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760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760A
KR20230063760A KR1020210149161A KR20210149161A KR20230063760A KR 20230063760 A KR20230063760 A KR 20230063760A KR 1020210149161 A KR1020210149161 A KR 1020210149161A KR 20210149161 A KR20210149161 A KR 20210149161A KR 20230063760 A KR20230063760 A KR 20230063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upporter
holder
protrusion
wash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원
최용진
박동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760A/ko
Priority to EP22204610.4A priority patent/EP4173544A1/en
Priority to US17/979,293 priority patent/US20230138170A1/en
Publication of KR2023006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는, 복수의 가로바와 복수의 세로바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결합하고 중공부가 형성되는 서포터부, 및 서포터부에 장착되고, 서포터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홀더부는, 서포터부를 가압하여 서포터부에 대하여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필터에 의해 걸러내어 사용된 세척수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고, 세척수에 세제를 풀어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히터에 의해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스팀을 발생시켜 세척 수행의 효율을 높이는 식기세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식기세척기에는 세척공간인 세척조가 구비되고, 세척조에 장착 및 세척조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의 종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수납부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 수납부는 세척조의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은 미국등록특허 US 9265404 B2에 개시된다.
수납부는 비교적 좁은 공간에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무게를 가진 식기, 조리도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수납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활용도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부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진 각종의 식기들을 다양한 자세로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부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수납부에 구비되는 회전타인을 회전시켜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수납부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타인이 형성되는 회전부가 하중을 받아 휘어져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수납부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수납부는 베이스, 서포터부 및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복수의 가로바와 복수의 세로바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로바와 세로바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납부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수납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결합하여 프레임과 함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터부는 베이스에 결합하고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에는 홀더부가 장착되고, 서포터부는 홀더부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부는 베이스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는 서포터부에 장착되고, 서포터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력을 가함으로써, 홀더부는 서포터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홀더부는 서포터부를 가압하여 서포터부에 대하여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홀더부는 수납부에서 누운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홀더부는 회전부 및 회전타인(tin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인은 돌출된 구조물로 식기를 거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회전부는 중공부에 배치되고, 서포터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는 서포터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타인은 회전부로부터 회전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홀더부는 제1홀더 및 제2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는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는 제1홀더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부는 제1서포터 및 제2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서포터는 제1홀더가 장착되고,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서포터는 제2홀더가 장착되고, 길이방향이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는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회전타인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회전부의 회전축방향으로 회전타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부에는 회전부가 서포터부에 장착되거나 서포터부로부터 탈거되는 경우에 회전부가 출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를 서포터부에 착탈함으로써, 홀더부와 서포터부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회전부는 회전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부로부터 돌출되고, 중공부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돌출부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는 회전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는 회전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회전부의 원주방향으로 제1돌출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타인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회전타인은 회전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제1돌출부는 각각의 회전타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부는 각각의 회전타인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회전타인이 세워진 자세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의 개수가 과도하게 많으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편리한 감정, 회전타인이 세워진 자세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정도를 적절히 고려하여,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서포터부는 제1지지부, 제2지지부 및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는 중공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회전타인이 세워진 상태에서 내측면이 제1돌출부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다. 제2지지부는 중공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회전타인이 세워진 상태에서 내측면이 제2돌출부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다.
받침부는 양단이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각각 연결되고, 회전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회전부를 지지할 수 있다.
회전부는 양단이 서포터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회전타인이 식기에 의해 하중을 받는 경우에 회전부가 휘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회전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부는 회전부의 하중을 지지하여 회전부가 휘어져 상기 회전부가 서포터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서포터부는 제1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서포터부에 장착되는 식기와 제1지지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는 제1곡면부 및 제2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곡면부는 제1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부의 원주방향으로 반경이 완만하게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곡면부는 제1돌출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회전부의 원주방향으로 반경이 제1곡면부보다 급격하게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곡면부의 곡률보다 상기 제2곡면부의 곡률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돌출부는 단부에 형성되고, 중공부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회전타인이 길이방향으로 수납부의 측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는 회전타인이 길이방향으로 수납부의 측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세워진 상태에서는 서포터부를 가압할 수 있다.
