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724B1 - 열응동 개폐기 - Google Patents

열응동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724B1
KR101053724B1 KR1020097004176A KR20097004176A KR101053724B1 KR 101053724 B1 KR101053724 B1 KR 101053724B1 KR 1020097004176 A KR1020097004176 A KR 1020097004176A KR 20097004176 A KR20097004176 A KR 20097004176A KR 101053724 B1 KR101053724 B1 KR 10105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ntact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609A (ko
Inventor
요시히사 우에다
다케오 고이케
미츠히로 우라노
시게미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48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01H37/5427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encapsulated in sealed miniaturised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1Composite material
    • H01H1/023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 H01H1/0237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and containing oxides
    • H01H1/02372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and containing oxides containing as major components one or more oxides of the following elements only: Cd, Sn, Zn, In, Bi, Sb or 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01H2050/025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containing inert or dielectric gasses, e.g. SF6, for arc prevention or arc extin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제의 하우징(3)과 덮개판(4)으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2)와, 덮개판(4)에 기밀(氣密)하게 고정된 도전단자(導電端子)핀(10A, 10B)과, 도전단자핀(10A)에 고정된 고정접점(8)과, 일단이 밀폐용기(2)의 내면에 도전적으로 접속고정되어 소정의 온도에서 그 만곡(彎曲)방향이 반전하는 열응동판(6)과, 열응동판(6) 타단에 고착된 가동접점(7)을 구비하고,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은 은-산화카드뮴계 접점으로 구성되고, 밀폐용기(2)의 내부에는 50% 이상 95% 이하의 헬륨을 포함하는 기체가 상온에서 0.38기압 이상 0.68기압 이하가 되도록 봉입(封入)되어 있는 열응동(熱應動) 개폐기(1)이다.

Description

열응동 개폐기{THERMALLY RESPONSIVE SWITCH}
본 발명은 밀폐용기 내에 바이메탈(bimetal) 등의 열응동판(熱應動板)을 이용한 접점개폐기구(接點開閉機構)를 가지는 열응동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열응동 개폐기는 일본특허공보 제2519530호(선행기술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0-144189호(선행기술문헌 2), 2002-352685호(선행기술문헌 3), 2003-59379호(선행기술문헌 4)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에 기재된 열응동 개폐기는 모두 금속제의 하우징과 덮개판으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의 내부에 소정의 온도로 그 만곡(彎曲)방향을 반전(反轉)시키는 열응동판을 구비하고 있다. 덮개판에는 도전단자(導電端子)핀(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 pin)이 삽입통과되고, 유리 등의 전기절연성 충전재에 의해 기밀(氣密)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도전단자핀의 밀폐용기 내 선단부에는 직접 또는 지지체를 통하여 고정접점이 부착되어 있다. 또, 열응동판의 일단은 지지체를 통하여 밀폐용기의 내면에 접속고착되어 있고, 열응동판의 타단에는 가동접점이 고착되어 상기 고정접점과 함께 개폐접점을 구성하고 있다.
이 열응동 개폐기는 밀폐형 전동(電動)압축기의 밀폐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압축기용 전동기의 써멀 프로텍터(thermal protector)로서 이용된다. 이 경우, 도 전단자핀 또는 덮개판에 전동기의 각 권선(卷線)이 접속된다. 열응동 개폐기의 주변이 비정상인 고온이 되었을 때 혹은 전동기에 비정상인 전류가 흘렀을 때에 열응동판이 반전하여 접점 사이가 개방되고, 온도가 소정값 이하로 저하하면 다시 접점 사이가 닫혀져 통전(通電)상태가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 열응동 개폐기는 압축기가 조립된 냉동기나 공기조화기 등이 그 제품수명을 다할 때까지 상기 이상발생할 때 마다 접점 사이를 개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전동기의 회전자가 구속된 상태로 전동기를 구동했을 때 혹은 전동기의 권선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했을 때 등에는 전동기의 정격(定格)전류를 훨씬 넘는 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도성이 큰 전류를 접점의 개방에 의해 차단하면, 접점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고, 그 열에 의해 접점의 표면이 손상된다. 그리고, 접점개폐의 보증동작회수를 넘으면, 접점의 용착이 발생하게 된다. 다만, 접점의 용착이 일어났을 때에도 전로(電路)를 차단하여 이차적인 이상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이중의 안전보호대책이 시행되어 있다(예를 들면 선행기술문헌 1, 2에 기재된 히터의 용단부).
