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480B1 -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480B1
KR101054480B1 KR1020090039173A KR20090039173A KR101054480B1 KR 101054480 B1 KR101054480 B1 KR 101054480B1 KR 1020090039173 A KR1020090039173 A KR 1020090039173A KR 20090039173 A KR20090039173 A KR 20090039173A KR 101054480 B1 KR101054480 B1 KR 10105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electronic payment
server
accou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389A (ko
Inventor
정욱진
Original Assignee
정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욱진 filed Critical 정욱진
Priority to KR102009003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48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06Q20/085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involving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쇼핑몰 상품 판매를 위한 전자지불 수단으로써, 개발형 상품을 요청한 구매자단말기로부터 당해 상품대금을 대리결제서버가 전자지불받는 과정 그리고 구매자단말기와 판매자단말기가 매매체결시점에서 약속한 당해 상품대금의 계좌이체일정 데이터를 대리결제서버가 수신하는 과정이 포함된 제1전자지불 과정 이후 대리결제서버가 당해 상품대금의 계좌이체일정에 맞추어 상품대금을 당해 판매자계좌로 이체하는 제2전자지불 과정으로 실시한다.
상기 본 발명의 효과에 의하면,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전자지불 시기에 대하여 서로 충돌하는 문제점이 경감되거나, 대리결제서버가 당해 상품대금을 거래 당사자에게 현금 대출하는 효과가 있고, 복합전자지불 수단의 효과 및 직접 거래 당사자에게 상품대금을 지불하지 않고 중개 금융기관을 통하여 상품대금을 간접 경로로 지불하는 효과들이 있다.
지연전자지불, 우회전자지불, 분할전자지불, 상품대금 전자지불 대출, 간접전자지불, 상품대금예치, 가상계좌

Description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the roundabout e-payment of the e-commercial product-funds}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을 전자지불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을 전자지불하는 수단에 있어서 거래 당사자 사이의 송금과 수금 절차를 분리하여 우회 전자지불할 수 있고 또한 상품대금을 전자지불 예탁할 수도 있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에서 필수 기술중 하나가 안정적이고 신뢰성있는 전자지불 수단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전자지불 수단들이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을 지불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자지불 수단에는 온라인으로 신용카드를 결제하거나 휴대폰으로 소액 결제하거나 이메일을 이용한 수단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오프라인 상거래보다 상호신뢰가 부족한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전자상거래의 상호신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중 하나가 매매시점(또는 전자지불 시점) 즉시 또는 거의 동일 시각에 상품대금 지불를 완료하는 기술 때문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전자지불 수단이 당사자간 방식으로써,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대금을 지불하는 기술과 판매자가 구매자로부터 대금을 지불받는 기술이 함께 결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완료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양한 전자지불 수단은 전자지불 이후 과금을 당사자에게 청구하는 시기에 따라 선불 또는 후불 방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특히 직불카드로 전자지불을 실시한다면 현금이 선불로 지불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양한 전자지불 수단들은 현금이 전달되는 시기의 차이 이외에 현금의 이동경로가 다른 특징이 있다.
그러나 개발형 상품들은 통상의 완성형 상품과 달리 주문제작 상품이거나, 디자인 등의 창작상품, 프리랜스(free-lancer) 용역상품 그리고 의료 서비스 상품 등 현재시점에서 완성된 상품이 아니라 미래시점에서 인간의 추가적 노력에 의해 완성될 예정인 상품 및 서비스들의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개발형 상품대금을 종래 수단으로 전자지불하려는 경우 거래 당사자(구매자와 판매자)간에 다양한 의견들이 충돌할 수 있으며, 특히 상품대금의 전자지불 시기에 대하여 대립할 수 있다. 즉 구매자는 상품개발 완료 이후 납품시점에서 상품대금을 지급하는 것을 선호하고, 판매자는 상품 매매시점에서 상품대금을 지급받는 것을 선호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오프라인에서는 매매계약서를 먼저 작 성하고, 개발형 상품 대금을 계약금과 중도금 또는 잔금으로 나누어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전자지불 수단을 이용하여 한 건의 개발형 상품 거래를 오프라인과 같은 방식으로 전자지불하려면 최소한 2번 이상의 상호 독립된 전자지불을 실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거나, 당해 건이 지속될 것에 대한 거래 당사자간의 상호불신이 상존하는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한 건의 개발형 상품 구매에 대하여 2번 이상의 전자지불을 독립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판매자는 개발완료 상품에 대한 구매자의 지불능력 또는 지불이행 의지를 확인하기 곤란하거나, 구매자는 판매자의 개발상품 중간점검 또는 개발완료된 상품의 품질 또는 성능에 대한 상품 만족도를 전자지불 수단과 연계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지불 수단으로 개발형 상품대금을 지불하는 것이 거래 당사자간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문제점 때문에, 전자상거래 시장 활성화가 지연되는 점이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와 판매자간에 개발형 상품에 대한 거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개발형 상품 거래기간 동안 구매자가 직접 거래를 관리할 수 있는 전자지불 수단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상거래에서 개발형 상품의 전자지불 수단으로써, 개발형 상품을 요청한 구매자단말기로부터 당해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단말기(또는 서버시스템)를 대리하여 당해 상품대금을 대리결제서버가 전자지불받는 과정 그리고 동시에 구매자단말기와 판매자단말기가 매매체결시점(또는 전자지불시점)에서 약속한 당해 상품대금의 계좌이체 지불일정 데이터를 대리결제서버가 수신하는 과정이 포함된 제1전자지불 과정, 이후 대리결제서버가 당해 상품대금의 계좌이체 지불일정에 맞추어 당해 판매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제2전자지불 과정으로 분리 실시하는 지연 전자지불 수단으로써, 당해 개발형 상품대금을 제1전자지불 과정과 제2전자지불 과정으로 분리 실시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할 전자지불에 대한 것으로써, 구매자단말기가 당해 상품대금을 일시불로 대리결제서버에 전자지불하면, 당해 상품대금의 약속된 분할 지불일정에 따라 대리결제서버가 당해 판매자의 은행계좌로 상품대금을 분할 계좌이체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상품에 대한 전자지불 예탁 수단에 대한 것으로써, 구매자단말기가 요청 게시한 상품에 대하여 판매자를 무명인으로 대리 선정하고 전자지불을 먼저 실시한 다음, 이후 거래를 요청하는 다수의 판매자단말기들 중에서 하나를 선정하고, 거래를 성립시킴과 동시에 거래에서 약속한 계좌이체 지불일정에 따라 대리결제서버가 선행 전자지불한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 계좌로 이체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지불 수단이 개발형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와 연계됨으로써, 구매자단말기가 대리결제서버로 전자지불한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에서 대리결제서버와 전자상거래 서버의 건별 작업을 연계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계좌이체 이전에 대리결제서버가 구매자의 인증을 요구하고 구매자단말기와 대리결제서버 사이에서 인증이 성공하면 당해 상품대금을 대리결제서버가 계좌이체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은, (a) 대리결제서버의 전자지불수신부가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구매자의 건별 전자지불 성공데이터와 당해 건별 판매자단말기에게 상품대금을 