회전타인이 길이방향으로 수납부의 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누운 상태에서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서포터부를 가압하는 것이 해제될 수 있다.
회전타인은 제1회전타인 및 제2회전타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타인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홀더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회전타인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홀더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회전타인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타인의 길이가 제2회전타인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는, 복수의 가로바와 복수의 세로바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결합하고 중공부가 형성되는 서포터부, 및 서포터부에 장착되고, 서포터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홀더부는, 서포터부를 가압하여 서포터부에 대하여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식기세척기에서, 홀더부에 의해 식기가 다양한 자세를 취하면서 수납부에 수납되므로, 사용자는 각 식기의 구조, 크기, 이물이 부착된 위치에 따라 식기를 수납부에 다양하게 거치할 수 있으므로, 수납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수납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식기세척기에서, 사용자는 회전타인을 세우거나 눕힘으로써, 식기의 크기, 형상 및 이물이 묻은 위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기세척기가 세척에 가장 알맞은 자세로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식기세척기에서, 회전타인은 길이가 서로 다른 제1회전타인과 제2회전타인이 서로 교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칼과 같은 사용자의 부상을 가져올 수 있는 식기도 수납부에 안전하게 수납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제1홀더가 서포터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회전타인이 회전하여 누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방향"은 식기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외형을 하는 케이스(120)와,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식기 등의 세척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며 식기가 수용되고 전면이 개방되는 세척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조(130)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도어(122)와,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조(1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 등의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다수의 수납부(150, 160, 200)와, 각 수납부(150, 160, 200)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며 식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납부(150, 160, 200)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어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식기세척기(100)의 구조 중 세척조(130), 구동부(140), 각 분사부의 경우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다수의 수납부(150, 160, 200)는 세척조(130)의 내부에서 세척조(130)의 개방측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각 수납부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식기가 수납되는 제1수납부(150)와, 제1수납부(150) 상측에 위치하고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되는 제2수납부(160)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식기 등이 수납되는 제3수납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는 각 수납부(150, 160, 20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각 분사부(132, 133, 134)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수납부(15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134)와, 제1수납부(150)와 제2수납부(16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2수납부(150, 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부(133)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3수납부(200) 또는 제2수납부(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분사부(132)를 포함한다.
다만, 탑 분사부(132)는 식기세척기(100)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세척조(130)의 양측벽에는 제1, 2, 3수납부(150, 160, 20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3수납부(20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장치(1310)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어(122)는 상술한 세척조(130)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122)는 통상적으로 개방면 하부에 도어(122)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가 구비되며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122)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122)의 외측면에는 도어(122)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124) 및 식기세척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23)이 구비된다. 도어(122)의 내측면은 도어(122)의 폐쇄시 세척조(13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122)의 개방시 제1수납부(15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122)가 개방될 경우 도어(122)의 안착면은 제1수납부(150)가 안내되는 상기 안내부에 연장되는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의 수납부의 구조와 이에 관련된 구조는 이하에서는 제3수납부(200)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3수납부(200)의 구조와 이에 관련된 구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제3수납부(200)를 수납부(200)로 지칭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200)의 사시도이다. 수납부(200)는 제1영역(201)과 제2영역(20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역(201)에는 서포터부(220)와 홀더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220)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타인(23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202)은 상기 제1영역(201)과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02)에는 회전하지 않는 고정타인(240)이 배치될 수 있다. 회전타인(232)과 고정타인(240)은 수납부(200)에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거치하기 위해, 수납부(20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타인(232)과 고정타인(240)에는 식기가 걸리거나, 하중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식기가 놓여질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타인(232)과 고정타인(240)을 적절히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다양한 자세로 수납부(200)에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제1영역(201)에는 트레이(200a)가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200a)는 수납부(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a)는 수납부(200)에서 소정의 범위를 가지고 승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200a)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트레이(200a)에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다양한 자세로 수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구조가 트레이(200a)에 배치된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조는 제1영역(201)의 트레이(200a)뿐만 아니라 제2영역(202)에도 채용이 가능한 구조임을 밝힌다.
