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609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09B1
KR101053609B1 KR1020040099245A KR20040099245A KR101053609B1 KR 101053609 B1 KR101053609 B1 KR 101053609B1 KR 1020040099245 A KR1020040099245 A KR 1020040099245A KR 20040099245 A KR20040099245 A KR 20040099245A KR 101053609 B1 KR101053609 B1 KR 10105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finger
dishwasher
he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753A (ko
Inventor
손로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height of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랙 높이 조절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터브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바아가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고, 식기를 수용하는 랙(20);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랙의 양측면부에 설치되고, 가압됨에 따라 상기 랙을 소정 높이 하강시키는 랙 높이 조절장치(100); 그리고, 상기 랙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의 상대적인 승강구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를 잡고 랙을 하강시킬 때에 상기 랙과 랙 높이 조절장치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식기세척기, 랙, 랙 높이 조절장치, 손가락 끼임 방지부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랙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랙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
도 6은 도 1의 랙 높이 조절장치에서 핸들을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랙의 높이가 하향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식기세척기 본체 20 : 랙
30 : 가이드레일 100 : 랙 높이 조절장치
101 : 가이드브라켓 102 : 롤러
103 : 가이드편 105 : 관통공
107 : 핸들 가이드홈 109 : 스토퍼
110 : 록킹부재 112 : 경사부
113 : 힌지핀 115 : 압축코일스프링
116 : 지지부 117 : 경사면
120 : 핸들 121 : 회전축
123 : 작동부 125 : 가이드리브
140 : 홀더 200,300,400 : 손가락 끼임 방지부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랙 높이 조절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에는 세척될 식기가 놓여지는 랙(rack)이 본체의 상부 및 하부로 배치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랙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본체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랙은 세척수가 식기에 분사되고 세척수가 하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수직 그릴과 수평 그릴이 교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랙은 놓여지는 식기의 크기에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작은 크기의 식기를 세척코자 할 경우에는 랙의 높이를 높여서 사용하고, 큰 크기의 식기를 세척코자 할 경우에는 랙의 높이를 낮춰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랙의 높이 조절은 랙의 양측에 설치된 랙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이루진다. 가령, 랙 높이 조절장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가이드레 일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랙을 본체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손으로 랙 높이 조절장치를 조작하면, 걸림부와 랙 간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랙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식기 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랙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랙만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랙이 하강할 때에, 상기 랙의 수평 레일과 랙 높이 조절장치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랙 높이 조절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브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바아가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고, 식기를 수용하는 랙;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랙의 양측면부에 설치되고, 가압됨에 따라 상기 랙을 소정 높이 하강시키는 랙 높이 조절장치; 그리고, 상기 랙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의 상대적인 승강구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를 잡고 랙을 하강시킬 때에 상기 랙과 랙 높이 조절장치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부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크기의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부는 판상 패널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부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의 수직 바아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랙 높이 조절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높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터브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랙(20)과,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랙의 양측면부에 설치되는 랙 높이 조절장치(100)와,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를 잡고 랙을 하강시킬 때에 상기 랙과 랙 높이 조절장치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터브의 양측 벽면에는 가이드 레일(30)이 설치된다. 상기 랙은 랙 높이 조절장치(100)를 매개로 하여 인출됨과 아울러 지지된다. 이때, 상기 랙(20)은 세척수가 쉽게 유통될 수 있도록 여러개의 강체로 된 바아(21)들이 서로 직교하는 그물망 형태의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100)는 랙(20)의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랙 높이 조절장치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부(200)는 도 1과 같이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크기의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그물코의 치수는 대략 10mm×10mm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그물코의 치수는 어린이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부(300)는 도 2와 같이 판상 패널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부(400)는 도 3과 같이 수직 바아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 바아들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든지 또는 손가락이 삽입되지 못할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든지 상관없다. 이는 수직 바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인 상태에서 상기 랙이 하강하더라도 수평 바아가 없기 때문에 손가락이 손상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손가락 끼임 방지부의 형태만 다를 뿐, 랙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 및 설치 구조는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랙 높이 조절장치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랙 높이 조절 장치(100)는, 랙(20)의 양측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어셈블리와,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에 외측으로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랙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에 구속하는 록킹부재(110)와, 상기 록킹부재와 연동하여 설치되어 가압됨에 따라 록킹부재를 선회시키는 핸들(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 근처에 손가락 끼임 방지부(2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핸들의 하단을 감싸쥘 때에 사용자의 검지, 중지 등의 손가락이 랙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롤러(10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가이드 브라켓(101)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상하로 이동을 안내하고 구속하는 수직 가이드 바아(23)와 수평 가이드 바아(24)로 구성된다.
