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646B1 - 콘크리트 보도블럭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보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646B1
KR101054646B1 KR1020080119851A KR20080119851A KR101054646B1 KR 101054646 B1 KR101054646 B1 KR 101054646B1 KR 1020080119851 A KR1020080119851 A KR 1020080119851A KR 20080119851 A KR20080119851 A KR 20080119851A KR 101054646 B1 KR101054646 B1 KR 101054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block
tow
hole
nut
tr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678A (ko
Inventor
정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Priority to KR102008011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6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6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보도블럭의 견인시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배수를 용이하게 하며 인접한 보도블럭 상호간 결합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콘크리트 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 콘크리트 보도블럭은 납작한 몸체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견인공(11)이 형성되며, 견인공(11)의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견인너트(20)가 고정되어서, 견인너트(20)에 견인훅크(40)를 나사결합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보도블럭은 중량의 콘크리트 보도블럭에 견인공을 형성하고, 그 견인공 내측에 견인너트를 결합시킴으로써, 견인훅크를 견인너트에 결합하여 콘크리트 보도블럭을 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간편하게 견인 이동시킬 수 있다.
보도블럭, 견인공, 견인너트, 견인훅크

Description

콘크리트 보도블럭{a concrete block}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도블럭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보도블럭의 견인시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배수를 용이하게 하며 인접한 보도블럭 상호간 결합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콘크리트 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은 도시미관과 보행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인도나 보도 및 주택단지, 광장, 공원, 주차장 등의 보도에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서로 맞대어 포장되게 된다.
이러한 보도블럭으로는 다양한 형태(정육면체, 직육면체 등)와 용도(점자블럭, 유도블럭, 보도블럭)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 보도블럭은 대부분 석재와 시멘트를 포함한 콘크리트재로 성형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자체 중량이 커서 보관 및 이동이 불편하고 보도상에 설치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광장이나 주차장과 같은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보도블럭의 경우 넓은 크기의 보도블럭이 사용되어지는 바, 이 경우 큰 중량으로 인하여 이동이나 설치가 불편하다.
더욱이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사용하더라도 설치시 보도블럭의 가장자리가 파손되어 설치 불량 및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중량의 콘크리트 보도블럭을 파손의 위험을 경감시키면서 간편하게 견인하여 보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보도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인접하는 보도블럭 상호간의 초기 배열위치가 흐트러짐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보도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배수가 원할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콘크리트 보도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네째, 강도가 보강된 콘크리트 보도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바닥에 상호 인접하여 배열시켜서 바닥을 포장시키는 콘크리트 보도블럭에 있어서,
납작한 몸체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견인공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공의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견인너트가 고정되어서,
상기 견인너트에 견인훅크를 나사결합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보도블럭은 상기 견인너트가 중간부분에 매립고정되고,
상기 견인공은 상면으로부터 상기 견인너트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제1구멍 형성되고, 상기 견인너트로부터 하면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제2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도블럭의 측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서, 인접하는 보도블럭 상호간 대응되는 상기 결합공에 연결봉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보도블럭의 상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중량의 콘크리트 보도블럭에 견인공을 형성하고, 그 견인공 내측에 견인너트를 결합시킴으로써, 견인훅크를 견인너트에 결합하여 콘크리트 보도블럭을 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간편하게 견인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견인공의 표면부를 넓게 하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도블럭을 견인하여 이동시 또는 설치후 이용시 견인공 가장자리에서의 부스러짐을 경감하여 보도블럭을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보도블럭의 측면에 결합공을 형성시킴으로써, 보도블럭들을 바닥에 배열시킨 후 인접한 보도블럭의 결합공들에 연결봉을 연결시킴으로써 보도블럭들의 콘크리트 보도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보도블럭에 견인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중량의 보도블럭을 간편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바닥의 배수를 원할하게 한다.
네째, 보강용 금속망을 매립시킴으로써, 보도블럭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콘크리트 보도블럭을 나타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도블럭(10)은 보도, 주택단지, 광장, 공원 및 주차장 등의 바닥에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서로 맞대어 포장되게 된다.
실시예의 보도블럭(10)은 시멘트, 모래, 물 및 자갈을 혼합하여 양생한 것으로써, 통상의 보도블럭보다 납작하고 넓게 제작된다.
따라서 광장이나 주차장에서와 같이 넓은 바닥을 포장하는 데 적합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 보도블럭(10)은 납작한 몸체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견인공(11)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공(11)의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견인너트(20)가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견인너트(2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매립봉(21)을 용접고정하여서, 보도블럭(10)에 매립봉(21)들이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견인훅크(40)의 나사결합시 견인너트(20)의 헛돌음을 방지하고 보도블럭(1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보도블럭(10)은 직사각형, 마름모 및 사다리꼴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질 수 있으며, 견인공(11)들은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견인너트(20)는 보도블럭(10)의 중간부분에 매립고정되며, 견인공(11)은 상면으로부터 상기 견인너트(20)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제1구멍(11a)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너트(20)로부터 하면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제2 구멍(11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견인공(11)들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견인훅크(40)들이 나사결합되게 되는데, 소형 크레인의 크레인훅크(60)와 각 견인훅크(40)들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수평으로 안전하게 견인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각 견인공(11)들의 제1구멍(11a)과 제2구멍(11b)을 원추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견인훅크(40)를 견인너트(20)에의 나사결합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또한 제1구멍(11a) 가장자리에서의 부스러짐이나 파손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구멍(11a)의 입구를 넓게 형성시킴으로써 바닥 배수를 보다 원할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보도블럭(10)의 중심부분에는 보강용 금속망(30)을 매립하여서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였고, 도 4에서와 같이 보도블럭(10)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13)을 형성하였다.
또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도블럭(10)의 양측면에는 결합공(12)을 형성하여서, 인접하는 보도블럭(10) 상호간 대응되는 결합공(12)에 연결봉(5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각 보도블럭(10)들이 맞대어 배열 설치된 후에도 설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실시예의 콘크리트 보도블럭(10)들은, 각 견인공(11)내의 견인너트(20)에 각각 견인훅크(40)를 나사결합시킨 후, 크레인 훅크(60)와 각 견인훅크(40)를 와이어로 연결시켜서 소망하는 위치에 보도블럭(10)을 견인하여 배열설치한다.
인접하는 보도블럭(10) 상호간에는 각 결합공(12)을 통하여 연결봉(50)을 결합하여서 상호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보도블럭은 견인공(11)을 형성하고, 그 견인공 내측에 견인너트(20)를 결합시킴으로써, 견인훅크(40)를 견인너트에 결합하여 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간편하게 견인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견인공(11)의 표면부를 넓게 하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도블럭을 견인하여 이동시 또는 설치후 이용시 견인공(11) 가장자리에서의 부스러짐을 경감하여 보도블럭을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보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보도블럭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도 1의 견인공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견인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Claims (4)