수납부(200)는 베이스(210), 서포터부(220) 및 홀더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제1영역(201)의 트레이(200a)와 제2영역(202)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10)는 복수의 가로바와 복수의 세로바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로바와 세로바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납부(200)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수납부(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과 함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터부(220)는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하고 중공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221)에는 홀더부(230)가 장착되고, 서포터부(220)는 홀더부(23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부(220)는 상기 베이스(2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220)는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부(230)는 상기 서포터부(220)에 장착되고, 상기 서포터부(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력을 가함으로써, 홀더부(230)는 상기 서포터부(2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230)는 상기 서포터부(220)를 가압하여 상기 서포터부(220)에 대하여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홀더부(230)는 수납부(200)에서 누운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홀더부(230)가 누운 상태는 홀더부(230)에 구비되는 회전타인(232)의 길이방향이 수납부(200)의 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고, 홀더부(230)가 세워진 상태는 상기 회전타인(232)의 길이방향이 수납부(200)의 측방향과 교차하게 배치되는, 다시 말하면 수납부(200)의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홀더부(230)가 이러한 각각의 자세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식기가 상기 홀더부(230)에 거치되면, 식기는 다양한 자세로 수납부(200)에 수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홀더부(230)에 의해 식기가 다양한 자세를 취하면서 수납부(200)에 수납되므로, 사용자는 각 식기의 구조, 크기, 이물이 부착된 위치에 따라 식기를 수납부(200)에 다양하게 거치할 수 있으므로, 수납부(2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수납부(200)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200a)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200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200a)의 평면도이다.
홀더부(230)는 회전부(231) 및 회전타인(232)(tin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인은 돌출된 구조물로 식기를 거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회전부(231)는 상기 중공부(221)에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부(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31)는 상기 서포터부(22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231)는 양단이 상기 서포터부(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서포터부(2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231)는 길이방향이 자신이 회전하는 회전축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31)로부터 상기 회전부(23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란 길이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231)의 길이방향과 회전타인(232)이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직교하거나, 예각 또는 둔각 중 어느 각도를 이룰 수 있다.
회전타인(232)은 상기 회전부(23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231)와 회전타인(232)은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타인(232)은 식기가 놓이고 상기 식기를 지지함으로써, 수납부(200)에 식기를 수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홀더부(230)는 제1홀더(230a) 및 제2홀더(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230a)는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230b)는 상기 제1홀더(230a)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홀더(230a)의 길이가 상기 제2홀더(230b)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서포터부(220)는 제1서포터(220a) 및 제2서포터(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서포터(220a)는 상기 제1홀더(230a)가 장착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서포터(220a)의 길이는 제1홀더(230a)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서포터(220b)는 상기 제2홀더(230b)가 장착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서포터(220b)의 길이는 제2홀더(230b)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홀더(230a)는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타인(232)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231)의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회전타인(232)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230a-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230a)는 비교적 길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회전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홀더(230a)의 단부에 손잡이부(230a-1)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230a-1)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상기 제1홀더(23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230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홀더(230a) 각각은, 서로 길이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230b)도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2홀더(230b) 각각은, 서로 길이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230a)와 제2홀더(230b)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분리되어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홀더(230a)와 제2홀더(230b)의 일부는 회전타인(232)을 세우 상태로, 나머지는 회전타인(232)을 눕힌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복수로 구비되는 제1홀더(230a) 및 제2홀더(230b)에 대응하여, 상기 제1서포터(220a)와 제2서포터(220b)는 각각 상기 제1홀더(230a) 및 제2홀더(230b)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서포터(220a)와 제22서포터는 복수의 상기 제1홀더(230a) 및 제2홀더(230b)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홀더(230a)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부(220)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제1홀더(230a)가 서포터부(22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서포터부(220)에는 상기 회전부(231)가 상기 서포터부(220)에 장착되거나 상기 서포터부(220)로부터 탈거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231)가 출입하는 개구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231)를 서포터부(220)에 착탈함으로써, 홀더부(230)와 서포터부(220)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회전부(231)는 서포터부(220)의 개구부(222)를 통해 출입하여 상기 서포터부(220)에 착탈될 수 있다. 