접점개폐의 보증동작회수를 높이려면, 접점의 사이즈를 크게 하여 열용량을 높여 아크가 발생해도 용착이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구성, 열응동판의 사이즈를 크게 하여 접점을 분리시키는 힘을 증가시키는 구성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열응동 개폐기가 대형화하고, 압축기의 밀폐 하우징 내에서의 설치가 곤란하게 된다. 또, 열응동 개폐기의 사이즈를 억제하면서 보다 대용량의 압축기용 전동기로의 적용도 필요하게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고 또한 높은 내구성과 전류차단능력을 가지는 열응동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열응동 개폐기는 금속제의 하우징과 그 개구단에 기밀(氣密)하게 고착된 덮개판으로 구성되는 밀폐용기와, 상기 덮개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전기절연성의 충전재에 의해서 기밀하게 고정된 적어도 1개의 도전단자핀과, 상기 밀폐용기 내에서 상기 도전단자핀에 고정된 고정접점과,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의 내면에 도전적으로 접속고정되고 접시모양으로 드로잉(drawing) 성형되어 소정의 온도에서 그 만곡방향이 반전하는 열응동판과, 이 열응동판의 타단에 고착되고 상기 고정접점과 함께 적어도 1쌍의 개폐접점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가동접점을 구비하며, 압축기용 전동기에 흐르는 교류전류를 차단하는 용도에 이용되는 열응동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은 은-산화카드뮴계 접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는 50% 이상 95% 이하의 헬륨을 포함하는 기체가 상온에서 0.38기압 이상 0.68기압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5기압 이상 0.6기압 이하가 되도록 봉입(封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개방에 의해 발생한 아크가 접점 위를 이동하여 아크에 의한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소형이라도 내구성에 우수하고 또한 높은 전류차단능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열응동 개폐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Ⅱ-Ⅱ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열응동 개폐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열응동 개폐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기체의 봉입압력을 변화시켰을 경우의 내구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봉입압력이 0.5기압인 경우의 내구시험 종료후의 가동접점(A)과 고정접점(B)의 표면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봉입압력이 0.7기압인 경우의 도 6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8은 봉입압력이 1.0기압인 경우의 도 6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9는 봉입압력이 1.3기압인 경우의 도 6에 상당하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은 열응동 개폐기, 2는 밀폐용기, 3은 하우징, 4는 덮개판, 6은 열응동판, 7은 가동접점, 8은 고정접점, 9는 충전재, 10A, 10B는 도전단자핀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압축기용 전동기의 써멀 프로텍터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열응동 개폐기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은 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열응동 개폐기(1)의 밀폐용기(2)는 금속제의 하우징(3)과 덮개판(4)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3)은 철판 등을 프레스에 의해 드로잉 성형하여 만들어져 있고,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대략 구면(球面)모양으로 성형되며, 그 양단부를 연결하는 중앙부가 반원모양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된 긴 돔(dome) 형상을 이루고 있다. 덮개판(4)은 하우징(3)보다 두꺼운 철판을 타원형으로 성형하여 만들어져 있고, 하우징(3)의 개구단에 링 프로젝션(ring projection) 용접 등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밀폐용기(2)의 내측에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지지체(5)를 통하여 열응동판(6)의 일단이 접속고정되어 있다. 이 열응동판(6)은 바이메탈(bimetal)이나 트라이메탈(trimetal) 등의 열에 의해서 변형하는 부재를 얕은 접시모양으로 드로잉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온도에 이르면 그 만곡방향이 스냅 동작(sanp action)으로 반전하도록 되어 있다. 열응동판(6)의 타단에는 가동접점(7)이 고착되어 있다. 밀폐용기(2) 중 지지체(5)를 고정한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찌그려 뜨려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후술)의 접촉압력을 조정할 수 있어 상기 열응동판(6)의 반전동작온도를 소정값으로 교정할 수 있다.
덮개판(4)에는 관통구멍(4A, 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4A, 4B)에는 열팽창 계수를 고려한 유리 등의 전기절연성의 충전재(9)에 의해, 각각 도전단자핀(10A, 10B)이 주지의 콤프레션 타입의 용접 밀봉에 의해 기밀하게 절연고정되어 있다. 도전단자핀(10A)의 밀폐용기 내측의 선단 근방에는 접점지지체(11)가 고착(固着)되어 있고, 그 접점지지체(11)에는 상기 가동접점(7)과 대향한 위치에 고정접점(8)이 고착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은 소정 비율(예를 들면 5 ~ 15중량%)의 산화카드뮴을 포함하는 은-산화카드몸(Ag-CdO)계 접점이며, 동(銅)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과 철로 이루어지는 하층을 적층한 3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형상은, 직경 3㎜ 이상 5㎜ 이하의 원판모양이며, 접점표면은 약간 볼록한 곡면(본 실시예에서는 반경 8㎜의 구면)을 이루고 있다.
