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455B1 - 바둑판 - Google Patents

바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455B1
KR101053455B1 KR1020080096690A KR20080096690A KR101053455B1 KR 101053455 B1 KR101053455 B1 KR 101053455B1 KR 1020080096690 A KR1020080096690 A KR 1020080096690A KR 20080096690 A KR20080096690 A KR 20080096690A KR 101053455 B1 KR101053455 B1 KR 101053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board
intermediate plate
plate
resonance
resonanc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384A (ko
Inventor
유형겸
Original Assignee
유형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겸 filed Critical 유형겸
Priority to KR1020080096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4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61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2Chess; Similar bo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층으로 형성하되, 내부에 공명실(共鳴室)이 형성되도록 하고, 공명실에는 공명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수의 스트링(String)을 설치함으로써 바둑판위에 바둑돌을 놓을 때 공명실과 스트링의 작용에 의하여 청아하고 경쾌한 착수음(着手音)이 발생되도록 하여 장시간 바둑을 두는 경우에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바둑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부면에 가로방향으로 향하는 다수의 가로줄과 세로방향으로 향하는 다수의 세로줄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줄과 세로줄의 교차점에 바둑돌이 놓여지도록 구성되는 상판과; 설계에 따라 정해진 두께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판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되고, 내부에는 공명실을 형성하는공간부가 형성되는 한편, 마주하는 쪽 내벽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의 아랫면상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중간판과; 설계에 따라 정해진 두께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판의 저면에 밀착되게 접합되어 중간판상의 공명실을 막아주는 하판과; 상기 중간판의 마주하는 내벽면에 형성된 장착홈상의 끼움돌기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판상의 교차점에 바둑돌을 놓을 때 그 충격에 의하여 미세하게 진동되면서 바둑돌을 놓는 소리가 공명되게 하는 다수의 스트링으로 이루어진다.
바둑판, 공명실, 스트링

