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714B1 -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714B1
KR101054714B1 KR1020100130163A KR20100130163A KR101054714B1 KR 101054714 B1 KR101054714 B1 KR 101054714B1 KR 1020100130163 A KR1020100130163 A KR 1020100130163A KR 20100130163 A KR20100130163 A KR 20100130163A KR 101054714 B1 KR101054714 B1 KR 101054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camera
input unit
mai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하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윈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윈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윈스컴
Priority to KR102010013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재실의 분전반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CCTV용 카메라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이나 기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도록 하면서 카메라가 메인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지의 여부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지의 상태를 메인 컨트롤러에서 방재실의 모니터로 전달함으로써 관리자가 전원공급실 즉, 분전반, 차단기 등의 고장이나 불량 또는 기타 장애 요인을 인지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인해 비상 상황시 필요한 장면을 촬영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과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CAMERA FOR CCTV HAVING FUNCTION OF POWER FAILURE COMPENSATION}
본 발명은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이하 CCTV로 표기함)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방재실의 분전반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CCTV용 카메라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이나 기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도록 하면서 이와 함께 분전반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CCTV용 카메라가 작동하는지의 상태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CCTV용 카메라가 작동하는지의 상태를 방재실의 모니터에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CCTV용 카메라가 작동하는 상황을 인지한 관리자가 전원공급실인 분전반, 차단기 등의 고장이나 불량을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인해 비상 상황시 필요한 장면을 촬영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CCTV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sion)란 화상정보를 특수한 목적으로 미리 설정된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영상 시스템을 의미하며, 보통 유선에 의한 영상전송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CCTV는 산업용 텔레비전(Industrial Television)의 약어인 ITV로 불리기도 하는데, 방송텔레비전 이외의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으로 그 용도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CTV 전원공급실에서는 메인 분전반 아래에 서브 분전반이 다수 있는데, 이중 하나의 분전반이 CCTV로 배정이 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CCTV로 배정된 분전반이 정전시에 정상적인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문제가 되지만, 이 배정된 분전반이 쇼트가 나거나 차단기 불량, 내지는 제3자의 고의적인 차단에 의하여도 CCTV 작동이 불가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CCTV는 인간의 시각 확장수단의 일환으로서, ① 원거리의 관찰, ② 보이지 않는 영역의 관찰, ③ 인체의 근접이 불가능한 환경하의 관찰, ④ 다수인에 의한 동시 관찰, ⑤ 집중적 감시 등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를 간단히 기술하면, 복수 개의 CCTV 카메라들이 촬영 대상물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분할기로 각각 전달한다.
상기 분할기는 모니터에 할당된 화면크기만큼 화면을 분할하여 녹화기로 전달한다. 녹화기는 아날로그방식인 경우 비디오 리코더가 사용되며, 디지털 방식인 경우 DVD 리코더가 사용되는 것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관리자가 필요 시 재생 가능토록 저장한다.
모니터는 모든 CCTV 카메라들이 전달한 영상신호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모니터의 화면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각각 분할하여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CCTV는 전원공급실에서 메인 분전반 아래에 서브 분전반을 다수 구비하고 있고, 그중 하나의 서브 분전반에서 CCTV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정전이 발생하거나 상기의 서브 분전반에서 쇼트가 발생하거나 차단기 불량, 내지는 제3자의 고의적인 차단에 의하여도 CCTV용 카메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작동이 불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CCTV용 카메라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상기와 같은 정전이나 고장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서브 분전반에서 CCTV용 카메라로의 전원 공급이 고장, 불량, 제3자의 고의적인 차단 등으로 정상 작동이 안 될 경우에 CCTV용 카메라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는 있으나, CCTV용 카메라가 정상적인 전원에 의하여 작동이 되는지와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이 되는지의 사용 상태를 관리자가 인식하지 못하여 전원공급실 즉, 분전반, 차단기 등의 고장을 사전에 인지하여 조치할 수 없었으며, 또한, 배터리가 방전이 되었을 경우에는 막상 필요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CCTV가 작동하지 않아 촬영할 수 없게 됨은 물론, 과방전된 배터리를 사용하지 못하여 다시 구입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방재실의 서브 분전반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CCTV용 카메라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이나 기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도록 하면서 메인 전원에 의해 작동을 하는지의 여부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지의 상태를 방재실의 모니터에 전달하여 관리자가 전원공급실 즉, 분전반, 차단기 등의 고장을 사전에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인해 비상 상황 시 필요한 장면을 촬영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는,
본체의 내부에서 전원입력부를 통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면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카메라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터리에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와,
상기의 전원입력부의 구동 여부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부와,
상기의 전원입력부나 배터리 전원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카메라를 작동하는 카메라 구동부와,