도전단자핀(10B)의 밀폐용기 내측의 선단 근방에는 발열체인 히터(12)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히터(12)의 타단은 덮개판(4) 위에 고정되고 있다. 이 히터(12)는 도전단자핀(10B)의 둘레를 따라서 열응동판(6)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히터(12)에 의한 발열이 열응동판(6)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히터(12)에는 단면적이 다른 부분보다도 작은 용단부(溶斷部)(12A)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대상기기인 압축기의 통상 운전시에는 전동기의 운전전류로 용단부(12A)가 용단되지 않는다. 또, 전동기가 구속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단시간에 열응동판(6)이 반전하여 접점(7, 8) 사이를 개방하기 때문에, 이 경우도 용단부(12A)가 용단되지 않는다. 열응동 개폐기(1)가 장기간에 걸쳐 개폐를 반복하여 보증동작회수를 넘으면,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이 용착하여 개리(開離)불능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전동기의 회전자가 구속되면, 과대한 전류에 의해 용단부(12A)의 온도가 상승하여 곧바로 용단에 이르기 때문에, 전동기로의 통전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폐용기(2)의 내부에는, 50% 이상 95% 이하의 헬륨(He)을 포함하는 기체가 상온에서 0.38기압 이상 0.68기압 이하가 되도록 봉입되어 있다. 봉입된 기체 중 나머지는 질소, 건조공기, 이산화탄소 등이다. 불활성가스 중에서도 헬륨을 봉입하는 것은 선행기술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헬륨이 가지는 양호한 열전도율에 의해, 전동기의 회전자의 구속시 등 과대한 전류가 흘렀을 때에 주로 히터(12)로부터의 열에 의해 접점(7, 8) 사이를 개방하기까지의 시간(Short Time Trip : S/T)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의 것보다도 최소 동작전류값(Ultimate Trip Current : U.T.C.)을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열응동판(6)의 저항값을 높여 그 발열량을 증대시킨 구성으로 하면, 헬륨의 봉입에 의해 열응동판(6)에서 생긴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 상기 Short Time Trip(S/T)을 길게 할 수 있다. 다만, 헬륨의 봉입비율이 증가하면 내전압이 저하하는 경향을 가지므로, 교류 100V ~ 260V 정도의 통상의 상용전원에 대해서는 헬륨의 봉입비율을 30% 이상 95% 이하, 특히 50% 이상 9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단자핀(10A, 10B)을 고정하고 있는 충전재(9) 위에는 세라믹스, 지르코니아(zirconia)(산화 지르코늄(zirconium oxide)) 등으로 이루어진 내열성 무기 절연부재(13)가 틈새 없이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내열성 무기 절연부재(13)는 미리 설정된 연면(沿面)방전에 대한 전기적 강도나 스퍼터(sputter)에 대한 내열성 등의 물리적 강도를 고려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히터(12)의 용단시에 발생하는 스퍼터가 내열성 무기 절연부재(13)의 표면에 부착해도 충분한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어 용단부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가 도전단자핀(10B)과 덮개판(4)의 사이 또는 도전단자핀(10A, 10B) 사이로 전이(轉移)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가 단시간의 기동전류를 포함하는 통상의 운전전류인 경우에는 열응동 개폐기(1)의 접점(7, 8)은 닫힌채로 있고, 전동기는 운전을 계속한다. 이것에 대해, 전동기의 부하 증대에 의해 통상보다도 큰 전류가 계속해서 흘렀을 경우, 전동기가 구속되어 매우 큰 구속전류가 몇 초 이상 계속해서 흘렀을 경우, 압축기의 밀폐 하우징 내의 냉매가 비정상인 고온으로 되었을 경우 등에는 열응동판(6)의 만곡방향이 반전하여 접점(7, 8)이 열려 전동기의 전류를 차단한다. 그 후, 열응동 개폐기(1)의 내부온도가 저하하면, 열응동판(6)은 만곡방향을 다시 반전하여 접점(7, 8)이 닫혀 전동기로의 통전이 개시된다.
다음에, 열응동 개폐기(1)의 내구시험에 근거하는 구성의 최적화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용 전동기의 써멀 프로텍터로서 이용되는 열응동 개폐기(1)는 회전자의 구속시에 흐르는 구속전류, 전동기의 권선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했을 때에 흐르는 단락전류 등이 매우 큰 전류를 차단하는 능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 보호대상인 압축기가 조립된 냉동기나 공기조화기 등의 제품수명보다도 긴 내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밀폐 하우징 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 및 열응답성의 관점으로부터 소형화도 필요하다.
전동기에 상기 구속전류, 단락전류 등이 과대한 유도성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접점(7, 8) 사이를 개방하면, 접점(7, 8)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다. 열응동 개폐기(1)의 내구성(접점개폐의 보증동작회수) 및 전류차단능력을 높이려면, 아 크의 소멸시간을 단축하는 것 또는 아크에 의한 손상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게 된다. 아크에 의한 손상은, 접점(7, 8)뿐만 아니라 접점(7, 8)의 외부, 예를 들면 열응동판(6)에 이르기도 한다.
아크의 소멸시간을 단축하려면, 봉입기체의 고압화, 봉입기체의 극단적인 저압화(진공화), 접점 간격의 확대, 아크 혼(horn)의 장착, 자석에 의한 아크의 유도, 아크의 불어냄(blowout) 등의 수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은 생산효율의 현저한 저하, 구성의 복잡화, 사이즈의 대형화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압축기에 이용되는 비교적 소형의 전동기를 보호하는 열응동 개폐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의 열응동 개폐기(1)는 상용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교류전동기를 보호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크의 지속시간은 길어도 십수m초(반주기)로서 평균적으로는 수m초이다. 그래서, 아크의 소멸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아니라, 아크에 의한 손상을 최대한 저감하는 것에 의해 높은 내구성과 전류차단능력을 얻을 수 있도록 내구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구성의 최적화를 실시했다.
