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426B1 - 세탁기의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급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426B1
KR101054426B1 KR1020040056271A KR20040056271A KR101054426B1 KR 101054426 B1 KR101054426 B1 KR 101054426B1 KR 1020040056271 A KR1020040056271 A KR 1020040056271A KR 20040056271 A KR20040056271 A KR 20040056271A KR 101054426 B1 KR101054426 B1 KR 101054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fastening
valve
detergent contain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466A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42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장치는 세제통 하우징에 밸브 커넥터가 장착되고,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밸브 커넥터의 후방측과 상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므로, 급수 장치가 공용으로 사용되면서 탑 커버 또는 백 패널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고, 전장품 등의 배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세탁기, 급수 장치, 세제통, 세제통 하우징, 밸브 커넥터, 급수 밸브 어셈블리

Description

세탁기의 급수 장치{Water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수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장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 리가 밸브 커넥터의 후방에 장착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 리가 밸브 커넥터의 후방에 장착된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 리가 밸브 커넥터의 상측에 장착되었을 때의 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 리가 밸브 커넥터의 상측에 장착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세제통 58: 급수홀부
60: 세제통 하우징 64: 끼움 리브
66: 체결용 보스 70: 급수 밸브 어셈블리
71,72: 입구부 73: 출구부
74: 연통부 75: 밸브 몸체
76,77: 밸브 78: 체결부재
79: 판부 80: 후방측 연결부
82: 상측 연결부 84: 밸브 커넥터
86: 밸브 커넥터의 하부 87: 상측 체결용 보스
88: 후방측 체결용 보스 89: 체결부재
90: 판부 92: 마개
84: 밸브 커넥터 A: 세제통 하우징의 후방측 공간
B: 밸브 커넥터의 상측 공간 C: 밸브 커넥터의 후방측 공간
본 발명은 세탁기의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후방측과 상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의류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팬(1)과, 상기 베이스 팬 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2)와, 상기 아웃 케이스(2)의 내부에 매달리듯이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4)와, 상기 외조(4)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구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수공(6a)이 형성된 내조(6)와, 상기 아웃케이스(2)의 상측을 커버하고 포 출입홀(8)이 형성되고 상기 포 출입홀(8)를 개폐하기 위한 리드(10)가 열림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포 출입홀(8)의 후방에 수납부(12)가 형성된 탑 커버(14)와, 상기 수납부(12)에 장착되어 상기 내조(6) 내측으로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16)와, 상기 수납부(12)를 덮는 백 패널(18)과, 상기 외조(4) 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외조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 밸브(미도시)와, 상기 배수 밸브에 연결된 배수 호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조 부호 15는 상기 탑 커버(14)에 장착되어 상기 세탁기를 조작하는 컨트롤 패널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수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급수 장치(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2)에 장착되고 후방에 급수홀부(22)가 형성된 세제통 하우징(24)과, 상기 세제통 하우징(24)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세제통(26)과, 외부 호스(27)가 연결되어 외부 호스(27)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밸브(28)와, 상기 밸브(28)를 통과한 물을 상기 급수홀부(22)로 안내하도록 상기 세제통 하우징(24)과 밸브(28)에 각각 연결되는 밸브 커넥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세제통(26)에 세제를 넣고, 상기 내조(6)의 내부에 포를 투입한 후 상기 리드(10)를 닫고, 상기 컨트롤 패널(15)을 통해 세탁,헹굼,탈수 등의 행정이나 시간 등을 입력하면, 상기 세탁기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작동한다.
상기 세탁기는 세탁 행정이 선택되었으면, 급수를 위해 상기 밸브(28)를 온시킨다.
상기 밸브(28)의 온시 외부 호스(28)를 통해 급수되는 물은 상기 밸브(28)와, 밸브 커넥터(30)와, 세제통 하우징(24)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세제통(26)으로 공급되어, 상기 세제통(26) 내의 세제와 혼합된다.