상기의 전원입력부나 배터리 전원부를 통한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출력 IC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전원입력부를 통한 전원이나 배터리 전원부를 통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발광다이오드로 표시하는 표시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의 문자출력 IC로부터의 문자정보를 방재실의 모니터로 전달하여 관리자가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입출력 포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CCTV용 카메라에 의하여서는 CCTV 카메라의 본체에 배터리를 내장하면서 정전이나 고장 등의 이유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에만 배터리의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외부로부터의 전원인 경우에는 표시부에 정상적인 전원공급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카메라에 공급되는 전원이 배터리의 전원인 경우에는 문자 출력 IC를 통하여 자신의 어드레스 정보와 함께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 따른 한글 정보를 방재실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CCTV용 카메라가 작동하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관리자는 상대적으로 분전반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어, 전원공급실 즉, 분전반, 차단기 등의 고장이나 불량을 사전에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분전반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오랫동안 계속되면서 전방의 긴급한 상황을 쵤영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배터리가 과방전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CCTV용 카메라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1)의 내부에서 전원입력부(2)를 통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3)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면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4)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4)의 제어를 받으면서 카메라(5)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입력부(2)와,
상기 전원입력부(2)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터리(3)에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6)와,
상기의 전원입력부(2)의 구동 여부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4)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3)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부(7)와,
상기의 전원입력부(2)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카메라(5)를 작동하는 카메라 구동부(8)와,
상기의 전원입력부(2)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한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2)의 제어를 받으면서 메모리(10)에 저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출력 IC(9)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2)의 제어에 따라 전원입력부(2)를 통한 전원이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두 발광다이오드(L1)(L2)로 표시하는 표시구동부(11)와,
상기 본체(1)에 방재실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의 문자출력 IC(9)로부터의 문자정보를 방재실(20)의 모니터(21)로 전달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12)로 구성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를 내장한 CCTV용 카메라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1)의 내부에서 전원입력부(2)를 통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3)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면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4)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4)의 제어를 받으면서 DC5V의 전원으로부터 DC-DC 변환IC(13)를 통하여 릴레이의 구동에 필요한 DC12V의 전원과 카메라(5)의 구동에 필요한 DC5V의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에 따른 신호(DC-level)를 메인 컨트롤러(4)에 전달하는 전원입력부(2)와,
상기 전원입력부(2)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 메인 컨트롤러(4)로부터의 제어신호(charge)에 의하여 트랜지스터(TR1)와 릴레이 IC(RY1)를 통하여 배터리(3)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배터리(3)의 전원레벨에 따른 신호(batt-level)를 메인 컨트롤러(4)에 전달하는 배터리 충전부(6)와,
상기의 전원입력부(2)의 구동 여부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4)로부터의 제어신호(relay)에 의해 트랜지스터(TR2)와 릴레이(RY2)를 통하여 배터리(3)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부(7)와,
상기의 전원입력부(2)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카메라(5)를 작동하는 카메라 구동부(8)와,
상기의 전원입력부(2)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한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2)의 제어를 받으면서 메모리(10)에 저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출력 IC(9)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2)의 제어에 따라 전원입력부(2)를 통한 전원이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두 발광다이오드(L1)(L2)로 표시하는 표시구동부(11)와,
상기 본체(1)에 방재실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의 문자출력 IC(9)로부터의 문자정보를 방재실(20)의 모니터(21)로 전달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12)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CCTV용 카메라는
본체(1)의 내부에서 메인 컨트롤러(4)는 전원입력부(2)를 통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3)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면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4)의 제어를 받는 전원입력부(2)는 DC5V의 전원으로부터 DC-DC 변환IC(13)를 통하여 릴레이의 구동에 필요한 DC12V의 전원과 카메라(5)의 구동에 필요한 DC5V의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에 따른 신호(DC-level)를 메인 컨트롤러(4)에 전달하여 외부로부터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입력부(2)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 메인 컨트롤러(4)로부터의 제어신호(charge)를 전달받는 배터리 충전부(6)는 트랜지스터(TR1)와 릴레이 IC(RY1)를 통하여 배터리(3)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배터리(3)의 전원레벨에 따른 신호(batt-level)를 메인 컨트롤러(4)에 전달하여 배터리(3)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전원입력부(2)의 구동 여부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4)로부터 제어신호(relay)를 전달받는 배터리 전원부(7)는 트랜지스터(TR2)와 릴레이(RY2)를 통하여 배터리(3)에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키면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의 전원입력부(2)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카메라 구동부(8)는 카메라(5)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의 전원입력부(2)를 통한 전원의 공급 상태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한 전원의 공급 상태를 판단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2)의 제어를 받는 문자출력 IC(9)는 메모리(10)에 저장된 문자 (예컨대, 배터리 전원 공급 중)과 같은 한글 문자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2)의 제어에 따라 표시구동부(11)는 전원입력부(2)를 통한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1)를 점등하거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한 배터리(3)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2)를 선택적으로 점등하면서 외부에 알려주도록 한다.