Description

바둑판{Badook Board}
본 발명은 바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층으로 형성하되,내부에 공명실(共鳴室)을 형성하고 공명실에는 공명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수의 스트링(String)을 설치함으로써 바둑판위에 바둑돌(乭)을 놓을 때 공명실과 스트링의 작용에 의하여 청아하고 경쾌한 착수음(着手音)이 발생되도록 하여 장시간 바둑을 두는 경우에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바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둑은 국가간 영토쟁탈전을 가상화한 놀이의 일종으로서 대국자가 바둑판상에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줄들의 교차점을 돌이놓여지는 착점(着点)으로 하고, 상기 착점에 흰색의 바둑돌과 검정색의 바둑돌을 교대로 착수하고, 착수된 돌들을 서로 연결하여 영토(집)를 형성하는 한편, 상대방의 바둑돌을 포획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게임의 일종으로서,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이래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가장 대중적인 놀이기구중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권은 물론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게임이다.
한편, 바둑을 즐기는 도구로서 상부면에 19(가로)×19(세로)개의 줄을 형성 하여 가로줄과 세로줄의 교차점이 361개가 되도록 구성된 바둑판과, 피아(彼我)를 식별하기 위하여 흰색과 검은색으로 구분되며, 가로줄과 세로줄의 교차점에 놓았을 때 서로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바둑돌을 들 수 있다.
상기 바둑판은 통상 비자나무나 은행나무 또는 단풍나무나 박달나무를 사용하여 정방형의 육면체형상으로 만들며, 그 상부면에는 먹줄이나 옻줄을 이용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19개의 줄을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바둑돌은 그 재료에 따라 크게 유리바둑돌과 조개바둑돌로 구분되는데, 백돌은 대략 21.8mm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흑돌은 대략 22.1mm 크기의 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두께는 백돌과 흑돌 모두 대략 8mm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바둑돌은 백돌이 180개, 흑돌이 181개로 이루어지며, 통상 뽕나무, 검은 감나무, 흑단, 자단 등으로 만든 바둑통에 담겨져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인 표준 바둑판의 경우 그 상부면에 형성된 줄의 수가 가로 19줄, 세로 19줄로 이루어지고, 역사가 오래된 만큼 포석이나 전략이 공식화되다시피 정형화되어 있어 바둑수준이 일정한 경지에 도달된 사람에게는 포석과 전략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므로 대국시 흥미감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바둑판상에 형성되는 가로줄 또는 세로줄의 수가 다른 쪽 줄의 수에 비하여 짝수 만큼 더 많게 구성하여 전략의 다변화를 꾀하여 게임의 흥미를 크게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 상기 바둑판은 내부가 채워진 원목이나 적층된 형태의 합판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바둑판상에 바둑돌을 놓을 때 둔탁하고 무거운 느낌이 들고, 소리가 탁하여 장시간 바둑을 두는 경우 대국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명실(共鳴室)을 형성하고 공명실에는 공명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수의 스트링(String)을 설치함으로써 바둑판위에 바둑돌을 놓을 때 공명실과 스트링의 공명작용에 의하여 청아하고 경쾌한 착수음(着手音)이 발생되도록 하여 장시간 바둑을 두는 경우에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바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에 가로방향으로 향하는 다수의 가로줄과 세로방향으로 향하는 다수의 세로줄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줄과 세로줄의 교차점에 바둑돌이 놓여지도록 구성되는 상판과; 설계에 따라 정해진 두께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판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되고, 내부에는 공명실을 형성하는공간부가 형성되는 한편, 마주하는 쪽 내벽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의 아랫면상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중간판과; 설계에 따라 정해진 두께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판의 저면에 밀착되게 접합되어 중간판상의 공명실을 막아주는 하판과; 상기 중간판의 마주하는 내벽면에 형성된 장착홈상의 끼움돌기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판상의 교차점에 바둑돌을 놓을 때 그 충격에 의하여 미세하게 진동되면서 바둑돌을 놓는 소리가 공명되게 하는 다수의 스트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바둑판을 구성하는 상판의 아랫쪽에 공명실을 형성하는 중간판과, 중간판의 공명실을 막아주는 하판이 순차적으로 접합되고, 중간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명실에는 다수개의 별도의 스트링이 설치됨에 따라 상판의 상부면에 바둑돌을 놓을 때 그 충격력에 의하여 공간부 내부에 설치된 스트링이 진동되면서 공명(共鳴)되어 바둑돌을 놓는 소리가 청아하면서도 경쾌하게 발생되고, 바둑돌을 놓는 느낌이 향상되면서 대국시에 쉽게 피로감이 느껴지지 않아 경기력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둑판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둑판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장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둑판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공명실(共鳴室)을 형성하고 공명실에는 공명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수의 스트링(String)을 설치함으로써 바둑판위에 바둑돌을 놓을 때 공명실과 스트링의 공명작용에 의하여 청아하고 경쾌한 착수음(着手音)이 발생되도록 하여 장시간 바둑을 두는 경우에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둑판(10)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와 두께 를 갖는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접합되는 소정 두께의 중간판(30)과, 상기 중간판의 저면에 접합되는 하판(40) 및 상기 중간판(30)의 내부를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스트링(5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판(20)은 그 상부면에 가로방향으로 향하는 다수의 가로줄(22)과 세로방향으로 향하는 다수개의 세로줄(24)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줄(22)과 세로줄(24)의 교차점(26)에는 통상의 바둑돌(28)이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간판(30)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두께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판(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되며, 중간판(30)의 내부에는 공명실(32)을 형성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중간판(30)의 마주하는 쪽 내벽면(34)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깊이를 갖는 장착홈(36)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36)의 아랫면상에는 다수의 끼움돌기(38)가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판(40)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두께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판(30)의 저면에 밀착되게 접합되어 중간판(30)상의 공명실(32)을 막아주도록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그 저면의 네모퉁이에는 이동이 자유롭게 하는 소형 바퀴 또는 받침다리(42)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판(30)의 마주하는 내벽면(34)에 형성된 장착홈(36)상의 끼움돌기에는 상판(20)상의 교차점(26)에 바둑돌(28)을 놓을 때 그 충격에 의하여 미세하게 진동되면서 바둑돌(28)을 놓는 소리가 공명되게 하는 다수의 스트링(5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각의 스트링(50)의 양단에는 끼움돌기(38)에 끼워지는 끼움고리(5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판(20)으로는 비자나무나 은행나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간판(30)으로는 괴목이나 MDF(Medium-Density Fiberboard)합판 또는 은행나무가 적용될 수 있고, 하판(40)으로는 은행나무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명구조는 가로줄과 세로줄이 각각 19줄인 종래의 바둑판은 물론, 가로줄과 세로줄이 각각 19줄×25줄인 개량 바둑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둑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서와 같이 우리의 전통놀이구인 장기판(10')이나 서양의 체스판에도 적용할 수 있슴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둑판(10)을 제작하기 위하여 상부면에 다수개의 가로줄(22)과 세로줄(24)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정해진 두께의 상판(20)을 준비하고, 상기 상판(20)과 동일한 크기와 설계에 따라 정해진 두께를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고 마주하는 내벽면(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홈(36)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36)의 아랫면에 다수의 끼움돌기(38)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중간판(30)을 준비하는 한편, 상기 중간판(30)의 저면에 접합되는 별도의 하판(40)과 상기 중간판(30)상의 마주하는 끼움돌기(38)에 끼워지는 다수의 스트링(50)을 준비한다.
이와 같이 상판(20)과 중간판(30) 및 하판(40)과 스트링(50)이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스트링(50)의 양단에 형성된 끼움고리(52)를 중간판(30)상의 마주하는 내벽면(34)상에 형성된 장착홈(36)에 돌설된 끼움돌기(38)에 끼워 걸어주는 방식으로 스트링(50)을 중간판(30)의 내부에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중간판(30)의 상부면과 저면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고, 중간판(30)의 상부면에는 상판(20)의 저면이 밀착되도록 하고, 저면에는 하판(40)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접합하면, 중간판(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판(20)과 하판(40)이 결합되면서 중간판(30)의 내부에 공명실(32)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판(2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로줄(22)과 세로줄(24)의 교차점(26)에 바둑돌(28)을 놓는 통상의 방식으로 바둑경기를 하는 경우, 바둑돌(28)을 놓을 때 상판(20)을 통하여 중간판(30)으로 전해진 충격력이 중간판(3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명실(32)내로 전달되어 울림과 동시에 중간판(30)상의 장착홈(36)을 따라 설치된 끼움돌기(38)에 끼워져 설치된 스트링(50)이 진동되면서 울림에 따라 바둑돌(28)을 놓을 때 발생되는 착수음이 매우 경쾌하면서도 청아하게 들리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둑판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둑판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장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둑판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상판 22 : 가로줄
24 : 세로줄 26 : 교차점
28 : 바둑돌 30 : 중간판
32 : 공명실 36 : 장착홈
38 : 끼움돌기 40 : 하판
50 : 스트링(String) 52 : 끼움고리.