세제와 혼합된 물은 상기 세제통 하우징(24)에 안내되어 상기 내조(6)로 낙하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내조 및 외조에 소량량의 물이 채움되면, 상기 밸브(28)를 오프하고, 구동수단을 소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세탁을 실시하며, 세탁이 소정 시간 행해지면, 상기 배수 밸브를 온시켜 외조 내의 오염된 물을 배수 호스(20)를 통해 배수한다.
이후, 상기 세탁기는 헹굼 행정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밸브와 구동수단과 배수장치를 작동하여 헹굼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세탁기는 탈수 행정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구동수단과 배수장치를 작동하여 탈수를 실시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장치(16)는 상기 밸브 커넥터(30) 가 상기 세제통 하우징(24)의 후방측에만 연결되므로, 상기 탑 커버(14) 또는 백 패널(18)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지 못하고, 상기 수용부(14) 내에 설치되는 전선 등의 다른 전장품을 상기 세제통 하우징의 후방에 장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설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주변 부품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고, 전장품들의 배치가 용이한 세탁기의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장치는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이 수납되고 일측에 급수홀부가 형성된 세제통 하우징과;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기 위한 급수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급수홀부와 연통되게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 장착되고, 후방측과 상측에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연통되기 위한 연결부가 각각 형성된 밸브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입구부와, 상기 밸브 커넥터의 상측 연결부 또는 후방측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출구부와, 상기 복수개의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연통시키는 연 통부를 갖는 밸브 몸체와; 상기 연통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에 조립된 복수개의 급수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통부는 좌,우 양단이 개구되고, 상기 복수개의 급수 밸브는 상기 연통부의 좌측단과 장착된 좌측 밸브와, 상기 연통부의 우측단에 장착된 우측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제통 하우징은 상면에 상기 급수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밸브 커넥터는 하부가 상기 급수홀부에 통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는 상기 밸브 커넥터의 하부가 상기 급수 홀부와의 사이에 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홀부와 이격되는 끼움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커넥터에는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판부가 돌출되고,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는 상기 판부의 체결공과 일치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용 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커넥터와 세제통 하우징은 상기 판부와 상기 체결용 보스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에는 상기 밸브 커넥터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판부가 돌출되고, 상기 밸브 커넥터에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상측에 장착될 때 상기 판부의 체결공과 일치되는 체결공을 갖는 상측 체결용 보스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후방에 장착될 때 상기 판부의 체결공과 일치되는 체결공을 갖는 후방측 체결용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와 밸브 커넥터는 상기 판부와 상기 상측 체결용 보스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판부와 상기 후방측 체결용 보스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급수 장치는 상기 후방측 연결관부와 상측 연결관부 중 어느 하나를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장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 리가 밸브 커넥터의 후방측에 장착된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급수 밸브 어셈블 리가 밸브 커넥터의 상측에 장착되었을 때의 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하, 종래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장치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통(50)과; 상기 세제통(50)이 수납되고 일측에 급수홀부(58)가 형성된 세제통 하우징(60)과;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기 위한 급수 밸브 어셈블리(70)와; 상기 급수홀부(58)와 연통되게 상기 세제통 하우징(60)에 장착되고, 후방측과 상측에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가 연통되기 위한 연결부(80,82)가 각각 형성된 밸브 커넥터(84)와, 상기 후방측 연결부(78)와 상측 연결부(79) 중 어느 하 나를 막는 마개(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제통(50)은 세제가 담겨지고 상기 세제통 하우징(60)에서 낙하된 물이 낙하되도록 상면(52)이 개방되고, 세제와 혼합된 물이 후방으로 배수되도록 배면에 개구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세제통 하우징(60)은 상면에 상기 급수홀부(58)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세제통 하우징(60)은 상기 세제통(50)이 전후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62)이 개방된다.