계좌이체하기 위한 지불일정 데이터와 은행계좌 정보를 포함하여 수신하는 단계, (b) 가상계좌부가 당해 건의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과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건별 가상계좌를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고 전자지불수신부가 당해 건별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단계, (c) 계좌이체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건별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계좌이체 지불일정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마다, 대리결제서버 소유의 은행계좌에서 판매자단말기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대리결제서버가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당해 건의 판매자단말기로 우회전자지불이 성립되었음을 통지부가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에 종속 연결된 종속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가 모든 거래 건에 대하여 출금관련 대차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인증부가 구매자단말기에게 당해 건의 계좌이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부의 인증결과가 성공인 경우에만 계좌이체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는 인증부가 구매자 휴대폰단말기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구매자 컴퓨터단말기의 웹페이지로부터 당해 건의 비밀번호를 대리결제서버의 인증부로 전송받은 후 인증부가 인증결과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인증부가 전자상거래 서버를 통하여 구매자단말기에게 건별 계좌이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계좌이체부가 구매자단말기로부터 우회전자지불된 상품대금을 당해 건의 판매자단말기 은행계좌로 당일이내에 이체할 수 있는 당일이체 선택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계좌이체부가 데이터베이스들의 건별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분할 계좌이체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대리결제서버의 대표은행계좌에서 판매자단말기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분할대금을 계좌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인증부가 전자상거래 서버를 통하여 구매자단말기에게 무명인 판매자단말기 식별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인증부가 건별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 계좌로 이체하기 이전에 전자상거래 서버와 건별 작업연계를 위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전자지불수신부가 전자지불대행서버로부터 종래전자지불 성공 건에 대한 현금입금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건에 대한 대출이자를 계산하 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가상계좌부가 판매자단말기의 인증수단만으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가상계좌를 데이터베이스의 당해 건별 데이터와 연계하여 생성하고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은, 구매자의 건별 전자지불 성공데이터와 판매자단말기에게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계좌이체하기 위한 지불일정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전자지불수신부;와 당해 건의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과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건별 가상계좌를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는 가상계좌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건별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계좌이체 지불일정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대리결제서버 소유의 은행 대표계좌에서 판매자 단말기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이체하는 계좌이체부;와 당해 건별 거래정보가 기록되는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와 당해 건별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이 기록된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 컴퓨터들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통신(I/O)부로 구성된 대리결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리결제서버는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건별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당해 거래의 판매자단말기로 우회전자지불이 성립되었음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리결제서버는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에 종속 연결된 종속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가 모든 거래 건에 대하여 출금관련 대차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리결제서버는 구매자단말기에게 당해 건의 계좌이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만 계좌이체 조건이 성립되는 수단을 제공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대리결제서버가 구매자의 휴대폰으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구매자의 컴퓨터 웹페이지로부터 당해 건의 비밀번호를 인증부로 전송받고 인증결과를 판단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전자상거래 서버를 통하여 구매자단말기에게 건별 계좌이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좌이체부는 구매자단말기로부터 우회전자지불된 상품대금을 당해 건의 판매자단말기 은행계좌로 당일이내에 이체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좌이체부는 데이터베이스의 건별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분할 계좌이체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대리결제서버의 대표은행계좌에서 판매자단말기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분할 상품대금을 이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전자상거래 서버에게 무명인 판매자단말기 식별코드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건별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 계좌로 이체하기 이전에 전자상거래 서버와 건별 작업연계를 위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지불수신부는 전자지불대행서버로부터 종래전자지불 성공 건에 대한 현금입금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건에 대한 대출이자를 계산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계좌부는 판매자단말기의 인증수단만으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가상계좌를 데이터베이스의 당해 건별 데이터와 연계하여 생성하고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은, 구매자단말기와 판매자단말기가 매매체결한 개발형 상품의 대금 지불수단에 있어서, 구매자단말기가 우회전자지불하면 구매자 과정은 즉시 실시되지만 판매자가 상품대금을 받는 과정은 매매시점 이후 약속된 시기에 대리결제서버가 계좌이체하는 수단에 의해 실시되므로, 판매자 입장에서는 전자지불 지연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전자지불 시기에 대하여 서로 충돌하는 문제점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매자단말기가 우회전자지불하는 수단이 후불제이고 당해 건의 전자지불대금이 전자지불대행서버에서 대리결제서버로 입금되지 않은 시간 동안에, 대리결제서버가 판매자단말기 계좌로 당해 상품대금을 이체해야 하는 경우, 대리결제서버가 당해 상품대금의 현금흐름을 연결해 주는 효과가 있다. 즉 대리결제서버가 당해 상품대금을 거래 당사자에게 현금대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판매자 입장에서는 상품대금 현금입금일을 당해 거래의 지불일정과 일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매자는 사용이 편리한 우회전자지불 수단으로 상품대금을 지불하고 판매자는 계좌이체에 의한 현금으로 상품대금을 받는 복합전자지불 수단의 효과가 있다.