이때, 랙(20)의 양측면에 대략 'ㄱ'자형의 2개의 수직 가이드바아(23)가 일정 간격 떨어져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부착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바아(23) 간의 사이에 수평 가이드바아(24)가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01)의 양단부에는 상기 수직 가이드 바아(23)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편(10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103)은 대략 반원형으로 밴딩(bending)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가이드편은 수직 가이드 바아(23)의 외주부를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며 수직 가이드바아(2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브라켓(101)의 상측 중앙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관통공(10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록킹부재가 힌지핀(113 : 도 5 참조)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101)의 하단부 중앙에는 랙(20)을 하향 조정시 상기 수평 가이드바아(24)가 걸려서 지지되는 스토퍼(109)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 다.
상기 록킹부재(110)의 힌지핀(113)은 양단이 상기 관통공(105)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편(106)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록킹부재(110)는 일단부에 상기 관통공(105)을 통해 랙(20)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바아(24)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1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재(11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핀(113)에서부터 상기 지지부(116)의 반대편 끝단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작아지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110)는 상기 경사부(112)의 끝단부가 압축 스프링(11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된다. 이러한 압축 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록킹부재(110)가 선회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고, 지지부(116) 상에 랙(20)이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의 지지부(116)는 상단부는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랙(20)의 수평 가이드바아(24)가 이 면에 얹혀져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는 경사진 경사면(117)으로 형성되어 이 경사면(117)이 하측에서부터 어떤 물체와 접촉되었을 때 록킹부재(110)가 자연스럽게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브라켓(101)의 외측면에는 상기 록킹부재(110)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도록 된 핸들(120)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120)은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 손잡이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101)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핸들 가이드홈(107)에 삽입되는 'L'자형 가이드리브(125)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리브(125)는 핸들의 선회시 상기 핸들 가이드홈(107)을 따라 이동하며 핸들의 선회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선회 범위를 제한하고, 핸들(120)을 가이드 브라켓(101) 상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핸들(120)의 내측부에 상기 록킹부재(110)의 지지부(116)의 하측에 연접하는 작동부(1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작동부(123)는 핸들(120)의 상향 선회시 상기 지지부(116)의 경사면(117)과 접촉하며 록킹부재(110)를 선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123)도 상기 지지부(116)의 경사면(117)과 대응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핸들(120)의 선회시 작동부(123)가 지지부(116)의 경사면(117) 하측에서부터 원활하게 접촉하며 상승하여 록킹부재(110)를 선회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브라켓(101)의 가이드편(103)에 의해 지지되는 랙(20)의 수직 가이드바아(23)의 하단부에는 가이드편(103)이 수직 가이드바아(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더(140)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랙 높이 조절장치와 손가락 끼임 방지부의 작용에 관해 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랙의 높이가 상향 조정된 상태에서 큰 크기의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랙을 하향 조정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는 그의 지지부(116) 상단에 랙(20)의 수평 가 이드바아(24)가 얹혀져 지지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랙(20)의 전방부를 잡고 본체(10) 외부로 당기면 상기 가이드브라켓(101)에 장착된 롤러(102)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하여 랙(20)이 본체 외부로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핸들(120)을 위쪽으로 당기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핸들(120)이 그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부(123)의 경사면과 지지부(116)의 경사면(117)이 접촉하면서 록킹부재(110)가 힌지핀(113)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지지부(116)가 관통공(105)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16)가 랙(20)의 수평 가이드바아(24)로부터 이탈되어 랙(20)의 수평 가이드바아(24)가 자유로운 상태로 되고, 랙(20)은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랙(20)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랙(20)의 수평 가이드바아(24)의 절곡된 부분이 가이드브라켓(101) 하단의 스토퍼(109)에 걸려 지지되면서 랙(20)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랙 높이의 하향 조절을 위해 핸들(120)을 선회시키는 동작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은 손가락 끼임 방지부에 의해 랙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다. 도 3과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랙에 삽입되더라도 수평 바아가 없기 때문에 손가락 손상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랙의 수평 바와아 핸들의 하단부에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랙(20)이 하강된 상태에서 랙(20)의 높이를 상향코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핸들(120)을 조작할 필요없이 랙(20)의 양측을 손으로 잡아 끌어올리면, 랙(20)의 수평 가이드바아(24)가 랙 높이 조절장치의 지지부(116)의 경사면(117)을 지나며 록킹부재(110)를 자연스럽게 선회시키게 된다.