상기 세제통 하우징(60)에는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하부(86)가 상기 급수 홀부(58)와의 사이에 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홀부(58)와 이격되는 끼움 리브(64)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입구부(71,72)와,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후방측 연결부(78) 또는 상측 연결부(79)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출구부(73)와, 상기 복수개의 입구부(71,72)와 상기 출구부(73)를 연통시키는 연통부(74)를 갖는 밸브 몸체(75)와; 상기 연통부(74)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75)에 조립된 복수개의 급수 밸브(76,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구부(71,72)와 출구부(73)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연통부(74)는 좌,우 양단이 개구된다.
상기 복수개의 급수 밸브(76.77)는 상기 연통부(74)의 좌측단에 장착된 좌측 밸브(76)와, 상기 연통부(74)의 우측단에 장착된 우측 밸브(7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는 체결부재(78)에 의해 상기 밸브 커넥터(84)에 장착된다.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에는 상기 밸브 커넥터(84)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79a)이 형성된 판부(79)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커넥터(84)에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가 상측에 장착될 때 상기 판부(79)의 체결공(79a)과 일치되는 체결공(87a)을 갖는 상측 체결용 보스(87)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후방에 장착될 때 상기 판부(79)의 체결공(79a)과 일치되는 체결공(88a)을 갖는 후방측 체결용 보스(88)가 형성된다.
즉,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와 밸브 커넥터(84)는 상기 판부(79)와 상기 상측 체결용 보스(87)에 체결부재(78)가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판부(79)와 상기 후방측 체결용 보스(88)에 상기 체결부재(78)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밸브 커넥터(84)는 하부(86)가 상기 급수홀부(58)에 통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밸브 커넥터(84)는 상기 밸브 커넥터의 장착시 상기 급수홀부(58)가 내삽되도록 하부(86)가 단턱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밸브 커넥터(84)는 체결부재(89)에 의해 상기 세제통 하우징(60)에 장착된다.
상기 밸브 커넥터(84)에는 상기 세제통 하우징(6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90a)이 형성된 판부(90)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세제통 하우징(60)에는 상기 판부(90)의 체결공(90a)과 일치되 는 체결공(65)을 갖는 체결용 보스(66)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밸브 커넥터와 세제통 하우징(60)은 상기 판부(90)와 상기 체결용 보스(66)에 상기 체결부재(89)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의 장착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후방측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밸브 몸체(75)의 출구부(73)가 전방을 향하고 상기 밸브 몸체(75)의 입구부(72,)가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를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후방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출구부(73)를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후방측 연결부(80)에 내삽 또는 외삽시키고, 도 3에 도시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의 판부(79)를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후방측 체결용 보스(88)에 체결부재(78)로 체결시키면,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는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후방측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92)를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상측 연결부(82)에 끼워 막는다.
상기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가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후방측에 장착되게 되면, 상기 세제통 하우징(60)의 후방 또는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상측에 공간(A,B)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상측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밸브 몸체(75)의 출구 부(73)가 하측을 향하고 상기 밸브 몸체(75)의 입구부(72,)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를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출구부(73)를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상측 연결부(82)에 내삽 또는 외삽시키고, 도 3에 도시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의 판부(79)를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상측 체결용 보스(87)에 체결부재(78)로 체결시키면,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는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상측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92)를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후방측 연결부(80)에 끼워 막는다.