또한,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종래전자지불하는 수단에서는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직접 전자지불하는 효과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가 대리결제서버로 우회하여 종래전자지불하고, 이후 상품대금을 판매자에게 매매시점에서 약속한 지불일정에 따라 대리결제서버가 판매자에게 계좌이체하는 수단에 의해 간접 전자지불하는 효과가 있다. 즉 직접 거래 당사자에게 상품대금을 지불하지 않고 중개 금융기관을 통하여 상품대금을 간접 경로로 지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할 우회전자지불 수단에 의하면, 개발형 상품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구매자와 판매자가 계약금과 중도금과 잔금 등으로 상품대금을 분할 지급하는 우회전자지불 수단이 대리결제서버에 의해 대행됨으로써, 구매자의 분할 전자지불 절차가 간소화되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고, 종래전자지불 수수료로써 여러 번 지불하는 방법보다 절약할 수 있으며, 우회전자지불된 상품대금의 단계별 인증 수단에 의해 상호 신뢰도를 종래 전자지불 수단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또한, 본 발명의 우회전자지불 예탁 수단에 의하면, 개발형 상품을 구매자가 전자상거래 웹페이지에 게시하고 매매체결 이전에 먼저 우회전자지불하는 수단에 의해 다수의 판매자(또는 개발자)들은 전자상거래 쇼핑몰에 게시된 개발형 상품들의 상품대금 지불 불확실성을 줄이고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에만 집중하여 매매체결을 시도함으로써 당해 개발형 상품의 전자상거래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개발형 상품을 제안한 구매자가 당해 상품에 대한 대금을 선지불(또는 예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회전자지불이 전자상거래 서버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수단에 의하면, 대리결제서버가 전자상거래 서버와 건별 작업데이터를 연계하거나, 또는 구매자단말기의 인증이 성립하는 경우에만 당해 상품대금을 계좌이체하는 수단에 의해, 당해 개발형 상품의 대금이 전자지불된 이후에도 전자지불 절차를 실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에 적용되는 세부기술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종래의 전자지불 수단과 본 발명에서 실시하는 전자지불 수단을 구분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의 전자지불은 '종래전자지불'이라 하고 본 발명의 전자지불은 '우회전자지불'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된 '지불일정'이 나타내는 바는 '당해 건별로 우회전자지불 결제 수단에 의해 작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불금액마다 지정된 그리고 시간적으로 실시 예정된 지불시기' 라는 의미로 한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의 개략적인 네트웍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리결제서버(300)는 왑(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방식의 무선 인터넷(100)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구매자 휴대폰단말기(122) 또는 유선 인터넷(100)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구매자 컴퓨터단말기(121)로 구성된 구매자단말기(120)와, 온라인에서 상품거래를 중개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서버(130)와, 전자상거래 서버(130)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판매자단말기(140)와, 인터넷(100)으로 연결된 은행계좌 서버(170)와, 전자상거래 서버(130)의 매매 건별 전자지불을 중개하는 전자지불대행서버(PG:Payment Gateway Server)(15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지불대행서버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신용카드사 서버(151)와 한 개 이상의 이동통신사 서버(152)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대리결제서버(300)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memory) 장치를 구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처리할 수 있고, 외부 기억장치(Hard Disk)와 키보드 및 모니터 등의 입출력 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며, TCP/IP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리결제서버와 외부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 순서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회전자지불 수단은 도 2에서 표시한 전체 단계들(S210-S281)을 포함하며, 종래전자지불 수단은 우회전자지불 수단의 부분 기술로써 포함되어 있다. 특히 종래전자지불 기술이 포함된 단계(S210, S220, S230)들 중에서 단계(S220, S230)는 전자지불 데이터 송수신 측면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실시되는 측면이 있다. 도 2를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상거래 서버(13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서 게시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구매자단말기(120)가 당해 상품의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를 전자상거래 서버(130)로 전송하는 우회전자지불 단계(S210)를 실시한다. 이때 전자상거래 서버(130)는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전자지불용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치하여 구매자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종래전자지불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과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판매자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는 지불일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함께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우회전자지불을 위한 단계(S210)는 구매자가 상품거래 당사자인 판매자에게 전자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대리결제서버(300)를 당사자(또는 대리판매자)로 하여 전자지불하도록 소프트웨어 모듈 프로그램 처리하는 수단과, 이후 당해 건의 판매자가 매매 당시에 약속한 지불일정에 따라 대리결제서버(300)가 당해 상품대금을 계좌이체하도록 프로그램 처리하는 수단이 상호 연결된 특징이 있다.
