection robot | |
JP2012196605A (en) | Two-component coating supply device and two-component mixture coating system | |
KR101252655B1 (en) | Construction apparatus for projection traffic signal on road | |
CN205993487U (en) | A kind of mixed type colour butter 3D cake printer | |
JP6826247B2 (en) | Wheel type pipe detection equipment | |
CA2700764C (en) | Automated food mixer cleaning system | |
KR100997943B1 (en) | Two liquids type coating device for a pipe | |
KR101392886B1 (en) | Automatic construction apparatus for projection type traffic lane painting | |
KR101747370B1 (en) | a thermoplastic traffic lane painting machine | |
KR100760261B1 (en) | apparatus for painting letters on road surface | |
KR101279431B1 (en) | Manual type marking lane apparatus | |
KR101487932B1 (en) | Process for painting lane of the road with two liquid type | |
WO2023123766A1 (en) | Spray head device | |
CN209465253U (en) | A kind of moulding spray-painting plant convenient for safeguarding | |
KR102539513B1 (en) | Automation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