상기의 본체(1)에 방재실로부터의 전원은 입출력 포트(12)를 통하여 공급받거나 상기의 문자출력 IC(9)로부터의 문자정보를 입출력 포트(12)를 통해 방재실(20)의 모니터(21)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21)를 통해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인지한 관리자가 전원의 정상적인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본체 2 : 전원입력부
3 : 배터리 4 : 메인 컨트롤러
6 : 배터리 충전부 7 : 배터리 전원부
8 : 카메라 구동부 9 : 문자출력 IC
11 : 표시구동부 12 : 입출력 포트
20 : 방재실 21 : 모니터

Claims (5)

  1. 본체(1)의 내부에서 전원입력부(2)를 통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3)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면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4)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4)의 제어를 받으면서 DC5V의 전원으로부터 DC-DC 변환IC(13)를 통하여 릴레이의 구동에 필요한 DC12V의 전원과 카메라(5)의 구동에 필요한 DC5V의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에 따른 신호(DC-level)를 메인 컨트롤러(4)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원입력부(2)와,
    상기 전원입력부(2)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터리(3)에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6)와,
    상기의 전원입력부(2)의 구동 여부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4)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3)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부(7)와,
    상기의 전원입력부(2)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카메라(5)를 작동하는 카메라 구동부(8)와,
    상기의 전원입력부(2)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한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2)의 제어를 받으면서 메모리(10)에 저장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출력 IC(9)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2)의 제어에 따라 전원입력부(2)를 통한 전원이나 배터리 전원부(7)를 통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두 발광다이오드(L1)(L2)로 표시하는 표시구동부(1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CCTV용 카메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배터리 충전부(6)는 상기 전원입력부(2)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 메인 컨트롤러(4)로부터의 제어신호(charge)에 의하여 트랜지스터(TR1)와 릴레이 IC(RY1)를 통하여 배터리(3)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배터리(3)의 전원레벨에 따른 신호(batt-level)를 메인 컨트롤러(4)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의 전원입력부(2)는 입출력 포트(12)를 통하여 방재실(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본체(1)의 메인 컨트롤러(4)의 제어를 받는 문자출력 IC(9)에서 입출력 포트(12)를 통하여 카메라(5)에 공급되는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인가 배터리(3)의 전원인가의 여부를 방재실(20)의 모니터(21)에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CCTV용 카메라 본체(1)에 배터리(3)를 내장하여 정전 내지 정상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방재실의 분전반이 고장발생 시 메인 컨트롤러(4)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 전원부(7)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면서 배터리(3)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자체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KR1020100130163A 2010-12-17 2010-12-17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KR101054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163A KR101054714B1 (ko) 2010-12-17 2010-12-17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163A KR101054714B1 (ko) 2010-12-17 2010-12-17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714B1 true KR101054714B1 (ko) 2011-08-05

Family

ID=4493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163A KR101054714B1 (ko) 2010-12-17 2010-12-17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322B1 (ko) 2016-05-04 2016-11-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Cctv 셋톱박스 도난방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369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시그마에스앤에스 씨씨티브카메라 비상전원 공급 장치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원공급 상태 통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369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시그마에스앤에스 씨씨티브카메라 비상전원 공급 장치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원공급 상태 통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322B1 (ko) 2016-05-04 2016-11-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Cctv 셋톱박스 도난방지 방법 및 장치
WO2017191882A1 (ko) * 2016-05-04 2017-11-09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Cctv 셋톱박스 도난방지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2990B2 (en) Battery and power management for industrial inspection handset
US99302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surveillance video cameras and protection cases for such video cameras
JP2008043001A (ja) 配電システム
US9760332B2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CN103683030A (zh) 警示操作的高压电力开关箱
JP2013048556A (ja) 配電システム
KR101054714B1 (ko) 정전보상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CN102058397B (zh) 一种医用监护仪扩展装置与方法
CN201919108U (zh) 一种监控系统
JP2010213047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CN217216733U (zh) 摄像头切换电路及摄像头系统
KR101260422B1 (ko) 통합 관제 시스템의 원격 점검용 인터페이스 장치
WO2019142321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電源管理方法
KR102200673B1 (ko) 감시 카메라의 히터 구동 장치
JP2009159095A (ja) インターホン親機
JP2012129908A (ja) 監視システム
JP2007174147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100761045B1 (ko) 지하철 승강장용 광고 및 비상 유도 장치
JP2012240534A (ja) 車載カメラシステム、電気自動車、および車載カメラによる監視制御方法
CN106228117A (zh) 人脸识别单摄像头采集成像系统
US4468715A (en) On/off and shutdown circuit for CRT projection system
JP3100700U (ja) 監視モニタ内蔵コントローラ
KR102170690B1 (ko) 감시카메라 장치
KR100866077B1 (ko) 영상신호 자기진단 기능을 갖는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KR101800934B1 (ko) 광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