다음 단계는 전자상거래 서버(130)가 전자지불대행서버(150)의 전자지불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종래전자지불 데이터 전송 단계(S220)를 실시하고, 전자지불대행서버(150)는 전자지불을 요청한 건에 대하여 성공/실패 결과 데이터를 전자상거래 서버(130)에게 전송하는 단계(S230)를 실시하며 당해 건의 송금자는 구매자가 되고 수금자는 대리결제서버(300)가 되는 점이 특징이다. 이때 전자지불 건별 필수 데이터에는 거래 식별정보와 전자지불금액과 구매자 식별정보와 전자지불일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이용한 종래전자지불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들(S210-S230)에서 비밀번호 인증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단계가 추가될 수 있지만, 종래전자지불 결제단계에서의 종래기술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전자상거래 서버(130)가 전자지불대행서버(150)로부터 당해 건에 대한 종래전자지불 성공데이터를 수신하면, 전자상거래 서버(130)가 구매자단말기(120)로 전자지불성공을 알리는 문장을 통지하는 단계(S240)와 대리결제서버(300)에게 당해 건에 대한 성공데이터를 통지하고, 또한 전자상거래 서버(130)가 거래 건별 식별정보와 구매자단말기와 판매자단말기의 식별정보 그리고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판매자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는 지불일정 데이터도 함께 통지하는 단계(S241)를 실시한다. 그리고 단계(S241)에서의 전자지불 성공데이터에 근거하여 구매자가 결제한 상품대금을 신용카드사 또는 통신사 등으로부터 대리결제서버(300)가 수금할 수 있다.
대리결제서버(300)는 전자지불성공이 통지된 거래 건과 연계된 판매자단말기에게 우회전자지불 성공이 포함된 문장을 통지부(310)가 통지하는 단계(S242)를 실시하고, 동시에 가상계좌부(320)가 당해 건의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과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건별 가상계좌를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70)에 생성하고 전자지불수신부(330)가 당해 가상계좌에 건별 상품대금 데이터 그리고 지불일정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단계(S250)를 실시한다. 동시에 단계(S250)는 상기 가상계좌부(320)가 당해 건과 연결되는 데이터공간을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360)에서도 생성하고 전자지불수신부(330)가 상거래관련 건별 식별정보들을 기록한다.
대리결제서버(300)의 계좌이체부(340)는 상기 단계(S250)에서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360)와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70)에 기록한 건별 지불일정 데이터를 참조하고, 참조된 여러 건의 데이터들 중에서 계좌이체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된 건에 대하여 당해 건과 연결된 판매자단말기(140)에게 은행계좌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61)와 판매자단말기(140)로부터 은행계좌 정보를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S271)를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대리결제서버(300)가 단계(S210)와 단계(S241)를 통하여 판매자의 은행계좌 정보도 함께 수신했다면 상기 단계(S261)와 단계(S271)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거래 당사자간의 약속에 의해 대리결제서버(300)가 당해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140)에게 계좌이체하기 이전에 구매자단말기(120)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한다면, 대리결제서버(300)의 인증부(350)가 전자지불과 함께 등록된 구매자 휴대폰단말기(122) 식별번호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S260)와 전자상거래 서버(130) 또는 대리결제서버(300)가 구매자 컴퓨터단말기(121)에게 제공하는 웹페이지로부터 대리결제서버(300)의 인증부(350)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밀번호가 당해 건의 송신 비밀번호 데이터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S270)를 실시할 수 있다.
대리결제서버(300)는 지불일정 데이터에 근거한 경과기간이 소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의 계좌이체 조건을 판단하고, 상기 조건이 충족된 당해 건에 대하여 대리결제서버(300)와 연결된 은행계좌 서버(170)의 대리결제서버(300) 대표계좌에서 판매자단말기(140)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이체하는 단계(S281)를 실시하며, 동시에 당해 건의 상품대금이 판매자단말기(140) 은행계좌로 이체 완료되었음을 구매자단말기(120)로 통지하는 단계(S280)를 실시한다.