Claims (1)

  1. 상면에 다수의 가로줄(22)과 다수의 세로줄(24)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가로줄(22)과 세로줄(24)의 교차점(26)에 바둑돌(28)이 놓이도록 된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공명실(32)이 형성되고 이 공명실(32)의 마주하는 내벽면(34)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홈(36)이 형성되고, 장착홈(36) 내에 다수의 끼움돌기(38)가 마련된 중간판(30)과;
    상기 중간판(3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간판(30)의 공명실(32)을 폐쇄하는 하판(40)과;
    상기 상판(20)에 놓이는 바둑돌(28)의 충격에 의해 진동하면서 공명음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간판(30)의 공명실(32)에 설치되며 그 양단이 상기 다수의 끼움돌기(38)에 결합된 다수의 스트링(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판.
KR1020080096690A 2008-10-01 2008-10-01 바둑판 KR101053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690A KR101053455B1 (ko) 2008-10-01 2008-10-01 바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690A KR101053455B1 (ko) 2008-10-01 2008-10-01 바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384A KR20100037384A (ko) 2010-04-09
KR101053455B1 true KR101053455B1 (ko) 2011-08-03

Family

ID=4221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690A KR101053455B1 (ko) 2008-10-01 2008-10-01 바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05B1 (ko) 2012-05-17 2014-03-19 아이투엠 주식회사 창의력 향상 게임을 위한 블록 매트릭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960Y1 (ko) * 2000-10-06 2001-04-02 유형겸 바둑용구
KR20010090086A (ko) * 2001-09-12 2001-10-18 허성구 폐목을 이용한 바둑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960Y1 (ko) * 2000-10-06 2001-04-02 유형겸 바둑용구
KR20010090086A (ko) * 2001-09-12 2001-10-18 허성구 폐목을 이용한 바둑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05B1 (ko) 2012-05-17 2014-03-19 아이투엠 주식회사 창의력 향상 게임을 위한 블록 매트릭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384A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1901B2 (en) Musical instrument, in particular a cajon
US8487170B2 (en) Percussion instrument
WO2009006129A3 (en) Parlay-based tournament including successive games
JP2012529935A (ja) 地理的な領域の3次元表示パズル
KR101053455B1 (ko) 바둑판
WO2007035663A3 (en) Interchangeable game pieces and method of game play
US20090007753A1 (en) Practice mute for string instruments
US20060163811A1 (en) Jigsaw puzzle assembly
CA2771361C (en) Game ticket construction with a folding action
EP1371401B1 (en) 3d jigsaw puzzle
US20040135314A1 (en) Personalized parlor game
KR102114436B1 (ko) 블럭완구
KR200391693Y1 (ko) 상자형 타악기
JP3131278U (ja) ボードゲーム用の盤
KR200412197Y1 (ko) 입체 구형 조각그림 맞추기 장난감
JP3211420U (ja) 弦楽器の駒
KR101966714B1 (ko) 셀이미지시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시스템 및 블록조립방법
KR200250536Y1 (ko) 다기능 바둑판
KR101923663B1 (ko) 보드게임용 조립식 블럭 구조
KR200216659Y1 (ko) 매직 퍼즐
JPH0715578Y2 (ja) 盤上遊戯具
KR101189387B1 (ko) 스틱 놀이구
KR20080001465U (ko) 종이자석딱지완구 및 자석놀이판
CN205759604U (zh) 一种益智玩具
JP2002268654A (ja) 音響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