서포터부(220)에 홀더부(230)가 장착된 상태에서 홀더부(230)의 회전부(231)는 서포터부(220)의 중공부(221)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231)는 상기 회전부(23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231)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중공부(221)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출부(23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돌출부(2311)가 중공부(221)의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홀더부(230)의 회전타인(232)은 수납부(200)에 대하여 누운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압돌출부(2311)는 제1돌출부(2311a) 및 제2돌출부(2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2311a)는 회전부(23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2311b)는 회전부(23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231)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돌출부(2311a)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타인(232)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회전타인(232)은 상기 회전부(23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311a)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돌출부(2311a)는 각각의 상기 회전타인(2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311b)는 각각의 상기 회전타인(232)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부(2311b)는 상기 회전부(231)에서 제1돌출부(2311a)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제1돌출부(2311a)의 개수에 따라 회전부(231)가 홀더부(230)에 가하는 가압력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제1돌출부(2311a)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홀더부(23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돌출부(2311b)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홀더부(23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력은 사용자가 홀더부(230)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 홀더부(230)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출부(2311a) 및 제2돌출부(2311b)의 개수에 따라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가 홀더부(230)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 가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수납부(200)를 사용하는데 느끼는 감정 예를 들어 사용이 편리하거나 또는 불편하다는 감정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1돌출부(2311a) 및 제2돌출부(2311b)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자세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돌출부(2311a) 및 제2돌출부(2311b)의 개수가 과도하게 많으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편리한 감정,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자세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정도를 적절히 고려하여, 상기 제1돌출부(2311a) 및 제2돌출부(2311b)의 개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서포터부(220)는 제1지지부(223), 제2지지부(224) 및 받침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223)는 상기 중공부(221)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에서 내측면이 상기 제1돌출부(2311a)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다. 제2지지부(224)는 상기 중공부(221)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에서 내측면이 상기 제2돌출부(2311b)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다.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제1돌출부(2311a)와 제2돌출부(2311b)가 각각 제1지지부(223)와 제2지지부(224)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회전타인(232)이 분사된 세척수 기타의 의도되지 않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세워진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부(225)는 양단이 상기 제1지지부(223)와 상기 제2지지부(224)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2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31)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부(225)는 중공부(221)의 하부 일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231)는 양단이 서포터부(2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회전타인(232)이 식기에 의해 하중을 받는 경우에 회전부(231)가 휘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회전부(231)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부는 회전부(231)의 하중을 지지하여 회전부(231)가 휘어져 상기 회전부(231)가 서포터부(2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서포터부(220)는 상기 제1지지부(22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부(220)에 장착되는 식기와 상기 제1지지부(223)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지지돌기(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26)는 이웃하는 회전타인(232) 사이에 상기 제1지지부(223)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트러리(cutlery)와 같은 작은 식기는 이웃하는 회전타인(232) 사이의 제1지지부(223)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223) 상에 지지돌기(226)를 형성함으로써, 식기와 제1지지부(223)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비교적 좁은 공간인 이웃하는 회전타인(232) 사이에도 세척수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타인(232)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쌓이는 것을 억제하고, 수납된 식기를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회전타인(232)이 회전하여 누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하나의 홀더부(230)를 구성하는 회전타인(232)들이 모두 누운 상태이므로,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다른 홀더부(230)의 손잡이가 보이도록 도시되었다.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회전타인(232)을 누운 상태에서 세워진 상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회전타인(232)의 자세를 변경하는 경우, 홀더부(230)와 서포터부(220)는 탄성변형하고, 이에 따라 홀더부(230)는 서포터부(220)에 대하여 회전하여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223)에는 제1돌출부(2311a)와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홈(223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에서 제1돌출부(2311a)는 상기 끼움홈(2231)에 끼워질 수 있다.
