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101B1 -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101B1
KR101054101B1 KR1020090052145A KR20090052145A KR101054101B1 KR 101054101 B1 KR101054101 B1 KR 101054101B1 KR 1020090052145 A KR1020090052145 A KR 1020090052145A KR 20090052145 A KR20090052145 A KR 20090052145A KR 101054101 B1 KR101054101 B1 KR 10105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illing
cutter
shaft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549A (ko
Inventor
한병혁
Original Assignee
마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기형 filed Critical 마기형
Priority to KR1020090052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10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락이나 쌀알의 크기에 관계없이 도정커터가 자동으로 진동 조절되어 쌀알의 부서짐이 없고 도정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일측에 나락공급구를 갖고 타측에 쌀알 배출구를 갖는 도정축 하우징과; 상기 도정축 하우징에 삽입되고, 일정 구간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나사부를 갖는 도정축과; 상기 도정축에 설치되어 반경방향으로 일정량 진동 가능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도정용 커터수단과; 상기 커터수단을 탄성반발력에 의해 도정축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도정용 커터수단의 진동 폭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도정축에 설치된 스톱볼트와; 상기 도정용 커터수단의 회전 반경을 에워싸도록 상기 도정축 하우징에 설치되고, 도정시 발생되는 나락찌꺼기를 타공을 통해 배출시키는 타공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52145
도정, 정미, 쌀, 겨, 나락