내구시험은 전동기가 조립된 압축기의 밀폐 하우징 상부를 절단하고, 열응동 개폐기(1)를 압축기 내부에 장착한 후, 압축기를 테스트 벤치에 설치하며, 전동기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조건하에서 열응동 개폐기(1)를 반복하여 개폐 동작시킴으로써 실시했다.
전동기는 정격 전압 220V(50㎐), 정격전류 10.8A, 정격 출력 2320W의 단상(單相)유도 전동기로 회전자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되어 있다. 공시(供試)전원은 240V, 50㎐이다. 압축기는 상온(25℃)의 환경하에 설치되어 있고, 내구시험의 개시시(즉 전동기의 온도가 상온일 때)의 구속전류는 60A, 통단전(通斷電)의 반복에 의해 전동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평형에 이르렀을 때의 구속전류는 49A이다. 또, 시험에 이용한 열응동 개폐기(1)는 최소 동작전류값(U.T.C.)이 17A ~ 24A(120℃), 54A의 전류가 흘렀을 때에 3초 ~ 10초(S/T)에 접점(7, 8) 사이를 개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전동기의 구속전류는 정격전류보다도 수 배 크고, 전동기 자체의 가열, 열응동 개폐기(1) 내의 히터(12)의 가열 및 열응동판(6)의 가열에 의해, 열응동 개폐기(1)의 접점(7, 8) 사이가 개방하기까지의 시간(S/T)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몇 초 정도까지 짧아진다. 접점(7, 8)이 열리면, 열응동 개폐기(1)의 내부온도는 서서히 내려가고, 대략 2분 전후로 다시 접점(7, 8)이 닫혀 통전상태가 된다. 내구시험에서는 이 열응동 개폐기(1)의 닫음동작에 의한 구속전류의 통전상태(몇 초간)와 열응동 개폐기(1)의 열림동작에 의한 단전상태(2분 전후)가 정상적으로 반복하게 되는 개폐동작회수를 계수(計數)했다.
구속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접점(7, 8)이 개폐를 반복하면, 개방시에 생기는 아크에 의해 접점(7, 8)이 서서히 손상하여, 곧바로 접점끼리의 용착이 발생한다. 본 내구시험에서는 통전시간이 10초(S/T)를 넘었을 경우에 접점용착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 시험을 종료했다. 또한, 접점간거리에 따라서는 아크에 의해 열응동판(6)이 손상되는 경우도 보여졌다. 또, 열응동판(6)은 개폐마다 스냅 동작에 의한 반전동작을 반복하므로, 개폐동작회수가 극단적으로 커지면 접점용착이 생기기 전에 피로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도 5는, 밀폐용기(2)의 봉입기체의 압력을 바꾸어 실시한 내구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가로축은 압력(기압 : atm), 세로축은 용착할 때까지의 개폐동작 회수이며, 복수 샘플에 대한 각 측정값과 그 샘플 내 최소값의 보간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봉입기체의 조성은 헬륨 90%, 건조공기 10%이다.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은 15중량%의 산화금속을 포함하는 은-산화카드뮴계 접점이며, 동으로 이루어진 중간층과 철로 이루어진 하층을 적층하여 압착한 3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형상은, 직경 4㎜, 두께 0.9㎜의 원판모양이고, 접점표면은 반경 8㎜의 구면을 이루고 있다. 접점간거리는 0.6㎜이며, 열응동판(6)이 접점(7, 8)의 열림방향으로 반전하는 온도는 155℃, 접점(7, 8)의 닫음방향으로 반전하는 온도는 90℃이다.
이 도 5에 나타내는 시험결과에 의하면, 개폐동작회수는 0.5기압 부근의 압력에서 최대(20000회 이상)가 되며, 그로부터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서 완만하게 감소한다. 0.6기압에서는 18000회 정도(샘플 내 최소값), 0.68기압에서는 15000회 정도(샘플 내 최소값)이며, 압력이 1기압 이상이 되면, 압력의 상승에 관계없이 개폐동작회수는 10000회(샘플 내 최소값)로 대략 일정하게 된다. 한편, 압력이 0.5기압 부근으로부터 저하하면, 상기 압력상승시보다도 약간 큰 변화율로 개폐동작회수가 감소하고, 0.45기압에서는 19000회 정도(샘플 내 최소값), 0.38기압에서는 15000회 정도(샘플 내 최소값), 0.1기압에서는 2000회 정도(샘플 내 최소값)까지 감소한다.
즉,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열응동 개폐기(1)에서는, 도 5에 일점쇄선과 화살표로 나타낸 범위, 즉 0.38기압 이상 0.68기압 이하의 봉입압력으로 함으로써, 적 어도 15000회 이상의 개폐동작회수를 보증할 수 있고, 또한 0.45기압 이상 0.6기압 이하의 봉입압력으로 함으로써, 적어도 18000회 이상의 개폐동작회수를 보증할 수 있으며, 또한 0.5기압의 봉입압력으로 함으로써, 적어도 20000회의 개폐동작회수를 보증할 수 있다.