제1돌출부(2311a)는 제1곡면부(2311a-1) 및 제2곡면부(2311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곡면부(2311a-1)는 제1돌출부(2311a)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231)의 원주방향으로 반경이 완만하게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곡면부(2311a-2)는 제1돌출부(2311a)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231)의 원주방향으로 반경이 상기 제1곡면부(2311a-1)보다 급격하게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곡면부2311a-1)의 곡률보다 상기 제2곡면부(2311a-2)의 곡률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1곡면부(2311a-1)와 제2곡면부(2311a-2)는 제1돌출부(2311a)의 단면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에서, 제1곡면부(2311a-1)는 제1지지부(223)에서 중공부(221)의 내측면과 넓은 범위에서 접촉하여 상기 중공부(221)의 내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도 11에서 회전타인(23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세워진 상태에서 누운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에서 누운 상태로 변경되려면 사용자가 설정된 값 이상의 외력을 가해야 한다.
그러나, 회전타인(232)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충격을 받거나, 기타 의도되지 않은 힘에 의해 세워진 상태에서 누운 상태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의도되지 않은 회전타인(232)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 제2곡면부(2311a-2)는 원주방향으로 반경이 상기 제1곡면부(2311a-1)보다 급격하게 증가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따라 설정된 값 이상의 외력에만 회전타인(232)이 누울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의도되지 않은 힘에 의해 회전타인(232)이 눕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제2곡면부(2311a-2)는 의도되지 않은 힘에 의해 회전타인(23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눕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에서, 제1돌출부(2311a)와 제1곡면부(2311a-1)는 제1지지부(223)의 내측벽에 밀착된 상태에 있다. 이는 제1지지부(223)의 내측벽의 단면은 제1돌출부(2311a)와 제1곡면부(2311a-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기 때문이다.
이때, 회전타인(232)에 시계 방향으로 의도되지 않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돌출부(2311a)와 제1곡면부(2311a-1)는 제1지지부(223)의 내측벽에 가로막혀 더이상 회전할 수 없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의도되지 않은 힘에 의해 회전타인(23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상기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돌출부(2311b)는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221)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타인(232)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납부(200)의 측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평면부(2311b-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면부(2311b-1)는 제2돌출부(2311b)의 단부에 모따기 부위을 마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돌출부(2311b)는 회전부(231)의 표면에서 상기 회전부(23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돌출부(2311b)의 길이는 상기 회전부(231)의 반경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2311b-1)는 제2돌출부(2311b)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면부(2311b-1)는 상기 회전부(231)의 반경범위를 벗어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경우, 상기 제2지지부(224)의 상면이 상기 평면부(2311b-1)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231)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전타인(232)이 누운 경우, 상기 제2지지부(224)와 상기 평면부(2311b-1)는 서로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타인(232)이 세워지면, 평면부(2311b-1)는 제2지지부(224)에서 중공부(221)의 내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평면부(2311b-1)로 인해 제2돌출부(2311b)는 중공부(221)의 내측면과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돌출부(2311b)와 중공부(221)의 내측면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평면부(2311b-1)로 인해 제2돌출부(2311b)는 중공부(221)의 내측면을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가압함으로써,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311a) 및 상기 제2돌출부(2311b)는 상기 회전타인(232)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납부(200)의 측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서포터부(220)를 가압할 수 있다.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에서, 제1돌출부(2311a)는 서포터부(220)의 제1지지부(223)에 형성된 끼움홈(2231)에 끼워져 상기 제1지지부(223)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2돌출부(2311b)는 서포터부(220)의 제2지지부(224)를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다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회전타인(232)이 세워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홀더부(230)와 서포터부(220)는 서로 접촉하여 가압하고 있으므로, 세척수의 분사 기타 의도되지 않은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홀더부(230)가 흔들리지는 않는다.