Description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Rice-polishing device for adjusting automatic vibration of rice-polishing cutter}
본 발명은 나락을 도정하는 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미 과정에서 커터의 자동조절이 이루어져 쌀알의 깨짐을 방지하고 도정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를 갖는 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락을 쌀로 가공하기 위한 도정장치는 도정관의 내부로 도정축을 설치하고, 도정관으로 공급된 나락을 도정축의 이송나사로 이송시키면서 도정날로 나락껍질(겨)을 벗겨낸다. 이때 도정날은 도정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도정 날을 원형으로 에워싸는 타공관과의 사이에서 나락과의 마찰을 일으켜 나락 껍질을 분리해낸다.
이같이 도정커터에 의해 겨가 벗겨진 쌀알은 분도조절기에 의해 분도가 조절되어 배출된다.
한편, 겨를 벗겨내는 과정에서 도정날은 나락과 직접 접촉하여 마찰을 받게 되므로 일정한 힘을 받게 되고, 이 힘은 겨가 벗겨지는 쌀알에도 작용하게 된다. 이같은 도정 과정에서 쌀알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즉, 큰 쌀알(나락)의 경우 고정된 도정날에 의해 쌀겨층과 쌀알의 끝에 배아젖이 탈락되거나 부서지는 원인이 발생된다. 또한 작은 쌀알의 경우 도정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같이 쌀알이 부서지거나 쌀알의 주요 성분들이 탈락되게 되면 맛이 없고 영양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나락이나 쌀알의 크기에 관계없이 도정커터가 자동으로 진동 조절되어 쌀알의 부서짐이 없고 도정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일측에 나락공급구를 갖고 타측에 쌀알 배출구를 갖는 도정축 하우징과;
상기 도정축 하우징에 삽입되고, 일정 구간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나사부를 갖는 도정축과;
상기 도정축에 설치되어 반경방향으로 일정량 진동 가능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도정용 커터수단과;
상기 커터수단을 탄성반발력에 의해 도정축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도정용 커터수단의 진동 폭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도정축에 설치된 스톱볼트와;
상기 도정용 커터수단의 회전 반경을 에워싸도록 상기 도정축 하우징에 설치되고, 도정시 발생되는 나락찌꺼기를 타공을 통해 배출시키는 타공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정용 커터수단은 상기 스톱볼트가 삽입되는 장공을 갖는 분할된 한쌍의 도정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수단은 압축스프링, 비틀림 스프링, 판 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정축 하우징에는 타공관의 내외부로 송풍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터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에 따르면, 도정축에 한쌍의 도정커터가 직경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큰 나락일 경우 도정커터가 후퇴 이동하고 작은 나락일 경우 도정커터가 전진 이동을 자동으로 반복하면서 동작하므로, 크거나 작은 나락의 크기에 관계없이 도정이 잘 이루어져 도정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큰 나락의 경우 부서짐이 없고 쌀겨층과 쌀 눈이 살아 있어 맛이 뛰어나고 영양적인 쌀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일측에 나락공급구(21)를 갖고 타측에 쌀알 배출구(22)를 갖는 원통형의 도정축 하우징(20)이 구비된다. 쌀알 배출구(22)의 일측에는 분도조절장치(100)가 설치된다.
도정축 하우징(20)에는 도정축(30)이 삽입되어 베어링(11,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정축(30)은 일단에 풀리(13)가 연결되어 있고, 풀리(13)는 도시안된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벨트(1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정축(30)은 나락공급구(21)측으로 유입된 나락을 쌀알배출구(22)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일정 구간 외주면에 이송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정축(30)에는 이송나사부(32)의 일측에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도정커터 삽입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도정축(30)의 도정커터 삽입공(32)에는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도정용 커터수단으로 한쌍의 도정커터(42,44)가 삽입되어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도정커터(42,44)에는 진동을 위해 각기 장공(42a,44a)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도정커터(42,44)의 이동량을 제한하기 위해 도정축(30)에 스톱볼트(52,54)가 설치되어 있고, 스톱볼트(52,54)는 도정커터(42,44)의 장공(42a,44a)에 삽입되어 있다. 장공(42a,44a)은 길게 형성되어 도정커터(42,44)의 진동 폭(진퇴 운동거리)을 제한한다.
상대적으로 장공(42a,44a)에 삽입된 스톱볼트(52,54)의 이동량을 1mm로 할 경우 도정커터(42,44)의 진퇴 운동하는 진동 폭도 1mm가 된다.
한쌍의 도정커터(42,44)는 스프링수단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밀어붙여져 있다. 스프링수단은 도 2와 압축스프링(50) 또는 도 5와 같이 토션스프링(52)으로 구성되거나 도시안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수단은 도정커터(42,44)간의 틈새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간에 도정커터(42,44)를 외측 반경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한다.
이때 한쌍의 도정커터(42,44)는 타공관(60)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공관(60)은 도정축 하우징(20)에 설치되어 도정시 발생되는 나락찌꺼기를 타공(60a)을 통해 배출시킨다.
도정축 하우징(20)에는 하나 이상의 소형 송풍팬(70)이 설치된다. 송풍팬(70)은 송풍력을 도정커터(42,44)의 도정시 발생되는 도정열을 냉각시킴과 동시 에 겨의 배출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정축(3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나락공급구(21)를 통하여 벼가 공급된다. 도정축(30)의 회전으로 도정커터(42,44)은 타공관(60)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이송나사부(32)는 나락공급구(21)를 통하여 유입된 나락을 타공관(6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타공관(60)의 내부로 이송된 나락은 도정커터(42,44)의 탈거 작용과 타공관(60)과의 마찰에 의해 도정이 일어나고, 이때 발생된 겨 등의 찌꺼기는 타공(60a)을 통한 후 겨 배출구(24)를 거쳐 배출된다.
도정 과정 중에 도정커터(42,44)는 나락(또는 쌀알)의 크기에 따라 진퇴 운동으로 진동을 하게 된다. 이때 도정커터(42,44)의 전진 이동은 압축스프링(50)의 탄성반발력으로 이루어지고, 도정커터(42,44)의 후퇴 이동은 압축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큰 나락의 경우 도정커터(42,44)은 후퇴 이동하면서 쌀알의 부서짐을 방지하고, 작은 나락의 경우 도정커터(42,44)은 전진 이동을 하면서 도정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도정커터(42,44)의 진동 작용으로 쌀알(또는 벼)의 크기에 관계없이 도정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쌀알의 표면에 있는 영양과 맛을 갖는 성분이 제거되 는 일은 없게 된다. 따라서 분도를 조절하면 백미는 물론이고 쌀겨층과 쌀알의 끝에 배아젖이 그대로 살아있는 좋은 현미를 얻을 수 있어, 영양적이고 맛 있게 도정된 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정축(30)에서 스톱볼트(52)를 풀게 하면 도정커터(42,44)이 도정축(30)에서 분리되므로 새로운 도정커터와 교체가 가능한 이점도 갖게 된다.
또한 송풍팬(70)의 구동으로 외기가 흡입되어 타공관(60)의 내외부로 송풍이 이루어져 도정시 발생되는 열의 냉각작용이 일어나고, 겨배출구(24)로 겨 등의 찌꺼기가 신속히 배출된다. 따라서 열화의 제거로 쌀알이 부서지는 원인이 제거되어 도정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정커터를 한쌍으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정축(30)에 도정용 커터수단으로 하나의 도정커터를 설치하고 스프링수단을 이용하여 진동되도록 구성할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정 커터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정 커터의 조립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정 커터와 도정축이 조립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정 커터의 변형예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도정축 하우징
30: 도정축
42,44: 도정커터
42a,44a: 장공
52,54: 스톱볼트
60: 타공관
70: 송풍팬

