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650B1 -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 Google Patents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650B1
KR101052650B1 KR1020100078073A KR20100078073A KR101052650B1 KR 101052650 B1 KR101052650 B1 KR 101052650B1 KR 1020100078073 A KR1020100078073 A KR 1020100078073A KR 20100078073 A KR20100078073 A KR 20100078073A KR 101052650 B1 KR101052650 B1 KR 10105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reinforcing
head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김정회
오종환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설치된 파일(10)의 두부 내측에 위치되어 파일(10)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된 보강판(170)을 지지 고정함과 아울러 파일(10)의 두부 상측으로 마련되어 파일(10)의 두부와 파일(10)의 두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강하게 결속시킴은 물론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보강판(170)을 지지 고정하는 최하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파일(10)의 두부에 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상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를 가지는 다수의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들의 상부에 위치된 수직부들을 횡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보강띠 철근을 포함하는 통상의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판(170)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2보강부재(130)와 상기 보강판(170)의 상부면에 단순 거치되는 제1보강부재(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강부재(130)의 최하단은 상기 보강판(170)에 천공된 다수개의 체결공에 고리결합되도록 자 형상의 고리부(131a)가 구비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110)는 상기 제2보강부재(130)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110)는 최하단이 상기 보강판(170)의 상면에 직하 방향으로 안착되는 제1수직부(111)와 상기 제1수직부(111)의 타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수평부(113)와 상기 제1수평부(113)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출된 제2수직부(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보강부재(130)는 최하단에 상기 보강판(170)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자 형상의 고리부(131a)와 상기 고리부(131a)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수직부(131)와 상기 제3수직부(13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수평부(133)와 상기 제2수평부(133)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출된 제4수직부(135)로 이루어지되; 파일의 상면에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가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ile}
본 발명은 말뚝과 확대기초를 강결시키는 두부보강 공법으로 L자형으로 3차원 가공된 L자형 이형철근(L Bar)을 이용한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빌딩, 교량 등 각종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기초공사로서 연약지반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파일을 지반에 매설하는 파일 지정이 있다. 이것은 지반에 파일들을 매설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부 구조물을 파일들 위에 구축하여 그 하중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공을 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매설된 파일의 두부에 보강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파일의 두부보강 시공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결합구조 및 그 구조물은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뿐만 아니라 시공의 안전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강관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는 우선 파일의 내주면에 보강판을 용접한 후, 덮개판을 파일의 상단에 용접하고, 철근들을 덮개판 둘레에 용접하는 방식으로써, 덮개판을 파일의 상단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널리 알려진 방식으로 파일의 외주면에 장공형의 구멍을 천공한 후, 십자보강판을 삽입하여 강관내부와 용접하고, 원형 덮개판과 강관 말뚝두부를 서로 용접하고, 12개의 수직철근을 파일의 바깥 측면 둘레에 필렛용접하고, 확대기초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현장에서 작업자가 덮개판 및 철근을 일일이 용접해야 함으로 현장에서 용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철근조립이 힘들고 수송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고가인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 파일의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고, 비전문가도 충분히 두부보강 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용접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특히 공장에 직접 생산/수송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는,
지중에 설치된 파일의 두부 내측에 위치되어 파일(10)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된 보강판을 지지 고정함과 아울러 파일의 두부 상측으로 마련되어 파일의 두부와 파일의 두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강하게 결속시킴은 물론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보강판을 지지 고정하는 최하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파일의 두부에 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상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를 가지는 다수의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들의 상부에 위치된 수직부들을 횡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보강띠 철근을 포함하는 통상의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판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2보강부재와 상기 보강판의 상부면에 단순 거치되는 제1보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강부재의 최하단은 상기 보강판에 천공된 다수개의 체결공에 고리결합되도록 “ㄴ”자 형상의 고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제2보강부재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는 최하단이 상기 보강판의 상면에 직하 방향으로 안착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타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출된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보강부재는 최하단에 상기 보강판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수직부와 상기 제3수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출된 제4수직부로 이루어지되; 파일의 상면에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가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는 파일의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고, 비전문가도 파일의 두부보강 시공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용접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공장에 직접 생산/수송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에 있어, 보강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b, 2c, 2d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를 시공 순서에 따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은 지중에 설치된 파일(10)의 두부 내측에 위치되어 파일(10)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된 보강판(170)을 지지 고정함과 아울러 파일(10)의 두부 상측으로 마련되어 파일(10)의 두부와 파일(10)의 두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강하게 결속시킴은 물론 강도를 보강하는 것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에서는 상기 보강판(170)을 지지 고정하는 최하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파일(10)의 두부에 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상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를 가지는 다수의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들의 상부에 위치된 수직부들을 횡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보강띠 철근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보강판(170)은 지중에 설치된 파일(10)의 두부 내측에 위치되어 파일(10)의 내부를 폐쇄하여 콘크리트작업시에 콘크리트가 파일(10)의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판(170)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2보강부재(130)와 상기 보강판(170)의 상부면에 단순 거치되는 제1보강부재(11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에서 상기 제2보강부재(130)의 최하단은 상기 보강판(170)에 천공된 다수개의 체결공에 고리결합되도록 "ㄴ"자 형상의 고리부(131a)가 구비된다.