이상의 실시 단계들(S210-S281)에 따르면, 우회전자지불의 주요 특징은 대리결제서버(300)가 구매자단말기(120)로부터 종래전자지불 수단으로 후불제 현금을 입금받는 반면, 대리결제서버가 판매자단말기(140)에게 계좌이체 수단으로 선불제 현금을 출금함으로써 당연히 당해 건에 대하여 금융이자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건별로 각각 다른 금융손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리결제서버가 전자지불대행서버(150)로부터 당해 전자지불 건에 대한 현금 입금시기 정보를 수신하고, 대리결제서버(300)가 판매자단말기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지불일정부터 상기 현금 입금시기까지에 대한 금융 대출이자를 계산하여 거래 당사자에게 청구하는 전자지불 수단을 추가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리결제서버의 기능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리결제서버(300)는 외부의 이메일(e-mail)서버 또는 휴대폰 단문전송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서버와 연결되어 거래 당사자 단말기에게 통지문을 전송할 수 있는 통지부(310)와, 가상계좌부(320)와, 전자지불수신부(330)와, 계좌이체부(340)와, 인증부(350)와,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360)와,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70)와, 종속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80)와, 인터넷(100)을 통하여 외부 컴퓨터들과 TCP/IP방식의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I/O)부(390)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대리결제서버(300)의 주요 구성부분들에 대한 기술적 기능은 다음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지불수신부(330)가 통신(I/O)부(390)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전자지불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가상계좌부(320)는 전자지불수신부(330)의 요청에 따라 거래 건별로 가상계좌를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70)에서 생성하고, 동시에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360)에서도 당해 건의 거래 정보들을 기록할 데이터영역을 생성한다. 또한, 전자지불수신부(330)의 요청에 의하여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7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종속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80)를 추가 배정하고 거래 건별 가상계좌 데이터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계좌부(320)는 판매자단말기(140)의 요청에 의해 판매자단말기(140)의 인증수단만으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수단을 지원할 목적으로 대리결제서버(300) 내에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가상계좌를 생성하고 기술지원할 수 있다. 특히 판매자단말기(140)만 사용할 수 있는 가상계좌 제공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에서 필수정보인 은행계좌정보를 판매자단말기(140)가 당장 제공하지 않더라도 당해 전자지불을 종료할 수 있는 대체 기술수단을 제공한다. 즉 구매자단말기 인증을 실시하는 것과 동일하게 판매자단말기의 식별정보로서 판매자의 휴대폰단말기를 전자지불단계에서 별도 등록하고 인증수단으로 사용하여 판매자만 당해 가상계좌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지불수신부(330)는 가상계좌부(320)가 데이터베이스(360,370,380)내부에 생성한 건별 데이터영역에 당해 상품거래 건의 전자지불성공 데이터와 건별 식별정보와 구매자단말기(120) 판매자단말기(140)의 식별정보 그리고 건별 상품대금을 판매자의 은행계좌에게 이체할 수 있는 지불일정 데이터를 모두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고 기록하고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지불수신부(330)는 전자지불대행서버(150) 또는 전자지불대행서버(150)와 연결된 금융기관(151,152)으로부터 전자지불 건에 대한 현금입금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건에 대한 대출이자를 계산하는 수단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종래전자지불 성공데이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불대행서버 식별정보와 전자지불금액과 구매자 식별정보 그리고 건별 거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좌이체조건 데이터는 분할송금일정 데이터와 분할송금금액 데이터로 구성되고 표시될 수 있다.
계좌이체부(340)는 전자지불수신부(330)가 데이터베이스(360,370,380)내에 기록한 데이터들을 주기적으로 참조하여 건별 계좌이체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당해 건별 계좌이체조건 데이터의 구성요소는 이체를 위한 지불일정 데이터와 이체를 위한 은행계좌 데이터가 필수조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계좌이체부(340)는 이체가 승인된 건에 대하여 통신망으로 연결된 은행계좌 서버(170)가 제공하는 대리결제서버(300) 소유의 대표계좌에서 판매자 단말기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이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지불수신부(330)가 구매자단말기(120)로부터 당일 또는 익일 계좌이체조건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수단에 의해, 계좌이체부(340)는 당해 건에 대하여 상품대금을 당일 또는 익일 계좌이체할 수 있다. 또한 대리결제서버가 제공하는 무명인의 판매자단말기 식별코드를 사용하여 구매자단말기가 종래전자지불을 실시하는 경우, 전자지불수신부(330)는 종래전자지불된 상품대금과 관련된 건을 데이터베이스들(360,370)에 기록한 후, 다음 단계로 무명인의 판매자를 대체할 실제 판매자단말기와 은행계좌 정보 데이터들이 수신될 때까지 계좌이체 단계를 대기할 수 있다.
인증부(350)는 은행계좌 서버(170)와 온라인 뱅킹을 실시할 수 있도록 암호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인증부(350)는 구매자단말기(120)로 인증을 위한 일회용 패스워드를 송신하고 이후 동일 건에 대하여 수신된 일회용 패스워드의 성공/실패를 판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 처리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의 종래전자지불 단계(S220)에서 구매자단말기(120)가 전자지불한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140)에 연결된 은행계좌로 이체하기 전에 구매자단말기(120)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당해 거래에서는 단계(S220)에서 구매자 휴대폰단말기(122) 식별번호를 등록하고, 인증부(350)가 당해 거래의 계좌이체를 승인할 수 있는 인증수단을 실시할 수 있다.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360)는 당해 건별 거래정보에 해당하는 구매자 식별정보와 판매자 식별정보와 거래 건별 식별정보와 전자지불대행서버 식별정보를 기록 저장할 수 있으며, 구매자 식별정보로써 구매자 휴대폰단말기(122)의 통화 식별번호를 기록할 수 있다.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70)는 당해 건별 전자지불 성공데이터와 계좌이체를 위한 지불일정 데이터 그리고 은행계좌 정보를 기록 저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당해 전자지불대행서버(150)의 전자지불 성공데이터에 근거하여 건별로 전자지불대행서버(150) 식별정보와 전자지불금액과 전자지불일시를 포함하고 당해 거래를 전자지불한 구매자 식별정보를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360)의 구매자 식별정보 또는 건별 식별정보와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전자지불 건에 대한 현금입금 예정일 데이터도 기록할 수 있다.