  1. 바닥에 상호 인접하여 배열시켜서 바닥을 포장시키는 콘크리트 보도블럭에 있어서,
    납작한 몸체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견인공(11)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공(11)의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견인너트(20)가 고정되어서, 상기 견인너트(20)에 견인훅크(40)를 나사결합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견인너트(20)는 보도블럭(10)의 중간부분에 매립고정되고,
    상기 견인공(11)은 상면으로부터 상기 견인너트(20)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제1구멍(11a)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너트(20)로부터 하면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제2구멍(1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도블럭.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블럭(10)의 측면에는 결합공(12)이 형성되어서, 인접하는 보도블럭 상호간 대응되는 상기 결합공(12)에 연결봉(5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도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블럭(10)의 상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13)이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콘크리트 보도블럭.
KR1020080119851A 2008-11-28 2008-11-28 콘크리트 보도블럭 Active KR101054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851A KR101054646B1 (ko) 2008-11-28 2008-11-28 콘크리트 보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851A KR101054646B1 (ko) 2008-11-28 2008-11-28 콘크리트 보도블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838A Division KR100894568B1 (ko) 2008-09-24 2008-09-24 콘크리트 보도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678A KR20100034678A (ko) 2010-04-01
KR101054646B1 true KR101054646B1 (ko) 2011-08-04

Family

ID=4221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851A Active KR101054646B1 (ko) 2008-11-28 2008-11-28 콘크리트 보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6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46Y1 (ko) * 2003-06-02 2003-08-21 주식회사 죽산 목재 보도블럭
KR20080072318A (ko) * 2007-02-02 2008-08-06 풍전종합건설(주) 콘크리트 블럭 및 콘크리트 포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46Y1 (ko) * 2003-06-02 2003-08-21 주식회사 죽산 목재 보도블럭
KR20080072318A (ko) * 2007-02-02 2008-08-06 풍전종합건설(주) 콘크리트 블럭 및 콘크리트 포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678A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5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idewalk tiles
US20090180833A1 (en) Pavedrain
US9255404B2 (en) Methods for producing precast pervious concrete panels
CN206553868U (zh) 一种透水路缘石
CN100460597C (zh) 铺筑式可衔接预制道面砖组合结构
KR100894568B1 (ko) 콘크리트 보도블럭
KR101054646B1 (ko) 콘크리트 보도블럭
CN201546313U (zh) 一种带排水沟的景观卵石散水
CN111691264B (zh) 一种景观感应砖的安装结构及安装方法
CN208472503U (zh) 一种中央下凹式生态停车场
CN216237943U (zh) 小交通农村公路水泥混凝土路面装配式结构
CN209413171U (zh) 一种轻质吸音预制部品楼梯
CN206396584U (zh) 坡度自由型路肩防护块
CN214143788U (zh) 位于基坑边坡上的塔吊基础
KR100910550B1 (ko) 다용도 슬릿구
CN108570904B (zh) 一种人行道结构及其施工方法
CN209722627U (zh) 一种市政道路的排水路基结构
CN209040482U (zh) 楼板地面铺装结构
CN202509358U (zh) 一种可更换的柏油马路方块
CN209836719U (zh) 一种可循环利用的混凝土面板
CA2750775C (en) Pipeline crossing bridge
RU2691041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борного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JP3174576U (ja) 輪止めブロックの固定構造と輪止めブロック
CN206457692U (zh) 一种道路侧石安装结构
CN207227889U (zh) 一种控制浆砌片石边沟线型的可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1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