따라서, 회전타인(232)에 의해 지지되는 식기는 수납부(200)에 안정적으로 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세척될 수 있고, 회전타인(232)이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타인(232)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납부(200)의 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누운 상태에서는 상기 제1돌출부(2311a) 및 상기 제2돌출부(2311b)가 상기 서포터부(220)를 가압하는 것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에도, 비록 제1돌출부(2311a)와 제2돌출부(2311b)가 서포터부(220)를 가압하지는 않지만, 회전부(231)는 중공부(221)의 내측면과 부분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부(230)와 서포터부(220)는 여전히 서로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의 분사 기타 의도되지 않은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홀더부(230)가 흔들리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누운 상태의 회전타인(232)에 의해 지지되는 식기는 수납부(200)에 안정적으로 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세척될 수 있고, 회전타인(232)이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회전타인(232)을 세우거나 눕힘으로써, 식기의 크기, 형상 및 이물이 묻은 위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기세척기(100)가 세척에 가장 알맞은 자세로 수납부(200)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200a)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200a)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회전타인(232)은 제1회전타인(232a) 및 제2회전타인(2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타인(232a)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홀더부(230)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회전타인(232b)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홀더부(230)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타인(232a)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타인(232a)의 길이가 상기 제2회전타인(232b)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나의 제2회전타인(232b)은 두개의 제1회전타인(232a)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200)에 식칼(1000)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식칼(1000)은 굵은 단면적 형상을 가지는 그립부(1100)와 가는 단면적 형상을 가지는 칼날(1200)로 구비될 수 있다.
식칼(1000)의 그립부(1100)는 하나의 제2회전타인(232b)과 이웃하는 두개의 제1회전타인(232a)이 위치하는 부위에 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립부(1100)의 하측은 제2회전타인(232b)에 놓이고 측면으로 두개의 제1회전타인(232a)에 지지될 수 있다. 이렇게 그립부(1100)가 수납부(200)에 회전타인(232)에 배치됨으로써, 식칼(1000)은 안정적으로 수납부(200)에 수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전타인(232)은 길이가 서로 다른 제1회전타인(232a)과 제2회전타인(232b)이 서로 교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칼(1000)과 같은 사용자의 부상을 가져올 수 있는 식기도 수납부(200)에 안전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식기세척기 200: 수납부
200a: 트레이 201: 제1영역
202: 제2영역 210: 베이스
220: 서포터부 220a: 제1서포터
220b: 제2서포터 221: 중공부
222: 개구부 223: 제1지지부
2231: 끼움홈 224: 제2지지부
225: 받침부 226: 지지돌기
230: 홀더부 230a: 제1홀더
230a-1: 손잡이부 230b: 제2홀더
231: 회전부 2311: 가압돌출부
2311a: 제1돌출부 2311a-1: 제1곡면부
2311a-2: 제2곡면부 2311b: 제2돌출부
2311b-1: 평면부 232: 회전타인
232a: 제1회전타인 232b: 제2회전타인
240: 고정타인

Claims (18)

  1.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복수의 가로바와 복수의 세로바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고 중공부가 형성되는 서포터부; 및
    상기 서포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서포터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홀더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서포터부를 가압하여 상기 서포터부에 대하여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회전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타인(tine)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서포터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서포터부에 장착되거나 상기 서포터부로부터 탈거되는 경우에 상기 회전부가 출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출부는,
    제1돌출부; 및
    상기 회전부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돌출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회전타인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납부의 측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서포터부를 가압하고,
    상기 회전타인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납부의 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누운 상태에서는 상기 서포터부를 가압하는 것이 해제되는,
    식기세척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곡면부; 및