Claims (4)

  1. 일측에 나락공급구(21)를 갖고 타측에 쌀알 배출구(22)를 갖는 도정축 하우징(20)과;
    상기 도정축 하우징(20)에 삽입되고, 일정 구간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나사부(32)를 갖는 도정축(30)과;
    상기 도정축(30)에 설치되어 반경방향으로 일정량 진동 가능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도정용 커터수단과;
    상기 커터수단을 탄성반발력에 의해 도정축(30)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도정용 커터수단의 진동 폭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도정축(30)에 설치된 스톱볼트(52,54)와;
    상기 도정용 커터수단의 회전 반경을 에워싸도록 상기 도정축 하우징(20)에 설치되고, 도정시 발생되는 나락찌꺼기를 타공(60a)을 통해 배출시키는 타공관(6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정용 커터수단은 상기 스톱볼트(52,54)가 삽입되는 장공(42a,44a)을 갖는 분할된 한쌍의 도정커터(42,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압축스프링, 비틀림 스프링, 판 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정축 하우징(20)에는 타공관(60)의 내외부로 송풍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7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KR1020090052145A 2009-06-12 2009-06-12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KR10105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45A KR101054101B1 (ko) 2009-06-12 2009-06-12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45A KR101054101B1 (ko) 2009-06-12 2009-06-12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49A KR20100133549A (ko) 2010-12-22
KR101054101B1 true KR101054101B1 (ko) 2011-08-03

Family

ID=4350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145A KR101054101B1 (ko) 2009-06-12 2009-06-12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1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609A (ko) * 1992-12-17 1994-07-15 이진구 정미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JP2939748B1 (ja) * 1998-08-05 1999-08-25 株式会社細川製作所 一回通し式精米機の精白ロール
JP2006021083A (ja) 2004-07-06 2006-01-26 Shizuoka Seiki Co Ltd 精米機
KR100877119B1 (ko) 2007-05-15 2009-01-09 김기태 가정용 정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609A (ko) * 1992-12-17 1994-07-15 이진구 정미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JP2939748B1 (ja) * 1998-08-05 1999-08-25 株式会社細川製作所 一回通し式精米機の精白ロール
JP2006021083A (ja) 2004-07-06 2006-01-26 Shizuoka Seiki Co Ltd 精米機
KR100877119B1 (ko) 2007-05-15 2009-01-09 김기태 가정용 정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49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675B1 (ko) 겨 절삭형 정미기
CN202410781U (zh) 双转子辣椒破碎机
CN102698845A (zh) 卧式碎浆机
KR101054101B1 (ko) 도정 커터의 진동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도정장치
US3734148A (en) Grinder
US9173433B2 (en) Tobacco shredder with double-mounted conveyor-worm shaft
KR20210054279A (ko) 도정 커터가 자동조절되는 도정장치
JP3814515B2 (ja) 破砕処理装置
JP4485242B2 (ja) 破砕処理装置
KR200224950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20040069879A1 (en) Cutting device, particularly for comminuting chips
JP2002126552A (ja) 破砕装置
JP2008272829A (ja) 圧縮成形機
JP4166163B2 (ja) 穀物搬送装置
JP2001224976A (ja) 厨芥処理装置
KR101296847B1 (ko) 곡물 퍼핑 장치
KR200258489Y1 (ko) 스티로폼 분쇄기
CN110935533A (zh) 一种纸介质销毁系统
KR200246776Y1 (ko) 동물사체 분쇄기
JP2005130718A (ja) 脱穀排ワラ細断装置
CN211190464U (zh) 一种用于财经类纸质文件的碎纸机
RU17326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косточковых плодов
CN211463391U (zh) 一种新型切丝机
RU2297282C1 (ru) Нож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мясопродуктов
JP6815641B2 (ja) 紙料洗浄装置及び紙料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