도 6, 도 7, 도 8, 도 9는 각각 봉입압력이 0.5기압, 0.7기압, 1.0기압, 1.3기압인 경우에 있어서의 내구시험 종료후의 가동접점(7)(A-1 ~ A-4)과 고정접점(8)(B-1 ~ B-4)의 표면사진이다. 1.0기압(도 8), 1.3기압(도 9)과 같이 봉입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아크가 한 개소에 그치기 때문에, 접점표면이 국부적으로 녹아 돌기가 형성되고, 그 부분에서 용착이 일어나기 쉬워져 내구성이 악화된다고 생각된다. 이것에 대해, 0.5기압(도 6), 0.7기압(도 7)과 같이 봉입압력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아크가 한 개소에 그치지 않고 접점표면을 이동하기 때문에, 접점표면이 균일하게 손모해 돌기가 형성되기 어렵고, 용착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내구성이 향상한다고 생각된다.
다만, 봉입압력을 내려 아크가 이동하기 쉬워지면, 아크가 접점(7, 8) 사이로부터 밖으로 비어져 나올 우려가 생긴다. 접점(7, 8)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열응동판(6)으로 전이하면, 열응동판(6)이 손상되어 내구성이 오히려 나빠진다. 또, 내압이 부족하여 전류의 제로 크로스에 있어서도 아크가 계속하고, 이 경우,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도 5에 있어서, 0.1기압에서의 개폐동작회수가 극단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것은 주로 이 2개의 원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점간거리의 상한은 봉입압력의 저하에 따라 아크의 접점 밖으로의 전이를 방지 가능한 값으로 하여 정해진다. 한편, 접점간거리의 하한은 절연내압을 확보하는 필요성으로부터 정해진다. 이 시험결과에 근거하는 검토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열응동 개폐기(1)에서는 0.4㎜ 이상 1.5㎜ 이하의 접점간거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점(7, 8)이 개방동작할 때, 열응동판(6)의 가동접점 측 단부는 그 반전동작 도중에 하우징(3)의 내면에 맞닿고, 그 이상의 반전동작이 규제된다. 이것에 대해, 하우징(3)의 내면과 열응동판(6)의 상면과의 간격을 넓혀 상기 반전동작 도중에 규제되지 않도록 구성하면, 열응동판(6)이 가지는 스냅 동작에 의한 반전력을 이용하여 접점(7, 8) 사이를 보다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이것은 아크의 소멸에 유효하다고 생각되지만, 열응동판(6)은 맞닿음이 규제되지 않아 갈라지기 쉬워져 내구성이 극단적으로 악화된다. 따라서, 상술한 접점간거리의 상한치 1.5㎜는 열응동판(6)의 가동접점 측 단부가 그 개방동작 도중에 하우징(3)의 내면에 맞닿는데 필요한 거리로서 구조적으로 정해지는 값이기도 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응동 개폐기(1)는 도전단자핀(10A)에 고정된 고정접점(8)과, 온도에 따라 그 만곡방향이 반전하는 열응동판(6)과, 열응동판(6)의 자유단 측에 고착된 가동접점(7)을 구비하고, 그것들이 밀폐용기(2)에 수용되어 있다.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은 은-산화카드뮴계 접점으로 구성되고, 밀폐용기(2)에는 50% 이상 95% 이하의 헬륨을 포함하는 기체가 상온에서 0.38기압 이상 0.68기압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5기압 이상 0.6기압 이하가 되도록 봉입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점(7, 8) 사이의 개방시에 생기는 아크가 접점표면을 이동하여 접점표면이 균일하게 손모하므로, 용착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종래보다도 큰 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류차단능력이 향상한다. 또, 열전도율이 양호한 헬륨을 봉입하였기 때문에, 구속전류 등이 과대한 전류가 흘렀을 때의 접점(7, 8) 사이를 개방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구성에 따라서는 길 수 있음)과 동시에 정격 운전전류값을 인상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은 5중량% 이상 15중량% 이하의 산화카드뮴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용착력이 한층 작게 되어 아크에 의한 손모도 한층 적어진다. 또, 헬륨의 봉입비율(%)이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작았다.