상기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70)가 상기 밸브 커넥터(84)의 상측에 장착되게 되면, 상기 세제통 하우징(60) 또는 밸브 커넥터(84)의 후에 공간(A,C)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장치는 세제통 하우징에 밸브 커넥터가 장착되고,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밸브 커넥터의 후방측 과 상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므로, 급수 장치가 공용으로 사용되면서 탑 커버 또는 백 패널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고, 전장품 등의 배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입구부와, 상기 밸브 커넥터의 상측 연결부 또는 후방측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출구부와, 상기 복수개의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갖는 밸브 몸체와; 상기 연통부를 개폐 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에 조립된 복수개의 급수 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밸브 커넥터에 일체로 조립되므로,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이 수납되고 일측에 급수홀부가 형성된 세제통 하우징과;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기 위한 급수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급수홀부와 연통되게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 장착되고, 후방측과 상측에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연통되기 위한 연결부가 각각 형성된 밸브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입구부와, 상기 밸브 커넥터의 상측 연결부 또는 후방측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출구부와, 상기 복수개의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갖는 밸브 몸체와;
    상기 연통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에 조립된 복수개의 급수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좌,우 양단이 개구되고,
    상기 복수개의 급수 밸브는 상기 연통부의 좌측단에 장착된 좌측 밸브와, 상기 연통부의 우측단에 장착된 우측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 하우징은 상면에 상기 급수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밸브 커넥터는 하부가 상기 급수홀부에 통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는 상기 밸브 커넥터의 하부가 상기 급수 홀부와의 사이에 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홀부와 이격되는 끼움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커넥터에는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판부가 돌출되고,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는 상기 판부의 체결공과 일치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용 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커넥터와 세제통 하우징은 상기 판부와 상기 체결용 보스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에는 상기 밸브 커넥터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판부가 돌출되고,
    상기 밸브 커넥터에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상측에 장착될 때 상기 판부의 체결공과 일치되는 체결공을 갖는 상측 체결용 보스와,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가 후방에 장착될 때 상기 판부의 체결공과 일치되는 체결공을 갖는 후방측 체결용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와 밸브 커넥터는 상기 판부와 상기 상측 체결용 보스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판부와 상기 후방측 체결용 보스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급수 장치는 상기 후방측 연결부와 상측 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막는 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장치.
KR1020040056271A 2004-07-20 2004-07-20 세탁기의 급수 장치 KR101054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71A KR101054426B1 (ko) 2004-07-20 2004-07-20 세탁기의 급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71A KR101054426B1 (ko) 2004-07-20 2004-07-20 세탁기의 급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466A KR20060007466A (ko) 2006-01-26
KR101054426B1 true KR101054426B1 (ko) 2011-08-05

Family

ID=3711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271A KR101054426B1 (ko) 2004-07-20 2004-07-20 세탁기의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96B1 (ko) 2022-10-11 2023-10-12 마노 주식회사 범용 급수 밸브 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0388U (ko) 1984-12-06 1986-06-26
KR20030033619A (ko) * 2001-10-24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급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0388U (ko) 1984-12-06 1986-06-26
KR20030033619A (ko) * 2001-10-24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급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96B1 (ko) 2022-10-11 2023-10-12 마노 주식회사 범용 급수 밸브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466A (ko)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5964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101880083B1 (ko) 세탁기
KR10146633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102415396B1 (ko) 세탁기
JP3808448B2 (ja) 洗濯機
KR20060039185A (ko) 세탁기의 도어
KR20060039186A (ko) 세탁기의 도어
KR0125464Y1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KR20070059433A (ko) 드럼 세탁기의 펌프 유닛
KR101054426B1 (ko) 세탁기의 급수 장치
KR100745587B1 (ko) 은용액 발생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TW202012728A (zh) 洗衣乾衣機
KR101372267B1 (ko) 드럼세탁기용 배수펌프
KR102320194B1 (ko) 세탁기
JP2845513B2 (ja) 洗濯機の操作箱装置
CN114502791A (zh) 添加剂供应单元及包括其的洗衣机
KR200395272Y1 (ko) 세탁기
CN110578237A (zh) 滚筒洗衣机及其进水系统
EP4187011A1 (en) Washing machine
KR101963249B1 (ko) 세탁기
KR102514106B1 (ko) 세탁기
KR20060008399A (ko) 세탁기의 급수 장치
JP7141988B2 (ja) 洗濯乾燥機
KR20010061059A (ko) 2조식 세탁기의 스트레이너 고정장치
CN114351398A (zh) 一种分桶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