종속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80)는 상기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70)에 종속적으로 연결되어 출금 또는 분할출금의 데이터들을 별도로 기록할 수 있으며, 특히 분할출금과 관련된 대차 데이터들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당해 건별로 판매자단말기와 연결된 은행계좌에게 분할출금할 횟수와 분할금액 그리고 분할 계좌이체 지불일정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연 전자지불 실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상거래 서버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게시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별도로 연결된 전자지불용 웹페이지 화면에서 구매자단말기(120)가 전자지불 데이터들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을 전자상거래 서버(130)로 전송하기 위하여 당해 웹페이지의 전송 버튼을 누르는 우회전자지불 정보 전송단계(S510)을 실시한다.
전자지불대행서버는 구매자단말기(120)에서 입력된 데이터들 중에서 전자지불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지불데이터의 성공/실패를 판단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전자상거래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S520)를 실시한다.
전자지불대행서버(150)의 결과가 성공이면, 전자상거래 서버(130)는 당해 종래전자지불 건에 대하여 수집된 결과 데이터들을 모두 대리결제서버(300)로 전송하며(S530), 동시에 전자상거래 서버는 구매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계좌이체 지불일정 데이터도 함께 전송한다.
다음으로 대리결제서버(300)는 당해 건에 대하여 전자지불이 성공되었다는 사실을 판매자단말기(140)로 통지하는 단계(S540)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대리결제서버(300)의 가상계좌부(340)가 당해 거래 건의 데이터들을 기록할 목적으로 건별 데이터영역들을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360)와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70)에서 각각 생성하고, 전자지불수신부(330)가 당해 건의 입금과 출금관련 데이터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360, 370)에 기록하는 단계(S550)를 실시한다.
계좌이체부(340)는 전자지불수신부(330)가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들(360, 370)을 주기적으로 참조하면서, 전자지불된 상품대금의 계좌이체 지불일정 이전에 판매자단말기(140)에게 은행계좌 정보를 요청하고, 판매자단말기(140)로부터 당해 건에 대한 은행계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560)를 실시한다.
그리고 계좌이체부(340)가 주기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별 데이터를 참조하고, 계좌이체 지불일정이 당일인 조건을 충족하는 거래를 판단하는 단계(S570)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570)에서 계좌이체조건이 충족된 거래의 상품대금을 당해 판매자단말기(140)와 연결된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S580)를 실시하고, 당해 전자지불 건을 종료한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 전자지불 실시 순서도로서,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상품대금을 분할방법으로 우회전자지불할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대금을 본 발명에 의한 분할전자지불 수단으로 거래 당사자가 합의하고 실시하는 경우, 구매자단말기(120)가 당해 상품대금을 일시불로 종래전자지불 입력하는 데이터를 전자상거래 서버(130)로 전송하고, 동시에 당해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140)가 계좌이체 받을 수 있는 지불일정을 적어도 2회 이상으로 분할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분할 계좌이체 지불일정과 분할 상품대금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자상거래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S710)를 실시한다.
단계(S520), 단계(S530) 그리고 단계(S540)는 도 4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리결제서버(300)의 가상계좌부(320)가 당해 거래 건의 데이터들을 기록할 목적으로 건별 데이터영역들을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360)와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70)에서 각각 생성하고, 전자지불수신부(330)가 당해 건의 입금과 출금관련 데이터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360,370)에 기록하는 단계(S550)를 실시한다. 이때 전자지불수신부(330)는 분할횟수, 분할금액, 분할계좌이체일시를 포함하는 출금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종속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380)를 추가로 설정하고 사용할 수 있다.
단계(S560)에서 단계(S580)까지를 도 4의 설명과 동일하게 실시한 다음, 분할계좌이체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720)를 실시하고, 분할이체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단계(S570, S580, S720)를 반복 실시한다. 그리고 분할계좌이체가 종료되면 당해 건의 우회전자지불을 종료한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불 예탁 실시 순서도로서, 구매자가 전자상거래 서버(130)의 웹페이지에서 개발형 구매상품을 게시하고 우회전자지불을 먼저 실시하면, 당해 상품에 대하여 다수의 판매 예정자들이 경쟁 매매하는 전자상거래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구매자단말기(120)는 전자상거래 서버(130)가 제공하는 전자지불용 웹페이지에서 무명인 식별코드와 연결된 버튼을 선택 클릭하는 방법으로 판매자가 확정되지 않은 거래 건의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를 전자상거래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S810)를 실시한다.
다음 단계(S520)와 단계(S530)는 도 4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단계(S550)는 대리결제서버의 가상계좌부가 당해 건의 데이터들을 기록할 목적으로 건별 데이터영역들을 데이터베이스(360,370)에서 각각 생성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다음 단계(S820)에서는 전자지불수신부(330)가 전자상거래 서버(130)로부터 매매가 체결된 당해 건의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당해 건의 출금관련 데이터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360,370)에 기록하는 과정을 실시한다.