이 경우, 접점간거리는 0.4㎜ 이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용전원을 이용했을 경우의 절연내압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접점간거리는 1.5㎜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아크가 접점(7, 8) 사이로부터 밖으로 전이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아크에 의한 열응동판(6) 등의 주위부품의 손상을 억제하여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점간거리가 1.5㎜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면, 열응동판(6)의 가동접점 측 단부가 그 개방동작 도중에 하우징(3)의 내면에 맞닿으므로, 스냅 동작에 따른 반전동작에 의한 열응동판(6)의 과대한 변위 및 그것에 이은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은 직경 3㎜ 이상 5㎜ 이하의 원판모양인 것을 이용하고 있다. 접점 사이즈를 크게 하면 아크의 열에 대한 접점의 내구성이 향상하지만, 주재료가 은이기 때문에 코스트가 큰 폭으로 상승한다. 반대로 접점 사이즈가 작으면, 코스트를 억제된다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60A클래스의 내구성능을 확 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직경 3㎜의 사이즈가 필요한 것을 실험에 의해 확인했다. 이와 같이 직경 5㎜ 이상 예를 들면 직경 6㎜의 접점을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여 내구성이 향상하지만, 코스트나 열응동 개폐기의 크기의 점에서 실용적이지 않다.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의 표면은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아크가 접점(7, 8)의 중심부로부터 발생하기 쉬워져, 아크가 접점(7, 8) 사이의 밖으로 전이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열응동 개폐기(1)는 접점(7, 8)이나 열응동판(6)의 크기를 대형화하지 않고 내구성 및 전류차단능력을 높이고 있으므로, 압축기의 밀폐 하우징 내에의 수용이 용이하며, 압축기용 전동기의 써멀 프로텍터로서 적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밀폐용기(2)에 50% 이상 95% 이하의 헬륨을 포함하는 기체가 상온에서 0.38기압 이상 0.68기압 이하가 되도록 봉입되어 있는 것은 필수의 구성요건이지만, 접점간거리, 접점(7, 8)의 형상과 크기 등은 상술한 수치범위의 값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밀폐용기(2)의 형상은 긴 돔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용기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리브를 형성하는 등에 의해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면, 반드시 긴 돔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지지체(5)를 밀폐용기(2)의 한쪽의 단부에 고정했지만, 보다 소형의 열응동 개폐기로 하는 경우 등에는 열응동판(6)을 밀폐용기(2)의 중앙 부근에 고정해도 된 다. 지지체(5)를 버튼형의 형상이라도 되며, 지지체(5)를 생략해도 된다.
히터(12) 및 내열성 무기 절연부재(13)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면 좋다.
덮개판(4)에 2개의 도전단자핀(10A, 10B)을 설치했지만, 1개의 도전단자핀만을 설치하여 금속성의 덮개판(4)를 다른 1개의 단자로서 이용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접점을 2쌍 이상 설치해도 된다.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을 볼록한 곡면으로 하면 좋다. 또한, 그 볼록한 곡면의 정상부에 평탄부를 형성해도 된다.
열응동 개폐기를 써멀 프로텍터로서 이용하는 전동기는 단상유도 전동기로 한정되지 않고, 삼상유도 전압기라도 된다. 또, 그 외의 전동기 예를 들면 동기(同期) 전동기 등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전동기이면 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열응동 개폐기는 압축기용 전동기의 써멀 프로텍터로서 유용하다.

Claims (12)

  1. 금속제의 하우징(3)과 그 개구단에 기밀(氣密)하게 고착(固着)된 덮개판(4)으로 구성되는 밀폐용기(2)와,
    상기 덮개판(4)에 형성된 관통구멍(4A, 4B)에 삽입통과되고, 전기절연성의 충전재(9)에 의해서 기밀하게 고정된 적어도 1개의 도전단자(導電端子)핀(10A, 10B)과,
    상기 밀폐용기(2) 내에서 상기 도전단자핀(10A, 10B)에 고정된 고정접점(8)과,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2)의 내면에 도전적으로 접속고정되고, 접시모양으로 드로잉 성형되어 소정의 온도에서 그 만곡(彎曲)방향이 반전(反轉)하는 열응동판(熱應動板)(6)과,
    이 열응동판(6) 타단에 고착되고, 상기 고정접점(8)과 함께 적어도 1쌍의 개폐접점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가동접점(7)을 구비하며,
    압축기용 전동기에 흐르는 교류전류를 차단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열응동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은 은-산화카드뮴계 접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폐용기(2)의 내부에는, 50% 이상 95% 이하의 헬륨을 포함하는 기체가 상온에서 0.38기압 이상 0.68기압 이하가 되도록 봉입(封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2)의 내부에는 상기 기체가 상온에서 0.45기압 이상 0.6기압 이하가 되도록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이 열린 상태에서의 접점간거리는 0.4㎜ 이상이고 또한 접점개방동작시에서 상기 열응동판(6)이 그 반전동작 도중에 상기 밀폐용기(2)의 내면에 맞닿아 그 이후의 동작이 규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이 열린 상태에서의 접점간거리는 0.4㎜ 이상이고 또한 접점개방동작시에서 상기 열응동판(6)이 그 반전동작 도중에 상기 밀폐용기(2)의 내면에 맞닿아 그 이후의 동작이 규제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은 직경 3㎜ 이상 5㎜ 이하의 원판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은 직경 3㎜ 이상 5㎜ 이하의 원판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은 직경 3㎜ 이상 5㎜ 이하의 원판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은 직경 3㎜ 이상 5㎜ 이하의 원판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의 적어도 한쪽 표면이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의 적어도 한쪽 표면이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의 적어도 한쪽 표면이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8)과 가동접점(7)의 적어도 한쪽 표면이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개폐기.