이어서, 랙(20)의 수평 가이드바아(24)가 지지부(116)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지지부(116)가 압축코일스프링(115)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다시 관통공(105)을 통해 랙(20)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랙(20)을 살짝 놓으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랙(20)의 수평 가이드바아(24)가 지지부(116)의 상단에 걸리면서 안착되어 랙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랙의 높이 조절시 랙의 이동을 안내하고 랙을 소정 높이에서 위치시키기 위하여 수직 및 수평 가이드바아(24)를 랙의 양측부에 별도로 설치하였으나, 이와는 다르게 랙의 양측면에 위치된 수직한 바아 및 수평한 바아를 적절히 변형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손가락 끼임 방지부가 랙 높이 조절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랙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터브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바아가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고, 식기를 수용하는 랙;
    상기 랙을 지지하도록 상기 랙의 양측면부에 설치되고, 가압됨에 따라 상기 랙을 소정 높이 하강시키는 랙 높이 조절장치; 그리고,
    상기 랙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의 상대적인 승강구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랙 높이 조절장치를 잡고 랙을 하강시킬 때에 상기 랙과 랙 높이 조절장치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부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크기의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부는 판상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부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의 수직 바아만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40099245A 2004-11-30 2004-11-30 식기세척기 KR101053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245A KR101053609B1 (ko) 2004-11-30 2004-11-30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245A KR101053609B1 (ko) 2004-11-30 2004-11-3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753A KR20060060753A (ko) 2006-06-05
KR101053609B1 true KR101053609B1 (ko) 2011-08-03

Family

ID=3715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245A KR101053609B1 (ko) 2004-11-30 2004-11-3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378A (ko) * 2000-12-05 2002-06-15 김이엽 오갈피, 매실, 불로초(영지)와 망초를 이용한 건강식품의제조
US9579009B2 (en) 2013-02-04 2017-02-2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dish r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63B1 (ko) * 2007-07-30 2008-07-16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랙 높이조절장치
KR101366286B1 (ko) * 2007-12-12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448Y1 (ko) * 1986-11-27 1989-04-22 주식회사금성사 식기세척기의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19990000258A (ko) * 1997-06-04 1999-01-15 구자홍 식기 세척기의 식기바구니 높이조절장치
KR100246395B1 (ko) 1997-08-20 2000-05-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식기바구니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448Y1 (ko) * 1986-11-27 1989-04-22 주식회사금성사 식기세척기의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19990000258A (ko) * 1997-06-04 1999-01-15 구자홍 식기 세척기의 식기바구니 높이조절장치
KR100246395B1 (ko) 1997-08-20 2000-05-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식기바구니높이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378A (ko) * 2000-12-05 2002-06-15 김이엽 오갈피, 매실, 불로초(영지)와 망초를 이용한 건강식품의제조
US9579009B2 (en) 2013-02-04 2017-02-2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dish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753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563B1 (ko) 식기세척기의 랙(rack) 높이 조절장치
KR100798776B1 (ko) 식기바구니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EP2242415B1 (en) Height adjustable rack for a dishwasher
EP2818092B1 (en) Dishwasher
US8104628B2 (en) Dishwasher rack having slidably coupled tine holder and tine rack
US20040163687A1 (en) Dishwasher
US7424893B2 (en) Dishwasher
EP2888987B1 (en)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KR101053609B1 (ko) 식기세척기
KR20090007094A (ko) 식기세척기용 수납바구니의 높이조절장치
KR20080044078A (ko) 식기세척기의 랙
KR100883468B1 (ko) 변좌 장치
KR20230067345A (ko) 식기세척기
KR10256187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54403B1 (ko) 식기 세척기의 선반 설치 구조
JPS6379629A (ja) 食器洗浄機のフ−ド昇降装置
KR10241332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067344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JPH0866347A (ja) 食器洗浄機用テーブル
KR101192196B1 (ko) 식기세척기의 식기 고정장치
KR20060095353A (ko) 식기세척기
KR200342392Y1 (ko) 다림질 받침대
KR101182455B1 (ko) 식기 세척기
KR20230063760A (ko) 식기세척기
KR100688189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