다음 단계로 실시되는 단계(S540), 단계(S560), 단계(S570) 그리고 단계(S580)를 도 4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서버와의 연계 실시 순서도로서, 우회전자지불한 거래 건에서 당해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로 계좌이체하기 이전에, 대리결제서버(300)와 전자상거래 서버(130)가 서로 건별 연계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와, 구매자단말기의 인증이 추가로 필요한 실시예를 함께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의 실시예를 도 5의 분할 우회전자지불 실시예와 합성하여 실시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매자단말기(120)는 전자상거래 서버(130)가 제공하는 전자지불용 웹페이지를 요청하고, 구매자단말기(120)가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을 입력 후 전자상거래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S910)를 실시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상품대금의 계좌이체 지불일정에 따라 대리결제서버(300)가 판매자단말기(140)와 연결된 은행계좌로 이체하기 이전에 구매자단말기(120)에게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만 당해 상품대금을 계좌이체할 수 있다는 점을 거래당사자(또는 구매자단말기)가 동의한다는 웹페이지 클릭버튼 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며, 구매자 휴대폰단말기(122) 식별번호 데이터도 함께 포함한다.
이하 단계(S520)부터 단계(S570)까지는 도 4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동 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단계(S570)에서 계좌이체조건이 충족된 당해 건에 대하여, 대리결제서버(300)의 인증부(350)가 당해 건과 연결된 전자상거래서버(130)로 계좌이체 금액과 지불일정과 판매자단말기(140) 식별정보와 구매자단말기(120) 식별정보와 당해 건별식별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자상거래서버(130)가 회신하는 당해 건의 처리 결과데이터는 성공/실패/대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과데이터 형태로 수신하는 단계(S920)를 실시한다. 단계(S920)에서 대리결제서버(300)가 실패 데이터를 수신하면 당해 건의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140)로 계좌이체하지 않고 당해 건을 종료할 수 있으며, 대기의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면 일정한 기간동안 성공/실패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기다릴 수 있다.
단계(S920)에서 성공데이터를 전자상거래서버(130)로부터 수신하면, 다음으로 계좌이체 이전에 구매자 휴대폰단말기(122)의 인증절차를 실시할 것인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단계(S930)를 실시한다. 이때 단계(S930)의 인증이 필요한 당해 건의 최초 전자적 표시는 단계(S910)에서 실시 요청되어야 하며,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대리결제서버(300)로 전송해야 한다. 단계(S930)의 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거래 건은 다음단계로써 당해 상품대금을 판매자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S580)를 실시하고 종료한다.
단계(S930)의 인증이 필요한 당해 건에 대하여, 대리결제서버(300)의 인증부(350)가 사전 등록된 구매자 휴대폰단말기(122)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S940)를 실시하고, 다음으로 구매자 컴퓨터단말기(121)가 당해 거래 건의 식별이 가능한 웹페이지 화면을 이용하여 대리결제서버(300)로 회신한 일회용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S950)를 실시한다.
그리고 대리결제서버(300)로 송수신된 일회용 비밀번호가 서로 동일한 데이터 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960)를 실시하고, 데이터 값이 동일하면 은행계좌 이체단계(S580)를 실시하고 종료한다. 만약 일회용 비밀번호의 송수신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단계(S940)와 단계(S950)를 반복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의 개략적인 네트웍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리결제서버와 외부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리결제서버의 기능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연 전자지불 실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 전자지불 실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불 예탁 실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서버와의 연계 실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무선 인터넷 120 : 구매자단말기
130 : 전자상거래 서버 140 : 판매자단말기
150 : 전자지불대행서버 170 : 은행계좌 서버
300 : 대리결제서버 320 : 가상계좌부
330 : 전자지불수신부 340 : 계좌이체부
370 :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 380 : 종속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

Claims (24)

  1. (a) 대리결제서버의 전자지불수신부가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구매자의 건별 전자지불 성공데이터와 당해 건별 판매자단말기에게 상품대금을 계좌이체하기 위한 지불일정 데이터와 은행계좌 정보를 포함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b) 가상계좌부가 당해 건의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과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건별 가상계좌를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고 전자지불수신부가 당해 건별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단계;와
    (c) 계좌이체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건별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계좌이체 지불일정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마다, 대리결제서버 소유의 은행계좌에서 판매자단말기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대리결제서버가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당해 건의 판매자단말기로 우회전자지불이 성립되었음을 통지부가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에 종속 연결된 종속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가 모든 거래 건에 대하여 출금관련 대차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인증부가 구매자단말기에게 당해 건의 계좌이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부의 인증결과가 성공인 경우에만 계좌이체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인증부가 구매자 휴대폰단말기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구매자 컴퓨터단말기의 웹페이지로부터 당해 건의 비밀번호를 대리결제서버의 인증부로 전송받은 후 인증부가 인증결과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인증부가 전자상거래 서버를 통하여 구매자단말기에게 건별 계좌이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계좌이체부가 구매자단말기로부터 우회전자지불된 상품대금을 당해 건의 판매자단말기 은행계좌로 당일이내에 이체할 수 있는 당일이체 선택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계좌이체부가 데이터베이스들의 건별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분할 계좌이체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대리결제서버의 대표은행계좌에서 판매자단말기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분할대금을 계좌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인증부가 전자상거래 서버를 통하여 구매자단말기에게 무명인 판매자단말기 식별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인증부가 건별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 계좌로 이체하기 이전에 전자상거래 서버와 건별 작업연계를 위한 승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승인결과에 따라 계좌이체 실시를 판단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전자지불수신부가 전자지불대행서버로부터 종래전자지불 성공 건에 대한 현금입금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건에 대한 대출이자를 계산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가상계좌부가 판매자단말기의 인증수단만으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가상계좌를 데이터베이스의 당해 건별 데이터와 연계하여 생성하고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13. 구매자의 건별 전자지불 성공데이터와 판매자단말기에게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계좌이체하기 위한 지불일정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전자지불수신부;와