KR1020097004176A 2006-08-10 2007-08-08 열응동 개폐기 KR101053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6/315852 2006-08-10
JP2006315852 2006-08-10
PCT/JP2007/065552 WO2008018516A1 (en) 2006-08-10 2007-08-08 Thermally reactive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609A KR20090048609A (ko) 2009-05-14
KR101053724B1 true KR101053724B1 (ko) 2011-08-02

Family

ID=3903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176A KR101053724B1 (ko) 2006-08-10 2007-08-08 열응동 개폐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902038B2 (ko)
EP (1) EP2051274B1 (ko)
JP (1) JP5001279B2 (ko)
KR (1) KR101053724B1 (ko)
CN (1) CN101501802B (ko)
BR (1) BRPI0715399B1 (ko)
CA (1) CA2660140C (ko)
MX (1) MX2009001484A (ko)
MY (1) MY158650A (ko)
RU (1) RU2394299C1 (ko)
WO (1) WO2008018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716646B1 (pt) * 2006-08-10 2018-07-31 Ubukata Industries Co., Ltd. Comutador de resposta térmica
CA2715130C (en) * 2008-02-08 2015-06-02 Ubukata Industries Co., Ltd. Thermally responsive switch
CN102074386A (zh) * 2011-02-18 2011-05-25 司捷易兰姆布斯控制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触控开关的电触点
BR112015024568B1 (pt) * 2013-03-29 2021-07-06 Ubukata Industries Co., Ltd interruptor termorresponsivo e método de fabricação do mesmo
KR101930149B1 (ko) * 2014-05-23 2018-12-17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열응동 개폐기
EP3240006A4 (en) * 2014-12-24 2018-08-08 Ubukata Industries Co., Ltd. Thermal response switch
WO2018144707A1 (en) 2017-02-01 2018-08-09 24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afety features in electrochemical cells
WO2019027901A1 (en) * 2017-07-31 2019-02-07 24M Technologies, Inc. CURRENT INTERRUPTING DEVICES USING SHAPE MEMORY MATERIALS
US10854869B2 (en) 2017-08-17 2020-12-01 24M Technologies, Inc. Short-circuit protection of battery cells using fuses
CN107611926B (zh) * 2017-09-15 2020-1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过载保护装置、方法、存储介质、压缩机及电器
US11509159B2 (en) * 2019-08-28 2022-1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cutoff protection device control from an external compon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3570A (en) * 1978-02-02 1979-08-15 Susumu Ubukata Closed thermoswitch
JPH10144189A (ja) * 1996-11-08 1998-05-29 Ubukata Seisakusho:Kk 熱応動スイッチ
JP2006031955A (ja) * 2004-07-12 2006-02-02 Alps Electric Co Ltd 熱応動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9540A (en) * 1936-01-27 1941-04-22 Metals & Controis Corp Thermostatic control
US2280550A (en) * 1939-08-12 1942-04-21 Gen Electric Thermal switch
US2284103A (en) * 1939-09-20 1942-05-26 Gen Electric Thermal switch
US2667553A (en) * 1951-09-25 1954-01-26 Metals & Controls Corp Hermetically sealed thermostat
US3140370A (en) * 1960-03-17 1964-07-07 Texas Instruments Inc Sealed thermally responsive switching device
US3278706A (en) * 1964-11-23 1966-10-11 Sylvania Electric Prod Encapsulated thermostatic switch with shunt
JPS5526697B2 (ko) * 1973-07-05 1980-07-15
JPS523193A (en) * 1975-06-24 1977-01-11 Sumitomo Electric Ind Ltd Electric contact material
US4114127A (en) * 1976-09-30 1978-09-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urrent interrupting apparatus
US4167721A (en) * 1977-09-15 1979-09-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rmetic motor protector
US4287499A (en) * 1978-12-29 1981-09-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urrent interrup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ontact life
US4376926A (en) * 1979-06-27 1983-03-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or protector calibratable by housing deformation having improved sealing and compactness
DE3027304C2 (de) * 1980-07-18 1982-09-30 Sds-Elektro Gmbh, 8024 Deisenhofen Elektrischer Mehrlagenkontakt
US4426560A (en) * 1980-11-13 1984-01-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duced pressure electrical switch
US4476452A (en) * 1982-09-27 1984-10-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or protector
DE3402372A1 (de) * 1984-01-25 1985-08-01 Doduco KG Dr. Eugen Dürrwächter, 7530 Pforzheim Elektrisches schaltelement
US4555686A (en) * 1984-05-29 1985-11-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nap-acting thermostatic switch assembly
JPH0760626B2 (ja) * 1986-05-02 1995-06-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サ−マルプロテクタ
CN1003147B (zh) * 1986-05-05 1989-01-25 中山大学 手动复位单程速动限温器
JPH0831300B2 (ja) * 1987-10-07 1996-03-27 生方 眞哉 三相用サーマルプロテクタ