    타측에 형성되는 제2곡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곡면부의 곡률보다 상기 제2곡면부의 곡률이 더 크게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타인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회전타인은 상기 회전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돌출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돌출부는 각각의 상기 회전타인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각각의 상기 회전타인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타인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납부의 측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평면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회전부의 반경보다 길게 구비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회전부의 반경범위를 벗어난 곳에 위치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중공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타인이 세워진 상태에서 내측면이 상기 제1돌출부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제1지지부;
    상기 중공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타인이 세워진 상태에서 내측면이 상기 제2돌출부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제2지지부; 및
    양단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의 상면이 상기 평면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부에 장착되는 식기와 상기 제1지지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이는 지지돌기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홀더; 및
    상기 제1홀더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홀더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제1홀더가 장착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서포터; 및
    상기 제2홀더가 장착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서포터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타인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회전타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타인은,
    상기 홀더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회전타인; 및
    상기 홀더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타인과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회전타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타인의 길이가 상기 제2회전타인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149161A 2021-11-02 2021-11-02 식기세척기 KR20230063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61A KR20230063760A (ko) 2021-11-02 2021-11-02 식기세척기
EP22204610.4A EP4173544A1 (en) 2021-11-02 2022-10-31 Dishwasher
US17/979,293 US20230138170A1 (en) 2021-11-02 2022-11-02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61A KR20230063760A (ko) 2021-11-02 2021-11-02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760A true KR20230063760A (ko) 2023-05-09

Family

ID=8404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161A KR20230063760A (ko) 2021-11-02 2021-11-0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38170A1 (ko)
EP (1) EP4173544A1 (ko)
KR (1) KR20230063760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5726A1 (de) * 2004-07-23 2006-03-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zur variablen Aufnahme von Geschirrteilen
US7984812B2 (en) * 2007-05-04 2011-07-2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ack system an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folding rack in a dishwasher
US8646620B2 (en) * 2011-05-20 2014-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assembly with adjustable tines
DE102011080698B4 (de) 2011-08-09 2015-12-31 BSH Hausgeräte GmbH Spülgutträger zur variablen Aufnahme von Spülgut
CN203709976U (zh) * 2013-11-13 2014-07-1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碗篮及具有它的洗碗机
FR3078876B1 (fr) * 2018-03-15 2020-05-29 Groupe Brandt Panier a vaisselle comprenant un support de roul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3544A1 (en) 2023-05-03
US20230138170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5017B1 (en) Supporting devic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KR100879573B1 (ko) 식기 세척기용 랙 및 이를 구비한 컴팩트형 식기세척기
KR102512217B1 (ko) 식기세척기
EP2898814B1 (en)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US20150182104A1 (en)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EP3412196B1 (en) Dish rack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JP2008073400A (ja) 食器洗い機
KR101366287B1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2590134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20230063760A (ko) 식기세척기
CN211093897U (zh) 餐具筐及餐具清洗机
KR20070008807A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20230067345A (ko) 식기세척기
KR20230032374A (ko) 식기세척기
KR20070066360A (ko)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KR20230032764A (ko) 식기세척기
JP4135591B2 (ja) 食器洗い機
KR20230133660A (ko) 식기세척기
KR200272336Y1 (ko) 식기세척기용 바구니
CN215899596U (zh) 承载篮和家用电器
KR101186442B1 (ko) 식기 세척기
KR200493385Y1 (ko) 싱크대용 물막이
KR20230031047A (ko) 식기세척기
KR100234112B1 (ko) 식기세척기
KR20230060162A (ko)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