    당해 건의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과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건별 가상계좌를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는 가상계좌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건별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계좌이체 지불일정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대리결제서버 소유의 은행 대표계좌에서 판매자 단말기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상품대금을 이체하는 계좌이체부;와
    당해 건별 거래정보가 기록되는 상거래데이터데이터베이스;와
    당해 건별 우회전자지불 데이터들이 기록된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 컴퓨터들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통신(I/O)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대리결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결제서버는,
    전자상거래 서버로부터 건별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당해 거래의 판매자단말기로 우회전자지불이 성립되었음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결제서버는,
    건별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에 종속 연결된 종속가상계좌데이터베이스가 모든 거래 건에 대하여 출금관련 대차 데이터들을 기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결제서버는,
    구매자단말기에게 당해 건의 계좌이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만 계좌이체 조건이 성립되는 수단을 제공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대리결제서버가 구매자의 휴대폰으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구매자의 컴퓨터 웹페이지로부터 당해 건의 비밀번호를 인증부로 전송받고 인증결과를 판단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전자상거래 서버를 통하여 구매자단말기에게 건별 계좌이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이체부는,
    구매자단말기로부터 우회전자지불된 상품대금을 당해 건의 판매자단말기 은행계좌로 당일이내에 이체할 수 있는 선택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이체부는,
    데이터베이스의 건별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분할 계좌이체 조건이 충족되었다 고 판단되면 대리결제서버의 대표은행계좌에서 판매자단말기의 은행계좌로 당해 건별 분할 상품대금을 이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전자상거래 서버에게 무명인 판매자단말기 식별코드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건별 상품대금을 판매자단말기 계좌로 이체하기 이전에 전자상거래 서버와 건별 작업연계를 위한 승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불수신부는,
    전자지불대행서버로부터 종래전자지불 성공 건에 대한 현금입금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건에 대한 대출이자를 계산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계좌부는,
    판매자단말기의 인증수단만으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가상계좌를 데이터베이스의 당해 건별 데이터와 연계하여 생성하고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시스템.
KR1020090039173A 2009-05-06 2009-05-06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10105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73A KR101054480B1 (ko) 2009-05-06 2009-05-06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73A KR101054480B1 (ko) 2009-05-06 2009-05-06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389A KR20100120389A (ko) 2010-11-16
KR101054480B1 true KR101054480B1 (ko) 2011-08-09

Family

ID=4340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173A KR101054480B1 (ko) 2009-05-06 2009-05-06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3453A4 (en) * 2012-03-05 2015-11-1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GRATED ELECTRONIC COMMERCE MARKET AND SETTING FUNCTION
US20140114852A1 (en) * 2012-10-18 2014-04-24 Raj S. Rajagopal Instant clearing and settlement for payment transac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731A (ko) * 2002-11-21 2002-12-16 하나로전자결제 주식회사 무선결제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KR20060060521A (ko) * 2004-11-30 2006-06-05 김경희 전자 지불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731A (ko) * 2002-11-21 2002-12-16 하나로전자결제 주식회사 무선결제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KR20060060521A (ko) * 2004-11-30 2006-06-05 김경희 전자 지불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389A (ko)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1072B2 (en) Techniques for conducting transactions utilizing cryptocurrency
US107963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online payments based on an established payment agreement
US8762210B2 (en) Alternative payment implementation for electronic retailers
US20140337183A1 (en) Online processing for offshore business transactions
KR20130135890A (ko) 지연 지불 및 선택적 펀딩 및 지불
US20190318354A1 (en) Secure electronic billing with real-time funds availability
US201301590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use of loyalty program points as form of payment
KR20160003642A (ko) 이동 장치 자금 조달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1306864A (ja) 代理購入方法とその代理購入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11023873B1 (en) Resources for peer-to-peer messaging
US20120173402A1 (en) Stored value exchange method and apparatus
US20190378182A1 (en) Secure electronic billing with real-time funds availability
CN105531728A (zh) 商户控制的销售点
US20130346175A1 (en) Promotion (e.g., coupon, gift card) redemption after purchase completion
US20080208725A1 (en) System and method facilitating private currency
US20220261772A1 (en) Tokenized data having split payment instructions for multiple accounts in a chain transaction
WO1999024921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onic payment systems
KR102180829B1 (ko) 셀러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54480B1 (ko) 전자상거래 상품대금의 우회 전자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100897498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통합형 금융 서비스 시스템
KR100444213B1 (ko) 사이버머니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74235A (ja) オンライン決済システム、サービスポイント決済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8124640A (ja) 貿易支援方法、仮想通貨管理方法、貿易支援システム、仮想通貨管理システム、貿易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仮想通貨管理プログラム
US10558995B2 (en) Value management system
KR20020039600A (ko) 서버가 제휴 사이트 및 오프라인 상점에서 전자 상거래를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123

Effective date: 201010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