도 2a는 제1, 제2 보강부재(110, 13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로써,
우선, 보강판(170) 상면에 안착되는 제1 보강부재(110)는 상기 제2보강부재(130)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최하단이 상기 보강판(170)의 상면에 직하 방향으로 안착되는 제1수직부(111)와 상기 제1수직부(111)의 타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수평부(113)와 상기 제1수평부(113)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출된 제2수직부(115)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제2보강부재(130)는 최하단에 상기 보강판(170)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자 형상의 고리부(131a)와 상기 고리부(131a)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수직부(131)와 상기 제3수직부(13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수평부(133)와 상기 제2수평부(133)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출된 제4수직부(13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은 파일의 상면에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가 거치되어 설치된다.
도 2b, 도 2c, 도 2d는 제1, 제2 보강부재를 이용한 파일(10)의 두부보강 시공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170)에 안착되는 제1 보강부재(110)와 고리부(131a)를 갖는 제2 보강부재(130)를 파일(10) 내주면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을 갖도록 위치/설정한 후, 제2,제4 수직부(115, 135)에 보강띠 철근(150)을 위치/설정한다. 그 다음 제1, 제2 보강부재와 보강띠 철근이 결합되는 부분은 별도의 결속부재(미도시)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체결공(170a)이 천공된 보강판(170)을 상기 고리부(131a)를 갖는 제2 보강부재(130) 하단에 결속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에 있어, 파일의 보강부(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제조/조립 공정이 공장에서 이루어진 상기 파일의 보강부(100)를 시공현장까지 수송한 후, 파일 두부에 안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는 파일 외주면에 체결공 또는 결합공 등등 장공형 구멍을 내는 천공공정이 필요가 없다. 또한, 하나의 완성품으로 제조/조립된 파일의 보강부(100)를 파일(10)의 두부에 거치함으로써 현장에서 파일, 보강판, 철근 등을 일일이 용접할 필요가 없고, 시공이 용이하므로 비전문가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보강부 110 : 제1 보강부재
130 : 제2 보강부재 150 : 보강띠 철근
170 : 보강판

Claims (6)

  1. 지중에 설치된 파일(10)의 두부 내측에 위치되어 파일(10)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된 보강판(170)을 지지 고정함과 아울러 파일(10)의 두부 상측으로 마련되어 파일(10)의 두부와 파일(10)의 두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강하게 결속시킴은 물론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보강판(170)을 지지 고정하는 최하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파일(10)의 두부에 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상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를 가지는 다수의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들의 상부에 위치된 수직부들을 횡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보강띠 철근을 포함하는 통상의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판(170)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2보강부재(130)와 상기 보강판(170)의 상부면에 단순 거치되는 제1보강부재(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강부재(130)의 최하단은 상기 보강판(170)에 천공된 다수개의 체결공에 고리결합되도록 “ㄴ”자 형상의 고리부(131a)가 구비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110)는 상기 제2보강부재(130)의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110)는 최하단이 상기 보강판(170)의 상면에 직하 방향으로 안착되는 제1수직부(111)와 상기 제1수직부(111)의 타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수평부(113)와 상기 제1수평부(113)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출된 제2수직부(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보강부재(130)는 최하단에 상기 보강판(170)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고리부(131a)와 상기 고리부(131a)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수직부(131)와 상기 제3수직부(13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수평부(133)와 상기 제2수평부(133)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출된 제4수직부(135)로 이루어지되;
    파일의 상면에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가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78073A 2010-08-13 2010-08-13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KR10105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073A KR101052650B1 (ko) 2010-08-13 2010-08-13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073A KR101052650B1 (ko) 2010-08-13 2010-08-13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650B1 true KR101052650B1 (ko) 2011-07-28

Family

ID=4492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073A KR101052650B1 (ko) 2010-08-13 2010-08-13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68B1 (ko) * 2018-08-24 2019-09-03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충진 강관파일의 합성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08Y1 (ko) * 2004-12-01 2005-03-10 주식회사 근영산업개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KR20090052527A (ko) * 2007-11-21 2009-05-26 김정화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08Y1 (ko) * 2004-12-01 2005-03-10 주식회사 근영산업개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KR20090052527A (ko) * 2007-11-21 2009-05-26 김정화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68B1 (ko) * 2018-08-24 2019-09-03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충진 강관파일의 합성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1107567B1 (ko)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5788B1 (ko) 강관파일 두부보강 구조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20180072968A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2214779B1 (ko) 프리캐스트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3628571A (zh) 一种逆作法用梁柱节点及施工方法
KR20090069151A (ko)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JP2011006849A (ja) 基礎工法
JP5116443B2 (ja) 深礎基礎、深礎基礎の施工方法及び深礎基礎用の作業足場
KR101521946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KR101052650B1 (ko) 파일의 두부보강 구조물
JP4970075B2 (ja) 肩当て金物
KR100679301B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JP2011241547A (ja) 束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KR101908943B1 (ko) Rc 벽체 역타 구조
JP2018159180A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5001897B2 (ja) 建物の構築方法
KR20220002858U (ko)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JP6736830B2 (ja) 地下躯体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築物の建替工法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1707376B1 (ko)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92151B1 (ko) 측압지지보 겸용 데크 지지프레임
JP2000034732A (ja) 鉄骨柱取付用金物、鉄骨柱取付構造及び鉄骨柱の建て込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