US4846901A (en) * 1987-12-07 1989-07-11 Engelhard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improved silver-tin-indium contact material
US4789762A (en) * 1988-02-09 1988-12-06 Aerodyne Controls Corporation Miniature multiplanar acceleration switch
JP2519530B2 (ja) 1989-03-01 1996-07-31 生方 眞哉 熱応動スイッチ
JP2519549B2 (ja) * 1989-12-26 1996-07-31 生方 眞哉 熱応動開閉器
JP2519560B2 (ja) * 1990-02-14 1996-07-31 生方 眞哉 感熱スイッチ
US5221914A (en) * 1991-04-03 1993-06-22 Ubukata Industries, Co., Ltd. Thermally responsive switch
US5607522A (en) * 1991-12-19 1997-03-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electrical contact material
JP3298662B2 (ja) * 1992-05-21 2002-07-02 株式会社生方製作所 熱応動素子の取付機構及びその取付方法
US5212465A (en) * 1992-08-12 1993-05-18 Ubukata Industries Co., Ltd. Three-phase thermal protector
US5600109A (en) * 1993-10-01 1997-02-04 Ubukata Industries Co., Ltd. Acceleration responsive switc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837951A (en) * 1992-09-16 1998-11-17 Ubukata Industries Co., Ltd. Inertia switching device, acceleration responsiv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cceleration responsive device
US5515217A (en) * 1993-09-22 1996-05-07 Ubukata Industries Co., Ltd. Thermal protector for hermetic electrically-driven compressors
JP2636762B2 (ja) * 1994-12-09 1997-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磁リレー
US5825278A (en) * 1996-09-27 1998-10-20 Therm-O-Disc, Incorporated Thermal pellet cutoff switch
JP4279367B2 (ja) * 1997-10-08 2009-06-17 株式会社生方製作所 感熱スイッチ
GB2331184B (en) * 1997-11-06 1999-09-22 Ubukata Ind Co Ltd Thermally responsive switch
US6084193A (en) * 1998-10-07 2000-07-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lectrical circuit interruption device having improved arc extinguishing apparatus including an arc paddle
US6542062B1 (en) * 1999-06-11 2003-04-01 Tecumseh Products Company Overload protector with control element
US6424097B1 (en) * 2000-05-12 2002-07-23 Infocus Corporation Projection lamp safety interlock apparatus and method
US6674620B2 (en) * 2000-12-04 2004-01-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rmetic single phase motor protector
JP2002352685A (ja) 2001-05-22 2002-12-06 Ubukata Industries Co Ltd サーマルプロテクタ
US20040023253A1 (en) * 2001-06-11 2004-02-05 Sandeep Kunwar Device structure for closely spaced electrodes
JP2003059379A (ja) 2001-08-21 2003-02-28 Ubukata Industries Co Ltd 熱応動開閉器
US6770828B2 (en) * 2001-09-24 2004-08-03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contacts and connections in switches and relays
JP4089252B2 (ja) * 2002-03-11 2008-05-28 オムロン株式会社 直流負荷用接点構成および該構成を有した開閉器
CN1288687C (zh) * 2002-05-07 2006-12-06 株式会社生方制作所 热保护器
JP2003338238A (ja) 2002-05-21 2003-11-28 Ubukata Industries Co Ltd 電動機保護装置
US7030325B2 (en) * 2002-12-16 2006-04-18 Trw Automotive U.S. Llc Electrical switch assembly
JP2004332593A (ja) 2003-05-06 2004-11-25 Ubukata Industries Co Ltd 電動圧力機器用保護装置
US6891464B2 (en) * 2003-06-30 2005-05-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al switch striker pin
JP2005240596A (ja) 2004-02-24 2005-09-08 Ubukata Industries Co Ltd 電動圧縮機用保護装置
JP2005268058A (ja) 2004-03-18 2005-09-29 Ubukata Industries Co Ltd 熱応動開閉器
BRPI0716646B1 (pt) * 2006-08-10 2018-07-31 Ubukata Industries Co., Ltd. Comutador de resposta térmic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3570A (en) * 1978-02-02 1979-08-15 Susumu Ubukata Closed thermoswitch
JPH10144189A (ja) * 1996-11-08 1998-05-29 Ubukata Seisakusho:Kk 熱応動スイッチ
JP2006031955A (ja) * 2004-07-12 2006-02-02 Alps Electric Co Ltd 熱応動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01802A (zh) 2009-08-05
EP2051274A4 (en) 2012-06-20
US20090315666A1 (en) 2009-12-24
EP2051274A1 (en) 2009-04-22
RU2394299C1 (ru) 2010-07-10
EP2051274B1 (en) 2016-01-27
JPWO2008018516A1 (ja) 2010-01-07
BRPI0715399B1 (pt) 2019-02-19
MY158650A (en) 2016-10-31
MX2009001484A (es) 2009-06-02
US8902038B2 (en) 2014-12-02
CA2660140C (en) 2016-01-19
BRPI0715399A2 (pt) 2013-06-25
JP5001279B2 (ja) 2012-08-15
CA2660140A1 (en) 2008-02-14
WO2008018516A1 (en) 2008-02-14
KR20090048609A (ko) 2009-05-14
CN101501802B (zh)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724B1 (ko) 열응동 개폐기
KR101117885B1 (ko) 열응동 개폐기
KR101053738B1 (ko) 열응동 개폐기
JPH10144189A (ja) 熱応動スイッチ
KR101748677B1 (ko) 열응동 개폐기 및 그 제조방법
JP5001278B2 (ja) 熱応動開閉器
RU2439735C1 (ru) Термочувствитель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JPH07147121A (ja) 密閉形ヒューズ付プロテクタ
JPH0547278A (ja) 熱応動スイツチ
JPS63174234A (ja) 密閉形二重安全機構付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